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878B1 - 치아 미백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878B1
KR101783878B1 KR1020160085430A KR20160085430A KR101783878B1 KR 101783878 B1 KR101783878 B1 KR 101783878B1 KR 1020160085430 A KR1020160085430 A KR 1020160085430A KR 20160085430 A KR20160085430 A KR 20160085430A KR 101783878 B1 KR101783878 B1 KR 10178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air
source unit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범
박근오
임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6008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치아 미백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동경로가 마련되는 프레임유닛과, 공기 유동경로에 배치되며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광원유닛괴, 프레임유닛에 장착되며 광원유닛의 냉각을 위해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공기 유동경로에서 유동시켜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송풍모듈을 구비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미백 장치{TOOTH WHI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은 변색된 치아의 색조를 원래의 색조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치아는 선천적 요인, 또는 식생활 습관이나 흡연 여부 등에 따른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변색이 될 수 있는데, 치아 미백은 이렇게 변색된 치아의 색조를 원래의 색조로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미용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아 미백도 미용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삶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치아 미백은 더욱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치아 미백이 시작된 초기에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치아 미백제가 소량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여 칫솔질에 의해 미백효과를 얻도록 하였으나, 치약에 함유된 미백제의 양이 너무 적어, 치아 표면에 침착된 착색성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치아에 미백제를 도포한 후 미백제에 빛을 조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광조사를 통한 미백 방식은, 미백제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를 치아에 도포 후 빛을 조사하는 방식으로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높은 미백 효과를 낼 수 있다.
치아에 도포되는 미백제에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되는데,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한 물질이므로 스스로 안정화하려고 하며, 이에 의해 다른 물질을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스스로 안정화하려는 성질에 의해 과산화수소는 산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과산화수소의 산화 작용으로 인해 치아의 미백이 가능해진다.
이때 미백제에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됨으로써 미백제의 미백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백제에 빛을 조사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데, 고출력의 광원부를 사용할수록 또는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와 광원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더 많은 광에너지가 미백제에 전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런데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는 열에너지도 함께 방출하므로, 치아 미백 시술을 받는 피시술자의 치아에 도달되는 빛에너지를 높이기 위해 고출력의 광원부를 사용하거나 광원부와 치아의 사이의 거리를 가까게 할수록 광원부가 방출하는 열에너지에 의해 피시술자의 치아, 잇몸 또는 피부조직에 열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공보 제20-0406685호 (젠텍인터내셔날 주식회사) 2006.01.1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거나 광원부에서 발생된 열이 치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출력의 광원부를 사용하거나 광원부와 치아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더라도 피술자의 치아, 잇몸 또는 피부 등이 열에너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동경로가 마련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공기 유동경로에 배치되며,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광원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유닛의 냉각을 위해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유동경로에서 유동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송풍모듈을 구비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부; 상기 전면 프레임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후면 프레임부; 및 상기 전면 프레임부와 상기 후면 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부에는, 상기 광원유닛이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노출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노출공이 형성되는 전면 측벽부; 및 상기 전면 측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 측벽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격용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돌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흡입구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노출공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는,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에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의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 유동경로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광원부보다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더 근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광원부의 빛을 통과시키되, 상기 공기 유동경로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상기 광원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광원부용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용 차폐부는,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에 연결되며, 상기 투광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는 광원부용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열을 방출하며,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용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덮개 겸용 방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 겸용 방열모듈은, 상기 광원부가 결합되며, 상기 스커트부의 내벽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상기 광원부의 빛을 굴절시키는 굴절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은, 지지대 또는 피시술자에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는,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공기 유입구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동경로가 마련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광원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공기 유동경로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프레임유닛의 내부에 상기 치아와 상기 광원유닛의 사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형성유닛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부; 상기 전면 프레임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후면 프레임부; 및 상기 전면 프레임부와 상기 후면 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부는, 상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측벽부; 및 상기 전면 측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측벽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격용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가 마련되는 돌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유동경로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모듈을 구비하고 공기 유동경로에 광원부를 배치함으로써, 광원부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피시술자의 치아에 도달되는 빛에너지를 높이기 위해 고출력의 광원부를 사용하거나 광원부와 치아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피시술자의 치아, 잇몸 또는 피부 조직 등이 열에너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아와 광원유닛의 사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형성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광원부에서 발생된 열이 치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피시술자의 치아에 도달되는 빛에너지를 높이기 위해 고출력의 광원부를 사용하거나 광원부와 치아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피시술자의 치아, 잇몸 또는 피부 조직 등이 열에너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치아 미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광원부용 차폐부와 덮개 겸용 방열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치아 미백 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공기 유입유닛의 정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을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치아 미백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광원부용 차폐부와 덮개 겸용 방열모듈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며,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4의 치아 미백 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피시술자의 치아(미도시)에 도포된 미백제(미도시)에 특정파장의 빛을 조사하되 피시술자에게 전달되는 열에너지를 줄여 피시술자의 신체가 열적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공기 흡입구(H1)와 공기 배출구(H2)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흡입구(H1)와 공기 배출구(H2)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동경로(H3)가 마련되는 프레임유닛(110)과,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되며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141)를 구비하는 광원유닛(140)과, 프레임유닛(110)에 장착되며, 광원유닛(140)의 냉각을 위해 공기 흡입구(H1)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공기 유동경로(H3)에서 유동시켜 공기 배출구(H2)를 통해 배출하는 송풍모듈(151)을 구비하는 냉각유닛(150)을 포함한다.
