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162B1 -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 Google Patents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162B1
KR101785162B1 KR1020150163380A KR20150163380A KR101785162B1 KR 101785162 B1 KR101785162 B1 KR 101785162B1 KR 1020150163380 A KR1020150163380 A KR 1020150163380A KR 20150163380 A KR20150163380 A KR 20150163380A KR 101785162 B1 KR101785162 B1 KR 10178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colate
tank
lid
chamb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254A (ko
Inventor
박한용
Original Assignee
박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용 filed Critical 박한용
Priority to KR102015016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1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4Apparatus for coating by dipping in a liquid, at the surface of which another liquid or powder may be fl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5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 A23G1/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laminat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Abstract

소성되거나 퍼핑된 건과자의 식감과 맛을 증진되도록 초콜릿을 함침하여 코팅하는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는 원심 분리모터의 축에 벨트로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원심축과 개폐실린더가 설치된 상부모듈와, 하부는 고정되고 상부는 상부모듈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모듈을 승강시키는 하부모듈을 가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상부모듈의 하부에 결합된 덮개의 승강에 의해 상부 개구가 개폐되며, 상기 덮개가 닫혀졌을 때 내부공간의 가압 및 감압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챔버와; 상기 덮개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기 원심축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을 향해 결합된 바구니와, 상기 원심축에 끼워지고 상기 덮개를 관통한 개폐실린더의 피스톤 출입에 의해 상기 바구니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회전바구니와; 용융된 초콜릿 원료가 담겨져 있으며, 상기 챔버로 용융된 초콜릿을 주입하고 챔버 내의 초콜릿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함침원료탱크와;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거나 가압시키는 압력조절부와; 조작반으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승강실리더, 회전모터, 개폐실린더, 원심모터 및 압력조절부를 미리 프로그래밍 된 순서로 제어하여 상기 챔버의 원심바구니의 내부에 넣어진 건과자에 용융 초콜릿이 함침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Chocolate coated device of dry confectionery}
본 발명은 소성된 건과자에 액상의 풍미제를 함침 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성되거나 퍼핑된 건과자의 식감과 맛을 증진되도록 초콜릿을 함침하여 코팅하는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과자는 바삭한 식감에 초콜릿 등과 같은 풍미제가 혼합된 초콜릿 과자와 같은 것이 트렌드이다. 초콜릿 과자는 초콜릿 반죽이 60% 미만인 가공품으로, 예컨대 비스킷이나 스낵 등의 구운 과자나 퍼프(puff) 등과 같이 부풀린 과자에 초콜릿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건과자를 초콜릿 과자 형태로 함으로써 식감을 가볍게 하거나 소비자의 구미에 맞추어 더욱 폭넓게 소비되고 있다. 여기에 가벼운 식감 외에도 초콜릿의 풍미를 추구하는 경향 하에서 함침 초콜릿 과자가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함침 초콜릿 과자는 비스킷, 쿠키, 압출기(extruder)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퍼프나 시리얼 등과 같은 구운 과자에 초콜릿을 함침시킨 것으로, 과자 본래의 식감과 초콜릿의 풍미를 조합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함침 초콜릿 과자는 초콜릿 고유의 특징인 풍미는 발휘되나, 함침 초콜릿 과자를 씹었을 때 기재인 과자 부분의 씹히는 맛이 강하고 과자 파편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함침 초콜릿 과자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함침 식품 및 그 제조방법, 특허문헌2에 기재된 초콜릿 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제안되거나 상품화되어 있는 함침 초콜릿 과자에 관한 기술에 있어서는 과자 본래의 식감과 초콜릿 고유의 풍미, 입에서 매끄럽게 녹는 느낌 등 세가지 모두를 도모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건과자에 초콜릿을 함침함에 있어서, 다공질 구조로 빈틈을 가진 함수율 40% 미만의 건과자가 넣어진 챔버의 내부를 감압 상태로 하여 용융 초콜릿을 상기 챔버로 투입한 후, 챔버에 압력을 가해 용융 상태의 초콜릿과 건과자가 접촉되도록 하여 초콜릿을 건과자의 내부로 함침시키고 냉각하여 응고시킨다는 기재만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떠한 구조에 의해 초콜릿을 건과자에 함침시키는 것인지를 알 수 없었다.
