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052B1 -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052B1
KR101781052B1 KR1020170013801A KR20170013801A KR101781052B1 KR 101781052 B1 KR101781052 B1 KR 101781052B1 KR 1020170013801 A KR1020170013801 A KR 1020170013801A KR 20170013801 A KR20170013801 A KR 20170013801A KR 101781052 B1 KR101781052 B1 KR 10178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ip
inner tube
disposed
electro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733A (ko
Inventor
신경민
박세익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CN201780008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601665A/zh
Priority to EP17753397.3A priority patent/EP3417836A4/en
Priority to JP2018538692A priority patent/JP6793736B2/ja
Priority to US16/072,520 priority patent/US11045252B2/en
Priority to PCT/KR2017/001172 priority patent/WO2017142236A1/ko
Publication of KR2017009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e.g. for neurosurgery or arth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22Means for mounting a stent or stent-graft onto or into a placement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1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ndle assembl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7Stent-grafts having means to fill the space between stent-graft and aneurysm wall, e.g. a sleeve
    • A61F2002/952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39H-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전류원과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전극선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전도되는 복수의 전극체를 일체로 포함하는 전기 소작 팁과 일측은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연계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부와 연계되며, 내부에는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상기 커넥터부를 연결하는 상기 전극선이 배치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의 내부에서 상기 전기 소작 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스텐트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소작 팁에 양극을 일체로 전도시켜, 체내에서의 전류 흐름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ELECTROCAUTERY STENT DELIVERY SYSTEM WITH A BI-POLAR TIP}
본 발명은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소작 팁에 양극을 일체로 전도시켜, 체내에서의 전류 흐름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술 안정성을 향상시킨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stent)는 인체 내의 막힌 곳에 삽입하여 혈액, 체액, 음식물, 체내노폐물 등의 순환 경로를 확보하는데 사용되는 관내인공삽입물(endoprostheses)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스텐트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먼저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직경이 가늘어 쉽게 삽입할 수 있는 반면, 재질적 특성 및 가는 직경 때문에 자가확장이 붕괴되며 다시 스텐트 시술부위가 막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의료분야에서는 금속재질의 스텐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금속 재질의 경우 값은 비싸지만, 기본적으로 내재된 강성이 있어 스텐트 시술부위 신체 조직에서 간헐적 근육수축, 인가되는 외부 충격 등이 발생하더라도 일시적으로 수축되지만 다시 자가확장되므로, 그 기능을 유지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최근에는 혈관, 요관, 담관 등의 인체의 순환경로상에 폐색,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예전처럼 외과적인 수술방법이 사용되기 보다는, 비수술적 방법이 선호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서 스텐트 시술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텐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신체 조직 부위로 삽입하기 위해 카테터(catheter)와 같은 스텐트 전달 시스템(stent delivery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스텐트 전달 시스템을 간략히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전기 소작 팁, 삽입용 튜브, 스텐트, 손잡이, 전류커넥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류커넥터는 전기 시술기와 같은 외부 전류원과 연결되어 가열용 전류를 공급받는 부속이며, 전기 소작 팁은 이러한 전류커넥터와 도선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받아 신체 조직을 소작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속이다.
그리고 통상 삽입용튜브는 절연재질로 구성되고, 삽입용튜브 내부에는 스텐트가 내장되어 있어, 시술자가 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삽입용튜브를 소작구멍을 통해 신체 조직에 삽입하고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스텐트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손잡이 조작을 통해 삽입용튜브에서 스텐트가 노출되도록 하고, 스텐트가 자가확장되며 시술 부위의 폐색, 손상 등을 해결하게 된다.
도 1를 참고하면, 종래 다수의 스텐트 전달 시스템(10)에 사용되는 전기 소작 팁(13)은 단극만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도 1에 도시된 내용은 단극형 전기 소작 팁(13)이 구비된 회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이는 단극형 전기 소작 팁(13)의 작동원리 설명을 위해 인용한 것이다.
이 경우 시술방식은 시술자가 외부 전류원(11)의 일극에 전선(12)를 이용하여 전기 소작 팁(13)과 연결하고, 환자(H)의 신체 일부에 다른 극이 전도될 수 있도록 전극패치(14)를 배치한다. 그리고 전극패치(14)를 전선(15)를 이용하여 외부 전류원(11)의 다른 극에 연결한다.
시술자가 외부 전류원(11)의 전원을 켜고 전류 크기를 조절하며 신체 조직을 소작하게 된다. 전류는 도 1에 게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흐르고(혹은 반대 방향) 전기 소작 팁(13)의 끝단부에서는 신체 내부를 흘러 전극패치(14)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전류는 체내를 흐르게 되므로, 자칫 실수가 발생되면, 환자에게 전기적 충격을 주거나 심한 경우 조직화상, 조직괴사 등의 신체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작 팁(13)과 전극 패치(14)간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하는 것이 좋으나, 스텐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위치에 따라 물리적인 제한이 있다.