프레임유닛(110)은, 도 1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0)과, 본체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20)은, 피시술자의 구강 주위를 향하는 전면 프레임부(121)와, 전면 프레임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면 프레임부(123)와, 전면 프레임부(121)와 후면 프레임부(123)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프레임부(121)는, 사람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전면 측벽부(125)와, 전면 측벽부(125)에 연결되며 전면 측벽부(125)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격용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돌출 플랜지부(126)를 포함한다.
전면 측벽부(125)는 사람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마련된다. 이러한 전면 측벽부(125)에는 외부 공기를 본체 프레임(120)의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H1)가 마련된다.
후면 프레임부(123)는 전면 프레임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후면 프레임부(123)에는 본체 프레임(1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H2)가 형성된다.
연결 프레임부(122)는, 전면 프레임부(121)와 후면 프레임부(123)를 연결하여 본체 프레임(120)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부(122)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H1)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공기 배출구(H2)로 유동시키는 공기 유동경로(H3)가 마련된다. 이때 공기 흡입구(H1)와, 공기 유동경로(H3) 및 공기 배출구(H2)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은 송풍모듈(151)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풍모듈(15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전면 측벽부(125)에는 광원유닛(140)이 끼워지며, 광원유닛(140)의 광원부(141)의 빛이 통과하는 노출공(124)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출공(124)은 전면 측벽부(125)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며, 가로 방향 길이가 세로 방향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노출공(124)에는 광원유닛(140)의 후술할 광원부용 차폐부(142)가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에서 바라본 노출공(154)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측벽부(125)에는 공기 흡입구(H1)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구(H1)는 노출공(124)의 주위에 배치된다. 공기 흡입구(H1)는 광원부용 차폐부(142)가 끼워지는 노출공(124)의 주위에 형성됨으로써, 광원부(141)에 의해 가열된 후술할 광원부용 차폐부(142) 주위의 공기는 본체 프레임(120)의 내부로 흡입되고 다른 공기가 후술할 광원부용 차폐부(142)의 주위로 유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후술할 광원부용 차폐부(142)에 더불어 광원부(141)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돌출 플랜지부(126)는, 전면 측벽부(125)에 연결되며 전면 측벽부(125)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 플랜지부(126)는, 도 1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앞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이격용 내부공간(S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전단부가 피시술자의 입 주위에 접촉되고 내부에 이격용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돌출 플랜지부(126)를 구비함으로써, 치아 미백 장치가 피시술자의 입 주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광원부(141)에서 나오는 빛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막아 광원부(141)의 빛을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효과적으로 도달시킬 수 있으며 이격용 내부공간(S1)을 통해 치아와 광원유닛(140)을 이격시켜 피시술자의 치아, 잇몸 등이 광원유닛(140)의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플랜지부(126)의 전단부는 피시술자의 입 주위에 접촉된다. 따라서 돌출 플랜지부(126)의 전단부가 피시술자의 입 주위에 밀착 시 외부 공기가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돌출 플랜지부(126)에는 이격용 내부공간(S1)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127)가 마련된다.