일본등록특허 제4673257호(2011. 1. 28. 등록) 일본등록특허 제3766661호(2006. 2. 3. 등록)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성에 의해 팽화되어 다공질 구조를 갖는 건과자에 깊숙이 다량의 초콜릿을 함침시키고 신속하게 응고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챔버의 내부로 건과자와 용융 초콜릿을 순차적으로 자동 투입하여 초콜릿을 함침하고, 용융 초콜릿을 자동배출 후 건과자를 원심분리하여 그 표면에 부착된 잉여분의 초콜릿을 분리 후 응고시켜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고 그 중심부에 원심축이 관통 설치된 덮개로 이루어진 챔버;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덮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상부모듈과, 상기 상부모듈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승강되면서 덮개를 개폐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승강기가 상하로 승강하도록 승강실린더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모듈을 승강시키는 하부모듈을 포함하고, 그 전방에 작업대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탱크 내에 배치되고 중앙에 상기 원심축이 삽입 고정된 바구니 몸체와, 상기 바구니 몸체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원심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더에 고정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원심바구니; 상기 상부모듈 상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을 개폐 및 상기 바구니 몸체가 작업대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하는 원심바구니 구동수단; 상기 챔버의 탱크로 용융 초콜릿을 주입하고 탱크 내의 초콜릿을 회수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탱크와의 사이에 주입회수밸브가 구비된 함침원료탱크;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을 감압하거나 가압하도록 상기 탱크와의 사이에 감압밸브 및 가압밸브가 구비된 압력조절부; 상기 탱크에 구비되고,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함침원료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조작반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제어수순에 따라 승강실린더, 주입회수밸브, 압력조절부, 감압밸브, 가압밸브 및 원심바구니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장치는 챔버 내에 건과자를 넣고 용융 초콜릿을 주입 후 자동으로 챔버 내의 압력을 감압, 대기압, 가압 상태로 조절하여 상기 건과자에 용융 초콜릿을 함침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 건과자 표면의 용융 초콜릿 잉여분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과정을 전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융 초콜릿을 건과자 내에 깊이 함침시킬 수 있다. 위 장치에 의해 용융 초콜릿이 함침된 초콜릿 과자는 과자 본래의 기분 좋게 가벼운 식감과 더불어 초콜릿이 가득 함유되어 풍미가 좋고 입에서 부드럽게 녹는 초콜릿 고유의 느낌도 충분히 즐길 수 있어 초콜릿으로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기존에는 없는 함침 초콜릿 과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콜릿 함침 장치에 의해 제조된 초콜릿 과자는 수분이 증발하여 생긴 미세한 공동에 초콜릿을 함침시킴으로써 입 속에서 녹는 느낌은 유지하면서도 볼륨감이 있고 경쾌한 식감도 더해지며 더욱 부드러운 식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의 상부모듈 상승에 의해 챔버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의 개폐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원심바구니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1)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장치(1)는, 챔버(10); 메인프레임(20); 원심바구니(60); 원심바구니 구동수단; 함침원료탱크(70); 압력조절부(80); 센서부(85); 컨트롤러(90);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0)는 상부가 개구된 탱크(11) 및 상기 탱크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12)로 구성된다. 상기 챔버(10)의 탱크(11) 상부에 결합된 덮개(12)는 후술하는 메인프레임의 구성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 열리거나 하강하여 상기 탱크의 상부 개구를 닫으면서 탱크를 밀봉하거나 개방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승강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의 하부에 고정된 승강실린더(22)가 설치된 하부모듈(25)과, 상기 승강가이드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강기(30) 및 상기 승강기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기의 승강에 따라 상기 챔버의 덮개(11)를 개폐하는 상부모듈(4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모듈(25)은 승강기(30)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 승강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가이드의 하부에는 하부모듈(25)의 바닥에 승강실린더(2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에는 상기 승강실린더(22)의 피스톤에 결합된 몸체로 형성된 승강기(30)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22)의 구동에 따라 승강가이드의 세 개의 측면을 따라 상부로 상승하거나 하부로 하강한다. 