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913B1 -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913B1
KR101786913B1 KR1020170025038A KR20170025038A KR101786913B1 KR 101786913 B1 KR101786913 B1 KR 101786913B1 KR 1020170025038 A KR1020170025038 A KR 1020170025038A KR 20170025038 A KR20170025038 A KR 20170025038A KR 101786913 B1 KR101786913 B1 KR 10178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smetic composition
skin
group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한
이채곤
김광수
석정은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17002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913B1/ko
Priority to CN201810158936.5A priority patent/CN10849836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투과를 촉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elf-assembled surfactant cyclic peptides, ASCP, 스스로 뭉치며 계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펩타이드) 및 지방산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가 높고 자극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permeation of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부 상태의 개선을 위한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위하여 화장료에 포함될 수 있는 거대분자인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피부투과촉진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조직학적으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께는 부위,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다르다. 다양한 피부조건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피부들은 각각 외부로부터의 장벽기능 및 기타 생리학적 기능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각질층은 상대적으로 소수성(hydrophobicity)이 높은 불용성 단백질 케라틴이 고밀도로 집적되어 있는 케라틴화된 사멸세포(keratinized dead cell)가 지질의 얇은 층인 세포간 지질 이중층(intercellular lipid bilayer)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서, 지질과 불용성 단백질이 풍부한 매트릭스의 독특한 계층적 구조가 외부 환경 유래의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한 화학적 요인에 대한 불투과적 성질을 만든다. 특히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은 각질층의 이러한 소수성 다중 구조로 인해 투과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에서 각질을 통한 물질의 수송, 특히 거대분자 형태의 피부개선물질의 피부 투과는 피부의 여러 가지 보호작용으로 인해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투과된다고 하여도 매우 낮은 농도만 투과될 뿐이다. 하지만, 화장료의 경우, 화장료에 포함된 생리활성물질이 그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을 통과하여야만 하나, 이러한 각질층의 소수성 다중 구조 및 이로 인한 장벽 기능으로 인해, 화장료에 포함된 피부개선물질이 그 기능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피부 장벽을 극복하고 화장료에 포함된 피부개선물질이 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화장료에 피부개선물질을 고농도로 포함시켜야만 하는데 이 경우 고가의 피부개선물질을 고농도로 포함시키면 제품의 가격 상승 요인이 되며, 고농도로 포함된 피부개선물질로 인해 피부 자극 유발 가능성이 높아지며, 또한 많은 수의 피부개선물질이 화장료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고농도로 처방할 경우, 제품화면에서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피부개선물질을 안정적으로 화장료에 첨가하여, 피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피부 투과 촉진 화장료의 개발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활성물질의 피부 투과를 촉진하는 피부 투과 촉진제들이 보고되어 왔으며, 이들의 투과 촉진은 크게 i) 세포간 지질 이중층(Intercellular lipid bilayer)에 작용, ii) 세포간 결합에 관여하는 데스모좀(desmosome) 및 관련 단백질에 작용, iii) 각질세포 내부 구조에 직접 작용하는 기작으로 나눌 수 있다. 세포간 지질 이중층에 대한 전달 촉진인자(delivery enhancer)의 작용은 주로 지질 이중층의 구조를 느슨하게 하여, 활성물질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기작으로 많은 수의 피부 투과 촉진제가 이러한 기능을 통해 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피부 투과 촉진제의 경우, 각질세포의 세포간 결합에 관여하는 데스모좀 및 관련 단백질에 작용하여, 각질 세포간 결합을 분리하거나 느슨하게 하여 세포간 간격을 늘리는 기작을 통해 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피부 투과 촉진제의 경우, 각질세포 내부에 침투하여 케라틴을 변성시키거나 내부구조에 영향을 미쳐 트랜스셀룰라 루트(transcellular route)를 통한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기작을 통해 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피부 투과 촉진제는 필연적으로 피부 최외각층인 각질층의 구조를 변경시켜 생리활성 물질의 피부 투과를 촉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대부분의 피부 투과 촉진제의 경우, 피부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높고 도포시 피부 작열감 및 홍반을 유발하는 등의 피부 자극 유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피부 투과 촉진제의 효과적 배합을 통해 사용량을 최소로 하는 등의 피부 자극 완화 대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나아가,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500달톤 이상인 거대분자의 피부의 각질층 통과시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피부의 각질층에 미세한 구멍을 내어 원하는 성분을 피부를 통해 전달하는 마이크로 니들과 같은 방법이 쓰이기도 한다.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일부에서 제품화되고 있기도 하지만 아직까지 사용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적용시에,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는 마이크로 니들에 담을 수 있는 성분의 양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피부 개선 등에 활성을 나타내는 거대분자의 피부투과방법 또는 피부투과 촉진 물질에 대한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어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 제10-1193606호는 피부활성 유효성분이 탑재된 pH 감응성 나노입자 및 생체 유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투과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 제10-1609041호는 파지라이브러리와 피부로 투과하는 제제의 용출 실험방법을 조합하여 선별한 피부투과촉진 펩타이드와 EGF가 융합된 융합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 개선 등에 활성을 나타내는 거대분자의 