이러한 공기 유입구(127)는 송풍모듈(151)의 작동 시 외부 공기를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유입시킨다. 즉 치아 미백 장치의 사용 시 송풍모듈(151)의 작동에 따라 이격용 내부공간(S1)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H1)를 통해 공기 유동경로(H3)로 흡입되며, 그에 따라 외부 공기가 다시 공기 유입구(127)를 통해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광원유닛(140)과 피시술자에 구강 사이에 새로운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구강부위도 냉각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연결 프레임부(122)에 결합되며 봉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손잡이부(130)는 치아 미백 장치의 사용 시 피시술자 스스로 또는 타인의 파지에 이용되어 치아 미백 장치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손잡이부(130)를 마련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절한 경우 손잡이부(130)를 생략하고 거치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광원유닛(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141)를 구비하며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27)와 공기 흡입구(H1)가 광원부(141)보다 돌출 플랜지부(126)에 더 근접하게 마련되므로, 광원부(141)는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공기 유동경로(H3)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광원유닛(140)을 스치고 지나가면 광원유닛(140)을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광원부(141)가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되지 않고, 광원부(141)에 연결된 발열부재(미도시)만이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됨으로써 냉각효과가 높지 않아 광원부(141)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저출력의 광원부(141)를 사용하거나 광원부(141)와 치아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치아에 도달되는 빛에너지가 적어 시술시간이 오래 결렸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광원유닛(140)을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함으로써 광원유닛(140)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출력의 광원부(141)를 사용하거나 광원부(141)와 치아 사이의 거리를 줄여 치아에 도달되는 빛에너지를 종래기술에 비해 많게 하면서도 근접시키더라도 피술자의 치아, 잇몸 또는 피부 등이 열에너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백 시술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141)는 엘이디모듈(LED module)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엘이디모듈(LED module)은 빛의 파장이 410nm 내지 480nm 영역인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 표면에 도포된 미백제의 과산화수소에 빛을 조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가속화시킬 수 있도록 블루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엘이디모듈(LED module)은 10W(와트) 이상의 고출력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해 치아미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출력의 엘이디모듈(LED module) 사용에 의해 발생되는 고열은, 광원부(141)를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하여 냉각효과를 높이는 방식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엘이디모듈은 COB(Chip On Board)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COB타입은, 패키지 공정을 생략하고 피씨비(PCB) 기판에 엘이디(LED) 칩을 직접 본딩 후 수지로 몰딩하는 방식으로서, 방열효과를 향상시키고 엘이디(LED)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원부(141)는. 구강의 내측 깊은 곳에 배치되어 있는 치아까지 빛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로 마련되며, 다수개의 광원부(141)는 인체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게 일직선이 아닌 곡선 형상을 이루며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141)는 3개로 마련되며, 하나가 중앙부에 배열되고 다른 2개의 광원부(141) 각각은 중앙부에 배치된 광원부(141)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되 중앙부에 배치된 엘이디모듈에 대칭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인체 구강구조에 대응되게 굴곡지게 배열되는 광원부(141)를 구비함으로써, 구강 내측 깊은 곳에도 빛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한편 광원유닛(140)은, 광원부(141)의 빛을 통과시키되 공기 유동경로(H3)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광원부(141)가 차폐되도록 광원부(141)를 내부에 수용하는 광원부용 차폐부(142)를 더 포함한다.
광원부용 차폐부(142)는, 광원부(141)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원부(141)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부(143)와, 투광부(143)에 연결되며, 투광부(143)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광원부(141)를 수용하는 광원부용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스커트부(144)를 포함한다.
