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255B1 - Hot rolling downcoi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ot rolling downcoi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6255B1 KR101786255B1 KR1020150184277A KR20150184277A KR101786255B1 KR 101786255 B1 KR101786255 B1 KR 101786255B1 KR 1020150184277 A KR1020150184277 A KR 1020150184277A KR 20150184277 A KR20150184277 A KR 20150184277A KR 101786255 B1 KR101786255 B1 KR 1017862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andrel
- strip
- mode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6—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with loaded rollers, bolts, or equivalent means holding the material on the reel or dr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6—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with loaded rollers, bolts, or equivalent means holding the material on the reel or drum
- B21C47/063—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with loaded rollers, bolts, or equivalent means holding the material on the reel or drum with pressure rolle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는, 스트립을 감는 맨드릴과, 스트립이 맨드릴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맨드릴 상에 배치되는 유닛롤과,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유닛롤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와, 스트립의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선택하여 유닛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어 모드는 위치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갭을 제어하고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drel wound around a strip, a unit roll disposed on the mandrel so that the strip passes between the mandrel, a pressure measurement for measuring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roll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based on the state of the strip,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es a measurement result of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 first mod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sult of measurement by the pressure measurement unit and the first mode in which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is controll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measurement unit, And a second mod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연다운코일러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rolled down coil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열연다운코일러는 스트립(strip)을 롤 형태로 감아서 최종 열연제품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상기 열연다운코일러는 스트립의 코일링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히 제어될 필요가 있다.Generally, a hot rolled down coiler is a facility for producing a final hot rolled product by winding a strip in roll form. The hot rolled down coiler needs to be properly controlled so as not to cause a failure in the coiling process of the strip.
종래에는 코일링되는 스트립의 상태와 무관하게 열연다운코일러가 제어되어왔다. 그러나, 스트립의 상태에 따라 열연다운코일러의 제어 범위를 벗어나는 동작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립의 코일링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되고 최종 열연제품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hot-rolled down coil has been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coil being coiled. However,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trip, an operation out of the control range of the hot rolled down coil may be caused. As a result, a failure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iling the strip and a failure may occur in the final hot rolled produ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코일링되는 스트립의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열연다운코일러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rolled down coiler capable of taking into account the state of the strip to be coiled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는, 스트립을 감는 맨드릴; 상기 스트립이 상기 맨드릴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맨드릴 상에 배치되는 유닛롤;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상기 유닛롤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및 상기 스트립의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선택하여 상기 유닛롤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상기 위치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갭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drel winding a strip; A unit roll disposed on the mandrel such that the strip passes between the mandrel; A press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unit rol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roll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based on the state of the strip;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controls the gap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and controls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measurement unit And a second mode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measurement unit.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동작하고 상기 주기 중 일부 동안에 상기 위치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의 위치를 제어를 수행하고 나머지 동안에 상기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는 압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perating in the first mode, the control unit repeatedly performs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sition measuring unit during a part of the period, The pressure control unit may perform pressure contro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measurement unit.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어부는 전체 시간 동안에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이 되도록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essure so that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ecomes a predetermined pressure for the entire time.