피부투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특정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와 지방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피부개선을 위한 거대분자를 통증 없이 탁월한 피부투과도로 직접 피부로 전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와 지방산 혼합물을 포함하고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도를 높이고 피부자극 유발가능성을 최소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elf-assembled surfactant cyclic peptides, SASCP, 스스로 뭉치며 계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펩타이드) 및 지방산 혼합물을 포함하고,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도를 높이고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에멀젼 또는 에센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분자량이 500 달톤 이상인 거대 분자의 피부투과를 높이는 방법으로 본 출원에서는 self-assembled surfactant cyclic peptides((SASCP, 스스로 뭉치며 계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펩타이드)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특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하 지방산 혼합물이라 칭한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ASCP 고리형 펩타이드는 L-아미노산과 D-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의 수는 3개에서 9개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상기 SASCP는 자가 조립, 즉, 스스로 뭉치면서 계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펩타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소수성(Hydrophobicity) 상호작용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지는 두 개의 영역, 구체적으로, 아미노산 영역 및 탄화수소사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미노산 영역은 상기 고리형 펩타이드 내에서 머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자내 그리고 이웃 분자간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수소 결합을 할 수 있는 정전기적 전하를 띠거나 정전기적 작용을 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영역이다. 또한, 고리 형성에 적절한 3개 내지 9개의 L-아미노산과 D-아미노산, 예를 들어, L-류신(leucine), D-류신(leucine), L-발린, L-이소루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카르복시기와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카르복시기는 정전기적 전하를 띠는 작용기인 -COO-M+(M=Na, K, Ca등의 금속이온)의 형태로 존재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 사슬 영역은 꼬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웃하는 물질들과 소수성 상호작용을 하는 영역이며, 탄소수가 9 내지 19개 정도의 탄화수소 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SASCP의 곁사슬에는 소수성 알킬그룹이나 고리형 사슬을 포함 할 수 있다. 곁사슬은 5 내지 15개의 탄화수소를 포함 할 수 있다. SASCP는 곁사슬이 소수성 알킬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분자내 또는 분자간 소수성 상호작용을 하고 더불어서 펩타이드내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에 의한 분자내 또는 이웃 분자간 수소결합을 통해서 보다 미세한 고리형 구조체를 안정하게 이루게 되는데 기여하게 된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상기 SASCP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19488316-pat00001
상기 식에서, *는 광학 활성점을 나타내고, L-Leu는 L-류신(leucine)을 D-Leu는 D-류신(leucine)를 L-Val는 L-발린이고,
X는 L-류신(leucine), L-이소루신 및 L-발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아미노산이고,
R는 탄소수 9~13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지 알킬기로서,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는 아미노기, 하이드록실기, 페닐기, 아릴기, 알카노일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실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M는 수소,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류 금속,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아민(암모늄을 포함한다)이고(여기서 알칼리 금속은 제한되지 않는 예로서 리튬, 나트륨, 칼륨이고, 알칼리토류 금속은 제한되지 않는 예로서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등을 나타내고, 아민은 메틸아민, 에틸아민, 벤질아민, 아닐린, 디에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피롤리딘, 모르폴린, N-벤질-N-에틸아민, N-에틸아닐린,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양태에서, 상기 SASCP는 화장료 조성물을 전체 100 중량부로 기준하는 경우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SASCP 함유량이 0.1 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에는 피부투과 증가에 효과가 미비하고, SASCP 함유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경제적인 단점뿐 아니라 SASCP에 의해서 피부 자극이 나타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5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펩타이드들과 마찬가지로 지방산 혼합물도 소수성(Hydrophobicity) 상호작용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지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SASCP에서의 이러한 2가지 종류의 상호작용(수소결합에 의한 작용, 소수성 상호작용)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인 셀롤로오스, 소수성 지방산, 소수성 오일,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콜라겐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개선물질들 또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물 등과도 일어나는 상호작용들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중에 포함된 분자량이 큰 피부개선물질의 피부침투 촉진 및 증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SASCP와 함께 지방산 혼합물을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 포함되는 포화 지방산은 구체적으로 탄소수가 10 내지 18개인 포화 지방산으로서 예를 들어, 데칸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펜타데카노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 포함되는 불포화 지방산은 구체적으로 탄소수가 12 내지 24개인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예를 들어, 팔미톨레인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알파-리놀레닉산(오메가 3) 및 감마 리놀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들은 피부의 주요성분인 지질을 이루고 있는 지방산이거나 또는 이와 매우 유사한 사슬의 길이와 형태를 가지고 있는 지방산들로서, 피부의 구성성분인 인지질과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포화지방산에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이 있다. 