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974B1 -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974B1
KR101783974B1 KR1020160094994A KR20160094994A KR101783974B1 KR 101783974 B1 KR101783974 B1 KR 101783974B1 KR 1020160094994 A KR1020160094994 A KR 1020160094994A KR 20160094994 A KR20160094994 A KR 20160094994A KR 101783974 B1 KR101783974 B1 KR 101783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video stream
video
reference tim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남
김은혜
권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6009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1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comprising local storage units
    • H04N21/2182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comprising local storage units involving removable storage units, e.g. tertiary storage such as magnetic tapes or optical dis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7/3078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는, 영상의 저장 및 관리를 위해, 제1 트랙(track)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트랙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저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제1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1 트랙에 저장한다.

Description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저장서버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카메라 영상의 녹화 시간은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의 기준시간에 기초해 결정된다. 영상저장서버에 카메라 영상이 저장될 때, NTP 서버 기준시간 변경 또는 사용자 시간 변경 등으로 인해, 카메라 영상의 녹화 시간이 중복되어 저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가 영상재생장치인 영상뷰어로부터 특정 시간의 영상을 요청 받은 경우에, 만약 영상데이터의 녹화 시간이 중복되어 있다면, 영상저장서버는 어느 영상을 제공해야 할지 알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영상저장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데이터의 녹화 시간이 중복되더라도, 녹화 영상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상 녹화 시간의 중복과 상관없이 녹화 영상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해 녹화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은, 영상의 저장 및 관리를 위해, 제1 트랙(track)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트랙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제1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1 트랙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은, 상기 영상 저장 장치의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 network time protocol)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제2 트랙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트랙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랙을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제2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2 트랙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랙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 간의 생성 순서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 시간을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NTP 서버에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주기에 따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상기 NTP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은, 제1 장치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타겟 트랙 식별자와 타겟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트랙 식별자 리스트에서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를 검색하여,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스트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 이후의 시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스트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이 상기 제1 장치에 전송된 경우에,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 이후에 생성된 제1 트랙 식별자가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랙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생성 순서로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와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의 각 트랙 식별자 별 전체 녹화 기간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저장된 시간을 이용해,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저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는, 제1 트랙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이 제1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1 트랙에 저장하고,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제2 트랙을 생성하는 트랙 관리부; 및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 network time protocol)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판단하는 기준시간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시간 관리부는,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시간을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2 트랙 생성 이후에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변경된 제1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2 트랙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는 영상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을 상기 영상 저장소에 생성하고,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 간의 생성 순서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 관리부는, 상기 NTP 서버에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주기에 따라 요청하여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상기 NTP 서버로부터 응답 받고, 상기 제1 기준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는, 상기 트랙 관리부에 의해 생성된 모든 트랙의 트랙 식별자를 포함하는 트랙 식별자 리스트를 제1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는 상기 제1 트랙의 트랙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1 장치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타겟 트랙 식별자와 타겟 시간이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상기 모든 트랙의 트랙 식별자 중에서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를 검색하여,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스트림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통신기는, 상기 제2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기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 이후의 시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영상 스트림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2 영상 스트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영상 스트림이 상기 제1 장치에 전송된 경우에,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 이후에 생성된 제1 트랙 식별자가 상기 모든 트랙의 트랙 식별자 중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기는, 상기 제1 트랙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영상의 녹화 시간이 중복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카메라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이를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 영상의 녹화 시간이 중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재생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 영상의 녹화 시간이 중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카메라(10), NTP 서버(20), 그리고 영상저장서버(30)가 예시되어 있다.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스트림(STR1, STR2, STR3, ...)은 영상저장서버(30)로 전송된다. 카메라(10)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10)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30)는 카메라(10)의 영상 스트림(STR1, STR2, STR3, STR4, STR5)을, 시간 순으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저장서버(30)는 자신의 기준시간을 NTP 서버(20)의 기준시간에 동기화하고, 영상저장서버(30)에 저장되는 영상 스트림(STR1~STR5)의 녹화 시간은 영상저장서버(30)의 기준시간에 기초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영상 스트림(STR1)의 녹화 시간은 영상 스트림(STR2)의 녹화 시간 보다 빠르고, 영상 스트림(STR2)의 녹화 시간은 영상 스트림(STR3)의 녹화 시간 보다 빠르다.
