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725B1 -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725B1
KR101784725B1 KR1020150190591A KR20150190591A KR101784725B1 KR 101784725 B1 KR101784725 B1 KR 101784725B1 KR 1020150190591 A KR1020150190591 A KR 1020150190591A KR 20150190591 A KR20150190591 A KR 20150190591A KR 101784725 B1 KR101784725 B1 KR 10178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mart watch
keyboard
las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721A (ko
Inventor
이동구
현종민
김성훈
김헌준
손승호
진희훈
정재연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9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7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와,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스크린과, 몸체 내부에 위치하다가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메인스크린의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스크린과,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도록 하는 가상부와,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Dual screen smart watch with a laser keyboard}
본 발명은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에 휴대하여 다닐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워치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춘 손목시계로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와 연동이 가능하여 간단한 통화, 메시지 확인 등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 워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손목시계 크기의 터치스크린으로 인해 조작이 불편하고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503914호는 스마트 단말기의 글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복수 개의 글자들과 연동된 글자선택키를 가지는 가상키보드와, 상기 글자선택키를 통해 선택된 글자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글자선택키가 터치된 동안 상기 글자선택키에 연동된 글자들을 순차적으로 정보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글자선택키의 터치가 종료된 시점에 상기 정보표시부에 표시된 글자를 고정표시하는 글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자입력부는 상기 글자선택키가 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되는 터치신호를 확인하는 터치신호 발생확인모듈과, 상기 터치신호 발생확인모듈이 터치신호를 확인된 경우 상기 글자선택키에 연동된 글자들을 순차적으로 로테이션하여 정보표시부에 표시하는 글자 로테이션모듈과, 상기 글자 로테이션모듈에 의해 글자들의 로테이션 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더 이상 터치신호가 출력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터치신호 종료확인모듈과, 상기 터치신호 종료확인모듈이 더 이상 터치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고 확인한 경우 상기 터치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시점에 상기 정보표시부에 표시된 글자를 고정표시하는 글자 고정표시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글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스크린의 크기가 작은 스마트 워치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타이핑의 속도가 늦어 문장을 만드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50391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외부에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여 스크린과 키보드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 노출되는 스크린과 내부에 내장되는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에 내장된 스크린을 돌출시켜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내장되는 전원장치와 외부로 돌출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하여 장치의 사용시간을 늘리고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는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와,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스크린과, 몸체 내부에 위치하다가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메인스크린의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스크린과,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도록 하는 가상부와,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보조스크린의 하부면에는 전원장치 외에 추가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보조스크린의 하부에 부착된 배터리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가상부는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과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로 형성된 조절바와, 조절바의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를 발광시켜 가상의 키보드 형상을 구현시키는 표시장치와, 표시장치를 통해 구현된 가상의 키보드에 타이핑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도록 조절바의 끝단에 형성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몸체 하부에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여 건강상태나 운동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심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의하면 스크린 외부에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여 스크린과 키보드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의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스크린과 내부에 내장되는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에 내장된 스크린을 돌출시켜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의하면 내부에 내장되는 전원장치와 외부로 돌출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하여 장치의 사용시간을 늘리고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듀얼 스크린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가상 키보드를 형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하부에 심박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에 휴대하여 다닐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는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양 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된 밴드(11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메인스크린(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와,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도시되지 않음)와,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몸체(100)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0)는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어 몸체(100)의 상부에 메인스크린(200)이 안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통신부(도시되지 않음),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밴드(110)는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손목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스크린(200)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부 단말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있어 출력된 정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는 외부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외부 단말기에 전송된 정보를 동기화하고, 사용자가 메인스크린(200)을 터치하여 조작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장치이다.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여 휴대하는 도중에도 몸체(100)에 구비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충전케이블을 통해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외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에는 자기공명방식 또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시 별도의 충전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몸체(100)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며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에서 얻은 정보를 취합하여 메인스크린(200)으로 출력하도록 하고, 메인스크린(20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듀얼 스크린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는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00)와, 몸체(100) 상부에 형성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스크린(200)과, 몸체(100) 내부에 위치하다가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메인스크린(200)의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스크린(300)과, 몸체(100)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도록 하는 가상부(400)와,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조스크린(300)의 하부면에는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 외에 추가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터리(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조스크린(300)의 하부에 부착된 배터리(310)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배터리(310)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0)의 타측면에는 보조스크린(300)을 몸체(100)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푸시버튼(320)과, 가상의 키보드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타이핑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스크린(300)은 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푸시버튼(320)을 가압하여 푸시버튼(320)이 몸체(100) 내측으로 삽입되면 몸체(1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보조스크린(300)이 몸체(100)의 일측면 외부로 돌출하게 되고, 돌출된 후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보조스크린(300)이 몸체(100) 내부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조스크린(300)의 양 단에는 레일(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도시되지 않음)의 끝단에는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몸체(100) 내부에 있을 때와 몸체(100) 외부로 돌출될 때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푸시버튼(320)은 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동되어 푸시버튼(320)이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면 레일(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풀게 되며,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보조스크린(300)에 의해 압축된 탄성체(도시되지 않음)가 보조스크린(300)을 밀어 외부로 돌출시키게 된다.
