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68B1 -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68B1
KR101784168B1 KR1020150169864A KR20150169864A KR101784168B1 KR 101784168 B1 KR101784168 B1 KR 101784168B1 KR 1020150169864 A KR1020150169864 A KR 1020150169864A KR 20150169864 A KR20150169864 A KR 20150169864A KR 101784168 B1 KR101784168 B1 KR 10178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member
unit
camera unit
preview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283A (ko
Inventor
차동영
차승영
Original Assignee
차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영 filed Critical 차승영
Priority to KR102015016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64C2201/1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회전에 의하여 본체를 비행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와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카메라부의 프리뷰 영상 내에 위치하거나 프리뷰 영상 밖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된 드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Drone and Picture-taking method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셀프 촬영을 위한 셀피 스틱(selfie stick)(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셀프 촬영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셀피 스틱(1)에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시키고,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부가 사용자 측을 향하도록 소정 위치에 셀피 스틱을 통해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셀피 스틱(1)은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는 셀피 스틱(1)의 길이 조절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쉽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카메라부의 타이머 기능 또는 카메라부에서 인식 가능한 특정 제스쳐 등을 이용함으로써 셀프 촬영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셀피 스틱(1)은 사용자가 손으로 셀피 스틱(1)의 핸들부를 쥐고,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셀프 촬영 시 한쪽 팔로 셀피 스틱(1)을 쥐고 있는 모습이 촬영 영상에 포함되고, 경우에 따라 셀피 스틱(1)이 사진에 함께 찍히는 문제가 있었다.
정리하면, 기존 셀피 스틱(1)으로는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포즈로 셀프 촬영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셀프 촬영 시, 카메라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자유로운 포즈로 셀프 촬영을 할 수 있는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된 카메라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회전에 의하여 본체를 비행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카메라부의 프리뷰(preview) 영상 내에 위치하거나 프리뷰 영상 밖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된 드론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된 브라켓;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회전에 의하여 본체를 비행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부의 프리뷰 영상 내에 위치하거나 프리뷰 영상 밖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된 드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드론을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특정 촬영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a)와 촬영 위치에서, 드론을 작동시키는 단계 (b)와 지지부재를 카메라부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c) 및 카메라부를 작동시키는 단계 (d)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촬영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종래 셀피 스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카메라부가 마련된 드론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는 드론의 본체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드론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카메라부일 수 있다. 이때, 드론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촬영 위치에서 위치된 드론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지지부재가 이탈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는 그 길이가 조절되거나, 소정 방향 및 소정 각도로 회전되거나, 드론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유로운 포즈로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셀프 촬영을 위한 셀피 스틱(selfie stick)(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드론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카메라부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한 지지부재의 일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드론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문서에는 드론은 일반적인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를 의미하며, 주지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론은 회전 날개들의 회전을 통해 비행 및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며, 출력 밸런스 조정을 통해 소정 위치에서 정지 비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원격 제어기로 원격에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기는 드론을 조정하기 위한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도 있고, 드론 제어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기와 드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촬영’이란 용어는, ‘사진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드론(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론(100)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드론(100)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마련된 카메라부(120) 및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며, 회전에 의하여 본체를 비행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날개(13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 날개(130)들의 출력 밸런스 조정을 통해 본체(110)의 정지 비행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에서는 회전 날개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회전 날개(130)들의 회전에 의해 비행 및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소정 위치(예를 들어, 촬영 위치)에서 정지 비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회전 날개(130)는 본체(110)의 둘레 방향(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20)는 소정 화소를 갖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며, 카메라부(12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10)에 카메라부(120) 측에는 플래쉬(피사체로 빛을 제공)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100)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110)에 탑재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17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본체(110)의 비행 및 촬영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배터리는 본체(110)에 마련되고,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보조 배터리는 지지부재(1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20)가 본체(11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드론(100) 구동 및 카메라부(120)의 촬영을 위한 전원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100)은 회전 날개(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40) 및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부(120) 및 구동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40)는 회전 날개(130)의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40)는 회전 날개(130) 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100)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0)는 종래 셀피 스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200)의 일 종단부는 본체(110) 측에 장착되고, 지지부재(200)의 타 종단부에는 핸들부(20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핸들부(201)를 쥐고, 지지부재(200)와 연결된 본체(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00)는 복수 개의 단위 로드(rod)(202)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인접하는 2개의 단위 로드(202)는 삽입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삽입된 길이에 따라 단위 로드(20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지지부재(2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0)에는 구동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8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180)는 지지부재(200)의 핸들부(201)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80)는 구동부(140)의 온(On)/오프(Off)를 위한 스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재(200)의 핸들부(201)를 잡고, 드론(100)을 촬영 위치로 이동시킨 후, 핸들부(201) 측에 마련된 스위치(18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180)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40)가 작동됨으로써, 복수 개의 회전 날개(130)가 회전되며, 드론(100)이 구동 및 비행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스위치(180)에 의해 드론(100)이 구동될 때, 회전 날개(130)들의 출력 밸런스 조정을 통해 본체(110)의 정지 비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시킨 촬영 위치로부터 드론(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150)는 회전 날개(130)들의 출력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원하는 촬영 위치에 드론(100)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200)는 소정 길이를 가져야만 하며, 경우에 따라, 카메라부(200)의 프리뷰 영상(촬영을 위한 준비 영상)에 지지부재(20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카메라부(200)의 화각(view angle)에 지지부재(200)가 속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200)는, 카메라부(120)의 프리뷰(preview) 영상 내에 위치하거나 프리뷰 영상 밖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200)는, 스위치(180)의 조작에 의해, 복수 개의 회전 날개(130)의 회전에 의해 드론(100)이 정지 비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카메라부(120)의 프리뷰(preview) 영상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된다.
