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743B1 -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743B1
KR101786743B1 KR1020170054571A KR20170054571A KR101786743B1 KR 101786743 B1 KR101786743 B1 KR 101786743B1 KR 1020170054571 A KR1020170054571 A KR 1020170054571A KR 20170054571 A KR20170054571 A KR 20170054571A KR 101786743 B1 KR101786743 B1 KR 10178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pump
control unit
unit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비
Priority to KR102017005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이상 발생 시 비상 컨트롤 유닛를 통해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은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탱크, 탱크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부, 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 펌프를 포함하며, 센서부에 측정된 수위에 따라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펌프부, 복수의 배출 펌프와 각각 연결된 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며, 펌프부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의 배출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오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부,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에 따라 단계별로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되, 구동된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개방시키고, 구동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차단시키는 메인 컨트롤 유닛, 메인 컨트롤 유닛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이 이상이 있는 경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이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개수만큼 복수의 배출 펌프를 구동시키는 비상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Emergency operation system of pump}
본 발명은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에서 이상 발생 시 비상 컨트롤 유닛를 통해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계 펌프장은 관로가 길 경우 관거의 매설 깊이가 깊어져 비경제적으로 되는 경우 유입구역의 오폐수를 다음의 펌프장 또는 처리장으로 수송하는 목적을 가진 펌프장이다.
이러한 중계 펌프장은 오폐수를 저장하는 탱크와,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수위 센서와 연동하여 탱크의 오폐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펌프와,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수위 센서를 통해 탱크의 수위에 따라 단계별로 펌프의 동작 개수를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부를 구성하는 CPU 등 주요 부품이 예기치 못한 고장 또는 이상 발생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탱크의 오폐수가 넘쳐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중계 펌프장은 복수의 펌프에 각각 연결된 파이프에 의해 오폐수가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펌프를 통해 배출되는 오폐수는 각각의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게 되지만 최종적으로는 하나의 파이프를 통해 오폐수가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계 펌프장은 단계별로 펌프가 동작할 경우, 동작하는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가 동작되지 않는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9984호(2012.02.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 되는 경우, 탱크의 오폐수가 넘쳐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가 동작되지 않는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은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 측정된 수위에 따라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펌프부, 상기 복수의 배출 펌프와 각각 연결된 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의 배출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오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상기 수위 값에 따라 단계별로 상기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되, 구동된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개방시키고, 구동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차단시키는 메인 컨트롤 유닛,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이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개수만큼 복수의 배출 펌프를 구동시키는 비상 컨트롤 유닛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메인 수위 센서, 상기 메인 수위 센서의 이상 감지시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보조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 또는 상기 비상 컨트롤 유닛는 상기 메인 수위 센서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 수위 센서가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보조 수위 센서로부터 수위 값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실시간 수위 값을 전달받고, 실시간 전달받은 수위 값을 통해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속하는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속도 값에 따라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 컨트롤 유닛은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이상이 감지되면, 경보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은 메인 컨트롤 유닛에 이상이 있는 경우, 센서부로부터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배출 펌프를 구동시키는 비상 컨트롤 유닛을 구비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에 이상이 발생 되는 경우 탱크의 오폐수가 넘쳐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은 메인 컨트롤 유닛이 수위 값에 따라 단계별로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되, 구동된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개방시키고, 구동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차단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오폐수가 동작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은 메인 컨트롤 유닛이 센서부로부터 실시간 수위 값을 전달받고, 실시간 전달받은 수위 값을 통해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소하는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속도 값을 통해 펌프부를 유동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배출 펌프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서 메인 컨트롤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서 비상 컨트롤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100)은 관로가 길 경우 관거의 매설 깊이가 깊어져 비경제적으로 되는 경우 유입 구역의 오폐수를 임시로 저장하여 다음의 펌프장 또는 처리장으로 수송하는 중계 펌프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100)은 탱크(10), 센서부(20), 펌프부(30), 밸브부(40), 메인 컨트롤 유닛(50) 및 비상 컨트롤 유닛(60)을 포함한다.
탱크(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한다. 여기서 탱크(10)는 태풍, 홍수 등에 의해 범람 및 침수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100) 내에 지반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10)는 오폐수 유입부(11)를 통해 오폐수가 유입되어, 오폐수를 저장할 수 있다.
