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903B1 -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903B1
KR101783903B1 KR1020170056962A KR20170056962A KR101783903B1 KR 101783903 B1 KR101783903 B1 KR 101783903B1 KR 1020170056962 A KR1020170056962 A KR 1020170056962A KR 20170056962 A KR20170056962 A KR 20170056962A KR 101783903 B1 KR101783903 B1 KR 10178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plate
rotation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숙
Original Assignee
뉴비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비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뉴비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05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받고,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의 수신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위치정보 데이터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커버의 개방시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일부만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개방 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커버의 전부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Precision digital map making apparatus through the synthe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받고,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의 수신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위치정보 데이터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커버의 개방시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일부만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개방 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커버의 전부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종이지도를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지형자료를 해석하여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의 지도로 제작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의 구축과정은 다음과 같다.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canning)하여 수치지도의 형태가 되면, 좌표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구조를 정립한 수치지도에 속성자료를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수치지도는 종이지도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지도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관리와 활용성 면에서 뛰어나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수치지도에 입력되는 속성자료는 항공사진, 위성영상의 판독을 통해 입력되기 때문에 속성자료의 정확도를 100%로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현장조사가 수행되며, 현장조사원은 현장의 촬영물과 현장위치를 기록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보정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9902호(2013.03.05.)에는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회전커버의 개방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것은 물론, 회전커버의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변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9902호(2013.03.05.)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받고,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의 수신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위치정보 데이터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커버의 개방시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일부만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개방 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커버의 전부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인공위성(1); GIS서버(2); 상기 GPS인공위성(1)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GIS서버(2)와 접속하여 맵정보를 주고받는 단말장치(3)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장치(3)는,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지피에스 수신부(120)와, 상기 맵정보를 주고 받는 송수신부(130)와, 터치패널(110)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단 중앙에 끼워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사방 회전을 안내하는 구형상의 회전돌기(220)를 갖는 회전가이드(200); 상기 회전가이드(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중앙지지부(300);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상단면에서, 상기 회전가이드(200)를 중심으로 4개의 방향을 따르는 일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단면을 접촉 지지하고, 승강 가능한 실린더축(321)을 갖는 다수의 실린더(320); 상기 각 실린더축(321)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제1구동부(310); 상기 각 제1구동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일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각 제1구동부(3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실린더축(321)의 승강 위치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지지부(300)를 지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맵정보와의 오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오차값이 보정기준으로 기설정된 오차범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차범위 내의 값으로 변환시켜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고 보정 맵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보정 맵정보를 상기 터치패널(110)을 통해 외부에 표시하며, 상기 이동부(500)는 한 쌍의 이동장치(501)를 구비하되, 상기 각 이동장치(501)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측 끝 가장자리가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로드(510)와, 상기 각 회전로드(51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롤러지지부(520)와, 상기 롤러지지부(520)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롤러(521)와, 상기 각 롤러지지부(520)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부재(540)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양쪽 끝 부분에는 한 쌍의 위치고정부(600)가 설치되고, 상기 각 위치고정부(600)는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끝 부분에 설치되며, 하측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로드(611)가 설치된 구동실린더(610)와, 상기 신축로드(611)를 승강시키는 제 2구동부(620)와, 상기 신축로드(611)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회전되는 축을 갖는 회전모터(630)와, 상기 회전모터(630)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지면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스크류(63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단에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결합되는 투명의 회전커버(700)가 설치되는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버(700)의 개방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길이조절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커버(70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힌지결합되는 제1커버유닛(710)과, 상기 제1커버유닛(710)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커버유닛(720)으로 분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800)는,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을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810); 및 접이된 상태의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을 상호 결속하는 결속수단(820)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820)은,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이 접이됨에 따라 상호 접하면서 탈착 결속되도록 하는 자석(8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받고,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의 수신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위치정보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커버의 개방시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일부만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 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회전커버의 전부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서 단말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서 중앙제어부에 설치된 다수의 실린더와 회전가이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서 단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서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2커버유닛이 개방되면서 제1,2커버유닛이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회전커버가 전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239902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239902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23990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로 대체하고, 회전커버의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239902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는 GPS인공위성(1)과, 단말장치(3)와, 단말장치(3)와 정보신호를 주고 받는 GIS서버(2)를 갖는다.
