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727B1 -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727B1
KR101781727B1 KR1020160009756A KR20160009756A KR101781727B1 KR 101781727 B1 KR101781727 B1 KR 101781727B1 KR 1020160009756 A KR1020160009756 A KR 1020160009756A KR 20160009756 A KR20160009756 A KR 20160009756A KR 101781727 B1 KR101781727 B1 KR 10178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ubble
dr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487A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Priority to KR102016000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7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24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B01F15/00123
    • B01F15/00253
    • B01F3/04255
    • B05B15/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블수 생성을 위한 드레인 탱크에 드레인 펌프를 설치하여 탱크에서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출수구 측에 버블노즐을 설치하여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의 배출 상태에서도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버블수가 끊김 없이 출수될 수 있도록 하며, 한 번의 버튼 작동만으로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는 편리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수구(21)와 입수배관(22)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입수구(21)에 설치되는 입수차단밸브(23)의 개폐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20)와, 상기 탱크(20)의 하단에 출수구(26)와 출수배관(27)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출수차단밸브(28)를 통해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20) 일 측의 드레인 배관(30)에 설치되며,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 밸브(31)를 통해 작동되는 드레인 펌프(32)와; 상기 탱크(20)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탱크(20) 내부의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를 배출 시 탱크(20) 내부에 형성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밸브(33)와; 상기 드레인 펌프(32)가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30)에 설치되며, 드레인 펌프(32)를 통해 배출되는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노즐(40)과; 상기 입수차단밸브(23), 드레인 밸브(31) 및 드레인 펌프(32), 진공해제밸브(33), 출수차단밸브(27), 마이크로버블노즐(40)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1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OF GENERATIMG APPARATUS FOR MICRO-BUBBL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블수 생성을 위한 드레인 탱크에 드레인 펌프를 설치하여 탱크에서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출수구 측에 마이크로 버블 노즐을 설치하여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의 배출 상태에서도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버블수가 끊김 없이 출수될 수 있도록 하고, 한 번의 버튼 작동을 통해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이라 함은 1 ~ 50um 이하의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초미세 기포를 칭하는 것으로, 보통 물속에 존재하는 통상의 기포(버블·물방울)는 물의 표면으로 상승 후에는 물의 표면에서 파열되는 것이 보통이나 마이크로 버블은 물속에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다양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면서 소멸하게 된다.
마이크로 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 가압 효과, 대전 효과 등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 내에 제공되어 세탁력을 향상시키는 용도 또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거나 샤워기나 비데 또는 욕조 등에 구비되어 물이 사용되는 제품의 노즐에 기생하는 세균을 제거하는 데 사용됨은 물론 마사지·건강증진·피로회복 등의 용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 버블수 생성 장치는 버블수 생성을 위한 탱크에 입수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탱크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게 되며, 입수되는 물과 탱크 내부의 공기가 만나 서로 용해되면서 버블수가 생성되게 되고, 이때 탱크에 형성된 수압과 마이크로버블 노즐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수가 출수배관을 통해 출수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탱크에 물이 계속 공급되게 되면, 어느 순간 탱크 내부의 공기가 용해되면서 공기량이 줄고, 내부에 형성된 압력이 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버블수는 출수되지 않고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만 배출되게 된다.
그러면 출수를 멈추고 탱크 하단의 배관에 설치되는 노브를 통해 드레인 밸브를 열어 탱크 내부의 물을 배출해야만 하는데, 이때 출수를 멈추고 수초 또는 수분 동안 탱크 드레인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드레인 밸브를 열어 탱크 내부의 물을 배출할 때 탱크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진공으로 인해 자연배출이 어려워 출수가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 드레인을 위한 별도의 배관이 탱크 하단에 설치됨에 따라 배관으로 인한 주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설치 공간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 버블수 발생을 위한 발생 장치의 제어에 있어 지금까지는 입수 및 출수와 드레인을 위한 밸브 조작이 모두 기계적인 방식으로 제어됨에 따라 제어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버블수 생성을 위한 장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버블수를 끊김 없이 출수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29567호(2015. 06. 11.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버블수 탱크에 드레인 펌프를 설치하여 버블수 탱크에서 공기와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레인 펌프롤 통해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가 배출되는 출수구 측에 버블 노즐을 설치하여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의 배출 상태에서도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버블수가 끊김 없이 연속으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시스템을 전기제어방식으로 형성하여 한 번의 버튼 작동만으로 시스템 작동을 할 수 있는 편리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수구와 입수배관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입수구에 설치되는 입수밸브의 개폐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하단에 출수구와 출수배관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출수차단밸브를 통해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 일 측의 드레인 배관에 설치되며, 탱크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 밸브를 통해 작동되는 드레인 펌프와;
상기 탱크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펌프를 작동하여 탱크 내부의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를 배출 시 탱크 내부에 형성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밸브와;
상기 드레인 펌프가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에 설치되며, 드레인 펌프를 통해 배출되는 탱크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에 마이크로버블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노즐과;
상기 입수차단밸브, 드레인 밸브 및 드레인 펌프, 진공해제밸브, 출수차단밸브, 마이크로버블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버블수 탱크에 드레인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버블수 탱크에서 공기와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탱크 일 측에 탱크 내부의 진공을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버블수 탱크에서 공기와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배출 시 탱크 내부의 진공을 해제할 수 있어 탱크에서 배출되는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드레인 펌프를 통해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가 배출되는 출수구 측에 버블 노즐을 설치하여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의 배출 상태에서도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버블수가 끊김 없이 연속으로 출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어시스템이 전기제어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한 번의 버튼 작동만으로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입수구(21)와 입수배관(22)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입수구(21)에 설치되는 입수차단밸브(23)의 개폐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20)를 구비한다.