투광부(143)는 광원부(141)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원부(141)의 빛을 통과시킨다. 이러한 투광부(143)는, 광원부(141)의 빛을 굴절시키는 굴절용 렌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에서 굴절용 렌즈는 광원부(141)로부터 조사된 빛이 굴절되어 치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평면 볼록 렌즈(Plane-Convex Lens)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 볼록 렌즈는 빛을 모으면서도 여러 방향으로 퍼지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광원부(141)로부터 조사된 빛이 치아 전체로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투광부(143)는 평면 볼록 렌즈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렌즈가 투광부(143)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커트부(144)는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된 광원부(141)가 공기 유동경로(H3)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스커트부(144)는, 투광부(143)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광원부(141)를 수용하는 광원부용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이러한 스커트부(144)는, 도 6 내지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투광부(143)에 연결되며 뒤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광원부용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광원부용 수용공간(S2)은 공기 유동경로(H3)를 유동하는 공기가 광원부용 수용공간(S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에 의해 밀폐된다.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스커트부(144)의 내벽에는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돌출부재(144a, 144b, 144c)가 마련된다. 돌출부재(144a, 144b, 144c)는 후술할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과 함께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냉각유닛(150)은 프레임유닛(110)에 장착되며 광원유닛(140)을 냉각한다. 이러한 냉각유닛(150)은 광원유닛(140)의 냉각을 위해 공기 흡입구(H1)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공기 유동경로(H3)에서 유동시켜 공기 배출구(H2)를 통해 배출하는 송풍모듈(15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모듈(151)은 광원유닛(140)의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팬(152)을 포함한다.
또한 냉각유닛(150)은, 광원부(141)에 연결되어 광원부(141)의 열을 방출하며, 스커트부(144)의 내벽에 연결되어 광원부용 수용공간(S2)을 폐쇄하는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을 더 포함한다.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은, 광원부(141)가 결합되며 스커트부(144)의 내벽에 연결되는 덮개부(154)와, 덮개부(154)에 연결되는 복수의 방열핀(155)을 포함한다.
덮개부(154)는 인체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게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54)의 상측벽에는 상술한 광원부(141)가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부(154)는 스커트부(144)의 내벽에 마련되는 돌출부재(144a, 144b, 144c)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커트부(144)의 내벽에는 간격유지용 돌출부재(144a)와 끼움결합용 돌출부재(144b, 144c)가 마련된다.
스커트부(144)의 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간격유지용 돌출부재(144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54)의 상측벽에 접촉되어 투광부(143)와 광원부(14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스커트부(144)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끼움결합용 돌출부재(144b) 및 제2 끼움결합용 돌출부재(144c)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54) 측벽에 접촉되어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을 광원부용 차폐부(142)에 끼움결합한다.
한편 복수의 방열핀(155)은 광원부(141)에서 전달받은 열을 발산하며, 표면적을 넓히기 위대 다수의 방열핀(155)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엠보싱(155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 겸용 방열모듈(153)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광원유닛(140) 및 냉각유닛(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프레임유닛(110)에 지지되며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조작용 스위치(SW)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의 동작을 도 10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화살표로 자세히 표시하기 위해 다른 도면에서 충분히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번호표시를 생략하였으며,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도 10의 구성요소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피시술자의 치아에 미백제가 도포된 후 피시술자 스스로 또는 시술자가 손잡이부(130)를 파지한 후 치아 미백 장치를 피시술자의 입 주위로 위치시킨다. 이때 돌출 플랜지부(126)의 전단부가 피시술자의 입 주위에 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백 장치가 피시술자의 구강 주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후 피시술자 스스로 또는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광원부(141)가 발광하며 광원부(141)에서 조사되는 빛이 피시술자의 치아에 도달된다.
이때 광원유닛(140)의 냉각을 위해 송풍모듈(151)도 함께 작동하여 공기 흡입구(H1)를 통해 흡입된 이격용 내부공간(S1)의 공기 유동경로(H3)에서 유동시켜 후 공기 배출구(H2)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된 광원유닛(140)을 냉각시킨다.