상기 승강기(30)의 상부에는 고정축(53)에 고정된 고정기어(51)가 결합된 구동부(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50)의 고정축(53)은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55)을 통해 그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모듈(40)을 지지하고, 상부모듈(40) 내부로 들어간 고정축(53)은 외륜이 상부모듈(40)에 고정된 베어링(48)의 내륜에 끼워져 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모듈(40)은 승강기(3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축(53)을 기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4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현수된 중공형의 리프트 파이프(49)가 덮개(12)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 파이프(49)의 내부에는 원심축(44)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원심축(44)의 상단부는 상부모듈(40)의 내부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분은 베어링 및 고정링 등에 의해 상부모듈(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모듈(40)의 위에는 원심모터(41), 개폐실린터(45) 및 회전모터(47)를 포함하는 원심바구니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원심모터(41)의 회전축(42)은 벨트 또는 체인 스프로켓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기(43)를 통해 원심축(44)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실린더(45)의 피스톤로드(46) 단부는 상기 덮개(12)를 관통하여 챔버(11)에 위치되는 슬라이더(63)에 연결로드(64)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모터(47)의 회전축은 상부모듈(40)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모터(47)의 회전축 단부는 상기 고정기어(51)에 치합된 구동기어(52)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상부모듈(40)은 상기 하부모듈(25)에 설치된 승강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승강기(30)가 하부모듈(25)의 승강가이드를 따라 승강 시 이에 따라 승강된다. 즉, 승강실린더(22)의 피스톤이 출입되면 승강기(30)와 그 상부에 결합된 상부모듈(40)은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47)가 회전되면 회전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52)가 상기 승강기(3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축(53)의 고정기어(51)의 치합면을 따라 회전되며, 이에 따라 고정축(53)의 상부에 스러스트 베이링(55)과 베어링(48)에 의해 결합된 상부모듈(40)은 전후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상부모듈(40)에 결합된 원심축(44)의 하부에는 원심바구니(60)의 바구니 몸체(61)와 뚜껑(62)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바구니 몸체(61)는 상기 원심축(44)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뚜껑(62)은 상기 원심축(44)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진 슬라이더(63)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는 일측이 상기 개폐실린더(45)의 피스톤로드(46)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로드(62)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심바구니(60)는 승강기(30)의 상승에 의해 상부모듈(40)이 상승되면, 도3과 같이 챔버의 탱크(11)를 개폐하는 덮개(12)와 함께 상승한다. 이후, 개폐실린더(45)가 구동되어 피스톤로드(46)가 개폐실린더의 내부로 들어가면 원심축(44)에 끼워진 슬라이더(63)가 상부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도4와 같이 원심바구니(60)의 뚜껑(62)이 개방된다.
또한, 챔버의 탱크(11)에 출입되는 원심바구니(60)는 원심모터(4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즉, 원심모터(41)가 회전되면 동력전달기(43)을 통해 연결된 원심축(44)이 회전됨으로써 이에 따른 속도로 회전되어 바구니 몸체(61)의 내부에 넣어진 물체(건과자)의 표면에 부착된 잉여 액상 물체(용융 초콜릿)를 원심분리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탱크(11) 내부는 주입회수밸브(72)와, 감압밸브(81), 가압밸브(82)를 통해 각각 함침원료탱크(70) 및 압력조절부(8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함침원료탱크(70)와 주입회수밸브(72) 사이에는 함침원료, 예를 들면 용융된 초콜릿을 상기 탱크(11)로 주입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펌프는 함침원료탱크(7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감압밸브(81)와 가압밸브(82)는 압력조절부(80)에 연결되어 밸브 개방 또는 폐쇄에 따라 탱크(11)의 압력을 감압하거나 가압하여 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탱크(11)에는 압력센서, 함침원료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 온도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8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입회수밸브(72), 감압밸브(81), 가압밸브(82) 및 압력조절부(80)는 센서부(85)의 출력과 메인프레임(20)에 설치된 조작반(CONP)으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입력하는 컨트롤러(9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조작반(CONP)으로부터의 명령을 분석하고, 미리 프로그래밍된 제어수순에 따라 승강실린더(22), 주입회수밸브(72), 압력조절부(80), 감압밸브(81), 가압밸브(82) 및 회전모터(47), 개폐실린더(45), 원심모터(41)로 이루어진 원심바구니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 제어는 도5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의 제어 흐름도로서, 컨트롤러(90)의 메모리 영역에 프로그램 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도1 내지 도4의 건과자 초콜릿 함침장치(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함침할 건과자가 정량으로 투입된 용기를 작업대(W) 위에 준비한 후 조작반(CONP)으로 함침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위 함침 명령은 컨트롤러(9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90)는 하부모듈(2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승강실린더(22)를 구동하여 챔버의 덮개(12)를 개방한다(단계 S1). 상기 승강실린더(22)의 피스톤이 상부로 올라가면 그 상부에 결합된 상부모듈(40)이 상승되면서 상부모듈의 일측에 현수된 리프트 파이프(49)에 결합된 챔버 덮개(12)가 도2에서 도3과 같이 위로 올라가 챔버(10)의 상부가 개방된다. 이때 덮개(12)가 위로 올라가면 원심축(44)에 결합된 원심바구니(60)도 함께 상부로 상승된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90)가 개폐실린더(45)를 구동하면 도4에 도시되듯이 원심바구니(60)의 뚜껑(62)에 결합된 슬라이더(63)가 원심축(44)을 따라 위로 올라감으로써 상기 뚜껑은 바구니 몸체(61)와 분리된다(단계 S2).