즉, 이러한 시스템은 GPS인공위성(1)과, GIS서버(2)와, 상기 GPS인공위성(1)으로부터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GIS서버(2)와 맵정보를 주고받는 단말장치(3)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단말장치(3)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중앙지지부(300)와, 회전가이드(200)와, 다수의 실린더(320)와, 다수의 제1구동부(310)와, 제어부(400)와, 이동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일정의 두께를 갖도록 판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단면에는 GPS인공위성(1)으로부터 위치정보신호를 수신받는 지피에스(GPS) 수신부(120)와, 상기 맵정보를 주고 받는 송수신부(130)와, 터치패널(1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200)는 네크(210)와, 상기 네크(2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돌기(22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돌기(22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단 중앙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네크(2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측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중앙지지부(3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상측면에는 상기 네크(210)의 하단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중앙지지부(300)는 서로 간격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상단에는 다수의 실린더(320)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실린더(320)는 상기 회전가이드(200)를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각 실린더(320)는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태로 실린더축(321)을 승강시킬 수 있다. 각 실린더축(321)의 상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실린더축(321)의 상단은 볼록하게 즉, 둥글게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제어부(400)는 다수의 제1구동부(3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제1구동부(310)는 다수의 실린더(320)에 설치되는 실린더축(321)의 승강 위치 또는 승강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제어부(400)는 다수의 제1구동부(310)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제1구동부(310)는 실린더(320)를 각각 제어하므로 각 실린더축(321)의 승하강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다수의 실린더(320)의 실린더축(321)의 승강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승강되는 다수의 실린더축(321)의 승강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승강 위치가 서로 다른 각 실린더축(321)의 상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실린더축(321)의 승강 위치를 다르게 조절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일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제1구동부(310)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경사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부(500)는 한 쌍의 이동장치(501)로 구성되어, 중앙지지부(300)의 하단 일부에 대응된 위치에서 대향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이동장치(501)는 한쪽 끝단이 중앙지지부(300)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고 타측 끝 가장자리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롤러(521)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 로드(51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회전로드(510)의 하단에는 롤러지지부(520)가 설치되고, 롤러지지부(520)에는 지면을 따라 구르는 롤러(521)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지지부(520)는 상기 회전로드(510)의 하단과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이동장치(501)의 회전 로드(510)는 대응되는 위치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상기 한 쌍의 이동장치(501)의 회전로드(510)는 서로 탄성부재(540)에 의해 탄성 연결되고, 탄성부재(540)는 다수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즉, 상기 각 회전로드(510) 타측 끝 가장자리에 설치된 각 롤러지지부(520)는 탄성부재(540)에 의해 서로 탄성 연결된다.
따라서, 각 롤러(521)가 지면을 따라 구르면서 지면의 형상에 따라 충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충격 또는 진동은 각 롤러지지부(520)가 탄성 연결되는 상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위치고정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위치고정부(600)는 중앙지지부(300)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며, 하측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신축로드(611)를 갖는 구동실린더(610)와, 상기 신축로드(611)를 승강시키는 제2구동부(620)와, 상기 신축로드(611)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회전되는 회전축(미도시)을 갖는 회전모터(630)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지면을 향하여 하측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고정스크류(631)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면, 이동부(500)는 지면 상에서 일정 위치로 이동되고, 이동된 후에, 제어부(400)는 해당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각 제2구동부(620)를 구동하고, 각 신축로드(611)의 아래 끝부분에 설치된 회전모터(63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위치에 이를 때까지 각 구동실린더(610)의 신축로드(611)를 하강시킨다.
제어부(400)는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각 회전모터(630)를 회전 구동시켜 각 회전모터(630)에 설치된 고정스크류(631)를 회전시킨다.