도 4 내지 도 7은 카메라부(120)의 프리뷰 영상(또는 화각)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한 지지부재(200)의 일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인접하는 단위 로드(202) 간의 삽입 마찰력을 통해 조절된 길이가 유지되거나, 예를 들어, 모터 또는 링크 메커니즘을 통해 자동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 또는 링크 메커니즘 등이 내장된 연결 모듈(210)을 통해 지지부재(200)가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본체(110)에 일 종단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20)는 회전됨으로써 카메라부의 화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200)는 힌지(hinge) 메커니즘이 마련된 연결 모듈(210)을 통해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200)는 회전 날개의 축 방향(C)과 평행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론(100)의 이륙 및 착륙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가정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02)는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200)는 회전 날개의 축 방향(C)과 수직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론(100)의 이륙 및 착륙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가정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02)는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20)는 연결 모듈(2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210)에는 지지부재(2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locking) 메커니즘과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메커니즘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무선 통신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90)와 통신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되며, 본체(110)의 카메라부(120)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기(10)는 드론의 비행 상태 및 카메라부(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10)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카메라부(120)의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카메라부(120)의 프리뷰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기(10)를 통해 제1 제어 명령이 입력될 때, 지지부재(200)가 카메라부(120)의 프리뷰 영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지지부재(200)의 길이가 조절되거나, 지지부재(200)가 본체를 중심으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지지부재(20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모듈(210)을 통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210)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기(10)의 제1 제어명령이 본체(110)의 제어부(150)로 수신되면, 연결 모듈(210)은 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줄이거나, 지지부재(200)를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지지부재(20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00)의 이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체(110)에는 프리뷰 영상에 지지부재(200)가 포함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감지된 결과에 따라 지지부재(200)의 조절 길이, 회전 방향 또는 회전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기(10)를 통해 제2 제어 명령이 입력될 때, 카메라부(120)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스위치(180)가 조작되어 드론(100)이 비행하게 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별도의 제어명령의 입력 없이도, 지지부재(200)가 카메라부(120)의 화각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핸들부(201)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201)는 전술한 원격 제어기(1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10)를 구성하는 핸들부(201)를 조작하여 드론(100)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201)에 마련된 원격 제어기는 드론을 조정하기 위한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01) 측에는 핸들부(201)를 지지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분리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핸들부(201)를 쥐고, 원하는 촬영 위치에 드론(100)을 위치시키고, 핸들부(201)를 지지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킨 후, 핸들부(201)를 원격 제어기로 사용하여 드론(100) 및 카메라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드론(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통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드론(100)에는 카메라부(120)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드론(100)에 내장된 카메라부(120)를 통해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8을 통해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할 드론(100)에는 카메라부(12)를 갖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할 수 있는 브라켓(160)이 마련되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를 드론(100)에 장착시키고,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부(12)를 통해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요약하면, 브라켓(160)이 본체(110)에 추가로 마련되고,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부(12)를 통해 촬영이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지지부재(200)의 작동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드론(100)은 본체(110) 및 카메라부(12)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10)가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마련된 브라켓(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론(100)은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며, 회전에 의하여 본체(110)를 비행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130)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200)와 회전 날개(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40)와 상기 지지부재(200)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8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60)은 휴대용 단말기(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0)에 스위치(180)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10)와는 별개의 원격 제어기를 통해 드론(10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부(12)의 프리뷰 영상 내에 위치하거나 프리뷰 영상 밖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된다.