센서부(20)는 탱크(10) 내부에 마련되어 탱크(10)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0)는 메인 수위 센서(21) 및 보조 수위 센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수위 센서(21)는 탱크(10) 내부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게 되는데, 오폐수의 수위를 단계별로 측정할 수 있다. 예컨데 메인 수위 센서(21)는 수위에 따라 1단계, 2단계 및 3단계로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 값을 메인 컨트롤 유닛(50) 또는 비상 컨트롤 유닛(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데 메인 수위 센서(21)는 전기 전도식 수위 검지기, 정전 용량식 수위 검지기, 차업 전송기, 후로트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수위 센서(22)는 메인 수위 센서(21)의 이상 발생 시 탱크(10) 내부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보조로 측정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50) 또는 비상 컨트롤 유닛(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수위 센서(22)는 메인 수위 센서(21)와 동일한 종류의 수위 측정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펌프부(30)는 탱크(10)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 펌프를 포함하며, 센서부(20)에 측정된 수위 값에 따라 오폐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예컨데 복수의 배출 펌프는 원심 펌프, 왕복 펌프, 회전 펌프 및 스크류 펌프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부(30)는 메인 컨트롤 유닛(50)에 의해 동작되는 배출 펌프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데 펌프부(30)는 제1 배출 펌프(31) 및 제2 배출 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부(30)는 제1 및 제2 배출 펌프(31, 32)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복수의 배출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출 펌프(31)는 밸브부(40)의 제1 밸브(41)가 구비된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동작 되면 제1 밸브(41)가 구비된 파이프를 통해 오폐수를 배출할 수 있다.
제2 배출 펌프(32)는 밸브부(40)의 제2 밸브(42)가 구비된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동작 되면 제2 밸브(42)가 구비된 파이프를 통해 오폐수를 배출할 수 있다.
밸브부(40)는 복수의 배출 펌프와 각각 연결된 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며, 펌프부(30)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의 배출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오폐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데 밸브부(40)는 제1 밸브(41) 및 제2 밸브(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40)는 제1 및 제2 밸브(41, 42)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펌프부(30)의 배출 펌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41)는 펌프부(30)의 제1 배출 펌프(31)와 연결된 파이프의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밸브(41)는 제1 배출 펌프(31)가 동작하게 되면 개방되어 제1 배출 펌프(31)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밸브(42)는 펌프부(30)의 제2 배출 펌프(32)와 연결된 파이프의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밸브(42)는 제2 배출 펌프(32)가 동작하게 되면 개방되어 제2 배출 펌프(32)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센서부(20), 펌프부(30) 및 밸브부(40)와 연결되어, 센서부(20)로부터 수위 값을 전달받고, 펌프부(30) 및 밸브부(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센서부(20)로부터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에 따라 단계별로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되, 구동된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개방시키고, 구동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센서부(20)로부터 실시간 수위 값을 전달받고, 실시간 전달받은 수위 값을 통해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소하는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연산 된 속도 값에 따라 구동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메인 수위 센서(21)의 이상 감지시 보조 수위 센서(22)를 동작시키고, 보조 수위 센서(22)를 통해 탱크(10)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비상 컨트롤 유닛(60)은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50)에 이상이 있는 경우 센서부(20)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이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개수만큼 복수의 배출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비상 컨트롤 유닛(60)은 메인 컨트롤 유닛(50)과 같이 복합 연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되지 않고, 기 설정된 수위 값에 따라 펌프부(3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저렴하고 안정적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100)은 메인 컨트롤 유닛(50)에 이상이 있는 경우, 센서부(20)로부터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배출 펌프를 구동시키는 비상 컨트롤 유닛(60)을 구비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50)에 이상이 발생 되는 경우 탱크(10)의 오폐수가 넘쳐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100)은 메인 컨트롤 유닛(50)이 수위 값에 따라 단계별로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되, 구동된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개방시키고, 구동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차단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오폐수가 동작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100)은 메인 컨트롤 유닛(50)이 센서부(20)로부터 실시간 수위 값을 전달받고, 실시간 전달받은 수위 값을 통해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소하는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속도 값을 통해 펌프부(30)를 유동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배출 펌프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 유닛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서 메인 컨트롤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메인 통신부(51), 입력부(52), 표시부(53), 메인 저장부(54) 및 메인 제어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통신부(51)는 센서부(20), 펌프부(30) 및 밸브부(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통신부(51)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을 통해 센서부(20), 펌프부(30) 및 밸브부(40)와 연결되거나,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통신부(51)는 센서부(20)로부터 수위 값을 전달받고, 원격에서 펌프부(30) 및 밸브부(4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5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 설정 및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메인 제어부(55)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52)는 펌프부(30) 및 밸브부(40)를 수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5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 있다.
