KR101786928B1 -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928B1
KR101786928B1 KR1020160029550A KR20160029550A KR101786928B1 KR 101786928 B1 KR101786928 B1 KR 101786928B1 KR 1020160029550 A KR1020160029550 A KR 1020160029550A KR 20160029550 A KR20160029550 A KR 20160029550A KR 101786928 B1 KR101786928 B1 KR 10178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vehicl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007A (ko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주)이로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로움 filed Critical (주)이로움
Priority to KR102016002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92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7/18
    • H04W4/003
    • H04W4/046
    • H04W4/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는 인지부 및 상기 주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제어 권한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SMARTPHONE IN VEHICLE}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는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는 일상 생활에 편리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생활 곳곳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차량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가 상당히 제공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차량 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차량과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주행 중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은 안전 문제로 인하여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행 중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여, 전화 수신을 할 수는 있지만, 이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처럼, 주행 중에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를 보거나 직접 만지지 않아 안전을 보장하면서,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 중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하여금 사용자 단말을 직접적으로 보거나 만지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환경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직접 사용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주행 중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안전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중 발생되는 응급 상태를 인지하여 알림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신고와 구조요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원격제어장치는,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는 인지부 및 상기 주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제어 권한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은,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제어 권한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중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하여금 사용자 단말을 직접적으로 보거나 만지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 환경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직접 사용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주행 중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안전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중 발생되는 응급 상태를 인지하여 알림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신고와 구조요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단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구현한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폰 제어 과정을 작업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은 차량 주행 시 차량 내에서 자동으로 주행 상태를 인지하고,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운전자)가 사용자 단말을 직접 제어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단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단말 제어 시스템(100)은 원격제어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10)는 차량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110)는 종래의 차량 내에 고정형 또는 탈부착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110)는 핸들에 내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10)는 차량 내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12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원격제어장치(11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Laptop),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같은 모바일 컴퓨터 단말일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10)는 연결된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제어 권한을 수령하면,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110)는 운전 중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하는 제어 명령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200)는 연결부(210), 인지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10)는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한다. 즉, 연결부(210)는 차량 내부에서 인식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면, 연결부(210)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10)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0)는 지정된 좌석 좌표와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일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부(210)는 미리 설정된 좌석 좌표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석에 대한 좌표로 지정된 경우, 연결부(210)는 운전자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0)는 원격제어장치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석에 원격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운전자석과 뒷좌석에 각각 한 대의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는 경우, 연결부(210)는 운전자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이 뒷좌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보다 더 근접하므로, 운전자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인지부(22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한다. 즉, 인지부(220)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센서 등을 이용한 주행정보가 획득되면, 차량이 주행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GPS,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등일 수 있다. 주행정보는 센서에 의해 획득된 값을 바탕으로 주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인지부(22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센서값을 조합한 주행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지부(220)는 GPS에 의한 위치값이 변화하고, 가속도센서에 의한 가속도값이 증가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면,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인지부(220)는 상기 차량 핸들에 대한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즉, 인지부(22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차량 핸들에 장착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센서를 통하여 핸들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인지부(220)는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인지부(220)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인지부(22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인지부(220)는 사용자 단말에서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했는지에 관한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지부(220)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 음악 어플리케이션 -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 ...'과 같이 순차적으로 정렬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인지부(220)는 상기 주행정보 중 응급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차량이 응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정보는 교통사고, 응급환자, 차량납치 등과 같은 응급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응급정보는 사용자 단말,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차량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지부(22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충격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응급정보로 획득하여 차량이 응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가 핸들에 포함되고, 차량에서의 에어백이 터진 경우, 응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주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제어 권한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한다. 즉,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면,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 권한을 수령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여 제어 권한이 수령되면,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따라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일부 기능을 제외한 제어 권한을 수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에서 긴급 전화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 권한을 수령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응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현위치 데이터, 사진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번호로 발송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응급 상태가 인지되면, 당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번호로 응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명령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응급 상태가 인지되면, 기설정된 번호로 발신하여 사용자가 직접 통화로 응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번호는 복수개일 수 있다. 