따라서 환자에 대한 시술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종래의 스텐트 전달 시스템은 삽입용튜브가 절연재질로 되어 있어, 의사, 간호사와 같은 시술자가 잘못 사용하여 충격을 가하는 경우 쉽게 구부러지거나 꺾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심한 경우 외부 손상으로 인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실제 시술과정에서 발생된다면, 환자와 같은 시술대상자에게는 치명적인 의료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삽입용튜브는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은 보장되어야 하며, 또한 인체에 닿는 부속이므로 전기적으로 절연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텐스 시술 기술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삽입용튜브의 기본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의사, 간호사와 같은 시술자의 부주위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튜브가 요구되고 있다. 물론 전기 소작 팁까지 연결되는 도선의 배치 또한 적절히 고려되어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스텐트 전달 시스템은 전기 소작 팁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서, 시술대상자의 신체 조직내 시술환경에 따라 소작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가변적인 시술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한계를 야기한다.
따라서 보다 향상된 시술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신체 조직의 시술 부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텐트를 전달하기 위한, 신체 조직에 소작 구멍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시술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미국특허 등록번호 : US 9452069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소작 팁에 양극을 일체로 전도시켜, 체내에서의 전류 흐름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텐트 전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전류원과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전극선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전도되는 복수의 전극체를 일체로 포함하는 전기 소작 팁과 일측은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연계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부와 연계되며, 내부에는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상기 커넥터부를 연결하는 상기 전극선이 배치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의 내부에서 상기 전기 소작 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스텐트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소작 팁은, 내부에 팁가이드홀이 형성된 팁절연부재와 상기 팁절연부재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어느 한 극을 형성하는 제1 전극체 및 상기 팁절연부재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다른 한 극을 형성하는 제2 전극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연결커넥터는 제1 연결커넥터 및 제2 연결커넥터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선은 상기 제1 연결커넥터와 상기 제1 전극체를 연결되는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연결커넥터와 상기 제2 전극체를 연결되는 제2 전극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의 일측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연결되는 상기 전극선이 배치되고, 내부 중앙측에는 인너홀이 형성된 제1 내부튜브와 상기 제1 내부튜브의 외측 둘레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튜브와 연계되어 일체로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제2 내부튜브 및 상기 제2 내부튜브를 감싸며 배치되는 외부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절연코팅제이고, 상기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은 개별 절연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절연코팅제이고, 상기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은 개별 절연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의 둘레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감기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절연코팅제이고, 상기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은 개별 절연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의 둘레를 따라 직조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는, 상기 외부튜브에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내부튜브와 이동바로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손잡이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상기 이동바 및 제2 손잡이부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소작 팁은, 상기 전극체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전극체의 크기를 가변토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가변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링의 외측 일부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링의 외측 일부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보다 작은 각도로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링의 외측 둘레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링의 일부는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소작 팁은, 상기 가변링의 내측 둘레와 상기 전극체 및 상기 팁절연부재의 외측 둘레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밀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소작 팁은, 상기 전극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소작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작돌기는 상기 전극체의 외측 둘레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작돌기는 직선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작돌기는 곡선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부튜브의 인너홀 및 상기 팁절연부재의 팁가이드홀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 소작 팁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는, 이동바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이동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결합되며 이동바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손잡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일측은 상기 탄성체에 밀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1 인너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블록상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구름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팁가이드홀은 상기 팁절연부재의 내부에서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소작 팁에 양극을 일체로 전도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환자 체내에서의 조직 소작을 위한 전류 흐름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또는 전기적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시술 안정성은 더욱 향상되게 된다.
또한, 도선과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튜브를 일체화하여 튜브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도선이 나선형으로 복수회 감기며 배치되는 형태와 직조형 반복구조로 연결되며 배치되는 형태는 튜브 전체로서 강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전기 소작 팁의 크기, 엄밀하게는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어, 시술부위의 크기, 튜브의 단면 크기, 스텐트의 신축 정도 등에 대응하여 인체 조직에 구멍을 내는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소작 팁에 소작돌기 패턴(pattern)를 부여하고, 패턴 부위에만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인체 조직의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단극형 전기 소작 팁을 이용한 신체 조직의 소작 작동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을 이용한 신체 조직의 소작 작동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외형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커넥터부 및 제2 손잡이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명에서 팁절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양극형 전기 소작 팁에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중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전기 소작 팁에 전극선을 연결하는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전기 소작 팁에 전극선을 연결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중 전달부 및 전극선의 직선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 중 전달부 및 전극선의 나선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중 전달부 및 전극선의 직조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중 이동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중 전기 소작 팁 및 스텐트 공간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발명에서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유도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중 전기 소작 팁에 형성된 결합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발명에서 가변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가변링의 일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0는 가변링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 중 소작돌기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6 및 도 27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가변링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스텐트가 확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9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이 인체 조직의 내부로 스텐트를 전달하는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을 이용한 신체 조직의 소작 작동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외형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커넥터부 및 제2 손잡이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중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명에서 팁절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양극형 전기 소작 팁에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 중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은 전기 소작 팁에 전극선을 연결하는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전기 소작 팁에 전극선을 연결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 중 전달부 및 전극선의 직선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 중 전달부 및 전극선의 나선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 중 전달부 및 전극선의 직조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 중 이동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 중 전기 소작 팁 및 스텐트 공간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발명에서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유도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도 2를 참고하면, 양극형 전기 소작 팁(23)이 구비된 회로 시스템에 의한 시술방식이 게시되어 있다. 이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23)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한 것이다.
양극형 전기 소작 팁(23)의 경우 외부 전류원(21)에 도선(22)을 이용하여 전기 소작 팁 중 어느 하나의 전극체에 연결하고, 또한 다른 하나의 전극체도 도선(25)를 이용하여 외부 전류원(21)과 연결한다.
