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580B1 - 전동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580B1
KR101785580B1 KR1020150184066A KR20150184066A KR101785580B1 KR 101785580 B1 KR101785580 B1 KR 101785580B1 KR 1020150184066 A KR1020150184066 A KR 1020150184066A KR 20150184066 A KR20150184066 A KR 20150184066A KR 101785580 B1 KR101785580 B1 KR 10178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aring
base plate
outer ring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598A (ko
Inventor
조재민
이승환
진형원
천예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이랩
Priority to KR102015018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5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바디부와,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부와, 제2바디부에 고정 연결되고 제2바디부로부터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된 샤프트, 및 제2방향을 따르는 제1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제2바디부가 회전하도록, 샤프트와 연결되어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동 스트레칭 장치{Electrical stretc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동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일상 생활 중에 대부분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하체 운동량이 적어 하체와 다리 근육의 발달 저하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되고 있다.
특히,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사람들은 운동량이 적어 피로가 누적되어 이를 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발이나 발목 등에 이상 증상이 쉽게 발생하게 되며, 심한 경우 질환을 앓을 수 있다. 일반인뿐만 아니라 족부 질환을 겪고 있는 질환자의 경우, 족부 재활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동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족부 질환의 예방 및 재활을 위한 전동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바디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바디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된 샤프트;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1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2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1홀을 구비하는 기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는 상기 제1홀을 지나도록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륜 및 상기 외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내륜을 구비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저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바디부와 상기 기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륜 및 상기 외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내륜을 구비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홈과 결합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저 플레이트의 양측면 상에 위치하는 돌기에 의해 상기 제1바디부와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전동 스트레칭 장치는, 제2바디부의 구동에 의해 족부를 스트레칭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동 스트레칭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2바디부 및 제1회전 구동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회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한 제2바디부의 회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동 스트레칭 장치의 제2바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제1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동 스트레칭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 스트레칭 장치(1)는 족부(L)를 수용하여 스트레칭시키는 장치로서,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1바디부(10) 및 발을 지지하는 제2바디부(20)를 포함한다. 전동 스트레칭 장치(1)는 콘트롤러(30)로 제어되는 구동부들에 의해 제2바디부(20)가 움직이면서 족부(L)의 여러 부위를 스트레칭시킬 수 있다.
제1바디부(10)는 한쌍의 측벽(110) 및 한쌍의 측벽(110)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앉아 있는 사용자의 족부(L)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1바디부(10)는 제2바디부(20) 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오목부(120)는 종아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측벽(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0) 상에는 오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의 커버(130)가 위치할 수 있다. 커버(130)는 제1바디부(10)를 구성하는 소재와 다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바디부(10)가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커버(130)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오목부(120)와 커버(130)는 동일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한쌍의 측벽(110)과 오목부(120)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후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한쌍의 측벽(110)과 오목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부(20)는 발을 수용하는 구조물로서,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제2바디부(20)는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프레임부(210) 및 제2프레임부(240)를 포함하고, 제2프레임부(240)는 제1서브프레임부(220) 및 제2서브프레임부(23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교차한다라고 함은, 평행하지 않고 서로 엇갈려 마주치는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1방향과 제2방향이 교차한다고 함은 제1방향과 제2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직교하는 경우를 의미하거나, 제1방향과 제2방향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서로에 대해 수직하지 않으면서 엇갈리도록 연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프레임부(210)는 