또한 피부의 구성성분과 유사한 불포화지방산에는 팔미톨레인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알파-리놀레닌산(오메가 3), 감마-리놀레닌산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 있어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을 각각 1 종류 이상을 사용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종류 및 혼합하는 수에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상기 지방산 혼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포화 지방산 :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 중량비는 2 : 8 내지 8 : 2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피부 투과율이 감소하거나, 피부 자극이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로서, 상기 SASCP : 지방산 혼합물의 혼합 중량비는 0.5 : 99.5 내지 20 : 8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방산은 머리가 카르복시기를 포함하고 있고 꼬리에는 직선의 탄화수소 사슬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들 스스로 수용액 속에서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지방산 혼합물은 피부의 구성성분과 유사한 이러한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이 특정한 혼합비로 혼합된 것이다. 상기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지방산 혼합물은 상기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elf-assembled surfactant cyclic peptides, SASCP)와 더불어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수소결합과 탄화수소 사슬에 의한 소수성 작용을 하여 보다 안정한 미세한 구조체를 형성하게 하도록 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 균일성을 증가시켜고 액상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이에 더하여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피부개선물질의 적용시 피부 투과를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elf-assembled surfactant cyclic peptides, SASCP)은 앞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머리에 해당하는 3~9개의 아미노산들과 꼬리에 해당하는 탄화수소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3~9개 정도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머리부분은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의 머리부분보다 2배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SASCP는 지방산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에 비해서 2배 이상 큰 구조체를 이룬다. 따라서 SASCP와 지방산 혼합물로 구성된 특정 혼합물은 분자 크기에 500달톤에서 10000달톤 범위에 이르는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SASCP에서의 이러한 2가지 종류의 상호작용 중 수소결합에 의한 상호작용이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콜라겐,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또는 500달톤 이상의 피부개선물질들과 더불어 일어날 경우 그 결과로 미세한 고리형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이루게 되며 결과적으로 이들 피부개선물질의 피부침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추가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SASCP 및 지방산 혼합물과 함께 피부에 투과되어 피부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상태개선물질"및/또는 "다이어트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개선"이란, 피부의 내재적 요인 또는 외인적인 요인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의 손상을 치료, 경감, 완화시키는 과정 또는 그의 효과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다이어트(체중감량 및 슬리밍)를 포함하여 노화 방지, 주름개선, 탄력 증진, 미백, 보습(수분 공급), 영양 공급, 아토피 개선, 각질 제거, 여드름과 같은 피부트러블의 완화 등일 수 있다. 따라서,"피부개선물질" 및/또는 다이어트물질" 이란 상기와 같은 피부개선 및/또는 다이어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개선물질은 바람직하게 500 달톤 내지 10000 달톤 범위에 이르는 거대분자의 피부개선물질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알부틴, 니아신아미드, 비타민 C, 비타민 B5, 비타민 E, 레티놀, 코엔자임큐텐, 아데노신,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키토산, 및 천연 추출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아사이 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유자, 알부민, 난황, 우유 단백질 및 캡사이신, 공액리놀리산, 카페인(caffeine),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 하이드록시시트르산, hydroxycitric acid), 피로피온산, 이눌린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기타 지방분해물질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에멀젼, 화장수, 에센스, 크림 등의 일반 화장료 조성물 외에도 노화 기능성 화장료, 미백 기능성 화장료 등 다양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크림, 화장수, 에멀젼, 에센스 등, 더욱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에멀젼, 영양크림, 아이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팩, 모발용 화장품류, 바디에멀젼,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클렌저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에멀젼 또는 에센스의 제형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는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일반적으로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료에 사용될 수 있는 성분,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방부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선호도에 따라 향료를 더욱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개선을 위해 포함되는 거대분자인 피부개선물질이 피부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피부투과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미용 효과 및 피부 트러블 개선에 필요한 활성 성분 등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탁월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ASCP와 지방산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의 HA-F 투과시험(실시예 1) 결과를 나타낸 형광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ASCP와 지방산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의 HA-F 투과시험(비교예 1) 결과를 나타낸 형광 사진이다.