컨트롤러(90)가 회전모터(47)를 정회전으로 구동하면 회전축(42)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52)가 승강기(3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기어(51)의 기어 이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모듈(40)의 바구니 몸체(61)가 작업대(W)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된다(단계 S3). 이후 사용자가 작업대(W)의 용기에 담긴 건과자를 바구니 몸체(61)에 넣는다.
바구니 몸체(61)에 초콜릿을 함침할 건과자를 넣은 후 상부모듈(40)의 이동작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구니 몸체(61)에 센서를 설치하여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건과자의 투입이 감지되었을 때 자동으로 회전모터(47)를 역방향으로 구동하거나, 또는 바구니 몸체(61)에 건과자를 일정량 투입한 후 조작반(CONP)으로 상부모듈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바구니 몸체(61)에 정량의 건과자가 투입되면, 컨트롤러(90)는 회전모터(4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모듈(40)에 설치된 덮개(12)가 챔버(10)의 탱크(11)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단계 4). 이후, 컨트롤러(90)는 개폐실린더(45)를 구동하여 도3에서 도2와 같이 원심바구니의 뚜껑(62)을 바구니 몸체(61)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닫는다(단계 S5).
이후, 컨트롤러(90)는 승강실린더(22)가 하강되도록 구동하여 상부모듈(40)을 하강시켜 덮개(12)와 뚜껑(62)이 챔버(10)와 탱크(11)의 상부에 밀착되게 결합되면서 그 내부를 밀봉상태로 한다(단계 S6).
탱크(11)가 밀봉상태가 되면 컨트롤러(90)는 주입회수밸브(72)를 개방하고, 함침원료탱크(70)에 저장된 용융 초콜릿을 챔버(10) 내로 공급되도록 함침원료탱크(70) 내의 펌프를 제어한다. 센서부(85)에 의해 탱크(11)에 채워진 용융 초콜릿이 원심바구니(60)의 위인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90)는 감압밸브(81)와 압력조절부(80)를 제어하여 탱크(11) 내부를 일정 시간 동안 감압 상태로 제어한다. 탱크(11) 내의 압력이 감압되면 탱크(11)에 채워진 용융 초콜릿이 건과자 내부의 기공으로 깊숙이 침투된다. 이후 컨트롤러(90)는 덮개(12)에 결합된 상압밸브(14)를 개방하여 탱크(11) 내의 압력을 상압으로 되돌린다(단계 S7).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감압 상태로부터 상압으로 되돌릴 때의 압력차에 의하여 건과자에 베어든 초콜릿이 건과자로 더욱 침투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90)는 압력조절부(80)와 가압밸브(82)를 제어하여 탱크(11) 내에 기체를 넣음으로써 탱크(11) 내부를 일정 시간 동안 가압 상태로 한 후 상압밸브(14)를 구동하여 탱크(11) 내의 압력을 상압으로 조절한다(단계 S8). 이러한 과정에 의해 가압 상태에서 탱크(11)에 채워진 용융 초콜릿은 바구니 몸체(61)에 담긴 건과자에 침투되며, 압력의 개방에 의해 건과자에 베어들지 않은 초콜릿 잉여분은 함침원료탱크(70)로 회수된다.