제1바디부(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컨대, 제1프레임부(210)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제2프레임부(240)와 제1방향으로 배치된 제1바디부(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210)는 발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제1바디부(10)를 향하는 제1프레임부(210)의 제1측에는 발의 뒤꿈치와 대응되는 오목한 면(210S)이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부(240)는 제2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부(210)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호 연결된 제1서브프레임부(220) 및 제2서브프레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부(220)는 제1바디부(10)를 향하는 제1측에,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220S)을 구비할 수 있고, 제2서브프레임부(230)는 제1바디부(10)를 향하는 제1측에, 발의 상단부, 예컨대 발가락을 지지하는 지지면(230S)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서브프레임부(230)에는 지지면(230S)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부(235)가 포함되어 발이 지지면(230S)과 고정부(23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바디부(20)는 제1회전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제2방향을 따라 제2바디부(20)를 관통하는 제1축(C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제2바디부(20)의 회전에 따라 족부(L)의 아킬레스건 부위가 트위스트 되면서 스트레칭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제1회전 구동부(40) 및 그에 따른 제2바디부(20)의 구동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2바디부 및 제1회전 구동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제1회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한 제2바디부의 회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방향을 따라 제2바디부(20)의 아래에는 기저 플레이트(295)가 위치할 수 있다. 기저 플레이트(295)는 제2바디부(20)를 지지하며, 기저 플레이트(295)의 양측면 상에 위치하는 돌기(292)에 의해 제1바디부(10)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292)는 연결 플레이트(290)에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290)가 기저 플레이트(295)의 양 측면에 결합되면서, 기저 플레이트(295)의 양측면 상에 돌기(292)가 위치할 수 있다. 돌기(292)는 제1바디부(10)의 양 측벽(110)에 구비된 리세스(112, 도 1참조)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저 플레이트(295)와 연결 플레이트(290)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저 플레이트(295)와 돌기(292)를 구비한 연결 플레이트(29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기(292)는 기저 플레이트(295)의 양측면 상에 기저 플레이트(29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부(20)의 아래에는 제2바디부(20)로부터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된 샤프트(25)가 구비된다. 샤프트(25)는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 부재(미도시)에 의해 제2바디부(20)의 하부 플레이트, 예컨대 제1프레임부(210)의 하부 플레이트(212)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25)는 단부(25e)가 기저 플레이트(295)에 형성된 제1홀(295H1)을 지나도록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25)는 제1회전 구동부(40)의 제2기어부(43)와 연결된다. 예컨대, 샤프트(25)의 단부(25e)에는 제1홈(25g1)이 형성되고, 제2기어부(43)와 단부(25e) 사이에 개재되는 키(26)가 제1홈(25g1)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되면서 제2기어부(43)가 샤프트(25)의 단부(25e)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어부(43)는 모터(41) 및 제1기어부(42)의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모터(41) 및 제1기어부(42)는 결합편(50)에 의해 기저 플레이트(295)의 일면, 예컨대 제2바디부(2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인 바닥면(bottom surface)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콘트롤러(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41)가 회전 운동하면, 모터(41)와 연결된 제1기어부(4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고, 제1기어부(42)의 회전에 따라 제2기어부(43)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제2기어부(43)의 회전에 따라 제2기어부(43)와 연결된 샤프트(25)가 회전하면서 제2바디부(20)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샤프트(25) 및 이와 연결된 제2바디부(2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족부(L)는 아킬레스건 부위는 제1축(C1)을 중심으로 트위스트 되면서 스트레칭된다. 아킬레스건 부위를 스트레칭시키기 위해, 제2바디부(20)는 회전 전의 제2바디부(20)를 기준으로 예각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전의 제2바디부(20)"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트레칭 장치(1)의 사용자의 족부(L)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안착된 상태로서, 제2바디부(20)의 발바닥 지지면들(220S, 230S)이 대략적으로 제2방향과 제3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놓여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축(C1)을 중심으로 한 제2바디부(20)의 회전은 아킬레스건 부위를 스트레칭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바디부(20)의 회전운동 각도범위(Δθ)는 360도 미만이다.
제2기어부(43)와 연결된 샤프트(25)의 단부(25e) 및 제2바디부(20) 사이에는, 기저 플레이트(295)의 제1홀(295H1) 내부에 위치하는 베어링(27)이 구비된다. 베어링(27)은 샤프트(25)가 관통하는 홀을 구비하는 환형으로, 샤프트(25)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2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27o)과 내륜(27i) 사이에 볼(27b)이 구비된 볼 베어링으로서, 샤프트(25)와 기저 플레이트(295)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베어링(27)은 기저 플레이트(295)의 제1홀(295H1)의 내부에 위치하되, 기저 플레이트(295)에 구비된 돌출부(295S)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돌출부(295S)는 제1홀(295H1)보다 직경이 작은 제2홀(295H2)이 형성되도록, 제1홀(295H1)을 둘러싸는 기저 플레이트(295)의 내측면으로부터 안쪽, 예컨대 제1홀(295H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295S)는 베어링(27)의 외륜(27o)과 접촉하면서 베어링(27)을 지지할 수 있다.
