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535B1 - 발끝치기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발끝치기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535B1
KR101595535B1 KR1020150081495A KR20150081495A KR101595535B1 KR 101595535 B1 KR101595535 B1 KR 101595535B1 KR 1020150081495 A KR1020150081495 A KR 1020150081495A KR 20150081495 A KR20150081495 A KR 20150081495A KR 101595535 B1 KR101595535 B1 KR 10159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predetermined position
base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승민
Priority to KR102015008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끝치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에 수직부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상기 수직부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소정 각도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 각각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되는 한 쌍의 작동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동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소정 위치에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바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된 연결핀의 타단에 결합된 한 쌍의 발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끝치기 운동장치{tiptoe-hit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발끝치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양발을 서로 접근 또는 후퇴시켜 양발의 엄지발가락을 서로 부딪히게 함으로써 하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운동할 수 있는 발끝치기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끝치기 운동은 앉은 자세 또는 누운 자세에서 양발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발뒷꿈치를 바닥에 놓고 발목에 대해 발을 계속 서로 접근시켜 양발의 엄지발가락끼리 서로 부딪히게 하고 자연스럽게 서로 멀어지게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발을 비롯한 하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준다.
이러한 운동 효과로 인해 TV, 인터넷 등에서 소개되어 많은 사람들이 직접 발끝치기를 행하고 있으며, 발끝치기 운동은 10 ~ 20분 정도 해야 그 효과를 볼 수 있는데 개인이 직접 10 ~ 20분 정도 발끝치기를 하는 것은 어지간한 인내력이 없으면 손쉽게 할 수가 없다.
이와 관련하여, 발끝치기는 아니지만 양발을 서로 접근하거나 후퇴시켜 관절운동 및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들이 다수 공지되어 있다.
첫 번째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0786호 "발의 반복 운동에 의한 관절 교정 장치"는 발 상부의 벌림과 오므림의 반복 운동을 통하여 어긋나거나 삐어있는 관절을 교정하며 궁극적으로 고관절이 제자리를 찾아 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기구이며, 발을 거치하는 좌우 발 받침대 및 조작부로 구성되어 있다. 발의 길이에 따라 좌우 발의 간격이 가변 조절되어 교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누운 상태에서 발 받침대에 발을 올려놓고 속도 조절기의 속도를 선택하면 V형태와 역V형태의 반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그 반복운동이 발목-무릎-고관절로 전달되어 각 부분 관절이 이탈되었던 것이 제자리를 찾아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두 번째로, 한국등록등허 제10-1021647호 "마사지 기능이 마련된 스트레칭 장치"는 한 쌍의 풋홀더에 사용자의 양발을 각각 감싸 고정하여 기어박스어셈블리를 통해 풋홀더의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켜, 다리 전체의 스트레칭으로 짧은 시간에 근육운동을 행한다.
세 번째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22970호 "다리 운동장치"는 발뒷꿈치가 안착되는 거치부를 동력전달기어부재와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여 다리의 관절 및 근육이 운동될 수 있게 한다.
네 번째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08815호 "관절 운동기구"는 발이 안치된 상태에서 발의 회전 및 유격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수단과, 작동수단에 안치된 발끝이 벌어지도록 회전되면서 양발 간의 유격이 커지는 작용과 발끝이 좁아지도록 회전되면서 양발 간의 유격이 작아지는 작용이 반복되도록 작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작동수단은 한 쌍의 회전기어, 회전기어가 맞물림 되면서 회전 및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는 톱니레일, 회전기어에 각각 부착되며 각각의 발이 안치되는 한 쌍의 안치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사용자의 다리가 비틀리면서 작동되기 때문에 발목운동은 가능하나 발끝치기는 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양발을 서로 접근 또는 후퇴시켜 양발의 엄지발가락을 서로 부딪히게 함으로써 하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운동할 수 있는 발끝치기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수직부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상기 수직부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소정 각도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 각각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되는 한 쌍의 작동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동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소정 위치에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바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된 연결핀의 타단에 결합된 한 쌍의 발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직부의 소정 위치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한 쌍의 이동체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체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바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은 길이방향에 대해 활 모양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작동바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작동바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 일측이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지지되는 회전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지지대는 중심부에 상기 연결핀의 길이 방향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발날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 쌍의 홈부가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한 쌍의 발뒷꿈치 지지대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단부에 구동기어가 설치된 감속기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일측면 소정 위치에 회전축이 편심되게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 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바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제2 링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양발을 서로 접근 또는 후퇴시켜 양발의 엄지발가락을 서로 부딪히게 함으로써 하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의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발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작동바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의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발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작동바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지지플레이트(120), 구동축(130), 종동축(140), 구동수단(150), 한 쌍의 작동기어(160), 한 쌍의 작동바(170), 한 쌍의 발지지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지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수직부(112)가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패드(114)가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커버(116)가 결합된다.