현위치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현재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위치 데이터는 GPS 위치 정보, 기지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진 데이터는 응급 상태에서 발송되도록 기설정된 사진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진 데이터는 사용자 사진, 차량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데이터는 기설정된 메시지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정보, 구조를 요청하는 메시지 등 일 수 있다. 예컨대, '교통사고 발생! 구조 바람! 이름: 홍길동, 성별: 남, 나이: 35, 보호자연락처: 010-1234-5678 ...'과 같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응급 상태가 인지된 경우, 제어부(230)는 현위치 데이터 및 메시지 데이터를 119 및 보호자에게 전송하도록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이 블랙박스와 연결되거나, 사용자 단말 자체적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촬영한 경우, 블랙박스 영상의 일부를 사진 데이터로서 기설정된 번호로 발송하도록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명령 또는 버튼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권한을 수령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의 제어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권한을 수령하면, 사용자가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하여도 실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명령이, 상기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또는 폐기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인 경우, 명령을 폐기할 수 있다. 이때,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은 당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허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230)는 제어 권한 수령 후,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명령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만일, DMB 어플리케이션이 불허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230)는 제어 권한 수령 후, DMB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명령을 폐기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를 구현한 일례를 하기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구현한 일례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입력(310), 되돌림(Back)(320), 방향입력(330) 및 확인입력(34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원격제어장치(300)는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와 관련된 물리적 버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310), 되돌림(320), 방향입력(330) 및 확인입력(34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300)는 차량 내 기기에 결합되거나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300)는 차량의 핸들 내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고, 독립적인 리모콘 형태일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제어부(23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음성입력 수단을 활성화하고, 상기 음성입력 수단이 활성화되는 동안, 수집되는 음성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음성입력 수단이 선택되면, 음성 명령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3의 원격제어장치(300)의 음성입력(310)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음성입력 수단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음악 틀어줘"라는 음성 명령이 수집되면, 사용자 단말에서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제어되는 결과에 대한 음성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음악 틀어줘"라는 음성 명령이 수집되어, 사용자 단말에서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재생하도록 제어함과 연동하여, "음악 재생"이라는 음성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음성입력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이 발생한 방향입력 수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방향입력 수단이 갖는 방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제어 명령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방향입력 수단이 활성화되면, 방향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방향 정보로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상술한 도 3의 방향입력(330)의 오른쪽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30)는 다음 곡으로 음악이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상술한 도 3의 방향입력(330)의 아래쪽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전화번호 목록의 다음 전화번호가 지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되돌림 수단을 활성화하고, 상기 되돌림 수단이 활성화될 때 마다, 상기 실행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실행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되돌림 수단이 활성화되면, 제어부(230)는 실행이력 정보에서의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전환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 어플리케이션 - 음악 어플리케이션 -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 계산기 어플리케이션(현재 실행 중)'과 같은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제어부(230)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상술한 도 3의 되돌림(320)이 선택됨에 따라 활성화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전 실행이력 정보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명령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실행이력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다음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 다음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전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술한 도 3의 되돌림(320)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면, 제어부(230)는 다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주행 중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하여금 사용자 단말을 직접적으로 보거나 만지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차량 내 환경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직접 사용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주행 중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안전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주행 중 발생되는 응급 상태를 인지하여 알림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신고와 구조요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400)와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 제어부(410), 센서 매니지먼트(420), 주행 모드 어플리케이션(430), 스마트폰 입력 장치(440), 주행 모드 입력 장치(450), 응급 상황 알림(46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401) 내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센서 매니지먼트(420)로부터 급가속, 급감속, 위치 정보 등의 주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매니지먼트(420)는 스마트폰(401)에 내장된 센서들로부터 센서값을 획득하여 주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수행 상태임을 인지함에 따라, 스마트폰에서의 주행 모드 진입 또는 해제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주행 모드 진입을 결정하면, 주행 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주행 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스마트폰(401)에 기설치된 것일 수 있다.
주행 모드 진입이 결정된 경우,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스마트폰 입력 장치(440)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터치(Touch), 키(Key) 입력에 대한 사용 제한을 할 수 있다.
주행 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주행 모드 입력 장치(450)를 통해 스마트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아, 스마트폰 제어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 입력 장치(450)와 관련하여,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된 물리적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모드 입력 장치(450)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명령 또는 물리적 입력 장치에 의한 제어 신호를 주행 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음성 명령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센서 매니지먼트(420)으로부터 응급상황과 관련된 센서값에 따른 응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폰 제어부(410)는 응급 정보가 획득되면, 응급 상태를 인지하여 응급 상황 알림(460)을 통해 현재 위치 및 사진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차량 주행 시 차량 내에서 스마트폰은 자동으로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폰을 주행 모드로 변경하여 스마트폰의 탑재되어 있는 터치 및 키 등의 조작이 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제어할 수 없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에서는 무선으로 연결된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의 센서를 통하여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현재 위치 및 상황에 대한 알림 기능을 제공하여 사고에 대한 긴급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폰 제어 과정을 작업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 과정은 상술한 원격제어장치(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스마트폰과 연결할 수 있다(510).
다음으로,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의 센서를 이용한 주행 정보 획득 할 수 있다(520). 즉,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물리적 센서(GPS, 가속도,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등)를 이용하여 주행 여부 및 주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제어장치(400)는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30).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원격제어장치(400)는 현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531). 즉, 원격제어장치(400)는 현위치, 영상, 음성 등의 현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제어장치(400)는 현재 정보를 포함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532).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530)은 주행 모드로 진입한 후에도 수행할 수 있다.