예를 들어, 상기 열연다운코일러는 상기 스트립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스트립의 인입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입 속도가 소정의 속도보다 빠를 경우에 제어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t-rolled down coiler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strip is pulled in and detecting a feed-in speed of the strip, and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control mode to a low- It is possible to change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의 파단 여부를 입력받고,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failure of the strip, operate in the first mode when no break occurs in the strip, and may operat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strip is broken hav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입력받은 이후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한다고 입력받은 이후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보다 길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 of time from when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the second mode to when it is input that the break does not occur in the strip, until the control mode is changed to the first mode, And may be longer than a time length from when the strip is operated to when the break occurs to when the control mode is changed to the second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 제어 방법은, 원형의 맨드릴과, 상기 맨드릴을 둘러싸서 상기 맨드릴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복수의 유닛롤을 포함하여 스트립을 감는 열연다운코일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닛롤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파단이 상기 스트립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맨드릴과 상기 복수의 유닛롤간의 압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파단이 상기 스트립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맨드릴과 상기 복수의 유닛롤간의 압력 제어와 상기 맨드릴과 상기 복수의 유닛롤간의 갭 제어를 교번하면서 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mandrel and a plurality of unit rolls that gradually surround the mandrel and gradually move away from the mandrel, Measuring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andrel and the plurality of unit rolls when a break occurs in the strip; And alternating the pressure control between the mandrel and the plurality of unit rolls and the gap control between the mandrel and the plurality of unit rolls if the rupture does not occur in the strip; . ≪ / RTI >
예를 들어, 상기 맨드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스트립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립의 파단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detecting whether the strip is pulled in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ndrel; And detecting whether the strip is broken or not;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의 코일링 과정에서의 장애를 줄일 수 있고 최종 열연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ouble in the coiling process of the strip and to reduce the defect of the final hot rolled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제어 모드에 따른 유닛롤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osition of a unit roll according to a control mode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는, 맨드릴(110), 유닛롤(120), 검출부(130), 압력 측정부(140), 위치 측정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1, 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맨드릴(mandrel, 110)은, 스트립(200)을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맨드릴(110)은 원 형태를 가지고 자전함으로써 스트립(200)을 감을 수 있다.The
유닛롤(120)은, 스트립(200)이 맨드릴(110)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맨드릴(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닛롤(120)은 스트립(200)과 맨드릴(110)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 스트립(200)을 누름으로써, 스트립(200)의 코일링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The
스트립(200)이 코일링됨에 따라 코일링된 스트립(200)의 반경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닛롤(120)은 맨드릴(110)을 둘러싸서 맨드릴(110)로부터 점차 멀어질 수 있다.As the
한편, 상기 유닛롤(120)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롤(120)은 스트립(200)의 인입 전에 맨드릴(110)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거리는 스트립(200)의 두께보다 약간 긴 거리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검출부(130)는, 스트립(200)의 인입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스트립(200)의 인입 여부에 따라 유닛롤(120)에 의한 코일링 과정의 제어가 진행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130)는 레이저 센서와 같은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스트립(200)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을 때 스트립(200)이 인입된다고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cting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130)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스트립(200)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클 때 스트립(200)이 인입된다고 검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etecting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130)는 맨드릴(110)이나 스트립(200)을 이송시키는 핀치롤(미도시) 등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보다 클 때 스트립(200)이 인입된다고 검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부(130)는 스트립(200)의 인입 속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etecting
스트립(200)에 파단이 존재할 경우, 스트립의 인입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부(130)가 스트립(200)의 인입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스트립(200)의 파단 여부도 검출될 수 있다.If there is a break in the
압력 측정부(140)는, 유닛롤(120)과 맨드릴(110) 사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측정부(140)는 유압계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위치 측정부(150)는, 유닛롤(1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측정부(150)는 레이저 센서와 같은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맨드릴(110)과 유닛롤(1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제어부(160)는, 스트립(200)의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여 유닛롤(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맨드릴(110)과 유닛롤(120) 사이의 갭 제어를 위해 유닛롤(120)을 들어올려 제어할 수 있고, 맨드릴(110)과 유닛롤(120) 사이의 압력 제어를 위해 유닛롤(120)에 특정 힘을 가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위치 측정부(150)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120)과 맨드릴(110) 사이의 갭을 제어하고 압력 측정부(140)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120)과 맨드릴(110)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압력 측정부(140)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120)과 맨드릴(110)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모드는 갭 제어와 압력 제어가 모두 수행되는 제어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갭 제어와 압력 제어 중에 압력 제어만 수행되는 제어 모드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controls the gap between th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스트립(200)의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맨드릴(110)이 스트립(200)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감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만약 상기 제어부(160)가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스트립(200)의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 스트립(200)은 정상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맨드릴(110)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는 스트립(200)의 인입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립(200)이 맨드릴(110)의 특정 위치에 쌓이게 되는 이른바 아코디언과 같은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state of the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스트립(200)의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 비해 스트립(200)의 의도치 않은 인입 속도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제2 모드로 동작할 때 스트립(200)이 정상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진입하더라도 유닛롤(120)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검출부(130)의 속도 측정값으로부터 스트립(200)의 파단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작업자의 버튼 입력 여부를 전달받아서 스트립(200)의 파단 여부를 인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제어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가 제2 모드로 동작하다가 스트립(200)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입력받은 이후부터 제1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어부(160)가 제1 모드로 동작하다가 스트립(200)에 파단이 발생한다고 입력받은 이후부터 제2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검출부(130)로부터 측정된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time length from when the