이어 상기 탱크(20)의 하단에는 탱크(20) 내부에서 생성되는 버블수의 출수를 위해 출수차단밸브(28)를 통해 개폐되는 출수배관(27)을 출수구(26)와 연결 설치한다.
이어 상기 탱크(20) 일 측에는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30)을 설치하고, 그 드레인 배관(30)에는 드레인 밸브(31)를 통해 작동되는 드레인 펌프(32)를 설치한다.
또 상기 탱크(20) 일 측에는 상기 드레인 펌프(32)의 작동 시 탱크(20) 내부에 형성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밸브(33)를 설치한다.
이때 진공해제밸브(33) 일 측에는 탱크(20) 내부의 진공을 해제 시 탱크(20)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34)를 설치한다.
상기 탱크(20) 하단의 출수배관(27)에는 상기 드레인 펌프(32)를 통해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배출 시 출수배관(27)을 통한 출수를 차단하는 출수차단밸브(28)를 설치한다.
또 상기 드레인 펌프(32)가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30)의 단부에는 마이크로버블노즐(40)을 설치하여 드레인 펌프(32)를 통해 배출되는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드레인 밸브(31) 및 드레인 펌프(32)·진공해제밸브(33)·출수차단밸브(28)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1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정용 수전(세면기·샤워기·주방 등)에 마이크로 버블수를 사용함에 있어 편리함을 기하고자 한 것으로, 먼저 입수구(21)와 입수배관(22)을 통해 연결 설치된 탱크(20) 내부로 입수구(21)에 설치되는 입수차단밸브(23)의 개폐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출수배관(27)에서 출수구(26) 측의 출수차단밸브(28)가 닫히게 되면서 탱크(2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탱크(20)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탱크(20) 내부로 유입된 물은 탱크(20) 내부의 공기와 만나 서로 용해되면서 버블수가 생성되게 되고, 이때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수가 탱크(20) 하단의 출수배관(27)을 통해 작동과 동시에 바로 출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작동으로 탱크(20) 내부로 물이 계속 유입되게 되면, 탱크(20) 내부의 공기가 용해되면서 공기량이 줄고, 탱크(20) 내부의 압력이 변하게 되면서 마이크로 버블수는 출수되지 않고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만 배출되게 되며, 이때에는 입수를 멈추고 드레인 밸브(31)를 열어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를 배출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PCB기판(10)을 이용하여 상기 탱크(20) 일 측의 드레인 배관(30)에 설치되는 드레인 펌프(32)를 작동시키게 되면,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탱크(20) 내부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있어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의 자연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데, 일 측에 설치된 진공해제밸브(33)를 통해 탱크(20)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게 되면 탱크(20) 내부에 형성된 진공으로 인해 자연배출이 어렵고, 이로 인해 출수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진공해제밸브(33) 일 측에 체크밸브(34)를 설치하게 되면, 탱크(20) 내부의 진공을 해제 시 탱크(20)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탱크(20)에 드레인 펌프(32)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탱크(20)에서 공기와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의 배출을 위하여 드레인 펌프(32)를 사용하였으나, 소음 발생의 우려를 감안하여 발생을 드레인 펌프(32)를 사용하지 않고 드레인 배관(30) 또는 호스로 대체를 하여도 시스템 작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이때 드레인 배관(30)으로 출수를 원하면 PCB 기판(10)을 이용하여 진공해제밸브(33)를 작동하게 되면 탱크(20) 내부의 진공이 해제되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 드레인 배관(30)의 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출수구(26) 측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이크로버블노즐(40)을 설치하게 되면, 탱크(20)에서 출수차단밸브(28)를 통해 정상적으로 배출되는 버블수는 물론 상기 드레인 펌프(32)의 작동을 통해 탱크(20)에서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농도가 낮은 버블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도 버블수가 출수되게 되어 버블수가 끊김 없이 출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은 PCB 기판(10)을 통해 작동 버튼 하나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어 사용상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기존의 노브 등의 기계적인 방식을 이용한 배출과 탱크(20) 내부의 진공으로 인해 자연배출이 어려워 출수가 지연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1 ; 제어시스템 10 ; PCB 기판
20 ;탱크 21 ; 입수구
22 ; 입수배관 23 ; 입수차단밸브
26 ; 출수구 27 ; 출수배관
28 ; 출수차단밸브 30 ; 드레인 배관
31 ; 드레인 밸브 32 ; 드레인 펌프
33 ; 진공해제밸브 34 ; 체크밸브
40 ; 마이크로버블노즐

Claims (5)

  1. 입수구(21)와 입수배관(22)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입수구(21)에 설치되는 입수차단밸브(23)의 개폐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20)와, 상기 탱크(20)의 하단에 출수구(26)와 출수배관(27)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출수차단밸브(28)를 통해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20) 일 측의 드레인 배관(30)에 설치되며,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 밸브(31)를 통해 작동되는 드레인 펌프(32)와;