표시부(53)는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3)는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데 표시부(53)는 구동되고 있는 배출 펌프의 숫자, 밸브의 숫자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펌프부(30)를 촬영한 촬영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저장부(54)는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과, 수위 값 또는 수위 증가 속도에 따라 펌프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설정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55)는 메인 통신부(51)를 통해 센서부(20)로부터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에 따라 단계별로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되, 구동된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개방시키고, 구동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제어부(55) 연산 모듈(55a) 및 메인 구동 모듈(55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산 모듈(55a)은 메인 통신부(51)를 통해 실시간 전달받은 수위 값을 통해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소하는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 모듈(55a)은 연산 된 속도 값에 따라 구동 펌프의 구동 개수를 연산할 수 있다.
메인 구동 모듈(55b)은 연산 모듈(55a)에 의해 연산된 구동 펌프의 구동 개수에 따라 펌프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20)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가 1단계, 2단계 및 3단계로 설정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50)이 1단계에서는 제1 배출 펌프(31)와 제2 배출 펌프(32)를 가동시키지 않고, 2단계에서 제1 배출 펌프(31)를 가동시키고, 3단계에서 제1 배출 펌프(31)와 제2 배출 펌프(32)를 모두 가동시킨다고 가정한다. 센서부(20)에 측정된 수위가 2단계일 경우, 제2 배출 펌프(32)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2단계를 초과하게 되면 제2 배출 펌프(32)가 동작하게 되고, 제2 배출 펌프(32)에 따라 2단계 이하가 되면 제2 배출 펌프(32)의 동작이 멈추게 되는데,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가 낮을 경우, 제2 배출 펌프(32)는 빠른 시간 안에 구동과 정지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배출 펌프(32)의 구동과 정지를 반속 수행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다량 발생 되게 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연산 모듈(55a)을 통해 실시간 전달받은 수위 값을 통해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소하는 속도를 연산하며, 수위가 2단계를 초과하더라도,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가 낮을 경우 제2 배출 펌프(32)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컨트롤 유닛(50)은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소하는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속도 값을 통해 펌프부(30)를 유동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배출 펌프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컨트로 유닛(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에서 비상 컨트롤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컨트롤 유닛(60)은 비상 통신부(61), 비상 저장부(62) 및 비상 제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통신부(61)는 센서부(20), 펌프부(30), 밸브부(40) 및 메인 컨트롤 유닛(50)과 유선 통신방식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통신부(61)는 비상 제어부(63)의 제어하에 관리자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용 단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및 넷북(Net book) 등이 될 수 있다.
비상 저장부(62)는 비상 컨트롤 유닛(6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과, 수위 값에 따라 펌프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설정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비상 제어부(63)는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50)에 이상이 있는 경우 센서부(20)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이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개수만큼 복수의 배출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비상 제어부(63)는 이상 감지 모듈(63a) 및 비상 구동 모듈(6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감지 모듈(63a)은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고장이 발생되거나, 메인 컨트롤 유닛(50)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등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데 이상 감지 모듈(63a)은 배출 펌프가 동작하고 있는데, 동작하고 있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가 동작하지 않거나, 수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펌프가 동작하지 않거나, 메인 컨트롤 유닛(50)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등을 근거로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이상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비상 구동 모듈(63b)은 이상 감지 모듈(63a)에 의해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이상이 감지되면, 비상 저장부(62)에 저장된 기 설정된 값에 따라 펌프부(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데 비상 구동 모듈(63b)은 메인 컨트롤 유닛(50)의 이상이 감지되면, 센서부(20)로부터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펌프부(30)의 배출 펌프를 모두 구동시키고, 수위 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펌프부(30)의 배출 펌프를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비상 컨트롤 유닛(60)은 메인 컨트롤 유닛(50)과 같이 복합 연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되지 않고, 기 설정된 수위 값에 따라 펌프부(3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저렴하고 안정적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탱크 11 : 오폐수 유입부