하지만 영상저장서버(30)의 기준시간 변경으로 인해, 카메라 영상의 녹화 시간이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저장서버(30)와 NTP 서버(20) 간의 시간 동기화에 오류가 발생하여 영상저장서버(30)의 기준시간이 과거 시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시간에 대한 동기화에 오류가 발생하여 영상저장서버(30)의 기준시간이 과거 시간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영상 스트림(STR4, STR5)의 녹화 시간이 다른 영상 스트림(STR2, STR3)의 녹화 시간과 중복될 수 있다. 즉, 영상 스트림(STR4, STR5)이 영상 스트림(STR2, STR3) 이후에 촬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저장서버(30)에 저장되는 영상 스트림(STR2~STR5)의 녹화 시간이 서로 중복될 수 있다.
영상 스트림(STR4, STR5)의 녹화 시간이 다른 영상 스트림(STR2, STR3)의 녹화 시간과 중복되는 경우에, 영상 재생 시에 재생 오류(즉,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전송되지 않음)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영상의 녹화 시간이 중복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카메라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자동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저장장치(100)는 트랙 관리부(110), 기준시간 관리부(120), 통신기(130), 영상 저장소(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트랙 관리부(110)는 가상의 영상 저장 관리 영역인 트랙(track)을 설정하고 이를 관리한다. 각 트랙은 식별자(ID)를 가진다. 하나의 트랙은 NTP 서버(20)의 기준시간 하나 또는 영상저장장치(100)의 기준시간 하나에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 ID #1은 NTP 서버(20)의 기준시간 #1에 대응하고, 다음 트랙 ID #2은 NTP 서버(20)의 다음 기준시간 #2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트랙 관리부(110)는 NTP 서버(20)의 기준시간이 변경되면, 새로운 트랙을 생성한 후 해당 트랙에 트랙 ID를 할당한다.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을 관리한다. 즉,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은 하나의 트랙에 속한다.
기준시간 관리부(120)는 영상저장장치(100)의 기준시간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기준시간 관리부(120)는 영상저장장치(100)의 기준시간을 NTP 서버(20)의 기준시간에 동기화한다. 이하에서는 영상저장장치(100)의 기준시간을 '영상 기준시간'이라 하고, NTP 서버(20)의 기준시간을 'NTP 기준시간'이라 한다.
통신기(13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통신기(130)는 NTP 서버(20), 카메라(10), 및 영상재생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 저장소(140)는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영상 스트림)를, 트랙 관리부(110)의 제어에 기초해 저장한다.
프로세서(150)는 본 명세서에서 영상 저장 및 영상 재상과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동작,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영상저장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영상저장서버(101)는 상술한 영상저장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영상의 저장 및 관리를 위한 트랙을 영상 저장소(140)에 생성하고, 해당 트랙에 트랙 ID(TID#n)을 할당한다(S10). 예를 들어, 트랙 관리부(110)는 트랙 ID(TID#1)를 가지는 트랙을 영상 저장소(140)에 생성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입력되는 영상 스트림과 해당 영상 스트림의 녹화 시간을 트랙 ID(TID#n) 별로,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영상 저장소(140)에 저장한다(S11). 여기서, 영상 스트림의 녹화 시간은 영상 기준시간에 기초해 결정되는 영상저장서버(101)의 현재 시간일 수 있다. 즉, 영상 스트림의 녹화 시간은 영상 기준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으로써, 영상 스트림이 영상저장서버(101)에 저장되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저장서버(101)가 카메라(10)의 영상 스트림(STR1~STR3)을 통신기(130)를 통해 수신한 경우에, 트랙 관리부(110)는 트랙 ID(TID#1)를 가지는 트랙에, {(영상 스트림(STR1), 영상 스트림(STR1)의 녹화 시간), (영상 스트림(STR2), 영상 스트림(STR2)의 녹화 시간), (영상 스트림(STR3), 영상 스트림(STR3)의 녹화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상 스트림(STR1~STR3)의 녹화 시간은 각 영상 스트림(STR1~STR3)이 영상저장서버(101)에 저장되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스트림(STR1)의 녹화 시간은 10:00 AM을, 영상 스트림(STR2)의 녹화 시간은 10:05 AM을, 그리고 영상 스트림(STR3)의 녹화 시간은 10:10 AM을 나타낼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기준시간 관리부(120)를 통해, NTP 서버(20)에 NTP 기준시간을 요청하여 응답 받는다(S12, S13). 구체적으로 기준시간 관리부(120)는 주기적으로 NTP 서버(20)에게 NTP 기준시간을, 통신기(130)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NTP 기준시간에 기초해, 영상 기준시간을 변경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S14). 예를 들어, 기준시간 관리부(120)는 S13 과정에서 응답받은 NTP 기준시간이 영상저장서버(101)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NTP 기준시간과 동일한 경우(영상 기준시간이 S13 과정에서 응답받은 NTP 기준시간에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 영상 기준시간을 변경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영상저장서버(101)는 S11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즉, 영상저장서버(101)는 영상 스트림을 추가로 입력 받은 경우에, 해당 영상 스트림을 트랙 ID(TID#1)의 트랙에 추가한다.
