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83A -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983A
KR20220166983A KR1020210075954A KR20210075954A KR20220166983A KR 20220166983 A KR20220166983 A KR 20220166983A KR 1020210075954 A KR1020210075954 A KR 1020210075954A KR 20210075954 A KR20210075954 A KR 20210075954A KR 20220166983 A KR20220166983 A KR 20220166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ilica
sustained
hollow
moisturizing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재
서원채
전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07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983A/ko
Publication of KR2022016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서방형 보습 복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방형 보습 복합체는 중공 및 상기 중공 내부와 외부를 통하게 하는 다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 중공형 실리카, 및 상기 중공형 실리카의 중공에 담지된 보습성분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피부에 무해하면서도 피부에 처리한 뒤에도 보습성분이 지속적으로 천천히 방출되어 건조한 환경 등 각종 유해 외부환경에서도 피부 보습력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어서 에센스, 로션, 파운데이션, 립스틱 등 각종 화장료 조성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Sustained release moisturizing composit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습 복합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보습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인체의 피부는 자외선이나 다양한 오염 및 공해물질이나, 온도 및 습도의 변화 등과 같은 외부환경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는 일차 배리어(barrier)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되며,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분류되고, 각질층은 외관상으로 드러나게 되는 최외곽층으로서 유해한 외부 환경에 대한 물리화학적 저항력을 나타내며 미용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고운 피부는 수분 보유량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피의 수분함량은 약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층에서는 약 10∼30%이며, 진피에서 공급된 수분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확산되어 외부로 소실된다.
각질층의 수분 보유 능력은 천연보습인자의 작용에 기인하는데, 나이가 들어가면서 이와 같은 물질의 합성이 저하되며, 이에 더해 최근에는 나이와 관계 없이 피부에 좋지 않은 외부 환경 자극에 노출되기 쉽고 각종 스트레스로 인해서 피부가 거칠어지고 노화가 더욱 촉진되고 있어서 피부 보습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각종 보습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이나, 팩 등의 제품이 많이 출시 되었고, 일부 화장품의 경우 우수한 보습 성능이 확인되나 피부에 바른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피부가 금방 건조해지는 등 보습성능의 유지가 어려우며, 특히 피부가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습 성능의 유지는 더욱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24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부에 처리한 뒤에도 보습성분이 지속적으로 천천히 방출되어 건조한 환경 등 각종 유해 외부환경에서도 피부 보습력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공 및 상기 중공 내부와 외부를 통하게 하는 다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 중공형 실리카, 및 상기 중공형 실리카 내 중공에 담지된 보습성분을 포함하는 서방형 보습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판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흡유량이 3.0 ~ 5.0cc/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중공률이 20 ~ 80%일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실리카는 두께가 100 ~ 300㎚이며, 장축의 길이가 300㎚ ~ 2㎛이고, 쉘의 두께는 10 ~ 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성분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중공형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 5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수용액 상태로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되어 액상의 성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수용액 상태로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된 후 건조되어 고상의 성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수용액 상태로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되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의 농도는 1 ~ 3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보습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보습 복합체는 피부에 무해하면서도 피부에 처리한 뒤에도 보습성분이 지속적으로 천천히 방출되어 건조한 환경 등 각종 유해 외부환경에서도 피부 보습력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어서 에센스, 로션, 파운데이션, 립스틱 등 각종 화장료 조성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중공형 실리카에 대한 SEM 사진으로써, 도 1a는 ×10,000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1b는 ×100,000 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방형 보습 복합체(도 1a에 따른 중공형 실리카에 1중량% 농도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이 담지)의 SEM 사진으로써, 도 2a는 ×10,000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2b는 ×100,000 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방형 보습 복합체(도 1a에 따른 중공형 실리카에 2.4중량% 농도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이 담지)의 SEM 사진으로써, 도 3a는 ×10,000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3b는 ×100,000 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방형 보습 복합체는 중공형 실리카 및 중공형 실리카 내부 중공에 담지된 보습성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중공 및 중공 내부와 외부를 통하게 하는 다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쉘로 이루어지며, 보습성분은 중공에 담지되고, 상기 유로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실리카 쉘에 다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나, 공지된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판상형 중공형 실리카 일 수 있다. 