샤프트(25)는 샤프트(25)의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 예컨대 제1축(C1)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25S)를 더 포함한다. 샤프트(25)의 연장부(25S)는 베어링(27)의 내륜(27i)과 접촉한다. 제2바디부(20)와 기저 플레이트(295) 사이에 개재되는 연장부(25S)에 의해 기저 플레이트(295)와 제2바디부(2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제2바디부(20)와 기저 플레이트(295)가 직접 접촉한다면, 예컨대 제2바디부(20)의 하부 플레이트(212)의 하면과 기저 플레이트(295)의 상면이 직접 접촉하면, 제1회전 구동부(40)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25)와 연결된 제2바디부(20)가 회전할 때, 제2바디부(20)와 기저 플레이트(295)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마모되거나 제2바디부(20)와 기저 플레이트(295) 사이의 결합구조가 파손되는 등의 전동 스트레칭 장치(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구동부(40)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25)는 연장부(25S)를 구비하고 연장부(25S)가 베어링(27)의 내륜(27i)과 함께 회전하고, 회전하지 않는 기저 플레이트(295)는 베어링(27)의 외륜(27o)과 접촉하며 지지하므로, 샤프트(25) 및 제2바디부(20)의 회전에 의해 제2바디부(20)와 기저 플레이트(295) 사이에 마찰이 생기거나 이들간 결합구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샤프트(25)는 너트(28)와 결합할 수 있다. 너트(28)는 제2기어부(43)와 베어링(27) 사이에 위치하며, 샤프트(25)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들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와셔(29)가 너트(28)와 베어링(2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29)는 이붙이 고정 와셔로서, 제2바디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와셔(29)는 샤프트(25)에 구비된 제2홈(25g2)에 삽입되는 돌기(29p)를 구비하여 샤프트(25)와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샤프트(25)의 회전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흡수기(400)는 제2바디부(20)와 제1바디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충격 흡수기(400)의 제1단부는 제1바디부(10), 예컨대 측벽(11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충격 흡수기(400)의 제2단부는 제2바디부(20), 예컨대 연결 플레이트(29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충격 흡수기(400)는 가스 실린더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바디부(20)는 제1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아킬레스건을 스트레칭 시키는 기능 이외에, 발가락 및 발목부위를 스트레칭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동 스트레칭 장치의 제2바디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바디부(20)는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프레임부(210) 및 제2프레임부(240)를 포함하고, 제2프레임부(240)는 제1서브프레임부(220) 및 제2서브프레임부(230)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부(210)의 일측, 예컨대 발이 안착되는 지지면(210S)의 반대편에는 지지 플레이트(250)가 위치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프레임부(2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251)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제2프레임부(240)를 향하는 일측면 상에 위치하고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255)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레일(255)은 적어도 한쌍 구비되며, 한쌍의 가이드레일(255)은 홈(251)을 중심으로 홈(25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부(240)의 제1서브프레임부(220) 및 제2서브프레임부(230)는 제2서브프레임부(230)가 제2축(C2)을 중심으로 제1서브프레임부(2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된다.
제1서브프레임부(220)는 제1서브프레임부(220)의 제2측에 위치하는 선형 플레이트(260)와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선형 플레이트(260)는 선형 구동부(270)의 일부와 고정 연결된다. 예를 들어, 선형 플레이트(260)는 일측에 구비된 결합편(261)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선형 구동부(270)의 이동편(272b)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선형 플레이트(260)는 지지 플레이트(250)와 교차하는 평면상에 배치되어, 지지 플레이트(250)에 형성된 홈(251)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플레이트(250)가 제2방향 및 제3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선형 플레이트(260)는 지지 플레이트(250)와 교차하는 평면, 예컨대 제1방향 및 제2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배치되어, 홈(251)을 따라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70)는 지지 플레이트(25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모터(271) 및 모터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27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 따르면, 운동변환부(272)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봉(272a) 및 가이드봉(272a)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편(27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운동변환부(272)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봉(272a) 및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동편(272b)을 구비하는 볼스크류일 수 있다.