제어부(400)는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각 제2구동부(620)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610)의 신축로드(611)는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스크류(631)는 지면의 내부에 스크류결합되면서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정스크류(631)를 지면에 결합하여 중앙지지부(300)의 이동위치를 완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장치(3)가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받는 위치에서 안전하게 고정된 후, 지피에스수신부(120)는 GPS인공위성(1)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의 위치정보 신호는 제어부(400)에 전송된다.
단말장치(3)의 송수신부(130)는 GIS서버(2)로부터 맵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위치정보 신호와 상기 맵정보와의 오차 값을 산출하고, 상기 오차 값이 보정기준으로 기설정된 오차범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차범위 내의 값으로 변환시켜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보정하여 보정 맵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보정 맵정보를 터치패널(110)을 통해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송수신부(130)를 사용하여 보정 맵정보를 GIS서버(2)로 전송하여, 미리 저장된 맵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단에는 회전커버(700)가 설치되고, 회전커버(700)는 일측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 가장자리와 힌지연결부재(H)에 의해 힌지결합되면서 회전 개폐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하게 제조된 회전커버(7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를 보호하므로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센서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커버(700)의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길이조절부(8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본 발명은 회전커버(700)를 개방하여 회전커버(700)의 내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투명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커버(700)의 표면에 이물질 등이 적체되면서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이루는 경우, 회전커버(700)를 개방한 상태에서 단말장치(3)를 통한 위치정보 수신이나, 터치패널(110)을 통한 보정 맵정보의 확인 및 단말장치(3)에 대한 확인,점검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800)는 회전커버(700)의 개방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걸림 현상이나 주변공간 활용이 제한되는 현상 등을 방지한다.
회전커버(70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힌지결합되는 제1커버유닛(710)과, 제1커버유닛(710)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커버유닛(720)으로 분기된다.
길이조절부(800)는 제1,2커버유닛(710,720)을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810) 및 접이된 상태의 제1,2커버유닛(710,720)을 상호 결속하는 결속수단(820)을 포함한다.
절첩부재(81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커버유닛(720)의 일측 상부를 제1커버유닛(710)의 타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2커버유닛(720)은 절첩부재(81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회전커버(700)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커버유닛(720)의 개방에 따라 회전커버(700)를 전부 개방함이 없이 터치패널(110)을 통한 보정 맵정보의 확인은 물론, 단말장치(3)에 대한 확인,점검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속수단(820)은 접이된 상태의 제1,2커버유닛(710,720)을 결속하여 절첩부재(810)를 중심으로 흔들림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결속수단(820)은 제1,2커버유닛(710,72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제2커버유닛(720)이 제1커버유닛(710)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1,2커버유닛(710,720)이 접이되며 상호 접하면서 결속되도록 하는 자석(821)을 포함한다.
자석(821)은 단말장치(3)를 통한 위치정보 수신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석(821)은 제1커버유닛(710)의 상부면 일측과 제2커버유닛(720)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회전커버(700)는 제1,2커버유닛(710,720)이 접이된 상태에서 힌지연결부재(H)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전부 개방될 수 있다.
회전커버(700)는 전부 개방된 상태에서 제1,2커버유닛(710,720)이 접이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펼쳐졌을 때보다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회전커버(700)의 전부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주변 상황 등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길이조절부(800)는 회전커버(700)의 개방에 따라 제1,2커버유닛(710,72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830)는 중앙지지부(30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831a)가 형성되는 지지바(831), 지지바(831)의 상부에 위치되며 회전커버(700)와 접하는 지지판(832), 상단부는 지지판(832)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공간부(831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연결바(833) 및 지지판(832)과 지지바(831)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바(83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834)을 포함한다.
지지판(832)은 힌지결합부재(H)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커버(700)가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연결바(833)는 하부가 공간부(831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면서 스프링(834)의 수축,이완에 따라 승,하강한다.