단계 S8에서 탱크(11)의 압력을 상압으로 조절한 컨트롤러(90)는 주입회수밸브(72)와 함침원료탱크(70)의 펌프를 제어하여 탱크(11) 안에 주입된 용융 초콜릿을 회수한다(단계 S9).
탱크(11) 내에 채워진 용융 초콜릿을 함침용액탱크(70)로 회수하도록 컨트롤러(90)는 상부모듈(40)에 설치된 원심모터(41)를 구동하여 건과자가 넣어진 원심바구니(60)를 회전시킴으로써 건과자에 부착된 초콜릿 잉여분을 원심분리된다(단계 S10). 즉, 원심모터(41)가 회전되면 동력전달기(43)을 통해 연결된 원심축(44)이 회전됨과 아울러 원심바구니(60)가 회전되면서 건과자 표면에 부착된 잉여분의 초콜릿이 원심분리되어 탱크(11)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단계 S10에서 원심분리에 의한 잉여분 초콜릿의 회수는 압력조절부(80)와 감압밸브(81)를 제어하여 탱크(11) 내의 압력이 감압된 상태에서 원심분리할 수도 있다. 감압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할 경우 상압 원심분리로 분리되지 않은 초콜릿을 제거할 수 있다.
원심분리를 행한 컨트롤러(90)는 덮개(12)에 설치된 상압밸브(14)를 개방하여 탱크(11)내의 압력을 상압상태로 조절한 후, 주입회수밸브(72)와 함침원료탱크(70)의 펌프를 제어하여 탱크(11) 안에 주입된 용융 초콜릿을 회수하여(단계 S11), 초콜릿 함침 과정을 종료한다.
이후, 상부모듈(40)을 상승시켜 챔버(10)의 덮개(12)를 개방한 후 회전모터(47)를 구동하여 바구니 몸체(61)를 작업대(W) 위에 정지시킨다. 작업대(W) 위에 정지된 바구니 몸체(61)에 있는 초콜릿 함침 건과자(초콜릿 과자)를 작업대에 쏟아 냉각하여 제품으로 포장한다.
삭제
상기한 실시예서는 승강기(30)를 구비한 예를 들었으나, 승강실린더(22)의 피스톤과 고정축(53)을 연결하여 승강기(30)의 구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회전모터(47)를 가지고 상부모듈(40)을 회전시키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부모듈(40)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초콜릿 함침 공정을 실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 초콜릿 함침장치 10 : 챔버 11 : 탱크
12 : 덮개 14 : 상압밸브 20 : 메인프레임
22 : 승강실린더 25 : 하부모듈 30 : 승강기
40 : 상부모듈 41 : 원심모터 42 : 회전축
43 : 동력전달기 44 : 원심축 45 : 개폐실린더
46 : 피스톤로드 47 : 회전모터 49 : 리프트 파이프
50 : 구동부 51 : 고정기어 52 : 구동기어
53 : 고정축 55 : 스러스트 베어링 60 : 원심바구니
61 : 바구니 몸체 62 : 뚜껑 63 : 슬라이더
64 : 연결로드 70 : 함침원료탱크 72 : 주입회수밸브
80 : 압력조절부 81 : 감압밸브 82 : 가압밸브
85 : 센서부 90 : 컨트롤러

Claims (2)

  1. 상부가 개구된 탱크(11)와, 상기 탱크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고 그 중심부에 원심축(44)이 관통 설치된 덮개(12)로 이루어진 챔버(10);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덮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상부모듈(40)과, 상기 상부모듈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승강되면서 덮개를 개폐하는 승강기(30)와, 상기 승강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승강기가 상하로 승강하도록 승강실린더(2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모듈을 승강시키는 하부모듈(25)을 포함하고, 그 전방에 작업대(W)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0);
    상기 탱크 내에 배치되고 중앙에 상기 원심축이 삽입 고정된 바구니 몸체(61)와, 상기 바구니 몸체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원심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더(63)에 고정된 뚜껑(62)으로 이루어진 원심바구니(60);
    상기 상부모듈 상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을 개폐 및 상기 바구니 몸체가 작업대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하는 원심바구니 구동수단;
    상기 챔버의 탱크로 용융 초콜릿을 주입하고 탱크 내의 초콜릿을 회수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탱크와의 사이에 주입회수밸브(72)가 구비된 함침원료탱크(70);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을 감압하거나 가압하도록 상기 탱크와의 사이에 감압밸브(81) 및 가압밸브(82)가 구비된 압력조절부(80);
    상기 탱크에 구비되고,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함침원료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85);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조작반(CONP)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제어수순에 따라 승강실린더(22), 주입회수밸브(72), 압력조절부(80), 감압밸브(81), 가압밸브(82) 및 원심바구니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바구니 구동수단은,
    상기 바구니 몸체(61) 내의 건과자 표면에 부착된 잉여 액상 초콜릿을 원심분리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원심모터(41);
    상기 뚜껑(62)을 개폐하도록 상기 슬라이더(6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개폐실린더(45); 및
    상기 바구니 몸체가 작업대(W)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모터(4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장치.