이후 시술자가 전류값을 결정하고 시술하게 되면, 양극형 전기 소작 팁(23)의 전극체간에 곧바로 전류가 전도되어 흐르며 신체 조직의 소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내에서의 전류 흐름 거리는 최소화가 되므로, 단극을 사용하는 전기 소작 팁에 비해 신체에 전기적 충격을 주거나 조직화상, 조직괴사 등의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 소작 팁은 상기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1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은 커넥터부(200), 전기 소작 팁(300), 전달부(400) 및 스텐트공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의 전체 외형도가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단부에는 전기 소작 팁(300)이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전달부(400)가 배치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달부(400)의 내부에서 전기 소작 팁(300)에 인접하여서는 스텐트공간부(130;도 15참조)가 배치된다. 그리고 후단부에는 외부전류원(110)과 연결되는 커넥터부(200)가 배치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커넥터부(2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커넥터부(200)는 외부전류원(110)과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커넥터(210)는 제1 연결커넥터(221)와 제2 연결커넥터(231)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커넥터(221)의 단부에는 제1 연결돌기(223)이 배치되고, 외부전류원(110)의 어느 한 극에 도선으로 연결되며, 제1 연결커넥터(221)의 제1 커넥터바디(221) 자체는 제1 전극선(123)과 용접접합, 매듭접합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커넥터(231)의 단부에는 제2 연결돌기(233)이 배치되고, 외부전류원(110)의 다른 한 극에 도선으로 연결되며, 제2 연결커넥터(231)의 제2 커넥터바디(231) 자체는 제2 전극선(125)과 용접접합, 매듭접합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류원(110)은 고주파 발생기 또는 저주파 발생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200)는 전류가 잘 흐르는 전도성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200)는 제2 손잡이부(480)의 제2 그립바디(48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립바디(481)의 단부에는 와이어 배출구(403)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전류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제1 연결돌기(223)를 통해 제1 커넥터바디(221)로 흐르고 연결된 제1 전극선(123)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양극형 전기 소작 팁(300)에서 제1 전극체(313), 제2 전극체(315) 및 체내 흐름을 통해 제2 전극선(125)으로 흐르고 제2 커넥터바디(231) 및 제2 연결돌기(233)를 흘러 외부 전류원(110)으로 순환하게 된다. 물론 전류의 흐름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전기 소작 팁(300)의 일 형태의 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전기 소작 팁(300)은 상기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21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전극선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전도되는 복수의 전극체(310)를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전기 소작 팁(300)은 내부에 팁가이드홀(321)이 형성된 팁절연부재(320)과 상기 팁절연부재(32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어느 한 극을 형성하는 제1 전극체(313) 및 상기 팁절연부재(320)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다른 한 극을 형성하는 제2 전극체(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체(313)상에는 제1 연결홀(313a)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전극선(123)이 용접접합, 매듭접합 등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2 전극체(315)상에는 제2 연결홀(315a)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또한 제2 전극선(125)이 용접접합, 매듭접합 등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제1 전극체(313) 및 상기 제2 전극체(315)의 일측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테어피진 형태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소작시 신체 조직에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제1 전극체(313) 및 제2 전극체(315) 사이에 배치되는 팁절연부재(320)의 형상이 게시된다. 이러한 팁절연부재(320)의 전면 윙부(322)는 전극체(310)과 동일하게 테이퍼진 형태이고, 중간 부위에는 단턱부(323)가 형성되어 있어 전극체(310)가 안정적으로 팁절연부재(320)의 양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 윙부(324)도 전극체(310)의 외측 경계 형상에 대응하여 약간 돌출된 형태로 가공된다.
상기 팁절연부재(320)에도 연결홀(325)가 형성되어 있어, 매듭접합으로 전극선을 연결할 수 있도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1,2 전극체(313,315) 및 팁절연부재(320)는 AgCu 또는 Copper 또는 silver로 이루어진 필러(Filler)를 이용한 브레이징(brazing) 접합으로 상호접합되거나 또는 Polymer를 이용한 이종물질 접합으로 상호접합되거나 또는 기계적 끼움으로 상호접합될 수 있다.
브레이징 접합 방식의 경우 제1,2 전극체(313,315)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필러를 사용하여 제1,2 전극체(313,315)는 용융시키지 않고 필러만을 용융시켜 제1,2 전극체(313,135)와 팁절연부재(320)간의 좁은 간극을 용융금속의 퍼짐성(spreadability), 젖음성(wettability), 모세관 현상 등을 이용하여 채운 후 접합하게 되므로,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품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에는 전류의 흐름 방향이 제시되는데, 제1 전극선(123)를 따라 제1 전극체(313)으로 흐른 전류는 신체 내부(Z)를 따라 흐르며 제2 전극체(315)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2 전극체(315)와 연결된 제2 전극선(125)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신체 부위(Z)에서 전기 소작 작용이 발생되게 된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 소작 팁(300)의 다른 형태가 게시된다. 전극체(310)은 4등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분할전극체(317a, 317b, 317c, 317d)는 각각의 분할전극선(127a, 127b, 127c, 127d)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할전극체는 다른 분할전극체와 다른 극을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분할전극체(317a, 317c)는 양극을 띠고 그 밖의 다른 분할전극체(317b, 317d)는 음극을 띠는 것이다. 역시 전류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르므로, 전기 소작 작용이 진행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극체(310)는 2등분 구조가 적당할 것이다. 다만 시술환경에 따라서는 4등분도 채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3등분, 5등분 등의 다른 등분도 시술의도에 따라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다음 도 9 및 도 10에는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을 제1 전극체(313) 및 제2 전극체(315)에 각각 연결하는 방식이 게시된다.