판상형의 중공형 실리카는 구형의 중공형 실리카에 대비해 피부 부착성 및 밀착력이 우수하고, 피부와 닿는 면적이 넓어서 장시간 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 담지된 보습성분을 피부에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형 중공형 실리카는 일 예로, 두께 대비 장축(입경)의 길이가 2 내지 5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실리카의 장축길이에 해당하는 입경은 100nm 이상, 다른 일 예로 300 내지 3,000nm,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2,000nm일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실리카의 두께는 10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또한, 쉘의 두께는 10nm 내지 100nm일 수 있다. 또한, 중공률은 20 내지 80%일 수 있고, 일 예로 40 ~ 6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 스펙을 가지는 중공형 실리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흡유량이 3.0 ~ 5.0cc/g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보다 많은 양의 보습성분을 담지할 수 있고, 보다 오랜시간 동안 보습성분을 방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높은 흡유량을 갖는 중공형 실리카는 판상형 중공형 실리카일 수 있으며 구형의 중공형 실리카에서는 이와 같은 높은 수준의 흡유량을 가지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흡유량은 ISO787/V-1968에 준거한 것으로, 중공형 실리카 1g에 유동 파라핀를 습윤 혼합해서 단단한 페이스트상으로 하는데 필요한 기름의 양(cc)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중공형 실리카의 중공에 담지되는 보습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보습성분은 피부 보습에 유용하다고 알려진 공지의 성분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성분은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계, PPG-10 메틸글루코오스, PPG-20 메틸글루코오스, 글리세레스-26, 메틸글루세스-10, 메틸글루세스-20 등과 같은 글루코오스 에스테르계, 및/또는 히알루론산염, 히알루론산 콘드로이친설페이트, 키토산 등의 생체 고분자물질, 베타인 등의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르본산염, 젖산염 등과 같은 천연보습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습성분은 히알루론산염에 해당하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분자량이 3000kDa 이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해성, 및 피부 보습막 형성성 또는 피부 침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중공형 실리카에 보다 용이하고 많은 양이 담지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서로 다른 분자량을 갖는 것들이 3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표피층에서 나아가 진피층까지 침투가 가능해 피부 깊숙히 위치하는 진피층까지 수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경우 각질층 외부에 보습막을 형성시켜서 침투하여 공급시킨 수분의 증발을 막고, 수분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수용액 상태로 담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은 농도가 1 ~ 3중량%일 수 있다. 만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의 농도가 3중량%를 초과하여 포함 시, 전량 용해가 되지 않거나, 점도가 커 중공형 실리카 중공에 침투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높아진 점도로 인해서 중공형 실리카 입자들의 뭉침이 심해지고 피부 상에서 건조 시 촉감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담지량도 적어질 수 있다. 또한, 만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1중량% 미만으로 포함 시 충분한 보습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담지 후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중공에서 방출되기 쉬어서 피부에 처리되기 전 중공에 잔류하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함량이 크게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피부 상에 처리 후 피부의 보습성분 흡수속도를 초과해 방출될 수 있어서 보습성분을 장시간 동안 충분한 양으로 피부 내로 침투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중공형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0.1 ~ 5 중량부가 되도록 수용액 상태로 혼합되어 서방형 보습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중공형 실리카에 최대한으로 보습성분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성분을 담지하면서도 피부에 처리되었을 때 촉촉한 촉감을 발현할 수 있고, 사용감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중공형 실리카 중량 대비 5 중량부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이 혼합될 시 중공형 실리카 입자들이 뭉쳐져 딱딱하고, 까끌까끌한 느낌을 발생시켜서 사용감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실리카 중량 대비 0.1 중량부 미만의 함량으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이 혼합될 시 피부에 공급되는 보습성분이 함량이 적을 수 있다.
상술한 서방형 보습 복합체는 (1) 중공 및 상기 중공 내부와 외부를 통하게 하는 다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 중공형 실리카 및 보습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중공형 실리카와 보습성분을 혼합한 후 교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 단계에서 중공형 실리카의 경우 중공 내부와 외부를 통하게 하는 다수 개으 유로가 형성된 쉘을 갖도록 제조되거나 상용화된 중공형 실리카는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권리자인 등록특허공보 제10-188296호, 공개특허공보 제2017-0096820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중공형 실리카 입자일 수 있으며, 이들 문헌은 본 발명의 참조로써 삽입된다.