도 3은 HA-Blank 투과시험(비교예 2) 결과를 나타낸 형광 사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피부개선물질의 형광물질을 이용한 피부침투시험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의 화장료 조성물 중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와 지방산 혼합물의 조합에 의한 피부에 유용한 피부개선물질의 피부침투를 증가하게 되는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히알루론산은 QP사에서 제공한 평균분자량이 5000달톤인 Hyalo-oligo를 사용하였고, 여기에 Incospharm사에서 형광물질을 라벨링하여 피부투과시험에 사용하였다.
피부투과시험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SASCP와 지방산 혼합물, 및 비교예를 하기 표 2 내지 표 4에 개시된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중 SASCP 및 지방산 혼합물은 11 : 89 의 혼합비로 제조되었으며, 지방산 혼합물 중의 포화지방산 :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비는 35 : 65 로 제조하였다.
포화지방산으로는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등을 사용하였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혼합비율은 아래 표 1과 같다.
성분 비율(중량%)
포화지방산 Myristic acid 1~10
Palmitic acid 20~30
Stearic acid 1~10
불포화지방산 Palmitoleic acid 1~10
Oleic acid 30~40
Linoleic acid 10~20
Linolenic acid 1~10
또한, Han's Biomed에서 구입한 Human Cadaver skin을 영하 75℃에 보관하며 사용직전에 자연 해동하여 사용하였고, pH 7.4 인산완충용액을 Diffusion Franz Cell에 채워서 사용하였고, 체온과 동일하게 37.5℃로 설정하였고, Diffusion Franz Cell의 윗면에 적정한 크기의 Human Cadaver skin을 올린 후 Franz cell의 덮게로 덮고 클램프로 고정한다. Human Cadaver skin 위에 시험하고자 하는 점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적재하고 뚜겅을 씌운 후 아래쪽 인산완충용액내의 기포를 깨끗하게 제거하고 50rpm의 일정한 속도로 저어주면서 투과시험을 시작하며 0.5h, 1h, 3h, 5h, 8h 경과 후에 각각 스킨 시료를 채취하였다. 각각 시료 채취 시간에 채취한 피부 조직은 abion사에서 전처리 하여 슬라이드로 샘플을 만들었고, 이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피부조직에 침투한 형광물질을 촬영하였다. 결과를 아래 도 1 내지 3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투과 시험(실시예 1)
성분 함량(중량%)
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2%
SASCP+지방산 혼합물 15%
Tween 60 2%
Propylene glycol 21%
Aquaxyl 10%
정제수 50%
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투과 시험(비교예 1)
성분 함량(중량%)
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2%
SASCP+지방산혼합물 15%
Tween 60 2%
Aquaxyl 14%
Space peptide 1%
정제수 66%
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Blank 투과시험(비교예 2)
성분 함량(중량%)
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2%
정제수 98%
형광물질의 피부투과시험 결과
조성 형광물질의 피부침투 깊이(um)
0.5h 1h 3h 5h 8h
HA-F 투과시험 (실시예 1) 6~14 12~14 15~22 15~18 17~27
HA-F 투과시험 (비교예 1) 7-14 14-18 17-30 19-30 24-30
HA-F Blank 투과시험 (비교예 2) 2-3 6-7 4-8 7-8 8-9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ASCP)와 지방산 혼합물의 조합(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투과시험, 실시예 1) 은 HA-F Blank 투과시험(비교예 2)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우수한 피부투과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이는 SASCP+지방산 혼합물을 함유한 조성이 히알루론산 등 분자량이 큰 물질을 피부를 투과를 증진시키는 정도가 Blank에 비해 200%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분자량이 큰 히알루론산 등과 같은 물질의 피부투과를 증진시킨다고 알려져 시판 중에 있는 Space peptide(CTX Technology 등)를 본 발명의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ASCP)와 지방산 혼합물을 함유한 조성과 비교하기 위하여, HA-F(히알루론산-형광물질) 투과시험, 실시예 1와 HA-F 투과시험 비교예 2를 비교한 결과,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와 비교예 1의 형광물질의 피부침투 깊이는 거의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SASCP와 지방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단독으로 사용시의 피부침투효과가, SASCP와 지방산 혼합물에 추가로 space peptide를 조합하여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도 실질적으로 피부 투과상 큰 차이가 없이 동등 유사한 수준의 피부침투효과를 나타내는바, 실질적으로 space peptide의 피부침투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space peptide의 피부침투효과에 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SASCP와 지방산 혼합물에 의한 피부침투효과가 훨씬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5의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피부침투 효과는 3시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갖는 에센스 제형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혼합하여 에센스 제형을 제조하였다. 표 6 중의 SASCP+지방산 혼합물은 실험예 1 및 표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에센스 제형의 조성