보조스크린(300)이 돌출되면 몸체(100) 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레일(도시되지 않음)의 끝단이 고정되어 메인스크린(200)과 보조스크린(300)을 통해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스크린(300)의 하부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310)가 장착되어 있어 보조스크린(300)에 의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전력소모를 충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보조스크린(3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동되어 사용시간을 늘릴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보조스크린(300)이 몸체(100)의 일측면을 향해 돌출되면 보조스크린(300) 하부면에 부착된 배터리(310)를 보조스크린(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여분의 배터리(310)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배터리(310)를 교환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충전하지 않더라도 여분의 배터리(310)를 휴대함으로써 스마트 워치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가상 키보드를 형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가상부(400)는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과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로 형성된 조절바(410)와, 조절바(410)의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를 발광시켜 가상의 키보드 형상을 구현시키는 표시장치(420)와, 표시장치(420)를 통해 구현된 가상의 키보드에 타이핑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도록 조절바(410)의 끝단에 형성되는 감지센서(4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바(410)는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내부가 빈 원통으로 되어 있으며, 각 단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몸체(100) 내부에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바(410)의 각 단은 회전이 가능하고, 끝단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바(410)의 끝단에 형성된 표시장치(420)와 감지센서(430)가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장치(420)는 레이저를 사용자의 손등에 조사하거나 신체부위 외에 평면을 가지는 물체에 조사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장치로 출력된 레이저는 X, Y평면상에서 키보드의 이미지가 나타나게 한다.
감지센서(430)는 표시장치(420)를 통해 레이저로 출력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타이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X, Y좌표로 검출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검출된 좌표를 전송하게 되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좌표값에 따른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에 해당하는 글자를 메인스크린(200) 또는 보조스크린(300)에 출력하여 타이핑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감지센서(43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좌표값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이동시에는 표시장치(420)를 통해 손등에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출력하고 타이핑 할 수 있고, 주위에 평면이 있는 물체에 표시장치(420)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출력하여 타이핑 할 수도 있게 된다.