응급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40). 이때, 주행 모드 변경 여부가 판단되지 않으면,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정보 획득하는 과정(520)으로 돌아갈 수 있다.
주행 모드 변경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로 진입하거나 주행 모드로 해제할 수 있다(550).
주행 모드에 진입한 경우, 원격제어장치(400)는 차량 주행 모드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방식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주행 모드 진입 시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에서의 터치 및 키 입력에 대하여 제한할 수 있다(551).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 진입 시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물리적 입력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553).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 진입 시 스마트폰의 동작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 진입 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을 실행시킬 수 있다(555).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물리적 입력 장치를 통해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다(557). 즉, 원격제어장치(400)는 물리적 입력 장치에서의 음성 명령 버튼을 통한 음성 명령 모드 진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되돌림(Back) 버튼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상하좌우 및 가운데 버튼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음악 실행 시 재생/정지, 이전/다음 곡 선택, 볼륨 조절을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차량 주행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경우는 자동적으로 제한된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주행 모드가 해제된 경우,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에 대한 사용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552). 따라서,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에서의 터치 및 키 입력을 가능하도록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554). 즉, 원격제어장치(400)는 스마트폰을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모드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400)는 주행 중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 및 사고 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 위치 및 사진 등의 정보를 지정된 번호로 메시지를 발송하고 전화를 발신하는 등의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은 상술한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원격제어장치(200)는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한다(610). 즉, 단계(620)는 차량 내부에서 인식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단계(610)는 지정된 좌석 좌표와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과정이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일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좌석 좌표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석에 대한 좌표로 지정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운전자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원격제어장치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석에 원격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운전자석과 뒷좌석에 각각 한 대의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운전자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이 뒷좌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보다 더 근접하므로, 운전자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한다(620). 즉, 단계(620)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센서 등을 이용한 주행정보가 획득되면, 차량이 주행하는 것으로 인지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GPS,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등일 수 있다. 주행정보는 센서에 의해 획득된 값을 바탕으로 주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센서값을 조합한 주행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는 GPS에 의한 위치값이 변화하고, 가속도센서에 의한 가속도값이 증가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면,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제어 권한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한다(630). 즉,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면, 단계(63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 권한을 수령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여 제어 권한이 수령되면,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따라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일부 기능을 제외한 제어 권한을 수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에서 긴급 전화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 권한을 수령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계(63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음성입력 수단을 활성화하고, 상기 음성입력 수단이 활성화되는 동안, 수집되는 음성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음성입력 수단이 선택되면, 음성 명령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입력 수단이 선택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음성입력 수단을 활성화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의 "음악 틀어줘"라는 음성 명령이 수집되면, 사용자 단말에서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제어되는 결과에 대한 음성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의 "음악 틀어줘"라는 음성 명령이 수집되어, 사용자 단말에서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재생하도록 제어함과 연동하여, "음악 재생"이라는 음성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63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이 발생한 방향입력 수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방향입력 수단이 갖는 방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제어 명령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방향입력 수단이 활성화되면, 방향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방향 정보로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방향입력 수단의 오른쪽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다음 곡으로 음악이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방향입력 수단의 아래쪽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전화번호 목록의 다음 전화번호가 지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했는지에 관한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 음악 어플리케이션 -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 ...'과 같이 순차적으로 정렬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계(63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되돌림 수단을 활성화하고, 상기 되돌림 수단이 활성화될 때 마다, 상기 실행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실행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되돌림 수단이 활성화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실행이력 정보에서의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전환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 어플리케이션 - 음악 어플리케이션 -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 계산기 어플리케이션(현재 실행 중)'과 같은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되돌림 수단이 선택됨에 따라 활성화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전 실행이력 정보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명령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실행이력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다음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 다음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전화 어플리케이션'에서 되돌림 수단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다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명령 또는 버튼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권한을 수령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의 제어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권한을 수령하면, 사용자가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하여도 실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명령이, 상기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또는 폐기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인 경우, 명령을 폐기할 수 있다. 이때,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은 당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허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되도록 설정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제어 권한 수령 후,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명령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만일, DMB 어플리케이션이 불허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되도록 설정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제어 권한 수령 후, DMB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명령을 폐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정보 중 응급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차량이 응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정보는 교통사고, 응급환자, 차량납치 등과 같은 응급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응급정보는 사용자 단말,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차량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 원격제어장치(2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충격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응급정보로 획득하여 차량이 응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가 핸들에 포함되고, 차량에서의 에어백이 터진 경우, 응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응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현위치 데이터, 사진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번호로 발송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응급 상태가 인지되면, 당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번호로 응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명령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응급 상태가 인지되면, 기설정된 번호로 발신하여 사용자가 직접 통화로 응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번호는 복수개일 수 있다. 