20 : 센서부 21 : 메인 수위 센서
22 : 보조 수위 센서 30 : 펌프부
31 : 제1 배출 펌프 32 : 제2 배출 펌프
40 : 밸브부 41 : 제1 밸브
42 : 제2 밸브 50 : 메인 컨트롤 유닛
51 : 메인 통신부 52 : 입력부
53 : 표시부 54 : 메인 저장부
55 : 메인 제어부 55a : 연산 모듈
55b : 메인 구동 모듈 60 : 비상 컨트롤 유닛
61 : 비상 통신부 62 : 비상 저장부
63 : 비상 제어부 63a : 이상 감지 모듈
63b : 비상 구동 모듈 100 :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Claims (5)

  1.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 측정된 수위에 따라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펌프부;
    상기 복수의 배출 펌프와 각각 연결된 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의 배출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오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상기 수위 값에 따라 단계별로 상기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되, 구동된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개방시키고, 구동되지 않는 배출 펌프와 매칭되는 밸브를 차단시키는 메인 컨트롤 유닛;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이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오폐수의 수위 값을 전달받고, 수위 값이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개수만큼 복수의 배출 펌프를 구동시키는 비상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메인 수위 센서;
    상기 메인 수위 센서의 이상 감지시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보조 수위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비상 운전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 또는 상기 비상 컨트롤 유닛는 상기 메인 수위 센서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 수위 센서가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보조 수위 센서로부터 수위 값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실시간 수위 값을 전달받고, 실시간 전달받은 수위 값을 통해 수위가 증가하는 속도 또는 수위가 감속하는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속도 값에 따라 복수의 배출 펌프의 구동 개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컨트롤 유닛은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이상이 감지되면, 경보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KR1020170054571A 2017-04-27 2017-04-27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KR10178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71A KR101786743B1 (ko) 2017-04-27 2017-04-27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71A KR101786743B1 (ko) 2017-04-27 2017-04-27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743B1 true KR101786743B1 (ko) 2017-10-18

Family

ID=6029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571A KR101786743B1 (ko) 2017-04-27 2017-04-27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539A (ko) * 2021-08-05 2023-02-14 엄재풍 홍수 피해방지와 저장된 물의 농업, 산업용으로 재사용하는 공중 댐 시스템
KR102636373B1 (ko) * 2022-12-01 2024-02-14 주식회사 에스지이노베이션 유송사고 방지형 계측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94B1 (ko) * 2012-08-21 2012-11-05 주식회사 조은펌프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94B1 (ko) * 2012-08-21 2012-11-05 주식회사 조은펌프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539A (ko) * 2021-08-05 2023-02-14 엄재풍 홍수 피해방지와 저장된 물의 농업, 산업용으로 재사용하는 공중 댐 시스템
KR102558047B1 (ko) 2021-08-05 2023-07-25 엄재풍 홍수 피해방지와 저장된 물의 농업, 산업용으로 재사용하는 공중 댐 시스템
KR102636373B1 (ko) * 2022-12-01 2024-02-14 주식회사 에스지이노베이션 유송사고 방지형 계측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743B1 (ko) 펌프의 비상 운전 시스템
EP2829439A1 (en) Mixer drum drive device
EP3269405A2 (en) System for purging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KR20200031777A (ko)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JP2015034513A (ja) 異常検出装置、汚水搬送ポンプ装置及び監視装置
JP6967864B2 (ja) ポンプ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排水システム
KR102440215B1 (ko) 비상기동 기능이 구비된 배수펌프 제어시스템
US81389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a leak in connection with a flow inhibitor
CN103277117B (zh) 混凝土喷射机械手加入添加剂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
KR100781711B1 (ko) 검출회로부를 구비한 수충격 방지장치
JP5094156B2 (ja) 給水装置
CN113167060A (zh) 使用入口压力的系统状态检测
CN215597799U (zh) 热水器及其漏水检测装置
JP2008186266A (ja) 排水機場の運転制御装置
JPH10231781A (ja) 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におけるポンプの運転制御方法
JP2008101556A (ja) ポンプ
JPH10259622A (ja) 水道直結給水システム
KR200453577Y1 (ko) 선박의 빌지 처리장치
KR102278489B1 (ko) 모드운전 기능이 구비된 펌프 게이트 시스템
JP2014222038A (ja) ポンプ設備
JP2014005963A (ja) ドレン回収システム
KR102669408B1 (ko) 고장 예측 및 진단 기능이 구비된 재난대응 배수시스템
CN213870112U (zh) 一种集成式水轮机调速装置
CN207228218U (zh) 楼层节水系统
KR102198263B1 (ko) 펌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