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106B1 - 치아 미백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106B1
KR101461106B1 KR20140029883A KR20140029883A KR101461106B1 KR 101461106 B1 KR101461106 B1 KR 101461106B1 KR 20140029883 A KR20140029883 A KR 20140029883A KR 20140029883 A KR20140029883 A KR 20140029883A KR 101461106 B1 KR101461106 B1 KR 101461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oth whitening
rotating body
engag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범
양동준
정용일
한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20140029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106B1/ko
Priority to PCT/KR2014/002193 priority patent/WO2015137541A1/ko
Priority to TW103111432A priority patent/TWI55551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미백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치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치아 미백을 수행하는 치아미백본체유닛; 및 치아미백본체유닛에 연결되고 헤드에 밀착되어 치아미백본체유닛을 지지하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밀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미백 장치{TOOTH WHI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에 착용한채 치아 미백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치아 미백을 시행하는 동안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은 변색된 치아의 색조를 원래의 색조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치아는 선천적 요인, 또는 식생활 습관이나 흡연 여부 등에 따른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변색이 될 수 있는데, 치아 미백은 이렇게 변색된 치아의 색조를 원래의 색조로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미용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아 미백도 미용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삶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치아 미백은 더욱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치아 미백이 시작된 초기에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치아 미백제가 소량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여 칫솔질에 의해 미백효과를 얻도록 하였으나, 치약에 함유된 미백제의 양이 너무 적어, 치아 표면에 침착된 착색성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여기서, 보다 효과적인 미백 치료를 위해, 치과에서 미백제 패드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아 미백을 할 수 있지만, 치과에서의 치아 미백은 오랜 기간 주기적으로 통원치료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고가의 치료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치과에서의 치아 미백의 경우, 치아 미백시 치아미백대상자가 침구에 앉거나 누워 장시간 동안 동일한 자세를 유지해야하는데, 치아 미백을 시행하는 동안 신체 일부를 움직일 수 없어 오랜 시간 동안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등록번호 : 제20-0406685호 (등록일자 : 2006년01월13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헤드에 착용한채 치아 미백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치아 미백을 시행하는 동안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병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치아 미백이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치아 미백을 수행하는 치아미백본체유닛; 및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에 연결되고 헤드에 밀착되어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을 지지하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밀착유닛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과 상기 헤드밀착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밀착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헤드밀착유닛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제1회전구동유닛; 및 상기 제1회전구동유닛에 접촉되고 상기 헤드밀착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구동유닛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회전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구동유닛은, 일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요철이 형성되는 제1회전본체; 상기 제1회전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회전본체탄성유닛; 및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이 상기 제1회전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을 지지하는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본체에는 내측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은 상기 내측홈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구동유닛은, 일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요철이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본체에 접촉되는 제2회전본체; 및 상기 제2회전본체에 형성된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관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밀착유닛은, 상기 헤드의 전방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재; 및 상기 전방밀착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헤드의 후방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밀착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방외측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외측부재가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전방외측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전방내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내측부재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외측부재는 상기 전방내측부재의 상기 요철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밀착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후방외측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후방외측부재가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외측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후방내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내측부재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외측부재는 상기 후방내측부재의 상기 요철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후방걸림돌기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기 위해, 개구가 형성된 결합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결합고리에 걸릴 수 있는 결합고리걸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리걸림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고리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결합고리걸림부재; 및 상기 결합고리걸림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고리걸림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고리걸림부재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고리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결합고리의 상기 요철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 가능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걸림홈이 형성되는 와이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유닛은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에 결합 및 결합해제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와이어유닛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결합 및 결합해제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홈결합부재; 및 상기 걸림홈결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홈결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걸림홈결합부재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치아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상하좌우위치조절 및 상기 치아에 근접한 위치로의 근접위치조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LED유닛; 및 상기 LED유닛에 연결되는 방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방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유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빛을 굴절시키도록 마련되는 평면 볼록 렌즈(Plano-Convex Len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 볼록 렌즈는, 상기 평면 볼록 렌즈의 표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유닛은 COB(Chips On Board)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유닛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이 형성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헤드에 착용한채 치아 미백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치아 미백을 시행하는 동안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병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치아 미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헤드밀착유닛의 길이조절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착탈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길이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내부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착탈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헤드밀착유닛의 길이조절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착탈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길이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내부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의 내부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는, 치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치아 미백을 수행하는 치아미백본체유닛(200)와,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 연결되고 헤드에 밀착되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을 지지하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밀착유닛(30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미백제에 의한 치아 미백은, 미백제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를 치아에 도포 후 빛을 조사하는 방식으로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높은 미백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치아 미백시,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미백제를 치아 표면에 도포하게 되는데,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한 물질이므로 스스로 안정화하려고 하며, 이에 의해 다른 물질을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스스로 안정화하려는 성질에 의해 과산화수소는 산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과산화수소의 산화 작용으로 인해 치아의 미백이 가능해진다.