즉 스트립(200)이 여러 조각으로 파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60)는 스트립(200)의 조각들이 충분히 통과한 후에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제어 모드에 따른 유닛롤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osition of a unit roll according to a control mode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스트립의 코일링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유닛롤의 위치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coiling time of the strip,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가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유닛롤의 위치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맨드릴과 유닛롤 사이의 갭 제어 과정에서 유닛롤의 위치는 상승할 수 있으며, 맨드릴과 유닛롤 사이의 압력 제어를 위해 유닛롤의 위치는 일시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는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퀵 오프닝 컨트롤(Quick Opening Control)을 통해 빠르게 갭을 오픈하면서 스트립을 감을 수 있다.When the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first mode,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can be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Here, in the gap control process between the mandrel and the unit roll,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can be raised, and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can be temporarily lowered for the pressure control between the mandrel and the unit roll. That is, the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open the gap through the quick opening control when the first mode is op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가 제2 모드로 동작할 때, 유닛롤의 위치는 단계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는 제2 모드로 동작할 때 맨드릴과 유닛롤 사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유닛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유닛롤의 위치는 스트립이 감겨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승할 수 있다.When the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second mode,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can be stepped up. That is, the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unit roll to maintain the pressure between the mandrel and the unit roll at a predetermined pressure 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Here,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can rise naturally as the strip is woun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열연다운코일러 제어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열연다운코일러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hot-rolled down coiler control method can be performed in the hot-rolled down coil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tents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not be described redundant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연다운코일러 제어 방법은,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S10), 유닛롤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S20), 스트립에 파단이 존재할 경우 맨드릴과 유닛롤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단계(S30) 및 스트립에 파단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맨드릴과 유닛롤 사이 압력을 제어하고 유닛롤 위치도 제어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t-rolled down c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of measuring a pressure between a unit roll and a mandrel (S10), measuring a position of a unit roll (S20) (S30) of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andrel and the unit roll in the presence of a fracture, and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andrel and the unit roll and also controlling the unit roll position when no rupture is present in the strip have.
이에 따라, 스트립의 코일링 과정에서의 장애가 줄어들 수 있고 최종 열연제품의 불량도 줄어들 수 있다.As a result, the obstacle in the process of coiling the strip can be reduced and the defects of the final hot rolled product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self-evident.
110: 맨드릴
120: 유닛롤
130: 검출부
140: 압력 측정부
150: 위치 측정부
160: 제어부
200: 스트립110: mandrel
120: unit roll
130:
140: pressure measuring unit
150:
160:
200: Strip
Claims (8)
상기 스트립이 상기 맨드릴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맨드릴 상에 배치되는 유닛롤;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상기 유닛롤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및
상기 스트립의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선택하여 상기 유닛롤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상기 위치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갭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열연다운코일러.
A mandrel winding a strip;
A unit roll disposed on the mandrel such that the strip passes between the mandrel;
A press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unit roll;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based on the state of the strip and controlling the unit roll; Lt; / RTI >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controls a gap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d controls a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measuring unit Mode and a second mode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measurement unit.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동작하고 상기 주기 중 일부 동안에 상기 위치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유닛롤의 위치를 제어를 수행하고 나머지 동안에 상기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는 압력 제어를 수행하는 열연다운코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peatedly performs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sition measuring unit during a part of the period, A hot-rolling down coil for performing pressure control based on the result of the negative measurement.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어부는 전체 시간 동안에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이 되도록 압력을 제어하는 열연다운코일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ressure so that the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becomes a predetermined pressure for the entire time.
상기 스트립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스트립의 인입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입 속도가 소정의 속도보다 빠를 경우에 제어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변경하는 열연다운코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trip is pulled in and detecting a pulling-in speed of the strip,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control mode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when the pull-in speed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의 파단 여부를 입력받고,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열연다운코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operates in the first mode when the strip is not broken and operates in the second mode when the strip is broken.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입력받은 이후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스트립에 파단이 발생한다고 입력받은 이후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보다 긴 열연다운코일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ength of time from when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the second mode to when the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the first mode to the first mode after the input of the failure that the strip is not generated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in the first mode, Down coil is longer than a time length from when a break occurs in the first mode to when the control mode is changed to the second mode.