성분 함량(%)
HA 5.0%
SASCP+지방산혼합물 0.5%
Tween 60 2.0%
Aquaxyl 14.0%
정제수 64.15%
Xanthan gum 0.1%
Carbomer 0.3%
Ethanol 3.0%
1,3-Butylene glycol 5.0%
Glycerin 5.0%
Phenoxylethanol 0.2%
Sodium citrate 0.1%
EDTA-2Na 0.05%
Triethanolamine 0.3%
Oriental Wood 0.3%
상기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ASCP)와 지방산 혼합물을 함유한 에센스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와 지방산 혼합물도 에센스 제형에서 제형 안정화에 기여 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유효한 성분의 피부투과에도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Claims (15)

  1.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self-assembled surfactant cyclic peptides, SASCP) 및 지방산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자가 조립 계면활성 고리형 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것인, 피부개선물질의 피부 투과를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86319919-pat00005

    (상기 식에서, *는 광학 활성점을 나타내고, L-Leu는 L-류신(leucine), D-Leu는 D-류신(leucine), L-Val는 L-발린이고,
    X는 L-류신(leucine), L-이소루신 및 L-발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아미노산이고,
    R는 탄소수 9~13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지 알킬기로서,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는 아미노기, 하이드록실기, 아릴기, 알카노일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실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기이고,
    M는 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이며, 이때, 상기 알칼리 금속은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개선물질 및/또는 다이어트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물질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알부틴, 니아신아미드, 비타민 C, 비타민 B5, 비타민 E, 레티놀, 코엔자임큐텐, 아데노신, 엘라스틴, 키토산, 및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아사이 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유자, 알부민, 난황 및 우유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물질은 캡사이신, 공액리놀리산, 카페인(caffeine), 하이드록시시트르산(hydroxycitric acid, HCA), 피로피온산 및 이눌린 프로피온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에멀젼 또는 에센스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SCP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혼합물은 탄소수 10 내지 18의 포화지방산 및 탄소수 12 내지 24의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18의 포화지방산은 데칸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펜타데카노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2 내지 24의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인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알파-리놀레닉산(오메가 3) 및 감마 리놀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18의 포화지방산 : 탄소수 12 내지 24의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 중량비가 8:2 내지 2:8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SCP : 지방산 혼합물의 혼합 중량비가 0.5 : 99.5 내지 20 : 80 중량 비율로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물질 및/또는 다이어트물질은 500달톤 내지 10000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방부제, 향료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25038A 2017-02-24 2017-02-24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38A KR101786913B1 (ko) 2017-02-24 2017-02-24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CN201810158936.5A CN108498368B (zh) 2017-02-24 2018-02-26 用于增强皮肤状况改善物质的皮肤渗透性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38A KR101786913B1 (ko) 2017-02-24 2017-02-24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913B1 true KR101786913B1 (ko) 2017-10-17

Family

ID=6029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038A KR101786913B1 (ko) 2017-02-24 2017-02-24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6913B1 (ko)
CN (1) CN108498368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48A1 (ko) * 2018-07-06 2020-01-09 애니젠 주식회사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5383A (ko) * 2019-06-21 2020-12-30 (주) 바이텍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2294679A (zh) * 2020-11-04 2021-02-02 烟台硕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辅酶q10和螺旋藻的复合营养面霜的制备方法