다만, 종래의 치아 미백 장치를 사용하여 광조사기를 통해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치아미백대상자는 치아 미백이 실행 중인 동안 침구에 앉거나 누워 장시간 동안 동일한 자세를 유지해야하므로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 진행 동안 다른 행위를 할 수 없으므로 시간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는 헤드에 착용되는 헤드밀착유닛(300)에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연결되므로, 치아 미백이 실행 중인 동안에도 팔과 다리 등의 신체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간편하고 용이하게 치아 미백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치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치아 미백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즉, 미백 대상인 치아에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미백제를 도포 후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치아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치아 미백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연결유닛(400)을 통해 헤드밀착유닛(30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연결유닛(400)의 일측에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결합되고, 연결유닛(400)의 타측에 헤드밀착유닛(300)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유닛(400)은 머리 및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게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또한, 플렉시블 와이어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유연성있게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연결유닛(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인체의 구강에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위생을 위해 세척이 필요할 수 있는데, 가정에서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을 할 수 있다.
또는, 병원에서 사용시, 여러 명의 치아미백대상자에 대해 서로 다른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연결유닛(400)으로부터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도 있다.
즉,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착탈을 통해 연결유닛(4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는 개구(211)가 형성된 결합고리(210)가 마련될 수 있고, 연결유닛(400)에는 결합고리(210)에 걸릴 수 있는 결합고리걸림유닛(41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고리(210)는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고리걸림유닛(410)은 연결유닛(40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고리(210)가 연결유닛(400) 내부로 인입되어 결합고리걸림유닛(410)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고리(210)가 결합고리걸림유닛(410)에 걸리는 것을 통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연결유닛(4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결합고리걸림유닛(410)은 결합고리걸림부재(411)와, 결합고리걸림부재탄성유닛(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고리걸림부재(411)는 연결유닛(400)의 내부에 배치되며, 결합고리(210)에 걸릴 수 있도록 톱니형상의 돌출부(4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톱니형상의 돌출부(416)가 결합고리(210)의 개구(211)에 걸려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연결유닛(4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결합고리걸림부재탄성유닛(412)은 결합고리걸림부재(411)에 연결되어 결합고리걸림부재(41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결합고리걸림부재(411)에 포함된 톱니형상의 돌출부(416)가 결합고리(210)의 개구(211)에 걸려진 후(도 6(a) 참조), 결합고리걸림부재(411)를 가압하여 돌출부(416)로부터 결합고리(210)를 분리할 수 있는데(도 6(b) 참조), 결합고리(210)가 돌출부(416)로부터 분리가 완료되면 결합고리걸림부재탄성유닛(412)이 결합고리걸림부재(41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결합고리걸림부재(411)를 원상회복시키게 된다(도 6(c) 참조).
여기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의 길이조절 시, 길이조절범위의 제어를 위해, 결합고리(210)에는 요철(212)이 형성될 수 있고, 치아미백본체유닛(200) 내부에는 걸림돌기(221)가 형성되는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220)가 결합되며,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220)에 형성된 걸림돌기(221)가 결합고리(210)의 요철(212)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치아미백대상자의 두부(頭部) 크기와 형상의 차이에 의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치아로부터 소정 범위 이상 과도하게 근접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치아미백대상자의 구강 부위에 화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연결유닛(400)에 결합되되, 연결유닛(400)으로부터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220)는 평면 형상의 플레이트에서 일측이 돌출되는 걸림돌기(221)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22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걸림돌기(221)를 가압하게 되면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220)는 탄성수축하게 되며,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회복력에 의해 걸림돌기(221)는 원래의 위치로 회복된다.