선형 구동부(270)는 모터(271)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프레임부(240)를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예컨대, 콘트롤러(30, 도 1)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271)가 회전하는 경우, 모터(271)에 연결된 가이드봉(272a)이 회전하면서 이동편(272b)이 제2방향을 따라 가이드봉(272a) 위를 이동한다. 이동편(272b)과 고정 연결된 선형 플레이트(260)가 제2방향을 이동하여, 선형 플레이트(260)와 고정 연결된 제1서브프레임부(22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부(220)에 결합된 제2서브프레임부(230)도 제2방향을 따라 제1서브프레임부(220) 함께 이동하므로, 제1 및 제2서브프레임부(220, 230), 즉 제2프레임부(240)는 제2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부(21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제1프레임부(210)와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부(210)와 제2프레임부(24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므로, 제2바디부(20)에 놓이는 발의 크기 따라 제2바디부(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70)는 모터(271)와 운동변환부(272)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27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73)는 예컨대, 모터(271)의 회전속도를 줄여주는 감속기로서, 짧은 시간(예, 수~수십초) 동안 선형 구동부(270)에 큰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부(220)는 가이드(2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25)는 제1서브프레임부(220)의 제2측, 예컨대 지지 플레이트(250)와 마주보는 측면 상에 구비되며, 가이드레일(255)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55)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70)의 구동에 의해 제1서브프레임부(220)가 이동할 때, 제1서브프레임부(220)의 가이드(225)가 지지 플레이트(250)의 가이드레일(255) 상을 이동하므로 제2프레임부(240)는 진동 또는 흔들림없이 이동 가능하다.
제1서브프레임부(220)는 가림판(263)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판(263)은 제1프레임부(210)와 인접한 제1서브프레임부(2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70)에 의해 제2프레임부(240)가 이동하면서 제1프레임부(210)와 제2프레임부(240)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가이드레일(255)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서브프레임부(220)에 고정된 가림판(263)이 가이드레일(255)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회전 구동부(280)는 제2서브프레임부(230)를 제1서브프레임부(22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제1서브프레임부(220)와 제2서브프레임부(230)는 지지면(220S, 230S)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들끼리 결합되며, 결합된 부분을 관통하는 제2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회전 구동부(280)는 모터(281), 모터(281)에 의해 회전하는 제3기어부(282) 및 제3기어부(282)와 서로 맞물리는 제4기어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81) 및 제3기어부(282)는 선형 플레이트(26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4기어부(283)는 제2서브프레임부(230)의 제2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3기어부(282) 및 제4기어부(283)는 평기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3기어부(282) 및 제4기어부(283)는 헬리컬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콘트롤러(30, 도 1)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281)가 회전운동하면, 모터(281)와 연결된 제3기어부(28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고 제3기어부(282)의 회전에 따라 제4기어부(283)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제4기어부(283)의 회전에 따라 제4기어부(283)와 연결된 제2서브프레임부(230)가 결합축인 제2축(C2)을 중심으로 제1바디부(10)를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제2서브프레임부(230)의 회전에 의해, 제2서브프레임부(230)가 지지하는 발의 상부, 예컨대 발가락 부위가 스트레칭될 수 있다.