즉 돌출 플랜지부(126)의 공기 유입구(127)를 따라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유입된 차가운 외부 공기가 다시 공기 흡입구(H1)를 통해 공기 유동경로(H3)로 흡입되어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되는 광원유닛(140)을 냉각시킨 후 공기 배출구(H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공기 유동경로(H3)에 배치 광원유닛(140)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모듈(151)에 의해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차가운 외부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피시술자의 구강부위도 냉각되고, 그에 따라 피시술자의 치아, 잇몸, 피부조직 등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송풍모듈(151)을 통해 광원유닛(140)을 냉각하는 동시에 광원유닛(140)과 피시술자에 구강 사이에 새로운 공기를 공급하여 피시술자의 구강부위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공기 유동경로(H3)에 광원유닛(140)을 배치하여 광원유닛(140)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하여 고출력의 광원부(141)를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술시간을 종래기술에 비해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공기 흡입구(H1)와 공기 배출구(H2)와 연통되는 공기 유동경로(H3)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모듈(151)을 구비하며 공기 유동경로(H3)에 광원부(141)를 배치함으로써, 광원부(141)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피시술자의 치아에 도달되는 빛에너지를 높이기 위해 고출력의 광원부(141)를 사용하거나 광원부(141)와 치아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피시술자의 치아, 잇몸 또는 피부 조직 등이 열에너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공기 유입유닛의 정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유입유닛(260)의 정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공기 유입유닛(260)이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프레임유닛(110)에 지지되며, 공기 유입구(127)에 연통되어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유닛(26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유닛(260)은, 돌출 플랜지부(12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유닛(26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공기 유입유닛용 팬(261)과, 공기 유입유닛용 팬(261)들이 배치되는 하우징부(262)를 구비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62)의 상단부에는 하우징부(262)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공기 배출홀(263)이 마련된다. 또한 도 12(c)에는 하우징부(262)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미세한 공기 유입홀(264)이 다수개 마련된다. 공기 유입홀(264)은 형상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 12(c)의 공기 유입홀(264)은 형상 및 배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기 유입유닛(260)은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의 공기 유입을 더욱 원활히 하여 광원유닛(140)을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공기 유입구(127)에 연통되어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유닛(260)을 구비함으로써,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의 공기 유입을 더욱 원활히 하여 광원유닛(140)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2 실시예의 돌출 플랜지부(126)에 공기 유출구(328)가 마련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1 및 도 12의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돌출 플랜지부(126)에는, 이격용 내부공간(S1)의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328)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328)는, 공기 유입구(127)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공기 유입유닛(260)과 공기 유출구(328)의 구성을 통해 공기 유입유닛(260)을 통해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 일부가 공기 유출구(328)를 통해 바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이 생성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공기의 흐름은 치아와 광원유닛(140) 사이에서 에어커튼의 역할을 하여 광원유닛(140)의 열이 치아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돌출 플랜지부(126)에 공기 유입유닛(260)을 통해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 일부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기 유출구(328)를 형성함으로써, 광원유닛(140)의 열이 치아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공기 유동경로(H6)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방향이 반대방향인 점 및 에어커튼 형성유닛(450)을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송풍팬(452)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반대로 회전된다. 따라서 후면 프레임부(123)에 공기 흡입구(H4)가 마련되고 전면 프레임부(121)에 공기 배출구(H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프레임부(121)은, 공기 배출구(H5)가 형성되는 전면 측벽부(125)와, 전면 측벽부(125)에 연결되고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면 측벽부(125)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격용 내부공간(S1)을 형성하며 이격용 내부공간(S1)의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428)가 마련되는 돌출 플랜지부(426)를 포함한다.
돌출 플랜지부(426)는 전면 측벽부(125)에 연결된다. 이러한 돌출 플랜지부(426)는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면 측벽부(125)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격용 내부공간(S1)을 형성한다. 또한 돌출 플랜지부(426)에는 이격용 내부공간(S1)의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428)가 마련된다.
공기 유동경로(H6)는, 도 14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프레임부(123)에서 전면 프레임부(121)로 갈수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공기 유동경로(H6)의 형상은 연결 프레임부(122)에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배치되는 유동 가이드부(423a)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후면 프레임부(123)에서 전면 프레임부(121)로 갈수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 공기 유동경로(H6)를 통해 공기 배출구(H5)로 배출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우 빠른 유동속도를 가지는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어 열전달의 차단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본 실시예의 에어커튼 형성유닛(450)은, 프레임유닛(110)에 장착되며 공기 유동경로(H6)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이격용 내부공간(S1)에서 치아와 광원유닛(140)의 사이에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커튼 형성유닛(450)은 광원유닛(140)의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팬(452)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치아 미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송풍팬(452)의 작동에 의해 후면 프레임부(123)의 공기 흡입구(H4)를 통해 공기 유동경로(H6)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공기 배출구(H5)를 통해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배출된다.