그런데,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연결유닛(400)으로부터 길이조절되는 경우, 걸림돌기(221)는 결합고리(210)의 요철(212)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되므로,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220)에 형성된 걸림돌기(221)가 탄성력에 의해 결합고리(210)의 요철(212)에 걸림 및 걸림해제를 반복하게 되며, 이에 의해, 길이조절 범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치아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상하좌우위치조절 및 치아에 근접한 위치로의 근접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치아의 구조와 배열, 형상은 치아미백대상자에 따라 상이하므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서 각각의 치아미백대상자의 치아에 맞게 위치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치아미백대상자의 치아미백 상태에 따라,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치아로부터 보다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근접한 위치로부터 떨어지도록, 근접한 정도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미백본체유닛(200)과 치아 사이의 거리가 30[mm]이내인 경우, 치아미백의 효과가 증가하며, 특히, 치아미백본체유닛(200)과 치아 사이의 거리가 15[mm]일 때 치아미백의 우수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을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LED유닛(250)과, LED유닛(250)에 연결되는 방열유닛(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LED유닛(250)은 빛의 파장이 410nm 내지 480nm 영역인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 표면에 도포된 과산화수소에 빛을 조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가속화시킬 수 있도록 블루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ED유닛(250)은 10[W,와트] 이상의 고출력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해, 치아미백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LED유닛(250)은 COB(Chips On Board)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COB타입은, 패키지 공정을 생략하고 PCB 기판에 LED 칩을 직접 본딩 후 수지로 몰딩하는 타입으로서, 방열효과를 향상시키고 LED 칩의 신뢰성을 증대시켜, 고효율의 LED유닛(25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구강의 내측 깊은 곳에 배치되어 있는 치아까지 빛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LED유닛(250)은 복수로 마련되어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이 형성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치아의 전체 배열이 곡면이라면 LED유닛(250)은 곡면에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치아의 전체 배열이 곡면으로 형성되더라도, LED유닛(250)이 반드시 곡면으로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치아 전체에 빛이 조사될 수 있는 구조로 LED유닛(250)이 배열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배열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LED유닛(250)을 통해 빛이 조사되는 경우 열도 함께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LED유닛(250)에 방열유닛(26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유닛(260)은 각종의 방열판 또는 히트싱크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방열유닛(260)의 구체적인 작동 원리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그러한 작동원리나 구조가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을 이루는 것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냉각유닛(270)은 방열유닛(260)에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방열유닛(260)에 연결되어 방열유닛(260)을 냉각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냉각유닛(270)은 공냉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냉각유닛(270)은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열팬이 방열유닛(260)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방열유닛(260)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방열유닛(26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유닛(270)은 수냉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냉각유닛(270)은 방열유닛(260)에 연결되어 물이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물에 의해 열이 냉각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LED유닛(250)의 전방에 배치되어 빛을 굴절시키도록 마련되는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굴절되어 치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LED유닛(250)의 전방에 평면 볼록 렌즈(Plano-Convex Lens,28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평면 볼록 렌즈(280)는 빛을 모으면서도 여러 방향으로 퍼지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치아 전체로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평면 볼록 렌즈(280)는, 평면 볼록 렌즈(28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28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루브(281)는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로방향, 가로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LED유닛(25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평면 볼록 렌즈(280)의 그루브(281)에 의해 굴절되거나 또는 산란되어서 다양한 방향으로 퍼질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치은에 대한 연조직 보호뿐만 아니라 빛에너지를 집중시켜 유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헤드밀착유닛(300)은 헤드에 착용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헤드밀착유닛(300)에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연결되므로, 헤드밀착유닛(300)이 헤드에 착용되어 밀착되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헤드밀착유닛(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치아미백대상자의 두부(頭部) 크기와 형상은 