    상기 입수차단밸브(23), 드레인 밸브(31) 및 드레인 펌프(32), 출수차단밸브(28)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드레인 펌프(32)가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30)에는 드레인 펌프(32)를 통해 배출되는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에 마이크로버블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노즐(4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 일 측에는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를 배출 시 탱크(20) 내부에 형성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밸브(33)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해제밸브(33)에는 진공해제밸브(33)를 통해 탱크(20) 내부의 진공을 해제 시 탱크(20) 내부의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34)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4. 삭제
  5. 입수구(21)와 입수배관(22)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입수구(21)에 설치되는 입수차단밸브(23)의 개폐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20)와, 상기 탱크(20)의 하단에 출수구(26)와 출수배관(27)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출수차단밸브(28)를 통해 버블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20) 일 측의 드레인 배관(30)에 설치되며,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 밸브(31)를 통해 작동되는 드레인 펌프(32)와;
    상기 탱크(20)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펌프(32)를 작동하여 탱크(20) 내부의 낮은 농도의 버블수 또는 일반수를 배출 시 탱크(20) 내부에 형성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밸브(33)와;
    상기 드레인 펌프(32)가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30)에 설치되며, 드레인 펌프(32)를 통해 배출되는 탱크(20) 내부의 용해되지 않은 일반수 또는 낮은 농도의 버블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노즐(40)과;
    상기 입수차단밸브(23), 드레인 밸브(31) 및 드레인 펌프(32), 진공해제밸브(33), 출수차단밸브(28), 마이크로버블노즐(40)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KR1020160009756A 2016-01-27 2016-01-27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KR10178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56A KR101781727B1 (ko) 2016-01-27 2016-01-27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56A KR101781727B1 (ko) 2016-01-27 2016-01-27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87A KR20170089487A (ko) 2017-08-04
KR101781727B1 true KR101781727B1 (ko) 2017-09-25

Family

ID=5965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756A KR101781727B1 (ko) 2016-01-27 2016-01-27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504B1 (ko) 2018-01-10 2019-1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52095B1 (ko) * 2018-07-09 2019-12-05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의 피막제 조제방법
CN114811956A (zh) * 2021-01-28 2022-07-29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微气泡水生成系统的控制方法和热水器的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076A (ja) * 2009-10-22 2011-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気液混合液の生成方法及び気液混合液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076A (ja) * 2009-10-22 2011-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気液混合液の生成方法及び気液混合液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87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1127B2 (ja) マイクロバブル・炭酸泉発生装置
KR101781727B1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KR101170089B1 (ko) 수도관의 직수를 이용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
JP2007289903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及び風呂システム
WO2013073732A1 (ko) 상수압을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4767753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風呂用給湯装置
JP2008138378A (ja) 薬液混入水吐出装置および水洗便器装置
KR101031030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201015521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5906437B2 (ja) 便器装置
JP2013094696A (ja) 溶解液生成装置およびオゾン水生成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衛生器具用洗浄装置
WO2019044622A1 (ja) 便器洗浄システム
JP5467319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2330885A (ja) 浴槽システム
JP2007000546A (ja) 微細気泡発生浴槽
JP2018099424A (ja) 風呂装置
JP2007268245A (ja) 浴槽用混合装置
KR101885056B1 (ko) 입욕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월풀욕조
JP2008237605A (ja) 浴槽洗浄装置
JP2014004499A (ja) オゾン含有液生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浄装置
JP6117667B2 (ja) オゾン含有液生成装置
JP2010057556A (ja) 噴流浴システム
JP5492068B2 (ja) 洗浄水吐出装置
JP2013204262A (ja) 便器洗浄装置
JP5179341B2 (ja) 洗浄水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