우선 도 9에서는 제1 연결홀(313a) 및 제2 연결홀(315a)에 매듭 방식으로 묶어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를 연결하는 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6에서 기술한 연결홀(325)를 통과하며 매듭짓게 된다.
다음 도 10에는 저항용접, 레이저 용접, 무연납 등에 의해 용접접합(W)을 통해 제1 연결홀(313a) 및 제2 연결홀(315a)에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를 연결하는 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전극선의 연결방식은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달부(400)는 일측은 상기 전기 소작 팁(300)과 연계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부(200)와 연계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달부(400)는 제1 내부튜브(410), 제2 내부튜브(430), 외부튜브(450), 제1 손잡이부(470), 제2 손잡이부(480) 및 이동바(4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절연재질은 polyurethane, polyester, polyimide, 기타 플라스틱 재질, ceramic, silicone, 불소수지, teflon, zirconia, sialon 등에서 선택 적용되거나 또는 복합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재질도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내부튜브(410)는 상기 전달부(400)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상기 전기 소작 팁(300)과 연결되는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내부튜브(410)는 전극선(120)의 배치 형태에 따라 3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일 형태가 게시된다. 본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내부튜브(410)는 절연코팅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각각 개별적으로 절연코팅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는 상기 제1 내부튜브(410)와 일체로 다시 한번 절연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태의 전극선(120a)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절연코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간에 합선으로 인한 열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의 개별 절연코팅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검토할 나선 형태, 직조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 전극선에 대한 절연코팅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자세한 배치 구조는 절연코팅제인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이 병행하여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그 외부에서 제1 내부튜브(410) 및 상기 제1 전극선(123), 제2 전극선(125)를 함께 다시 한번 절연코팅한 구조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 내부튜브(410)는 인너홀(411)이 내부 중앙측에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두께를 가져야 하고,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이러한 두께 부분에 배치되어 함께 절연 가공되는 구조일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상기 구조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은 이동바(490)의 내부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바(490)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선(123)은 제1 연결커넥터(220)과 연결되고, 제2 전극선(125)은 제2 연결커넥터(23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의 단부 중 전기 소작 팁(300)과 접하는 부분도 도 15에서와 같이 용접접합(W)되어 융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물론 이러한 연결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듭방식도 가능하다.
한편, 이동바(490)는 금속재질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바(490)의 일부 중 제1 손잡이부(470)와 제2 손잡이부(480) 사이로 노출되는 부분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직경이 약간 축소되는 단차가 형성되고 시술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단차에 바절연체(493)인 절연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바절연체(493)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코팅제일 수 있다. 이는 내약품성, 내열성 등이 뛰어나 전기를 이용한 의료기기의 절연재질로서 적합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상기 구조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다음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다른 형태가 게시된다. 본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내부튜브(410)는 절연코팅제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각각 개별 절연코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튜브(410)와 일체로 다시 한번 더 코팅되고,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둘레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감기는 형태의 전극선(120b)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전도성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이 복수회로 감기면서 제1 내부튜브(410)에 배치됨에 따라 제1 내부튜브(410)의 강성은 향상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내부튜브(410)의 내부 중앙측에는 인너홀(411)이 형성되고, 이를 위해서 제1 내부튜브(4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개별 절연되어 이러한 두께 부분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전체적으로 절연코팅제에 의해 둘러 쌓여 제1 내부튜브(410)의 둘레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복수회 감기며 배치되게 된다.
각각의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개별적으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합선의 가능성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한 제1 내부튜브(410)의 열화손상은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3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또 다른 형태가 게시된다. 본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내부튜브(410)는 절연코팅제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개별 절연코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튜브(410)와 일체로 다시 한번 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둘레를 따라 직조 형태의 전극선(120c)으로 배치된다.
이때 전극선(120c)은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선(120c)이 직조형태로 반복적으로 제1 내부튜브(410)에 배치됨에 따라 제1 내부튜브(410)의 강성은 향상되게 된다.