다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치아미백대상자에게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헤드밀착유닛(300)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헤드밀착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유닛(400)을 통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헤드밀착유닛(300)은 전방밀착부재(310)와, 후방밀착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방밀착부재(310)는 헤드의 전방에 밀착되도록 마련되고, 후방밀착부재(320)는 전방밀착부재(310)에 연결되어 헤드의 후방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밀착부재(310)와 후방밀착부재(320)를 통해 헤드의 전방과 후방 모두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전방밀착부재(310)는, 전방외측부재(311)와, 전방내측부재(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방외측부재(31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결합홈(316)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내측부재(312)는 한 쌍의 전방외측부재(311a,311b)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316)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내측부재(312)가 한 쌍의 전방외측부재(311a,311b)의 결합홈(316)에 삽입되면 한 쌍의 전방외측부재(311a,311b)는 전방내측부재(312)를 따라 상대이동가능하며 이에 의해, 전방밀착부재(31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전방밀착부재(310)는 전술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서와 마찬가지로, 길이조절 시, 길이조절범위의 제어를 위해, 전방내측부재(312)에 요철(319)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외측부재(311)의 내부에는 걸림돌기(318)가 형성되는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에 형성된 걸림돌기(318)가 전방내측부재(312)의 요철(319)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는 평면 형상의 플레이트에서 일측이 돌출되는 걸림돌기(318)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걸림돌기(318)를 가압하게 되면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는 탄성수축하게 되며,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회복력에 의해 걸림돌기(318)는 원래의 위치로 회복된다.
그런데, 전방밀착부재(31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 걸림돌기(318)는 전방내측부재(312)의 요철(319)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되므로,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에 형성된 걸림돌기(318)가 탄성력에 의해 전방내측부재(312)의 요철(319)에 걸림 및 걸림해제를 반복하게 되며, 이에 의해, 길이조절 범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후방밀착부재(320)는, 후방외측부재(321)와, 후방내측부재(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방외측부재(321)는 전술한 전방외측부재(311)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마련되어 결합홈(326)이 형성될 수 있고, 후방내측부재(322)는 한 쌍의 후방외측부재(321a,321b)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326)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내측부재(322)가 한 쌍의 후방외측부재(321a,321b)의 결합홈(326)에 삽입되면 한 쌍의 후방외측부재(321a,321b)는 후방내측부재(322)를 따라 상대이동가능하며 이에 의해, 후방밀착부재(32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후방밀착부재(320)는 전술한 전방밀착부재(310)에서와 마찬가지로, 길이조절 시, 길이조절범위의 제어를 위해, 후방내측부재(322)에 요철(329)이 형성될 수 있고, 후방외측부재(321)의 내부에는 걸림돌기(328)가 형성되는 후방걸림돌기플레이트(327)가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걸림돌기플레이트(327)에 형성된 걸림돌기(328)가 후방내측부재(322)의 요철(329)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후방걸림돌기플레이트(327)의 작동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의 작동에 관한 내용과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치아미백대상자의 두부(頭部)의 위치를 달리하여 헤드밀착유닛(300)이 착용될 수 있도록, 헤드밀착유닛(300)과 연결유닛(400)에 각각 결합되어 헤드밀착유닛(300)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유닛(50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조절유닛(500)은 제1회전구동유닛(510)과, 제2회전구동유닛(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구동유닛(510)은 연결유닛(400)에 결합되고, 제2회전구동유닛(520)은 헤드밀착유닛(300)에 결합되는데, 제1회전구동유닛(510)과 제2회전구동유닛(520)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구동유닛(510)과 제2회전구동유닛(520)의 접촉이 해제된 후 제2회전구동유닛(520)이 제1회전구동유닛(510)에 대해 상대회전하게 되면, 제2회전구동유닛(520)에 결합된 헤드밀착유닛(30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회전구동유닛(510)은 제1회전본체(511)와,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과,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5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본체(511)는 일측에 중공(516)이 형성되고 타측에 요철(517)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본체(511)에 형성된 요철(517)은 제2회전본체(521)의 요철(527)과 접촉 및 접촉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제1회전본체(511)에 형성된 요철(517)과 제2회전본체(521)에 형성된 요철(527)이 접촉되면 제2회전본체(521)의 회전이 방지되지만, 제2회전본체(521)에 형성된 요철(527)이 제1회전본체(511)에 형성된 요철(517)로부터 접촉해제되면 제2회전본체(521)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회전본체(511)와 제2회전본체(521)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본체(511)에 형성된 요철(517)과 제2회전본체(521)에 형성된 요철(527)은 톱니 형상으로 마련되어 접촉 및 접촉해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본체(511)에 형성된 중공(516)은 제2회전구동유닛(520)에 구비된 관통부재(522)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관통부재(522)가 제2회전본체(521)에 형성된 중공(526)과, 제1회전본체(511)에 형성된 중공(516)을 관통하여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513)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은 제1회전본체(511)에 결합되어 