KR102214602B1 (ko) * 2019-09-27 2021-02-09 신동혁 클렌징 워터용 화장료 조성물
CN115386095A (zh) * 2022-07-12 2022-11-25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促渗物、护肤品组合物以及化妆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9716A (zh) * 2019-07-03 2019-08-30 香港康美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具有养护功能的卸妆凝露及其制备方法
CN110638732B (zh) * 2019-10-30 2020-12-01 彭氏(惠州)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含粉水包油型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076145A (zh) * 2020-08-30 2020-12-15 荣鼎(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祛黑眼圈、眼袋功效类化妆品以及制备方法
KR102247777B1 (ko) *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29B1 (ko) * 2005-12-26 2007-03-28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지방산이 결합된 피부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051B1 (ko) * 2016-10-31 2018-02-13 주식회사 삼양사 점착력이 높고 두꺼운 하이드로겔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29B1 (ko) * 2005-12-26 2007-03-28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지방산이 결합된 피부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48A1 (ko) * 2018-07-06 2020-01-09 애니젠 주식회사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CN112367968A (zh) * 2018-07-06 2021-02-12 安医健有限公司 包含肽复合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去除或吸附微尘的化妆品组合物
KR20200145383A (ko) * 2019-06-21 2020-12-30 (주) 바이텍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86969B1 (ko) 2019-06-21 2021-08-06 (주) 바이텍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602B1 (ko) * 2019-09-27 2021-02-09 신동혁 클렌징 워터용 화장료 조성물
CN112294679A (zh) * 2020-11-04 2021-02-02 烟台硕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辅酶q10和螺旋藻的复合营养面霜的制备方法
CN115386095A (zh) * 2022-07-12 2022-11-25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促渗物、护肤品组合物以及化妆品
CN115386095B (zh) * 2022-07-12 2024-03-22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促渗物、护肤品组合物以及化妆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98368B (zh) 2019-10-01
CN108498368A (zh)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913B1 (ko)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EP0665000B1 (fr) Composition hydratante pour le traitement simultané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US9289367B2 (en) Cosmetic base comprising collagen-modified liposome and skin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JP2004131502A (ja) 高濃度のトリテルペノイドを含有する微小化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6118246A1 (ja) 経皮吸収促進剤
KR2013002391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0393300C (zh) 含有脂溶性维生素c和二棕榈羟基脯氨酸的纳米粒子及其化妆品组成物
KR20150077214A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2010B1 (ko)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5147137A1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KR102648442B1 (ko) 향상된 흡수력을 갖는 경피 흡수 마이셀 및 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 조성물
JP2004131401A (ja) 皮膚化粧料
KR101787556B1 (ko) 활성성분을 포집한 나노 플렉시블 베시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42613A (ja) 抗老化用皮膚外用剤及び抗老化用化粧料
JP6852261B2 (ja) アシル塩基性アミノ酸誘導体および生理活性物質を含むマルチラメラベシクル製剤
KR20090020407A (ko) 나노리포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노리포좀을함유한 화장품
WO2013081120A1 (ja) レシチンオルガノゲル形成剤
KR101598210B1 (ko) 보습 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투명한 젤상 가용화 조성물
JP2006151818A (ja) 皮膚化粧料
KR100858626B1 (ko) 세라마이드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5900906B2 (ja) 化粧料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KR102537208B1 (ko)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JP4246150B2 (ja) 皮膚化粧料組成物
KR102253457B1 (ko)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6983A (ko)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