정확하게는 제1 내부튜브(410)의 내부 중앙측에는 인너홀(411)이 형성되고, 이를 위해서 제1 내부튜브(4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은 이러한 두께 부분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전극선(120c)은 전체적으로 절연코팅제에 의해 둘러 쌓여 제1 내부튜브(410)의 둘레를 따라 반복적인 직조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물론 개별 절연코팅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간에 합선은 차단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은 제1 내부튜브(410) 내에서는 나선형태의 전극선(120b), 직조형태의 전극선(120c)의 구조를 통해 전류 전도뿐만 아니라, 제1 내부튜브(410)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물론 나선형태, 직조형태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강성 강화를 위한 다른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내부튜브(430)는 도 11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외측 둘레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튜브(410)와 연계되어 일체로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내부튜브(430)는 절연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2 내부튜브(430)는 상기 제1 내부튜브(410)의 외측 둘레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이때 스텐트(150)를 미는 사인블록(433)이 제2 내부튜브(430)의 단부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를 참고하면, 상기 제2 내부튜브(430)는 외부튜브(450)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동바(490)의 튜브연결부(492)의 외측 둘레에 끼워지며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배치된 제1 내부튜브(410)는 이동바(490)의 튜브연결부(492)의 관통홀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이동바(490)를 이동시키면, 이동바(490)와 연결된 제1 내부튜브(410) 및 제2 내부튜브(430)가 일체로 이동바(490)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외부튜브(450)는 도 11 및 도 15를 상기 제2 내부튜브(430)를 감싸며 배치되고 제1 손잡이부(470)의 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외부튜브(450)는 제1 손잡이부(470)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바(49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지는 않으며, 다만 제1 내부튜브(410) 및 제2 내부튜브(430)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튜브(450)는 절연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1 내부튜브(410)와 외부튜브(450)가 형성하는 스텐트공간부(130)에 스텐트(150)가 확장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즉 제1 내부튜브(410) 중 제2 내부튜브(430)에 의해 감싸여 지지 않은 부분의 둘레를 따라 스텐트(150)가 배치되고, 외부튜브(450)의 내주면에 닿아 있으면서, 스텐트(150)는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 내부튜브(410)의 외주면에는 스텐트 지지블록(131)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11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손잡이부(470)는 상기 외부튜브(450)의 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이며, 시술자가 이동바(490)를 이동시키기 위해 잡도록 제공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손잡이부(470)의 일측부에는 고정핸들(473)이 배치될 수 있다. 시술자가 이동바(490)를 이동시킨 후 이동바(49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자 한다면, 시술자는 고정핸들(473)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핸들(473)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이동바(490)를 압박하여 이동바(49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반대로 다시 이동바(490)를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시술자는 고정핸들(473)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이동바(490)에 대한 압박을 느슨하게 하면 된다.
이러한 고정핸들(473)은 스텐트(150)가 확장되어야 하는 신체 조직 부위에 인접했을 때에, 스텐트(150)를 정확한 신체 조직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만약 시술 중 이동바(490)가 움직여 버리면, 스텐트(150)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이동바(490)를 고정시키는 다른 형태가 제시된다. 상기 전달부(400)는 이동바(49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그립바디(471)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이동조절유닛(47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이는 제1 그립바디(471)와의 관계에서 이동바(490)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조절유닛(475)은 요철부(476) 및 고정부(4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요철부(476)는 상기 이동바(4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형상이 복수회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77)는 상기 요철부(476)에 결합되면서 이동바(49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그립바디(471)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손잡이부(47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77)는 세부적으로 다시 탄성체(478) 및 고정블록(47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78)는 상기 제1 손잡이부(47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471a)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478)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479)은 일측은 상기 탄성체(478)에 밀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1 인너홀(472)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시술자가 이동바(490)를 당기거나 밀 때, 상기 요철부(476)의 절곡 형상을 비교적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479)상에는 구름휠(479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한 이동바(490)의 단계적 이동은, 실제 시술자가 스텐트 시술시 신체 조직의 시술부위에서 스텐트의 안정적인 단계적 자가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시술환경, 시술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스텐트 시술의 완성도는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시술자가 미숙하여 이동바(490)를 무리하게 당기거나 또는 당기는 과정에서 이동바(490)가 흔들려, 그 진동이 스텐트까지 전달되어 스텐트의 자가 확장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이동바(490)가 단계적으로 이동되며 고정될 수 있다면, 이동바(490)를 당김에 따라 외부튜브(450)가 이동하는 것도 단계적으로 명확히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스텐트가 노출되는 것도 천천히 단계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는 스텐트의 정확한 자가 확장을 유도하게 되고, 시술효과도 향상되게 된다. 시술자의 부주의도 조금은 더 완화시키거나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전기 소작 팁(300)의 측단면도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팁절연부재(320)는 중앙측에 가이드와이어(140)가 삽입 배치되는 팁가이드홀(3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팁절연부재(320)의 양면에는 제1 전극체(313) 및 제2 전극체(315)가 배치되며, 각각 제1 전극선(123) 및 제2 전극선(125)와 용접접합되어 연결되어 있다. 물론 매듭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전극체(310)의 외주면 일부에는 외부절연체(380)에 의해 몰딩방식으로 절연코팅될 수 있다. 이는 신체 부위에서 소작하고자 하는 조직 이외의 부위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극체(310)는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체(310)는 전류가 인가되어 신체 조직에 열을 가하여 구멍을 내는 부분으로서 금속재질 등의 전도성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tainless, Ni+Ti alloy 등의 금속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절연체(380)의 끝단부(380a)는 테이퍼진 형태로 몰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신체 조직에서 스텐트(150) 전달 후 전기 소작 팁(300)를 다시 뺄 때, 제거작업을 비교적 수월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외부절연체(380)의 일부는 제1,2 전극체(313,315)의 일측부와 반대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소작 팁(300)를 신체에서 뺄 때, 보다 매끄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신체 조직은 주로 단백질로 되어 있어, 전기 소작 팁(300)에 의해 소작 구멍이 형성되더라도, 신체 조직의 유연성으로 인해 소작 구멍이 좁아지는 성질이 있다.