제1회전본체(51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회전본체(511)가 제2회전본체(521)로부터 접촉해제되면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이 가압되어 수축하게 되는데, 제2회전본체(521)의 회전이 완료된 후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1회전본체(511)와 제2회전본체(521)가 다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513)는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이 제1회전본체(5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본체(511)에는 내측홈(518)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은 내측홈(518)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회전본체탄성유닛(512)이 제1회전본체(511)에 형성된 내측홈(518)과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513) 사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513)는 제1회전본체(51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2회전구동유닛(520)은 제2회전본체(521)와, 관통부재(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회전본체(521)는 일측에 중공(526)이 형성되고 타측에 요철(527)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회전본체(521)에 형성된 요철(52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본체(511)의 요철(517)과 접촉 및 접촉해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재(5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회전본체(521)에 형성된 중공(526)을 관통하여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513)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에서, 헤드에 착용한채 치아 미백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치아 미백을 시행하는 동안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병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치아 미백이 가능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치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치아 미백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헤드밀착유닛(300)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유닛(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의 세척과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 구강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구강에 화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연결유닛(400)으로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 포함되는 결합고리(210)에 형성된 요철(212)과, 결합고리(210)의 요철(212)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돌기(221)가 형성되는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220)를 통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의 길이조절 시, 길이조절범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빛의 파장이 410nm 내지 480nm 영역인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유닛(250)이 구비될 수 있고, LED유닛(25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방열유닛(260)과 방열팬(27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굴절되어 치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LED유닛(250)의 전방에 평면 볼록 렌즈(28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헤드밀착유닛(300)은 전방밀착부재(310)와 후방밀착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길이조절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전방밀착부재(310)와 후방밀착부재(320)는 전술한 치아미백본체유닛(200)과 마찬가지로 요철(319,329)과, 걸림돌기(318,328)가 형성되는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317) 또는 후방걸림돌기플레이트(327)에 의해 길이조절범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전조절유닛(500)은 헤드밀착유닛(300)과 연결유닛(400)에 각각 결합되는데, 헤드밀착유닛(300)에 결합되는 제2회전구동유닛(520)이 연결유닛(400)에 결합되는 제1회전구동유닛(5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헤드밀착유닛(30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에서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의 착탈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에서, 헤드에 착용한채 치아 미백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치아 미백을 시행하는 동안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병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치아 미백이 가능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시, 치아미백본체유닛(200)과 연결유닛(400)의 결합방식에 차이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유닛(400)에는 연결유닛(40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와이어유닛(420)이 마련될 수 있고, 와이어유닛(420)에는 걸림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은 와이어유닛(420)에 형성된 걸림홈(421)에 결합 및 결합해제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홈결합부재(230)와, 걸림홈결합부재(230)에 연결되어 걸림홈결합부재(2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걸림홈결합부재탄성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여 연결유닛(400)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연결유닛(400)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유닛(420)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에 삽입되는 경우 걸림홈결합부재(230)가 와이어유닛(420)의 걸림홈(421)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여 연결유닛(400)이 치아미백본체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걸림홈결합부재(230)를 가압하는 경우 걸림홈결합부재(230)가 와이어유닛(420)의 걸림홈(421)으로부터 결합해제되며(도 11(b) 참조), 여기서, 연결유닛(400)을 치아미백본체유닛(200)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도 11(C) 참조).