또한, 보습성분은 상술한 보습성분들이 이들을 용해시키는데 적절한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용매는 에탄올 및/또는 정제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2) 단계로써 준비된 중공형 실리카와 보습성분을 혼합 후 교반시켜서 중공형 실리카 내부에 보습성분을 담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보습성분은 중공형 실리카의 쉘에 구비된 유로를 통해서 중공으로 침투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모세관 현상을 통해서 중공 내부에 담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중공형 실리카를 보습성분과 혼합 후 교반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교반은 통상적인 교반방법에 의할 수 있고, 일 예로 교반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교반속도는 80rpm ~ 350rpm일 수 있으며, 온도는 상온, 일 예로 20 ~ 25℃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2) 단계 후 구현된 보습 복합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된 보습성분을 고상화시킬 수 있다. 고상화된 상태로 보습 복합체를 구현 시 보습 복합체를 저장하거나 이를 원료로 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공정 상에서의 보습성분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서방형 보습 복합체는 유효성분으로써 구비되어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서방형 보습 복합체의 함량은 구현하고자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와 성능에 따라서 달라짐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화장료 조성물 중량 기준 0.1 ~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및 왁스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크림, 아이크림, 마사지크림과 같은 크림류, 팩류, 영양로션과 같은 로션류, 에센스류,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와 같은 화장수류, 파우더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 베이스류 등이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형 중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되어 상용 화될 수 있으며, 상기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 물에는 통상의 화장료 제조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마스크팩, 마스크시트, 바디로션, 유액, 프레스파우더, 립스틱,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당 분야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서방형 보습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크림, 에센스, 팩, 보디오일 등), 색조 화장품 조성물(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등), 두발 제품 조성물(헤어 에센스, 두피 에센스, 헤어젤 등)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 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화장품 용매, 점도감소제, 계면활성제,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더 포
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서방형 보습 복합체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형제로는 두 개의 수산기(OH)를 포함하는 알코올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류에는 1.2-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1.2-카프릴릴글라이콜 (1,2-octanediol),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1,3-부탄다이올(1.3-butanedio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화 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고급 알콜 등을 0.1 내지 5 중량%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 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인지질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소르비탄세스퀴놀리에이트, 폴리솔베이트 6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 이트/슈크로스코코에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에틸렌글라이콜-100 스테아레 이트, 세테아레스-6 올리베이트, 아라키딜알코올/베헤닐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 이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26-부테스-26/폴리에틸렌글라이콜-40 하이드로제네이 티드 캐스터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알콜로는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알코 올, 예컨대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상 성분은 수상의 점도 또는 경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카보머, 잔 탄검, 벤토나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검, 덱스트린 팔미테이 트 등과 같은 1종 이상의 점증제를 0.001 내지 5 중량%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고급 지방산, 비타 민 등의 약효 성분과 자외선 차단제, 산화 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 필, 엘리소르빈산, 토코페릴아세테이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등), 방부 제(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르페네신 등), 착색제, pH 조절제(트리에탄올아민, 씨트릭애씨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 윤활제 등의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중공 및 상기 중공 내부와 외부를 통하게 하는 다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 중공형 실리카; 및
    상기 중공형 실리카의 중공에 담지된 보습성분;을 포함하는 서방형 보습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판상형인 서방형 보습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흡유량이 3.0 ~ 5.0cc/g인 서방형 보습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중공률이 20 ~ 80%인 서방형 보습 복합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두께가 100 ~ 300㎚이며, 장축의 길이가 300㎚ ~ 2㎛이고, 쉘의 두께는 10 ~ 100㎚인 서방형 보습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성분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포함하는 서방형 보습 복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중공형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 5중량부 함유되는 서방형 보습 복합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수용액 상태로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되어 액상의 성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수용액 상태로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된 후 건조되어 고상의 성상으로 구비되는 서방형 보습 복합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수용액 상태로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되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의 농도는 1 ~ 3중량%인 서방형 보습 복합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방형 보습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75954A 2021-06-11 2021-06-11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6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54A KR20220166983A (ko) 2021-06-11 2021-06-11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54A KR20220166983A (ko) 2021-06-11 2021-06-11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83A true KR20220166983A (ko) 2022-12-20

Family

ID=8453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54A KR20220166983A (ko) 2021-06-11 2021-06-11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69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477A (ko)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477A (ko)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0385B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EP0968704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US6534071B1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cellulose fibrils, and its uses, especially cosmetic uses
JP3609834B2 (ja) 皮膚外用剤
US20100015187A1 (en) Macro-sized lipid capsule emulsion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06511259A (zh) 逆向温敏可逆水凝胶组合物
US5039516A (en) Sunscreen preparation
CN107108905A (zh) 水溶性超分子复合物
KR100530880B1 (ko) 나노사이즈의 인지질 리포좀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0327552A (ja) 皮膚外用剤
TW201208711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JP2012017318A (ja) 液晶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A2133513A1 (fr) Composition d'organopolysiloxane d'aspect gelifie, sans gelifiant, utilisable en cosmetique et dermatologie
JP2003128512A (ja) 化粧料用抗菌性組成物
JP5827079B2 (ja) 粉体含有皮膚外用剤
KR100305956B1 (ko) 고형미용조성물및그의용도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47137A1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JPH04338311A (ja) 保湿剤
NZ245628A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fatty acid diester of 2,3-butanediol as viscosity agent and emollient
KR20220166983A (ko) 서방형 보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046421A (ja) 皮膚外用剤
KR102034142B1 (ko) 폴리실세스퀴옥산과 에몰리언트를 함유한 피부보습과 주름완화에 효과적인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0356196A2 (en) Cosmetic preparation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