이 때 외부절연체(380)가 전극체(310)와 반대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으면, 시술자가 전기 소작 팁(300)을 소작 구멍을 통해 뺄 때, 소작 구멍이 테이퍼진 형상을 타고 벌어지면서 넓어지므로, 전기 소작 팁(300)이 용이하게 빠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부튜브(410)는 외부절연체(38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전극체(310)에 접착되게 된다.
물론 외부절연체(380)이 반드시 상기 형태들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 중 전기 소작 팁에 형성된 결합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발명에서 가변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가변링의 일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0는 가변링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 중 소작돌기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 및 도 27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가변링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7 내지 도 20를 참고하면, 상기 전기 소작 팁(300)의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부(330) 및 가변링(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체(310) 및 팁절연부재(3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결합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산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신체 조직에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신체 조직의 미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산의 돌출부위가 부드럽게 라운딩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은 전극체(310)뿐만 아니라, 팁절연부재(320)상에도 동일하게 가공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가변링(350)은 상기 전극체(310)의 직경을 가변토록, 상기 결합부(330)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가변링(350)은 원형 링 형태일 수 있으며,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부(33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가공될 수 있으며, 역시 부드럽게 라운딩 가공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8를 참고하면, 상기 가변링(350)의 제1 링부(351)는 전극체(310)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즉 전도성 금속재질일 수 있다. 상기 가변링(350)의 제1 링부(351) 또한 신체 조직에 구멍을 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양극형 전기 소작 팁(300)의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상기 가변링(350)의 제2 링부(353)는 팁절연부재(320)과 동일하게 절연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링(350)의 일 예로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변링(350)의 외주면이 라운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신체 조직에 열을 가하여 구멍을 내고 전극체(310)가 신체 조직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또는 스텐트(150) 시술 후 빠져나올 때, 라운딩 외주면 처리로 인하여 신체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보다 부드럽게 들어가거나 또는 빠져나올 수 있다. 물론 전극체(310)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신체 조직에 구멍을 내는 직경 범위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시술자가 신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싶은 크기를 줄이고 싶으면, 가변링(350)을 분리한 상태에서 전극체(310)를 사용하면 되고, 반대로 스텐트(150)를 전달하고자 하는 신체 조직의 부위에 약간은 더 큰 구멍을 내고자 한다면, 가변링(350)을 끼운 상태에서 전극체(310)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라운딩 처리된 가변링(350)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가변링(350)상에 라운딩 처리되는 형상은 보다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범위내라면 다른 형상도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변링(350)의 다른 예로는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변링(350)의 외주면이 테이퍼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가변링(350)의 외주면 중 일측은 상기 전극체(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가변링(350)의 외주면 중 타측은 상기 외부절연체(380)과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체(310)가 신체 조직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또는 스텐트(150) 시술 후 빠져나올 때, 전극체(310) 또는 외부절연체(380)과 동일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으므로, 신체 조직에 형성된 구멍에 걸리며 손상을 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전극체(310)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신체 조직에 구멍을 내는 직경 범위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테이퍼 처리된 가변링(350)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가변링(350)상에 테이퍼 처리되는 형상은 보다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범위내라면 다른 형상도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링(350)의 외주면 일측은 상기 전극체(310)의 각도(Φ1)보다 작은 각도(Φ2)로 테이퍼지게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링(350)의 외주면 타측은 상기 외부절연체(380)보다 작은 각도로 테이퍼지게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처리를 통해 전극체(310)에 가변링(350)이 장착되더라도, 전도되는 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신체조직에 소작하는 구멍의 크기는 보다 축소될 수 있다. 물론 단순히 소작 구멍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로 확장할 수도 있다. 시술자는 테이퍼 각도를 가진 가변링(350)을 여러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소작하고자 하는 신체 조직의 구멍 크기에 맞춰 가변링(350)을 바꿔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19 및 도 20를 참고하면, 상기 가변링(350)의 내측 둘레와 상기 전극체(310)의 외측 둘레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33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밀착패드(3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330)의 양측에 상기 밀착패드(360)가 배치된다. 전체적으로 밀착패드(360)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전극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억지끼움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패드(360)는 상기 결합부(330)보다는 약간 외측으로 돌출된 유연성 있는 절연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밀착패드(360)의 배치로 인해, 시술자가 가변링(350)을 결합부(330)에 돌려 끼운 후에는 가변링(350)의 내주면과 전극체(310) 및 팁절연부재(3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 부위가 없을 정도로 밀착되게 된다. 이는 전극체(310)가 신체 조직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빠져나올 때, 가변링(350)과 전극체(310) 및 팁절연부재(320) 사이의 이격된 간격으로 피(blood), 조직(tissue) 등이 유입되어 끼이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가변링(350)의 제1 링부(351)과 전극체(310)는 모두 금속성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기계적으로 완벽한 맞춤은 어려우며, 미세한 이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이격을 상기 밀착패드(360)가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이것은 인체 의료 기구의 정밀성에 도움을 준다.