스프링(834)은 지지판(832)으로 회전커버(700)가 안착됨에 따라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스프링(834)이 완충됨에 따라 회전커버(700)가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원상태로 회전됨이 없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판(832)은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길이조절부(800)는 회전커버(700)의 개방시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일부만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개방 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회전커버(700)의 전부 개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1 : GPS인공위성 2 : GIS서버
3 : 단말장치 100 : 베이스플레이트
200 : 회전가이드 210 : 네크
220 : 회전돌기 300 : 중앙지지부
310 : 제1구동부 320 : 실린더
321 : 실린더축 400 : 제어부
500 : 이동부 510 : 회전 로드
520 : 롤러 지지부 521 : 롤러
540 : 탄성부재 600 : 위치 고정부
610 : 구동실린더 611 : 신축로드
620 : 제 2구동부 630 : 회전모터
631 : 고정스크류 700 : 회전커버
710 : 제1커버유닛 720 : 제2커버유닛
800 : 지지부 810 : 절첩부재
820 : 결속수단 821 : 자석
830 : 스토퍼 831 : 지지바
831a : 공간부 832 : 지지판
833 : 연결바 834 : 스프링

Claims (1)

  1. GPS인공위성(1);
    GIS서버(2);
    상기 GPS인공위성(1)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GIS서버(2)와 접속하여 맵정보를 주고받는 단말장치(3)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장치(3)는,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지피에스 수신부(120)와, 상기 맵정보를 주고 받는 송수신부(130)와, 터치패널(110)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단 중앙에 끼워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사방 회전을 안내하는 구형상의 회전돌기(220)를 갖는 회전가이드(200);
    상기 회전가이드(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중앙지지부(300);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상단면에서, 상기 회전가이드(200)를 중심으로 4개의 방향을 따르는 일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단면을 접촉 지지하고, 승강 가능한 실린더축(321)을 갖는 다수의 실린더(320);
    상기 각 실린더축(321)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제1구동부(310);
    상기 각 제1구동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일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각 제1구동부(3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실린더축(321)의 승강 위치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지지부(300)를 지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맵정보와의 오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오차값이 보정기준으로 기설정된 오차범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차범위 내의 값으로 변환시켜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고 보정 맵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보정 맵정보를 상기 터치패널(110)을 통해 외부에 표시하며,
    상기 이동부(500)는 한 쌍의 이동장치(501)를 구비하되,
    상기 각 이동장치(501)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측 끝 가장자리가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로드(510)와, 상기 각 회전로드(51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롤러지지부(520)와, 상기 롤러지지부(520)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롤러(521)와, 상기 각 롤러지지부(520)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부재(540)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양쪽 끝 부분에는 한 쌍의 위치고정부(600)가 설치되고,
    상기 각 위치고정부(600)는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끝 부분에 설치되며, 하측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로드(611)가 설치된 구동실린더(610)와, 상기 신축로드(611)를 승강시키는 제 2구동부(620)와, 상기 신축로드(611)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회전되는 축을 갖는 회전모터(630)와, 상기 회전모터(630)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지면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스크류(63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단에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결합되는 투명의 회전커버(700)가 설치되는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버(700)의 개방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커버(70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걸림 현상이나 주변공간 활용이 제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길이조절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커버(70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힌지결합되는 제1커버유닛(710)과, 상기 제1커버유닛(710)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커버유닛(720)으로 분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800)는,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을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810);
    상기 회전커버(700)의 개방에 따라 접이된 상태의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을 상호 결속하는 결속수단(820); 및
    상기 회전커버(700)의 개방에 따라 제1,2커버유닛(710,72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830)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부재(810)는,
    상기 제2커버유닛(720)의 일측 상부를 상기 제1커버유닛(710)의 타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커버유닛(720)은,
    상기 절첩부재(81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회전커버(700)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결속수단(820)은,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커버유닛(710,720)이 접이됨에 따라 상호 접하면서 탈착 결속되도록 하는 자석(821)을 포함하되,
    상기 자석(821)은,
    상기 제1커버유닛(71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제2커버유닛(720)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830)는,
    상기 중앙지지부(30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831a)가 형성되는 지지바(831);
    상기 지지바(831)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커버(700)가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지지판(832);