이후, 걸림홈결합부재(230)는 걸림홈결합부재(230)에 연결되어 있는 걸림홈결합부재탄성유닛(2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복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치아 미백 장치 200 : 치아미백본체유닛
210 : 결합고리 211 : 개구
212 : 요철 220 :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
221 : 걸림돌기 230 : 걸림홈결합부재
240 : 걸림홈결합부재탄성유닛 250 : LED유닛
260 : 방열유닛 270 : 냉각유닛
280 : 평면 볼록 렌즈 300 : 헤드밀착유닛
310 : 전방밀착부재 311 : 전방외측부재
312 : 전방내측부재 316 : 결합홈
317 :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 318 : 걸림돌기
319 : 요철 320 : 후방밀착부재
321 : 후방외측부재 322 : 후방내측부재
326 : 결합홈 327 : 후방걸림돌기플레이트
328 : 걸림돌기 329 : 요철
400 : 연결유닛 410 : 결합고리걸림유닛
411 : 결합고리걸림부재 412 : 결합고리걸림부재탄성유닛
416 : 돌출부 420 : 와이어유닛
421 : 걸림홈 500 : 회전조절유닛
510 : 제1회전구동유닛 511 : 제1회전본체
512 : 제1회전본체탄성유닛 513 :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
516 : 중공 517 : 요철
518 : 내측홈 520 : 제2회전구동유닛
521 : 제2회전본체 522 : 관통부재
526 : 중공 527 : 요철

Claims (26)

  1. 치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치아 미백을 수행하는 치아미백본체유닛;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에 연결되고 헤드에 밀착되어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을 지지하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밀착유닛; 및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과 상기 헤드밀착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밀착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헤드밀착유닛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절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제1회전구동유닛; 및
    상기 제1회전구동유닛에 접촉되고 상기 헤드밀착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구동유닛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회전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구동유닛은,
    일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요철이 형성되는 제1회전본체;
    상기 제1회전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회전본체탄성유닛; 및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이 상기 제1회전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을 지지하는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구동유닛은,
    일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요철이 형성되는 제2회전본체; 및
    상기 제2회전본체에 형성된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관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본체와 상기 제2회전본체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본체에 형성된 모든 요철이 상기 제2회전본체에 형성된 모든 요철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본체에는 내측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본체탄성유닛은 상기 내측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밀착유닛은,
    상기 헤드의 전방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재; 및
    상기 전방밀착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헤드의 후방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밀착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방외측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외측부재가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전방외측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전방내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내측부재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외측부재는 상기 전방내측부재의 상기 요철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전방걸림돌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밀착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후방외측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후방외측부재가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외측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후방내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내측부재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외측부재는 상기 후방내측부재의 상기 요철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후방걸림돌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기 위해, 개구가 형성된 결합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결합고리에 걸릴 수 있는 결합고리걸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리걸림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고리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결합고리걸림부재; 및
    상기 결합고리걸림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고리걸림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고리걸림부재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리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결합고리의 상기 요철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 가능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본체걸림돌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걸림홈이 형성되는 와이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유닛은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에 결합 및 결합해제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와이어유닛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결합 및 결합해제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홈결합부재; 및