물론 가변링(350)의 제2 링부(353)과 팁절연부재(320)간의 이격 간격은, 그 절연재질의 특성상 제1 링부(351)과 전극체(310)간의 이격 간격보다는 양호할 것이나, 역시 밀착패드(360)에 의해 간격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체(310)를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2에는 전극체(310)의 다른 형상이 제시되는데, 상기 팁가이드홀(321)이 편심되어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편심된 팁가이드홀(321)이 가공된 전극체(3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시술환경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예를 들어, 혈관계에서 혈관이 여러개로 갈라지는 분기점에 본 발명인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이 삽입되었을 때, 원하는 방향의 혈관에 전극체(310)를 이동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편심되어 있는 팁가이드홀(311)을 그 혈관 방향으로 돌려 바라보도록 위치시키면, 가이드와이어(140)를 보다 쉽게 그 혈관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 소작 팁(300)은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소작돌기(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작돌기(370)는 상기 전극체(31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는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의 소작돌기(370), 도 24에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소작돌기(370)가 각각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신체 조직을 소작할 때 미리 소작 절개 방향을 안내하므로, 신체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25에서와 같이, 상기 소작돌기(370)는 직선형이 아닌 나선형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작돌기(370)가 소정 간격이 아니라 각각 다른 간격으로도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다른 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6 내지 도 2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링(35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도 26를 참고하면, 신체 조직에 내는 소작 구멍이 타원 형상으로 요구될 때는 상기 가변링(350)의 일부 두께(D1)이 다른 부분의 두께(D2) 보다는 크게 형성된 가변링(350)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소작하고자 하는 구멍이 어느 한 부분만 돌출되기를 원하다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링(350)의 어느 한 부분의 두께(D3)가 다른 부분의 두께(D4)보다 두껍게 형성된 가변링(350)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링(350)의 형상은 도 26 및 도 27에서는 2가지만을 제시하였으나,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범위내에서 유추될 수 있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가변링(350)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소작돌기(370) 사이의 간격은 절연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체(310)는 절연코팅되므로, 신체 조직을 소작하는 것은 소작돌기(370)만이 수행하게 되어 신체 조직의 소작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다. 물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시술환경에 따라서는 가변링(350) 또한 절연코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 및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스텐트 전달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28은 스텐트가 확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이 인체 조직의 내부로 스텐트를 전달하는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에 필요한 도면부호는 도 3 내지 도 도 16를 참고하도록 한다.
먼저 도 29를 참고하면, 시술자는 스텐트(150)를 시술하고자 하는 신체 내부의 위치를 정확히 지정하고 스텐트(150)의 투입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140)를 우선하여 삽입한다. 즉 도 29에서는 스텐트(150)를 시술하고자 하는 신체 조직의 부위(T1, T2)로 가이드 와이어(140)를 삽입하게 된다.
다음 가이드 와이어(140)가 신체 조직의 부위(T1, T2)에 위치하게 되고, 스텐트(150) 전달 방향이 설정되면, 시술자는 팁절연부재(320)의 팁가이드홀(321)에 가이드 와이어(14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 와이어(140)는 팁 가이드홀(321)로 유입되고, 제1 내부튜브(410)의 인너홀(411), 이동바(490)의 바인너홀(491) 및 제2 그립바디(481)에 형성된 제2 인너홀(482)을 관통하며 위치하게 된다.
이후에, 30에서와 같이 시술자는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 전체를 잡고 가이드와이어(140) 방향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튜브(450) 및 전기 소작 팁(300)이 신체 조직의 내부(T1,T2)로 유입된다.
이때 커넥터부(200)가 외부 전류원(110)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데, 제1 전극선(123)이 외부 전류원(1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어(설명의 편의상 제1 전극선이 양극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함) 전류가 유입되고, 제1 전극선(123)과 연결된 제1 전극체(313)이 양극을 띠게 된다.
그리고 제2 전극선(125)이 외부 전류원(11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고 (설명의 편의상 제2 전극선이 음극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함), 제2 전극선(125)과 연결된 제2 전극체(315)이 음극을 띠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 소작시 도 30에 게시된 확대도처럼, 제1 전극체(313)에서 흐르는 전류(E)는 신체 조직(T1)으로 유입되어 최단 거리로 제2 전극체(315)로 흐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류(E)가 지나가는 경로에 있는 신체 조직의 밀착 부위(TB)에서는 가열반응에 의한 전기 소작 작용이 발생하며 천공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소작 작용은 다른 신체 조직(T2)에서도 동일하게 진행되며, 구멍 생성 완료 후 도 31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튜브(450)는 신체 조직의 내부(T1,T2)로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후에 시술자는 제2 인너홀(482)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배출구(403)를 통해 가이드와이어(140)를 잡아 뽑아내어 신체 조직의 부위(T1, T2) 및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의 내부에서 가이드와이어(140)를 제거한다.
이제 스텐트(150)를 시술부위로 비교적 근접하여 위치시키면, 시술자는 제1 손잡이부(470)와 제2 손잡이부(480)를 잡고, 제1 손잡이부(470)를 제2 손잡이부(480)의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제1 손잡이부(470)는 외부튜브(450)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손잡이부(480)는 이동바(490)에 의해 제2 내부튜브(4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손잡이부(470)가 이동바(490)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튜브(450)가 후퇴를 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내부튜브(430)의 단부와 제1 내부튜브(410)의 단부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튜브(450)가 후진됨에 따라 제자리에 있던 제1 내부튜브(410)가 외부튜브(450)의 밖으로 노출되게 된다.