    상단부는 상기 지지판(832)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공간부(831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연결바(833); 및
    상기 지지판(832)과 지지바(831)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바(83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834)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834)은,
    상기 지지판(832)으로 상기 회전커버(700)가 안착됨에 따라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지지판(832)은,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20170056962A 2017-05-04 2017-05-04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78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962A KR101783903B1 (ko) 2017-05-04 2017-05-04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962A KR101783903B1 (ko) 2017-05-04 2017-05-04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903B1 true KR101783903B1 (ko) 2017-10-10

Family

ID=6018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962A KR101783903B1 (ko) 2017-05-04 2017-05-04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9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477B1 (ko) 2017-11-10 2018-03-09 동아항업주식회사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의 보정과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848325B1 (ko) 2017-10-13 2018-04-13 태양정보시스템(주) 영상데이터와 영상이미지 합성에 의한 항공 촬영 후 영상처리시스템
KR101894564B1 (ko) * 2018-06-01 2018-09-04 삼아항업(주) 수치지도의 갱신을 위한 현지 지표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KR102035042B1 (ko) * 2019-06-25 2019-10-22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보정과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355477B1 (ko)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실시간으로 이미지 도로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355475B1 (ko)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Mms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도를 작성할 수 있는 도로 레이어 현지조사가 가능한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355474B1 (ko)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Mms를 이용하여 도로의 면형을 자동으로 취득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81Y1 (ko) * 2005-07-14 2005-09-27 주식회사 태평양 절첩식 색조 화장품 용기
KR101239902B1 (ko) * 2012-07-30 2013-03-05 삼부기술 주식회사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81Y1 (ko) * 2005-07-14 2005-09-27 주식회사 태평양 절첩식 색조 화장품 용기
KR101239902B1 (ko) * 2012-07-30 2013-03-05 삼부기술 주식회사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325B1 (ko) 2017-10-13 2018-04-13 태양정보시스템(주) 영상데이터와 영상이미지 합성에 의한 항공 촬영 후 영상처리시스템
KR101836477B1 (ko) 2017-11-10 2018-03-09 동아항업주식회사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의 보정과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894564B1 (ko) * 2018-06-01 2018-09-04 삼아항업(주) 수치지도의 갱신을 위한 현지 지표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KR102035042B1 (ko) * 2019-06-25 2019-10-22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보정과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355477B1 (ko)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실시간으로 이미지 도로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355475B1 (ko)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Mms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도를 작성할 수 있는 도로 레이어 현지조사가 가능한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355474B1 (ko)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Mms를 이용하여 도로의 면형을 자동으로 취득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903B1 (ko) 좌표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239902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935449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794291B1 (ko) 영상촬영후 영상데이터와 영상이미지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820129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0960337B1 (ko) 수치정보확인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업그레이드시스템
KR100940355B1 (ko)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정보 변동확인시스템
KR100990183B1 (ko) 지피에스 좌표를 기준으로 한 지형 및 지물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의 지역별 보정시스템
KR102333010B1 (ko)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57720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10186442B (zh) 固定于钻机的开孔定向测量装置及方法
KR101896061B1 (ko) 은폐된 지형지물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325634B1 (ko)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JP2019140536A (ja) 無人航空機用ジンバル機構
KR20210099124A (ko) 포즈 데이터에 기초한 포지셔닝 방법 및 장치
KR101589925B1 (ko) 영상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 처리가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9484630B (zh) 一种用于复杂地形的多向测绘用架设支架
CN106686306B (zh) 一种目标跟踪装置和跟踪方法
KR101848325B1 (ko) 영상데이터와 영상이미지 합성에 의한 항공 촬영 후 영상처리시스템
KR102336834B1 (ko)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422742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436434B1 (ko) 오차 수정으로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이미지 처리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894564B1 (ko) 수치지도의 갱신을 위한 현지 지표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CN207261986U (zh) 一种遥控移动装置
KR101791956B1 (ko) 지아이에스(gis) 정보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의 구성 데이터 실시간 수치지도 업그레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