여기서, 수직부(112)의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이동체(113a)가 이격되게 구비된 레일(113)이 설치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한 쌍의 작동바(170)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레일(113)은 만곡지게 즉, 길이방향에 대해 활 모양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한 쌍의 이동체(113a)가 이격되게 구비된 레일(113)은 사용자가 후술하는 한 쌍의 발지지대(180)에 양발을 올려놓았을 때 한 쌍의 발지지대(180)를 통해 한 쌍의 작동바(170)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한 쌍의 작동바(170)가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한 쌍의 이동체(113a)의 각각의 단부는 후술하는 한 쌍의 작동바(170)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홀(17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동바(170)가 이동체(113a)에 의해 레일(113)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발생되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슬롯홀(172)에 결합된 이동체(113a)의 단부가 슬롯홀(172)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바(170)가 원활하게 왕복 이동되게 한다.
지지플레이트(120)는 수직부(112)의 일측에 수직부(112)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되어 후술하는 한 쌍의 발지지대(180)를 지지하고,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안내홈(122)이 상호 대칭되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20)의 일측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4a)이 구비된 지지부(124)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24a)에는 한 쌍의 발뒷꿈치 지지대(126)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되게 결합는데, 이는 한 쌍의 발지지대(180)에 위치된 양발이 발지지대(180)의 움직임에 따라 왕복이동될 때 사용자의 발뒷꿈치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축(13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구동수단(15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왕복 회전된다.
종동축(140)은 구동축(13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동축(130)과 나란하게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구동수단(150)은 구동축(13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전술한 구동축(130)을 소정 각도로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리모컨과 같은 조작기(190)를 통해 작동의 ON/OFF, 속도 등이 제어된다.
이러한, 구동수단(15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단부에 구동기어(152b)가 설치된 감속기(152a)가 구비된 구동모터(152)와, 구동모터(152)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118)에 설치되어 구동기어(152b)와 치합되고, 일측면 소정 위치에 회전축(154a)이 편심되게 설치된 종동기어(154)와, 회전축(154a)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 링크바(156)와, 일단이 제1 링크바(156)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구동축(130)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제2 링크바(158)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작동기어(160)는 구동축(130)과 종동축(140) 각각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되어 구동수단(150)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구동축(130)의 작동에 연동하여 종동축(140)이 회전되게 한다.
한 쌍의 작동바(170)는 구동축(130)과 종동축(14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부(112)와 지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작동바(170)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는 작동바(170)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 일측이 결합되는 몸체(174a)와, 몸체(174a)의 타측에 설치되어 수직부(112)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지지되는 회전볼(174b)로 이루어진 지지구(174)가 설치되어 한 쌍의 작동바(170)의 작동이 안내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전술한 한 쌍의 이동체(113a)가 이격되게 구비된 레일(113)이 사용되지 않는다.
한 쌍의 발지지대(180)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일측 소정 위치에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122)을 관통하여 한 쌍의 작동바(170)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된 연결핀(186)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발지지대(180)는 중심부에 연결핀(186)의 길이 방향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돌기(186a)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182a)이 형성된 몸체(182)와, 몸체(182)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판(18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판(184)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복수개의 지압돌기(18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82)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발날지지부(18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의 양발이 발지지대(180)에 위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발이 발지지대(18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발날지지부(183)는 'ㄴ'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82)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 쌍의 홈부(182b)가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지지판(184)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홈부(182b)에 삽입되는 돌출부(184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의 양발이 지지판(184)에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182)가 한 쌍의 작동바(170)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발목이 꺽이지 않도록 소정 각도로 지지판(184)이 회전되게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끝치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양발을 한 쌍의 발지지대(180)에 위치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발뒷꿈치는 한 쌍의 발뒷꿈치 지지대(126)에 위치된다.
이후, 사용자가 조작기(190)를 조작하여 구동수단(150)을 작동시키면 구동기어(152b)가 회전을 하면서 종동기어(154)를 회전시킨다. 종동기어(154)가 회전을 하게 되면 종동기어(154)에 설치된 회전축(154a)이 회전을 하면서 제1 링크바(156)와, 제1 링크바(156)에 결합된 제2 링크바(158)를 상하 이동시킨다.
제1 링크바(156)와 제2 링크바(158)가 상하 이동을 하게 되면 제2 링크바(158)에 결합된 구동축(130)이 소정의 각도로 왕복 회전된다.
구동축(130)이 회전을 하게 되면 한 쌍의 작동기어(160)가 작동을 하게 되고, 이 작동기어(160)의 작동에 의해 종동축(140)이 구동축(13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된다.