다른 예를 들어, 기준시간 관리부(120)는 S13 과정에서 응답받은 NTP 기준시간이 영상저장서버(101)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NTP 기준시간과 다른 경우(영상 기준시간이 S13 과정에서 응답받은 NTP 기준시간에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영상 기준시간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 영상저장서버(101)는 S15, S16, S17, 및 S18 과정을 수행한다.
영상저장서버(101)는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새로운 트랙을 영상 저장소(140)에 생성하고, 해당 트랙에 트랙 ID(TID#n+1)을 할당한다(S15). 예를 들어, 트랙 관리부(110)는 트랙 ID(TID#2)를 가지는 트랙을 영상 저장소(140)에 생성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트랙 ID들 간의 생성 순서를 관리한다(S16). 예를 들어, 트랙 관리부(110)는 기존의 트랙 ID(TID#1)와 새롭게 생성된 트랙 ID(TID#2) 간의 생성 선후 관계를 관리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기준시간 관리부(120)를 통해 영상 기준시간을, S13 과정에서 응답받은 NTP 기준시간에 기초해 변경한다(S17). 예를 들어, 기준시간 관리부(120)는 S13 과정에서 응답받은 NTP 기준시간에 영상 기준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입력되는 영상 스트림과 해당 영상 스트림의 녹화 시간을 트랙 ID(TID#n+1) 별로,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영상 저장소(140)에 저장한다(S18). 예를 들어, 영상저장서버(101)가 트랙 ID(TID#2)의 트랙을 생성한 이후에 카메라(10)의 영상 스트림(STR4~STR6)을 통신기(130)를 통해 수신한 경우에, 트랙 관리부(110)는 트랙 ID(TID#2)의 트랙에, {(영상 스트림(STR4), 영상 스트림(STR4)의 녹화 시간), (영상 스트림(STR5), 영상 스트림(STR5)의 녹화 시간), (영상 스트림(STR6), 영상 스트림(STR6)의 녹화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상 스트림(STR4~STR6)의 녹화 시간은 S17 과정에서 변경된 영상 기준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으로써, 각 영상 스트림(STR4~STR6)이 영상저장서버(101)에 저장되는 시간일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S12~S18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트랙(TID#1, TID#2, TID#3, ..., TID#N)이 생성될 수 있다. 다수의 트랙(TID#1, TID#2, TID#3, ..., TID#N)은 트랙 관리부(110)에 의해 생성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결국, 영상저장서버(101)는 트랙 별로 영상 스트림을 영상 저장소(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재생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영상뷰어(200)는 상술한 영상재생장치일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통신기(130)를 통해, 트랙 ID 리스트를 영상뷰어(200)에게 전달한다(S20). 여기서 트랙 ID 리스트는, 생성 순서로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 ID를 포함한다. 또한 트랙 ID 리스트는 트랙 ID 별 영상 저장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 ID 리스트는 {(TID#1, SP#1), (TID#2, SP#2), ..., (TID#N, SP#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상 저장 기간(SP#1, SP#2, ..., SP#N)은 각 트랙 ID(TID#1, TID#2, ..., TID#N)에 속하는 영상 스트림들의 전체 녹화 기간(예, 24시간, 30일, 또는 특정 날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영상뷰어(200)는 연속적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에 해당하는 트랙 ID(타겟 트랙 ID)와 요청시간(request time)(타겟 시간)을 영상저장서버(101)에 전송하여, 연속적인 녹화 영상을 요청한다(S21). 예를 들어, 영상뷰어(200)는 특정 시간(예, 10:05 AM) 이후의 영상을 연속으로 재생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해당 영상을 위한 트랙 ID(TID#i)와 요청시간(RQT#j)을 영상저장서버(101)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시간(RQT#j)은 영상뷰어(200)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스트림의 녹화 시간(예, 10:05 AM)을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영상뷰어(200)가 S21 과정에서 (TID#1, RQT#2)를 영상저장서버(101)에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영상저장서버(101)는 S21 과정에서 전달 받은 트랙 ID(TID#1)를,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검색한다(S22). 