감도조절기(440)는 조절바(4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장치(420)와 감지센서(430)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장치(420)가 사용자의 손등이나 평면 물체에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출력할 때 거리에 따라 레이저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감지장치가 인식하는 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감도조절기(440)는 몸체(100) 타측면에 부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마우스 휠과 같이 회전할 때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하여 미세한 감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감도조절기(440)를 스마트 워치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장치(420) 또는 감지센서(430)의 감도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하부에 심박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의 몸체(100) 하부에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여 건강상태나 운동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심박센서(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심박센서(500)는 몸체(100)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과 밀착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동할 때 발생하는 심박수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 워치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 트레이닝이나 피트니스 코칭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혈압관리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실시간으로 심박수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심박수가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경우 의료기관 또는 응급구조대로 자동으로 연락을 취하고, 주위사람에게 응급상황을 알릴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에 의하면 스크린 외부에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여 스크린과 키보드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는 스크린과 내부에 내장되는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에 내장된 스크린을 돌출시켜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내장되는 전원장치와 외부로 돌출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하여 장치의 사용시간을 늘리고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 110 : 밴드
200 : 메인스크린 300 : 보조스크린
310 : 배터리 320 : 푸시버튼
400 : 가상부 410 : 조절바
420 : 표시장치 430 : 감지센서
440 : 감도조절기 500 : 심박센서

Claims (5)

  1.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스크린과;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다가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의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스크린과;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도록 하는 가상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부는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과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조절바와;
    상기 조절바의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를 발광시켜 가상의 키보드 형상을 구현시키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구현된 가상의 키보드에 타이핑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조절바의 끝단에 형성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하부에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여 건강상태나 운동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심박센서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스크린을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보조스크린이 상기 몸체 내부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스크린의 양 단에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스크린이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보조스크린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와;
    상기 몸체 타측면에 부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표시장치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강도 또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도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는 감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고정장치를 풀어 상기 보조스크린에 의해 압축된 탄성체가 상기 보조스크린을 밀어내 상기 보조스크린을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심박센서를 통해 심박수가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경우 의료기관 또는 응급구조대로 자동으로 연락을 취하고 주위사람에게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크린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장치 외에 추가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크린의 하부에 부착된 배터리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4. 삭제
  5. 삭제
KR1020150190591A 2015-12-31 2015-12-31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KR10178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91A KR101784725B1 (ko) 2015-12-31 2015-12-31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91A KR101784725B1 (ko) 2015-12-31 2015-12-31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721A KR20170079721A (ko) 2017-07-10
KR101784725B1 true KR101784725B1 (ko) 2017-10-12

Family

ID=5935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591A KR101784725B1 (ko) 2015-12-31 2015-12-31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7223B (zh) * 2018-12-17 2021-08-20 冯炳 一种基于人工智能的手持信息交互处理系统
CN111176104B (zh) * 2020-02-20 2021-09-10 重庆金康特智能穿戴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多屏智能手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803A (ja) * 2000-12-15 2002-08-30 Nokia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機能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703514B1 (ko) * 2006-04-07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듀얼 화면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803A (ja) * 2000-12-15 2002-08-30 Nokia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機能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703514B1 (ko) * 2006-04-07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듀얼 화면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721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8581B1 (en)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JP6583605B2 (ja) 運動情報生成装置及び運動情報生成方法、運動情報生成プログラム
JP5998780B2 (ja) 生体情報通知装置、生体情報通知方法及び生体情報通知プログラム
KR101367801B1 (ko) 손가락 재활 운동 장치 및 재활 운동 보조 방법
EP2278776A1 (en) Mobile terminal with pulse meter
CN104160686A (zh) 便携式电子设备和用于基于用户运动控制其操作的方法
JP2018534534A (ja) ウォッチケース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構成
JP2010231290A (ja) 頭部運動による入力装置及び方法
JP2008027121A (ja) 遠隔制御装置
KR101784725B1 (ko) 레이저 키보드를 이용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 워치
KR20170041537A (ko) 착용 및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운동 서비스 시스템
KR102172585B1 (ko) 스마트 미러를 구비한 다기능 운동장치
JP5928011B2 (ja) 救急医療支援システム
KR20140037454A (ko) 기능성 장갑
JP2014048691A (ja) リストバンド型入力デバイスおよびリストバンド型入力デバイスを用いた文字入力方法
JP4367852B2 (ja) 陸上競技走者用の走法習得装置
JP5879634B2 (ja) 身体活動測定装置
CN106999147A (zh) 系到容器的无线超声探头
KR101847770B1 (ko) 거북목 방지장치
JP2011139827A (ja) 手首血圧計
WO2013046518A1 (ja) 歩行訓練支援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10098574A1 (en) Patient position monitoring apparatus
CN110874461A (zh) 本人认证系统及具备该本人认证系统的装置
JP2016085554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5167673A (ja) 測定支援装置、測定支援方法、測定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