    상기 걸림홈결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홈결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걸림홈결합부재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치아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상하좌우위치조절 및 상기 치아에 근접한 위치로의 근접위치조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1. 제1항, 제6항, 제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미백본체유닛은,
    상기 치아에 빛을 조사하는 LED유닛; 및
    상기 LED유닛에 연결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방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LED유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빛을 굴절시키도록 마련되는 평면 볼록 렌즈(Plano-Convex Len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볼록 렌즈는, 상기 평면 볼록 렌즈의 표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LED유닛은 COB(Chips On Board)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LED유닛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KR20140029883A 2014-03-13 2014-03-13 치아 미백 장치 KR10146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9883A KR101461106B1 (ko) 2014-03-13 2014-03-13 치아 미백 장치
PCT/KR2014/002193 WO2015137541A1 (ko) 2014-03-13 2014-03-14 치아 미백 장치
TW103111432A TWI555515B (zh) 2014-03-13 2014-03-27 牙齒美白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9883A KR101461106B1 (ko) 2014-03-13 2014-03-13 치아 미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106B1 true KR101461106B1 (ko) 2014-11-12

Family

ID=5228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9883A KR101461106B1 (ko) 2014-03-13 2014-03-13 치아 미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61106B1 (ko)
TW (1) TWI555515B (ko)
WO (1) WO20151375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68Y1 (ko) * 2015-07-06 2017-01-16 김순희 치아미백기에 설치되는 방열판 구조체
KR101783878B1 (ko) 2016-07-06 2017-10-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아 미백 장치
WO2018008776A1 (ko) * 2016-07-06 2018-01-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아 미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0108A (zh) * 2019-07-08 2019-08-27 深圳索爱数码科技有限公司 牙齿美白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189A (ja) 2002-10-29 2004-07-22 Yuichiro Irie 歯牙用の照明装置、歯牙の治療装置および漂白方法
US20080032252A1 (en) 2004-08-25 2008-02-07 Discus Dental Impressions, Llc Illumination system for dental applications
KR20090094089A (ko) * 2006-12-14 2009-09-03 전종찬 치아미백장치
KR20100074112A (ko) * 2007-09-07 2010-07-01 전종찬 치아미백장치 및 치아미백장치용 헤드 기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25926A (en) * 2010-12-20 2012-07-01 Jung-Chang Lai Dental whitening machine with image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189A (ja) 2002-10-29 2004-07-22 Yuichiro Irie 歯牙用の照明装置、歯牙の治療装置および漂白方法
US20080032252A1 (en) 2004-08-25 2008-02-07 Discus Dental Impressions, Llc Illumination system for dental applications
KR20090094089A (ko) * 2006-12-14 2009-09-03 전종찬 치아미백장치
KR20100074112A (ko) * 2007-09-07 2010-07-01 전종찬 치아미백장치 및 치아미백장치용 헤드 기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68Y1 (ko) * 2015-07-06 2017-01-16 김순희 치아미백기에 설치되는 방열판 구조체
KR101783878B1 (ko) 2016-07-06 2017-10-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아 미백 장치
WO2018008776A1 (ko) * 2016-07-06 2018-01-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아 미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55515B (zh) 2016-11-01
WO2015137541A1 (ko) 2015-09-17
TW201534280A (zh)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106B1 (ko) 치아 미백 장치
JP5705838B2 (ja) 歯の移動を調節する方法及び装置
TWI671062B (zh) 咀嚼式牙齒矯治裝置及其製造方法
US11957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movement regulation
US9308389B2 (en)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TWI610663B (zh) 調整以符合使用者牙拱的大小並且密封以防止氧暴露的咬嘴及其使用方法
AU2006249760B2 (en) Device having activated textured surfaces for treating oral tissue
US20190083202A1 (en)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for remodeling maxillofacial bone using light therapy,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optionally, vitamin d administration
US20230210453A1 (en) Orthodontic appliance compliance monitor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JP2011518599A (ja) レーザー脱毛症治療器
KR101554721B1 (ko) 구강용 광조사 장치
TW201831150A (zh) 咀嚼式牙齒矯正裝置及形狀記憶網
JP2013533756A (ja) 歯科用器具
KR20150002011A (ko) 마우스피스
KR102049109B1 (ko) 미백 칫솔 및 미백 전동 칫솔
KR101611987B1 (ko) 다기능 치아 미백장치
KR20150032685A (ko) 마우스피스
KR101783878B1 (ko) 치아 미백 장치
KR20110073012A (ko) 광출사 장치, 브러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칫솔
CN115192242A (zh) 牙齿美白加速矫正仪
KR200482368Y1 (ko) 치아미백기에 설치되는 방열판 구조체
KR101746218B1 (ko) 구외 교정장치
JP2004188034A (ja) 歯科用鏡
RU2007142381A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испусканием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излучения и система средств для ухода за зубами
JP2004188036A (ja) 歯科用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