예를 들어, 트랙 관리부(110)는 트랙 ID 리스트에서 즉, 영상 저장소(140)에 저장된 트랙들의 트랙 ID(TID#1, TID#2, ..., TID#N) 중에서 트랙 ID(TID#1)를 검색할 수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S22 과정에서 검색된 트랙 ID(TID#1)가 관리하는 녹화 구간(즉, 트랙 ID(TID#1)에 속하는 녹화 구간) 중에서 S21 과정에서 전달 받은 요청시간(RQT#2)에 해당하는 녹화 구간(또는 녹화 시간)을,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검색한다(S23). 도 4의 예시에서, 트랙 ID(TID#1)에 속하는 녹화 구간은 영상 스트림(STR1)의 녹화 시간, 영상 스트림(STR2)의 녹화 시간, 및 영상 스트림(STR3)의 녹화 시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상저장서버(101)는 기 저장된 녹화 시간들 즉, 영상 스트림(STR1)의 녹화 시간, 영상 스트림(STR2)의 녹화 시간, 및 영상 스트림(STR3)의 녹화 시간을 이용해, 요청시간(RQT#2)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을 검색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요청시간(RQT#2)이 영상 스트림(STR2)의 녹화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영상저장서버(101)는 (TID#i, RQT#j)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을, 영상뷰어(200)에게 통신기(130)를 통해 전송한다(S24). 예를 들어, 영상저장서버(101)는 (TID#1, RQT#2)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STR2)을 영상뷰어(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저장서버(101)는 영상 저장소(140)에 저장된 영상 스트림들 중에서 요청시간(RQT#2) 이후의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 모두(STR3, STR4, STR5, ...)를 영상뷰어(200)에게 전송한다(S25, S26, S27, S28).
구체적으로 영상저장서버(101)는 트랙 ID(TID#1)가 관리하는 영상 스트림(STR1~STR3) 중에서 요청시간(RQT#2)과 요청시간(RQT#2) 이후의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STR2, STR3)이 모두 전송되었는지를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확인한다(S25).
만약 트랙 ID(TID#1)에 관한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영상저장서버(101)는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전송 대상(타겟) 요청시간(RQT)을 다음 레벨 값(RQT#j+1)으로 증가시킨다(예, RQT=RQT+1)(S26). 그리고 증가된 요청시간(RQT#j+1)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을 영상뷰어(200)에게 전송한다(S24). 예를 들어, 영상저장서버(101)는 요청시간(RQT#2) 다음의 요청시간(RQT#3)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STR3)을 영상뷰어(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트랙 ID(TID#1)에 관한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 영상저장서버(101)는 전송 완료된 트랙 ID(TID#1) 다음의 트랙 ID(TID#2, TID#3, ..., TID#N)가 존재하는지를 트랙 관리부(110)를 통해 확인한다(S27).
트랙 관리부(110)는 트랙 ID 간의 생성 선후 관계에 기초해, 전송 완료된 트랙 ID(TID#1) 다음의 트랙 ID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 관리부(110)가 영상 저장소(140)에 저장된 트랙 중에서 전송 완료된 트랙 ID(TID#1) 다음의 트랙 ID(TID#2)에 해당하는 트랙을 확인한 경우에, 전송 대상(타겟) 트랙 ID(TID)를 다음 레벨 값(TID#2)으로 증가시킨다(예, TID=TID+1)(S28). 그리고 영상저장서버(101)는 증가된 트랙 ID(TID#2)에 속하는 모든 영상 스트림(STR4~STR6)을 영상뷰어(200)에게 전송한다(S24~S26). 도 4에는, 트랙 ID(TID#2)에 영상 스트림(STR4~STR6)이 속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영상저장서버(101)는 전송 완료된 트랙 ID(TID#2) 다음의 나머지 TID(TID#3, TID#4, ..., TID#N)에 대해서도, S24~S28 과정을 수행한다.
결국, 영상저장서버(101)는 영상뷰어(200)로부터 전달받은 트랙ID(TID#i)와 요청시간(RQT#j)에 해당하는 영상과 해당 영상 이후의 영상들을 연속적으로 영상뷰어(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재생장치(20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재생장치(201)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통신기(2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본 명세서에서 영상 재생과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동작,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영상재생장치(20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2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기(23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고,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통신기(230)는 영상저장장치(100)와 통신한다.