현위치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현재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위치 데이터는 GPS 위치 정보, 기지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진 데이터는 응급 상태에서 발송되도록 기설정된 사진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진 데이터는 사용자 사진, 차량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데이터는 기설정된 메시지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정보, 구조를 요청하는 메시지 등 일 수 있다. 예컨대, '교통사고 발생! 구조 바람! 이름: 홍길동, 성별: 남, 나이: 35, 보호자연락처: 010-1234-5678 ...'과 같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응급 상태가 인지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현위치 데이터 및 메시지 데이터를 119 및 보호자에게 전송하도록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이 블랙박스와 연결되거나, 사용자 단말 자체적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촬영한 경우, 블랙박스 영상의 일부를 사진 데이터로서 기설정된 번호로 발송하도록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차량 핸들에 대한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차량 핸들에 장착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센서를 통하여 핸들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인지부(220)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은 주행 중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하여금 사용자 단말을 직접적으로 보거나 만지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은 차량 내 환경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직접 사용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주행 중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안전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은 주행 중 발생되는 응급 상태를 인지하여 알림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신고와 구조요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 원격제어장치
210 : 연결부
220 : 인지부
230 : 제어부

Claims (18)

  1.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인지부; 및
    상기 주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제어 권한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되돌림 수단을 활성화하고, 상기 되돌림 수단이 활성화될 때 마다, 상기 실행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실행 명령을 생성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음성입력 수단을 활성화하고, 상기 음성입력 수단이 활성화되는 동안, 수집되는 음성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이 발생한 방향입력 수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방향입력 수단이 갖는 방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제어 명령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명령 또는 버튼 명령을 무효화하는
    원격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명령이, 상기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또는 폐기하는
    원격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상기 주행정보 중 응급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차량이 응급 상태임을 인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현위치 데이터, 사진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번호로 발송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차량 핸들에 대한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는
    원격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지정된 좌석 좌표와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일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원격제어장치.
  10.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실행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제어 권한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령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되돌림 수단을 활성화하고, 상기 되돌림 수단이 활성화될 때 마다, 상기 실행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실행 명령을 생성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따라 음성입력 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입력 수단이 활성화되는 동안, 수집되는 음성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이 발생한 방향입력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방향입력 수단이 갖는 방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제어 명령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명령 또는 버튼 명령을 무효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권한의 수령 후,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명령이, 상기 주행 상태에서 실행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또는 폐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중 응급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차량이 응급 상태임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응급 상태의 인지와 연동하여, 현위치 데이터, 사진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번호로 발송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차량 핸들에 대한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임을 인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는,
    지정된 좌석 좌표와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차량의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일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KR1020160029550A 2016-03-11 2016-03-11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KR10178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50A KR101786928B1 (ko) 2016-03-11 2016-03-11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50A KR101786928B1 (ko) 2016-03-11 2016-03-11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07A KR20170106007A (ko) 2017-09-20
KR101786928B1 true KR101786928B1 (ko) 2017-11-15

Family

ID=6003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550A KR101786928B1 (ko) 2016-03-11 2016-03-11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7347B (zh) * 2022-02-16 2024-04-16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按键控制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9765A (ja) * 2010-12-15 2012-07-05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装置
KR101568335B1 (ko) * 2014-11-26 2015-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의 블루투스 페어링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9765A (ja) * 2010-12-15 2012-07-05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装置
KR101568335B1 (ko) * 2014-11-26 2015-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의 블루투스 페어링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07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049B1 (ko) 보행자의 안전과 연관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7580104B (zh) 移动终端以及包括该移动终端的控制系统
US9532160B2 (en) Method of determining user intent to use services based on proximity
JP5240316B2 (ja) 車両乗員非操作運転システム
JP6103620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プログラム
EP3051784A1 (en) Operating a vehicle and a wearable device
KR20170025179A (ko)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66311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217218A (ja) 事故情報取得システム
KR201700145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915389B2 (ja) 情報特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100258B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EP387950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2x service using same
CN106960602A (zh) 在车辆行驶过程中进行驾驶预警的方法、车载设备及装置
KR20150137827A (ko) 핸들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4706A (ko) 이동 단말기의 응급사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692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에 의한 차량 내 단말 제어 방법
CN106408682A (zh) 提示方法和装置
WO2017154208A1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操作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2018072030A (ja) 車載装置、携帯端末特定方法
CN110576765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CN105100391A (zh) 车辆在驾驶过程中移动电话提醒信息的反馈方法
KR101682896B1 (ko) Obd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시 연락 방법
JP6703936B2 (ja) 電子機器、車両、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