이격용 내부공간(S1)으로 배출된 외부공기는 돌출 플랜지부(426)의 공기 유출구(428)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때, 이격용 내부공간(S1)은 치아와 광원유닛(140)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인데, 송풍팬(452)에 의해 이러한 이격용 내부공간(S1)을 통과하여 공기 유출구(428)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은 치아와 광원유닛(140) 사이에서 에어커튼의 역할을 하여 광원유닛(140)의 열이 치아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치아와 광원유닛(140)의 사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형성유닛(450)을 구비함으로서, 광원유닛(140)의 열이 치아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1 실시예의 손잡이부(130)의 구조가 달라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유닛(110)은, 지지대(미도시)에 지지되는 지지부(531)와, 지지부(5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 프레임부(12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53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미도시)는 책상 또는 테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의 지지부(531)가 책상 또는 테이블 등의 지지대(미도시)에 지지된다.
회동부(532)는, 회동 몸체부(533)와, 회동 몸체부(533)에 마련되며 회동 몸체부(533)와 지지부(531)의 상대회전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제1 회동조절부(534)와, 회동 몸체부(533)에 마련되며 회동 몸체부(533)와 연결 프레임부(122)의 상대회전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제2 회동조절부(5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몸체부(533)는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다단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동조절부(534)는, 회동 몸체부(533)를 지지부(531)에 가압하여 회동 몸체부(533)와 지지부(531)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제2 회동조절부(535)는 회동 몸체부(533)를 연결 프레임부(122)에 가압하여 회동 몸체부(533)와 연결 프레임부(122)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책상 등의 지지대(미도시)에 지지되는 지지부(531)와 지지부(5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532)를 구비함으로써, 피시술자가 책상 등의 지지대(미도시) 앞에 앉은 상태에서 치아 미백 시술을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 의해 피시술자는 시술 중에 치아 미백 장치를 들고 있을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손잡이부(130)의 구조가 달라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유닛(110)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631)와, 지지부(6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 프레임부(12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63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631)에는 다수개의 이동용 바퀴(631a)가 마련된다.
회동부(632)는, 회동 몸체부(633)와, 회동 몸체부(633)에 마련되며 회동 몸체부(633)와 지지부(631)의 상대회전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제1 회동조절부(634)와, 회동 몸체부(633)에 마련되며 회동 몸체부(633)와 연결 프레임부(122)의 상대회전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제2 회동조절부(6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동조절부(634)는, 회동 몸체부(633)를 지지부(631)에 가압하여 회동 몸체부(633)와 지지부(631)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제2 회동조절부(635)는 회동 몸체부(633)를 연결 프레임부(122)에 가압하여 회동 몸체부(633)와 연결 프레임부(122)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다수개의 이동용 바퀴(631a)가 마련된 지지부(631)를 구비함으로써, 피시술자가 이동하면서도 치아 미백 시술을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1 실시예의 손잡이부(130)의 구조가 달라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유닛(110)은, 피시술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지지부(731)와, 지지부(7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 프레임부(12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73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731)는 피시술자의 어깨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골곡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회동부(732)는, 회동 몸체부(733)와, 회동 몸체부(733)에 마련되며 회동 몸체부(733)와 지지부(731)의 상대회전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제1 회동조절부(734)와, 회동 몸체부(733)에 마련되며 회동 몸체부(733)와 연결 프레임부(122)의 상대회전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제2 회동조절부(7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동조절부(734)는, 회동 몸체부(733)를 지지부(731)에 가압하여 회동 몸체부(733)와 지지부(731)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제2 회동조절부(735)는 회동 몸체부(733)를 연결 프레임부(122)에 가압하여 회동 몸체부(733)와 연결 프레임부(122)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피시술자의 어깨 등에 지지되는 지지부(731)를 구비함으로써, 피시술자가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시술 시 피시술자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프레임유닛 120: 본체 프레임
121: 전면 프레임부 122: 후면 프레임부
123: 연결 프레임부 124: 노출공
125: 전면 측벽부 126, 426: 돌출 플랜지부
127: 공기 유입구 130: 손잡이부
140: 광원유닛 141: 광원부
142: 광원부용 차폐부 143: 투광부
144: 스커트부 144a: 간격유지용 돌출부재
144b: 제1 끼움결합용 돌출부재 144c: 제2 끼움결합용 돌출부재
150: 냉각유닛 151: 송풍모듈
152, 452: 송풍팬 153: 덮개 겸용 방열모듈
154: 덮개부 155: 방열핀
155a: 엠보싱 260: 공기 유입유닛
261: 공기 유입유닛용 팬 328, 428: 공기 유출구
423a: 유동 가이드부 450: 에어커튼 형성유닛
531, 631, 731: 지지부 532, 632, 732: 회동부
H1, H4: 공기 흡입구 SW: 조작용 스위치
H2, H5: 공기 배출구 H3, H6: 공기 유동경로
S1: 이격용 내부공간 S2: 광원부용 수용공간

Claims (15)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동경로가 마련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공기 유동경로에 배치되며,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광원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유닛의 냉각을 위해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유동경로에서 유동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송풍모듈을 구비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부;