구동축(130)과 종동축(140)이 소정의 각도로 왕복 회전을 하게 되면, 구동축(130)과 종동축(140)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작동바(170)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한 쌍의 작동바(170)에 결합된 한 쌍의 발지지대(18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됨으로써 사용자의 양발의 엄지발가락이 서로 부딪히거나 멀어짐으로써 발끝치기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베이스플레이트 154a; 회전축
112; 수직부 156; 제1 링크바
113; 레일 158; 제2 링크바
113a; 이동체 160; 작동기어
114; 미끄럼방지패드 170; 작동바
116; 커버 172; 슬롯홀
118; 지지대 174; 지지구
120; 지지플레이트 174a; 몸체
122; 안내홈 174b; 회전볼
124; 지지부 186; 연결핀
124a; 가이드레일 186a; 걸림돌기
126; 발뒷꿈치 지지대 180; 발지지대
130; 구동축 182; 몸체
140; 종동축 182a; 걸림홈
150; 구동수단 182b; 홈부
152; 구동모터 183; 발날지지부
152a; 감속기 184; 지지판
152b; 구동기어 184a; 지압돌기
154; 종동기어 184b; 돌출부

Claims (10)

  1. 일측에 수직부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상기 수직부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종동축;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소정 각도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 각각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되는 한 쌍의 작동기어;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동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소정 위치에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바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된 연결핀의 타단에 결합된 한 쌍의 발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소정 위치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한 쌍의 이동체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체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바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길이방향에 대해 활 모양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바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작동바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 일측이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지지되는 회전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지지대는 중심부에 상기 연결핀의 길이 방향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발날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 쌍의 홈부가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한 쌍의 발뒷꿈치 지지대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단부에 구동기어가 설치된 감속기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일측면 소정 위치에 회전축이 편심되게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 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바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제2 링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끝치기 운동장치.
KR1020150081495A 2015-06-09 2015-06-09 발끝치기 운동장치 KR10159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95A KR101595535B1 (ko) 2015-06-09 2015-06-09 발끝치기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95A KR101595535B1 (ko) 2015-06-09 2015-06-09 발끝치기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535B1 true KR101595535B1 (ko) 2016-02-17

Family

ID=5545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95A KR101595535B1 (ko) 2015-06-09 2015-06-09 발끝치기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5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43B1 (ko) * 2016-08-30 2018-07-02 박길현 발운동기구
KR102129948B1 (ko) * 2020-05-17 2020-07-03 공석두 발끝치기 운동기구
KR20210051828A (ko) * 2019-10-31 2021-05-10 이재진 발끝치기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175A (ko) * 2001-08-24 2003-03-03 공상식 발바닥 지압 겸용 트위스트 원반장치
KR20030022970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지인텍 다리 운동장치
KR200408764Y1 (ko) * 2005-11-29 2006-02-16 최미경 발 및 다리 운동기구
KR20090002735U (ko) * 2007-09-14 2009-03-18 윤종천 좌우진동을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175A (ko) * 2001-08-24 2003-03-03 공상식 발바닥 지압 겸용 트위스트 원반장치
KR20030022970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지인텍 다리 운동장치
KR200408764Y1 (ko) * 2005-11-29 2006-02-16 최미경 발 및 다리 운동기구
KR20090002735U (ko) * 2007-09-14 2009-03-18 윤종천 좌우진동을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43B1 (ko) * 2016-08-30 2018-07-02 박길현 발운동기구
KR20210051828A (ko) * 2019-10-31 2021-05-10 이재진 발끝치기 운동기구
KR102279640B1 (ko) * 2019-10-31 2021-07-23 이재진 발끝치기 운동기구
KR102129948B1 (ko) * 2020-05-17 2020-07-03 공석두 발끝치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42Y1 (ko) 마사지 의자
KR101446961B1 (ko) 발목 및 고관절 스트레칭 장치
KR101486187B1 (ko) 마사지 의자
KR101595535B1 (ko) 발끝치기 운동장치
JP2015024088A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このマッサージ装置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EP2206536A1 (en) Non-voluntary exercise apparatus
JP6054278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8154879A (ja) 運動補助装置
KR101873643B1 (ko) 발운동기구
CN105853147A (zh) 一种膝关节康复装置
JP2004089616A (ja) 関節駆動装置
US11278466B2 (en) Control method for massage machine and massage element of massage machine
TWM464170U (zh) 按摩機
JP5509396B2 (ja) 下肢運動補助装置
JPWO2009122556A1 (ja) 運動補助装置
JP2019000648A (ja) ストレッチ効果を有する歩行運動機器の改良構造
JP2005278700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1487384B1 (ko) 발끝치기 운동기구
KR20110000335A (ko) 다용도 운동기구
JP5475838B2 (ja) 下肢運動補助装置
US2413133A (en) Arch normalizer
JP2017108778A (ja) 足裏マッサージ機構
JP2020062509A (ja) マッサージ機
KR20070079402A (ko) 발목 타격장치
KR101793859B1 (ko)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