이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갖는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촬영방법은, 상기 드론(100)을 지지부재(200)를 이용하여 특정 촬영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a)(S101)와, 상기 촬영 위치에서, 드론을 작동시키는 단계 (b)(S102)와, 상기 지지부재(200)를 카메라부(120 또는 12)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c)(S103) 및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키는 단계 (d)(S104)를 포함한다.
단계 (b)에서, 지지부재(200)에 마련된 스위치(180) 또는 별도의 원격 제어기를 통해 드론(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드론(100)이 작동되면, 회전 날개(130)들의 출력 밸런스 조정을 통해 본체(110)의 정지 비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시킨 촬영 위치로부터 드론(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150)는 회전 날개(130)들의 출력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를 통해 정지 비행 상태의 드론(100)의 위치를 다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계 (c)에서, 지지부재(200)가 카메라부(120 또는 12)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지지부재(200)의 길이가 조절되거나, 지지부재(200)가 드론(1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지지부재(200)가 드론(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원격 제어기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제어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단계 (c)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2 제어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단계 (d)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킴으로써 드론(1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드론(100)의 모션이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술한 스위치(180)를 누른 상태에서, 지지부재(200)를 통해 드론(100)을 이동시키면, 이후 드론(100)이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하도록 이동 궤적이 본체(110)의 메모리부를 통해 저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셀피 스틱
10: 휴대용 단말기
100: 드론
110: 본체
120: 카메라부
130: 회전 날개
140: 구동부
150: 제어부
160: 브라켓
170: 전원 공급부
180: 스위치
200: 지지부재
210: 연결 모듈

Claims (10)

  1. 본체;
    본체에 마련된 무선 통신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카메라부;
    상기 무선 통신부와 통신 연결되며, 본체의 카메라부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회전에 의하여 본체를 비행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카메라부의 프리뷰(preview) 영상 내에 위치하거나 프리뷰 영상 밖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되고,
    원격 제어기를 통해 제1 제어 명령이 입력될 때, 지지부재가 카메라부의 프리뷰 영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프리뷰 영상 밖으로 이탈되며,
    원격 제어기를 통해 제2 제어 명령이 입력될 때, 카메라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드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제1 제어 명령이 입력될 때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드론.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제1 제어 명령이 입력될 때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본체에 일 종단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론.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제1 제어 명령이 입력될 때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드론.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에는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마련된 드론.
  6. 제 1 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부의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드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69864A 2015-12-01 2015-12-01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KR10178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64A KR101784168B1 (ko) 2015-12-01 2015-12-01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64A KR101784168B1 (ko) 2015-12-01 2015-12-01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83A KR20170064283A (ko) 2017-06-09
KR101784168B1 true KR101784168B1 (ko) 2017-10-11

Family

ID=5922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864A KR101784168B1 (ko) 2015-12-01 2015-12-01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58B1 (ko) 2018-02-06 2018-06-21 장호식 하천측량용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고정익 무인항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4092B (zh) * 2021-02-03 2023-07-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58B1 (ko) 2018-02-06 2018-06-21 장호식 하천측량용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고정익 무인항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83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5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load stabilization
JP6755966B2 (ja) 複数の無人航空ビークルを使用する画像化
CN109070989B (zh) 可折叠无人飞行器
JP6283425B2 (ja) 無人航空機
US11027840B2 (en) Autonomous self-stabilizing aerial system and method
US20190291864A1 (en) Transformable apparatus
JP6185189B2 (ja) 着陸装置とこの着陸装置を使用する航空機
US8272593B2 (en) Rotational bottom blade type flight vehicle
JP6287648B2 (ja) 手持ち撮影可能な撮像装置
JP6794600B2 (ja) 光学フィルタ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移動体
KR101784168B1 (ko)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JP6213968B2 (ja) 撮影ユニット
US11008095B2 (en) Foldable rotor blade assembly and aerial vehicle with a foldable rotor blade assembly
WO2019062139A1 (zh) 一种无人飞行器
KR20170009272A (ko)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KR101967802B1 (ko) 케이블 로봇과 드론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촬영 시스템
CN106516140A (zh) 一种具有航拍功能的飞行器
KR101907895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WO2019205125A1 (zh) 增稳装置和手持云台装置
CN107209441B (zh) 驱动装置、云台、拍摄设备和无人飞行器以及可移动设备
KR20230132677A (ko) 드론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방법
KR20170087268A (ko) 드론 장착용 촬영장치
KR102095099B1 (ko) 조이스틱을 갖는 스마트폰용 삼각대
CN215420504U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CN217825073U (zh) 控制装置以及拍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