    상기 전면 프레임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후면 프레임부; 및
    상기 전면 프레임부와 상기 후면 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부에는,
    상기 광원유닛이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노출공이 마련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노출공이 형성되는 전면 측벽부; 및
    상기 전면 측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 측벽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격용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돌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흡입구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노출공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는,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에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의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 유동경로로 유입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광원부보다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더 근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광원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광원유닛과 상기 송풍팬의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 겸용 방열모듈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광원부의 빛을 통과시키되, 상기 공기 유동경로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상기 광원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광원부용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용 차폐부는,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에 연결되며, 상기 투광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는 광원부용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겸용 방열모듈은,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열을 방출하며, 상기 스커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용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겸용 방열모듈은,
    상기 광원부가 결합되며, 상기 스커트부의 내벽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상기 광원부의 빛을 굴절시키는 굴절용 렌즈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지지대 또는 피시술자에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더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는, 상기 이격용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공기 유입구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치아 미백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85430A 2016-07-06 2016-07-06 치아 미백 장치 KR10178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430A KR101783878B1 (ko) 2016-07-06 2016-07-06 치아 미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430A KR101783878B1 (ko) 2016-07-06 2016-07-06 치아 미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878B1 true KR101783878B1 (ko) 2017-10-10

Family

ID=6019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430A KR101783878B1 (ko) 2016-07-06 2016-07-06 치아 미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8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921B2 (ja) * 1991-03-06 2001-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4506311A (ja) * 1999-05-03 2004-02-26 プレミア・ラザ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光源および方法
JP2004202189A (ja) * 2002-10-29 2004-07-22 Yuichiro Irie 歯牙用の照明装置、歯牙の治療装置および漂白方法
KR200442332Y1 (ko) 2007-05-03 2008-10-31 강창현 치아미백용 광선조사기
KR101461106B1 (ko) 2014-03-13 2014-11-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아 미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921B2 (ja) * 1991-03-06 2001-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4506311A (ja) * 1999-05-03 2004-02-26 プレミア・ラザ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光源および方法
JP2004202189A (ja) * 2002-10-29 2004-07-22 Yuichiro Irie 歯牙用の照明装置、歯牙の治療装置および漂白方法
KR200442332Y1 (ko) 2007-05-03 2008-10-31 강창현 치아미백용 광선조사기
KR101461106B1 (ko) 2014-03-13 2014-11-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아 미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9689B2 (ja) 光放射を用いて材料を硬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95726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materials with radiation
US8029278B1 (en) Intra-oral whitening device
JP4056930B2 (ja) 医療用光照射装置
KR101478118B1 (ko)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KR101619858B1 (ko) 아이피엘 피부관리장치
JP2019198712A (ja) 発光部付き送風装置
TWI533818B (zh) 除毛器
KR101728957B1 (ko) 치아 미백기
KR101783878B1 (ko) 치아 미백 장치
TWI555515B (zh) 牙齒美白裝置
RU2122819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101696728B1 (ko) 치아미백기와 자외선 살균기가 설치된 치아미백기 보관케이스
KR200398543Y1 (ko) 미백용 빛 조향장치
KR102591225B1 (ko) 내부 구조가 개선된 핸드헬드 스캐너
JP2018183432A (ja) 医療用レーザー装置およびレーザー照射装置
CN216366350U (zh) 一种带有辅助装置的智能激光美容仪
KR102594234B1 (ko) 구인두 광조사 장치
KR200374815Y1 (ko) 치아 미백용 광원 장치
WO2018008776A1 (ko) 치아 미백 장치
KR102580425B1 (ko) 구강 케어 기기
JP2002045375A (ja) 光照射器
KR200482368Y1 (ko) 치아미백기에 설치되는 방열판 구조체
JP2023023923A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光照射型美容装置
RU50420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учения ротогло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