제3회전 구동부(300)는 제2바디부(20)를 제1바디부(1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제2바디부(20)는 연결 플레이트(290)에 구비된 돌기들(292)을 관통하며 제3방향을 따르는 제3축(C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회전 구동부(300)는 모터(310), 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는 제5기어부(320), 및 제5기어부(320)와 서로 맞물리는 제6기어부(330)를 포함한다. 모터(310) 및 제5기어부(320)는 연결편(미도시)을 통해 제1바디부(10)의 내측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5기어부(320) 및 제6기어부(330)는 평기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5기어부(320) 및 제6기어부(330)는 헬리컬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콘트롤러(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310)가 회전운동하면, 모터(310)와 연결된 제5기어부(32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고 제5기어부(320)의 회전에 따라 제6기어부(330)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제6기어부(330)의 회전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290)와 연결된 기저 플레이트(295) 및 기저 플레이트(295)에 의해 지지되는 제2바디부(20)가 제3축(C3)을 중심으로 제1바디부(10)를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제2바디부(20)의 회전에 의해 발목 부위가 스트레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전동 스트레칭 장치
10: 제1바디부
20: 제2바디부
30: 콘트롤러
40: 제1회전 구동부
41: 모터
42: 제1기어부
43: 제2기어부
210: 제1프레임부
220: 제1서브프레임부
230: 제2서브프레임부
240: 제2프레임부
295: 기저 플레이트

Claims (9)

  1.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바디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바디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된 샤프트;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1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외륜 및 상기 외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내륜을 구비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외륜은 상기 샤프트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부재에 구비된 제1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일부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3.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바디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바디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된 샤프트;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1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1홀을 구비하는 기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는 상기 제1홀을 지나도록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륜 및 상기 외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내륜을 구비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바디부와 상기 기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륜 및 상기 외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내륜을 구비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접촉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홈과 결합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플레이트는,
    상기 기저 플레이트의 양측면 상에 위치하는 돌기에 의해 상기 제1바디부와 결합하는, 전동 스트레칭 장치.
KR1020150184066A 2015-12-22 2015-12-22 전동 스트레칭 장치 KR10178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66A KR101785580B1 (ko) 2015-12-22 2015-12-22 전동 스트레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66A KR101785580B1 (ko) 2015-12-22 2015-12-22 전동 스트레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598A KR20170074598A (ko) 2017-06-30
KR101785580B1 true KR101785580B1 (ko) 2017-10-17

Family

ID=5927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066A KR101785580B1 (ko) 2015-12-22 2015-12-22 전동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256A (ja) 2003-02-28 2004-09-24 Shinwa Seiko:Kk 足首運動装置
US20050148919A1 (en) 2003-10-09 2005-07-07 Laurent Beny Device for passive mobilization of the ankle
KR100869494B1 (ko) 2008-05-23 2008-11-19 최민정 운동기구용 수밀 베어링
KR101190288B1 (ko) * 2010-12-29 2012-10-12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족 관절 재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256A (ja) 2003-02-28 2004-09-24 Shinwa Seiko:Kk 足首運動装置
US20050148919A1 (en) 2003-10-09 2005-07-07 Laurent Beny Device for passive mobilization of the ankle
KR100869494B1 (ko) 2008-05-23 2008-11-19 최민정 운동기구용 수밀 베어링
KR101190288B1 (ko) * 2010-12-29 2012-10-12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족 관절 재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598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9786A1 (ja) マッサージ機
JP5396366B2 (ja) マッサージ装置
KR20130040186A (ko) 전력 조향장치
KR101785580B1 (ko) 전동 스트레칭 장치
JP6015516B2 (ja) 歩行補助装置
TWM447251U (zh) 下肢振動裝置
JP2008154879A (ja) 運動補助装置
AT506689B1 (de) Fusssohlen-massagegerät
US20190271381A1 (en) Circulation Component Retainer and Ball Screw
KR101785581B1 (ko) 전동 스트레칭 장치
CN209996729U (zh) 足部按摩装置
US20130079690A1 (en) Muscle stretching device
KR102156966B1 (ko) 종아리 안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마사지 장치
RU2663030C1 (ru) Редуктор-шарнир
CN109199770A (zh) 一种电动组合式康复理疗设备
KR101775111B1 (ko) 전동 스트레칭 장치
KR102329288B1 (ko) 전동 스트레칭 장치
KR20170074600A (ko) 전동 스트레칭 장치
KR101595535B1 (ko) 발끝치기 운동장치
CN105456028A (zh) 一种动磁足腿按摩器
KR102417194B1 (ko) 전동 스트레칭 장치
JP2012120656A (ja) マッサージ機
US10960267B2 (en) Hippotherapy device
KR101553051B1 (ko) 피봇 기구 및 그것이 적용된 재활 치료 장치
CN214713423U (zh) 一种复合脚底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