KR1020150163380A 2015-11-20 2015-11-20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KR10178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80A KR101785162B1 (ko) 2015-11-20 2015-11-20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80A KR101785162B1 (ko) 2015-11-20 2015-11-20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254A KR20170059254A (ko) 2017-05-30
KR101785162B1 true KR101785162B1 (ko) 2017-10-13

Family

ID=5905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380A KR101785162B1 (ko) 2015-11-20 2015-11-20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4312A (zh) * 2017-12-13 2018-04-06 晋江市恒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成型食品的真空渗透渗涂机
KR102504272B1 (ko) * 2022-01-03 2023-02-27 주식회사 에스아이웨어 혼합물 투입기
CN114849963B (zh) * 2022-04-14 2023-07-25 江苏旺达特种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浸渍罐压力控制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3265B2 (ja) * 2002-11-01 2009-02-12 明治製菓株式会社 被処理体の含浸処理方法
KR100922283B1 (ko) *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세척기
JP2009254267A (ja) 2008-04-15 2009-11-05 Ishii Motoko 青果長期保存方法及び青果長期保存装置
JP4673257B2 (ja) 2006-06-28 2011-04-20 明治製菓株式会社 含浸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3265B2 (ja) * 2002-11-01 2009-02-12 明治製菓株式会社 被処理体の含浸処理方法
JP4673257B2 (ja) 2006-06-28 2011-04-20 明治製菓株式会社 含浸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54267A (ja) 2008-04-15 2009-11-05 Ishii Motoko 青果長期保存方法及び青果長期保存装置
KR100922283B1 (ko) *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254A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162B1 (ko)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CN1026749C (zh) 用粘状食物完全包裹和密封块状食物以成球形食品的方法和设备
JP2847484B2 (ja) フライ食品の製造装置
JPS63119653A (ja) 成形菓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6644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shells of fat-containing, chocolate-like masses under pressure build-up
CN108000787B (zh) 一种鞋子成型设备
US485484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ast products
CN110250944A (zh) 一种豆制品制备设备
CN108652065B (zh) 一种膨化食品生产加工方法
KR200446989Y1 (ko) 아이스크림 압출장치
CN202106498U (zh) 一种变速响应胶囊蘸胶装置
JPH046322B2 (ko)
CN108584039B (zh) 一种膨化食品自动包装设备
CA3108788A1 (en) Beverage capsule, associated filling method, capsule filling apparatus and beverage
CN208119781U (zh) 一种龟苓膏包装瓶
CN206718357U (zh) 一种自动清除多余料头的模具
CN218578101U (zh) 一种多味花生包装机供料装置
CN218515180U (zh) 一种超声雾化法可控烟支滤嘴表面加香的装置
CN216678116U (zh) 一种糖果加工用的定量配比装置
CN216822880U (zh) 一种烹饪器具
CN115777821A (zh) 一种蜜饯提效温控渗糖的方法及其恒温渗糖设备
JP2589978B2 (ja) 充填成型品製造機
JPS63312114A (ja) 充填成型品製造機
CN115067371A (zh) 一种粗粮窝窝头自动加工装置
JP5313065B2 (ja) 液状物含浸食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