상기 유닛롤과 상기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닛롤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파단이 상기 스트립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맨드릴과 상기 복수의 유닛롤간의 압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파단이 상기 스트립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맨드릴과 상기 복수의 유닛롤간의 압력 제어와 상기 맨드릴과 상기 복수의 유닛롤간의 갭 제어를 교번하면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열연다운코일러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hot-rolled down coiler comprising a circular mandrel and a plurality of unit rolls surrounding the mandrel and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e mandrel,
Measuring a pressure between the unit roll and the mandrel;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andrel and the plurality of unit rolls when a break occurs in the strip; And
Alternating the pressure control between the mandrel and the plurality of unit rolls and the gap control between the mandrel and the plurality of unit rolls when the rupture does not occur in the strip; Down coils.
상기 맨드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스트립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립의 파단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열연다운코일러의 제어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Detecting whether the strip is pulled i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ndr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tecting whether the strip is broken or no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4277A KR101786255B1 (en) | 2015-12-22 | 2015-12-22 | Hot rolling downcoi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4277A KR101786255B1 (en) | 2015-12-22 | 2015-12-22 | Hot rolling downcoi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5133A KR20170075133A (en) | 2017-07-03 |
KR101786255B1 true KR101786255B1 (en) | 2017-10-18 |
Family
ID=5935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4277A Active KR101786255B1 (en) | 2015-12-22 | 2015-12-22 | Hot rolling downcoi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625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930B1 (en) | 2019-08-02 | 2020-02-11 | 전갑열 | Optimization system for hydraulic control facility diagnosis and its operationn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071Y1 (en) | 1995-12-29 | 1999-12-15 | 이구택 | Hydraulic circuit for emergency interval adjustment of unit |
KR100340492B1 (en) | 1997-05-27 | 2002-11-23 | 주식회사 포스코 | Diagnosis Device and Method for Quick Open Control in Hot Rolled Coiler |
KR101399866B1 (en) | 2013-03-28 | 2014-05-2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Quick open control apparatus of coiler and method thereof |
KR101477104B1 (en) | 2013-10-30 | 2014-12-29 | 현대제철 주식회사 | Winding apparatus for rolling coil |
-
2015
- 2015-12-22 KR KR1020150184277A patent/KR1017862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071Y1 (en) | 1995-12-29 | 1999-12-15 | 이구택 | Hydraulic circuit for emergency interval adjustment of unit |
KR100340492B1 (en) | 1997-05-27 | 2002-11-23 | 주식회사 포스코 | Diagnosis Device and Method for Quick Open Control in Hot Rolled Coiler |
KR101399866B1 (en) | 2013-03-28 | 2014-05-2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Quick open control apparatus of coiler and method thereof |
KR101477104B1 (en) | 2013-10-30 | 2014-12-29 | 현대제철 주식회사 | Winding apparatus for rolling coi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930B1 (en) | 2019-08-02 | 2020-02-11 | 전갑열 | Optimization system for hydraulic control facility diagnosis and its operation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5133A (en) | 2017-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07865B2 (en) | Flaw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ubes | |
JP5839053B2 (en) | Rol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1633032A (en) | Strip steel tail anti-breaking method | |
KR101786255B1 (en) | Hot rolling downcoi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5991258B2 (en) | Two drum winder | |
JP2010279955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trip | |
JP5838534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trip | |
KR20150113337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overhead traveller crane | |
KR10132031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on rolled strip | |
KR102290637B1 (en) | Reversible cold rolling mill with reduction means for edge crack on strip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32528B1 (en) | Sign detection method and sign detection device for stick-slip phenomenon, and cold-drawing method for pipe using this advance detection method | |
JP4736752B2 (en) | Step-avoidance control device for hot-rolled down c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0923836B1 (en) | Speed control method of filament rolling mill of hot rolling | |
KR20130027065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balance of rolled coil and method thereof | |
JP4396340B2 (en) |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steel sheet in rolling line | |
JP4501116B2 (en) | Scratch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lank tube | |
KR100953621B1 (en) | Mapping method of continuous hot finishing mill | |
EP4144452B1 (en) | Control device for rolling mill apparatus, rolling mill facility, and operation method for rolling mill apparatus | |
EP4374984A1 (en) |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rolling device, rolling facil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lling device | |
KR101632492B1 (en) | Apparatus for inserting coil | |
KR200409243Y1 (en) |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of original paper for container manufacturing | |
KR100293208B1 (en) | Position control method after end of strip by pressure measurement of unit roll | |
KR20180073943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cobble sensing cable | |
de Neto et al. | Coil build up compensation during cold rolling to improve off-line flatness | |
KR20130034977A (en) | Apparatus for detecting skewness of finishing mi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