도 4의 영상뷰어(200)는 영상재생장치(20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으로서,
    영상의 저장 및 관리를 위해, 제1 트랙(track)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트랙을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제1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1 트랙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저장 장치의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 network time protocol)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제2 트랙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트랙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제2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2 트랙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 트랙은 상기 제1 값에 매칭되고 상기 제2 트랙은 상기 제2 값에 매칭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랙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 간의 생성 순서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 시간을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NTP 서버에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주기에 따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상기 NTP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
  6.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 network time protocol)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시간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값에 매칭되는 제1 트랙과 다르며 상기 제2 값에 매칭되는 제2 트랙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제2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2 트랙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랙을 나타내는 트랙 식별자와 상기 제2 트랙을 나타내는 트랙 식별자를 포함하는 트랙 식별자 리스트를,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타겟 트랙 식별자와 타겟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에서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를 검색하여,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스트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 이후의 시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스트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이 상기 제1 장치에 전송된 경우에,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 이후에 생성된 제1 트랙 식별자가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랙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트랙 식별자들은 생성 순서에 따라 정렬되고,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를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트랙 식별자 리스트의 각 트랙 식별자 별 전체 녹화 기간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저장된 시간을 이용해, 상기 제1 영상 스트림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재생 방법.
  11. 제1 트랙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스트림 각각이 제1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1 트랙에 저장하고,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제2 트랙을 생성하는 트랙 관리부; 및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 network time protocol)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시간을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기초해 변경하는 기준시간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2 트랙의 생성 이후에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변경된 제1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트랙에 저장되는 시간과 함께 상기 제2 트랙에 저장하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 트랙은 상기 제1 값에 매칭되고 상기 제2 트랙은 상기 제2 값에 매칭되는
    영상 저장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영상 저장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을 상기 영상 저장소에 생성하고,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 간의 생성 순서를 관리하는
    영상 저장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간 관리부는,
    상기 NTP 서버에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주기에 따라 요청하여 상기 제2 기준 시간을 상기 NTP 서버로부터 응답 받고, 상기 제1 기준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시간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영상 저장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관리부에 의해 생성된 모든 트랙의 트랙 식별자를 포함하는 트랙 식별자 리스트를 제1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1 장치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타겟 트랙 식별자와 타겟 시간이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상기 모든 트랙의 트랙 식별자 중에서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를 검색하여,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을 판단하는
    영상 저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에 대응하는 제3 영상 스트림을 검색하고,
    상기 통신기는,
    상기 제3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저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는,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상기 타겟 시간 이후의 시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영상 스트림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저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관리부는,
    상기 제3 영상 스트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영상 스트림이 상기 제1 장치에 전송된 경우에, 상기 타겟 트랙 식별자 이후에 생성된 제1 트랙 식별자가 상기 모든 트랙의 트랙 식별자 중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기는,
    상기 제1 트랙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트랙 식별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스트림 모두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저장 장치.
KR1020160094994A 2016-07-26 2016-07-26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783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94A KR101783974B1 (ko) 2016-07-26 2016-07-26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94A KR101783974B1 (ko) 2016-07-26 2016-07-26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974B1 true KR101783974B1 (ko) 2017-10-10

Family

ID=6019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994A KR101783974B1 (ko) 2016-07-26 2016-07-26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97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054B1 (ko) 프레임적으로 정확한 컨텐츠 수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낮은 레이트 핑거프린팅을 사용하는 보간을 기반으로 하는 시간 맵핑의 확립 및 사용
CN107231581B (zh) 用于视频播放的方法、系统及流媒体播放控制服务器
JP5868918B2 (ja) ビデオストリームのプレビューおよび再生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5102194A (ja) サービ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20070192797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tributed contents
CN104052562A (zh) 允许回放装置对流传输内容执行同步回放的方法和设备
JP2017135539A (ja) 収録データ処理方法
JP2010536250A (ja) 表示デバイス及び携帯デバイスへのコンテンツの同期通信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H11317937A (ja) 放送蓄積視聴装置
US11044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and managing storage of data streams in a surveillance and/or monitoring system
US20160119407A1 (en) Transfer device, client apparatus, server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JP2010244328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5164367B2 (ja) 画像表示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3974B1 (ko) 영상 저장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10118736A (ja) 放送受信端末
JP5277980B2 (ja) タイムシフト視聴システム、タイムシフト視聴方法、タイムシフト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43871B2 (ja) 映像再生装置
JP2014204265A (ja) 再生制御装置及び再生制御方法
KR101920453B1 (ko) 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프로세스로 분리되어 구동하는 nvr 시스템
JP201114687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7100468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75092B2 (ja) 映像再視聴システム、映像再視聴方法、この方法の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9211638A (ja) 処理装置、出力装置、同期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65035B1 (ko) 타임 쉬프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미디어 재생 장치
JP2010225003A (ja) コンテンツ受信再生装置、コンテンツ受信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