도 28 및 도 32를 참고하면, 제1 내부튜브(410)가 외부튜브(450)의 밖으로 노출됨에 따라 스텐트공간부(130)에 배치되었던 스텐트(150)가 신체 조직의 내부(T1,T2)로 노출되게 된다. 스텐트(150)는 자가 확장을 통해 펼쳐지게 되고, 신체 조직의 원하는 부위(T1,T2)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9 내지 도 34에서는 신체 조직의 2개의 영역(T1,T2)간을 연결하는 용도로 스텐트(150)가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수축되거나 막힌 혈관, 요도, 폐 등과 같은 순환계에서 이러한 혈관, 요도, 폐 등의 순환계 관의 확장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스텐트(150)가 필요시 되는 다른 신체 조직에서 그에 적합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2를 참고하면, 외부튜브(450)가 후진함에 따라, 스텐트(150)가 제2 내부튜브(430)의 단부에 배치된 사인블록(433)에 의해 상대적으로 밀려나게 된다. 즉 스텐트(150)의 일단부는 사인블록(433)에 의해 막혀 고정된 상태이고, 이때 외부튜브(450)가 후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스텐트(150)의 타단부에서부터 외부튜브(450)의 외부로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텐트(150)는 신체 조직(T1,T2)의 내부에 위치하고 천천히 자가확장되게 된다.
여기서 시술자는 사인블록(433)의 위치 식별을 통해 현재 스텐트의 신체조직 내부에서의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인블록(433)은 시술자가 식별할 수 있는 색상으로 도색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도 33에서와 같이 일부 확장된 스텐트(150)를 약간 당기어 원하는 신체조직에 스텐트(150)를 정확히 위치시킨 후, 제1 손잡이부(470)를 이동바(490)를 따라 더 후퇴시켜, 스텐트(150) 전체가 완전히 자가확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4에서와 같이 천천히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을 전부 잡아당겨 신체조직에서 빼게 되고, 스텐트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스텐트 전달 시스템 110:외부 전류원
120:전극선 120a:직선형 전극선
120b:나선형 전극선 120c:직조형 전극선
123:제1 전극선 125:제2 전극선
130:스텐트 공간부 131:스텐트 지지블록
140:가이드와이어 150:스텐트
200:커넥터부 210:연결커넥터
220:제1 연결커넥터 221:제1 커넥터바디
223:제1 연결돌기
230:제2 연결커넥터 231:제2 커넥터바디
233:제2 연결돌기
300:전기 소작 팁 310:전극체
313:제1 전극체 315:제2 전극체
320:팁절연부재 321:팁가이드홀
330:결합부 350:가변링
351:제1 링부(금속재질) 353:제2 링부(절연재질)
360:밀착패드 370:소작돌기
380:외부절연체
400:전달부 410:제1 내부튜브
411:인너홀 430:제2 내부튜브
433:스텐트 사인블록 450:외부튜브
470:제1 손잡이부 471:제1 그립바디
472:제1 인너홀 473:고정핸들
475:이동조절유닛 476:요철부
477:고정부 478:탄성체
479:고정블록 479a:구름휠
480:제2 손잡이부 481:제2 그립바디
482:제2 인너홀 403:와이어배출구
490:이동바 491:바인너홀
492:튜브연결부 493:바절연체
495:엔드블록 496:단차부

Claims (27)

  1. 외부전류원과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복수 개의 연결커넥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전극선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극으로 전도되는 복수의 전극체를 일체로 포함하는 전기 소작 팁;
    일측은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연계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부와 연계되며, 내부에는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상기 커넥터부를 연결하는 상기 전극선이 배치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의 내부에서 상기 전기 소작 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스텐트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소작 팁은,
    내부에 팁가이드홀이 형성된 팁절연부재;
    상기 팁절연부재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어느 한 극을 형성하는 제1 전극체; 및
    상기 팁절연부재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다른 한 극을 형성하는 제2 전극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기 소작 팁과 연결되는 상기 전극선이 배치되고, 내부 중앙측에는 인너홀이 형성된 제1 내부튜브;
    상기 제1 내부튜브의 외측 둘레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튜브와 연계되어 일체로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제2 내부튜브; 및
    상기 제2 내부튜브를 감싸며 배치되는 외부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부튜브의 인너홀 및 상기 팁절연부재의 팁가이드홀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 소작 팁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커넥터는 제1 연결커넥터 및 제2 연결커넥터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선은 상기 제1 연결커넥터와 상기 제1 전극체를 연결하는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연결커넥터와 상기 제2 전극체를 연결하는 제2 전극선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의 일측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절연코팅제이고, 상기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은 개별 절연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절연코팅제이고, 상기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은 개별 절연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의 둘레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감기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절연코팅제이고, 상기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은 개별 절연코팅되며, 상기 제1 내부튜브의 둘레를 따라 직조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외부튜브에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내부튜브와 이동바로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손잡이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튜브는 상기 이동바 및 제2 손잡이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0.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작 팁은,
    상기 전극체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전극체의 크기를 가변토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가변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의 외측 일부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의 외측 일부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보다 작은 각도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의 외측 둘레는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의 일부는 다른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작 팁은,
    상기 가변링의 내측 둘레와 상기 전극체 및 상기 팁절연부재의 외측 둘레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밀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작 팁은,
    상기 전극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소작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작돌기는 상기 전극체의 외측 둘레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작돌기는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작돌기는 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0. 삭제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이동바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이동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결합되며 이동바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손잡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일측은 상기 탄성체에 밀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1 인너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고정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블록 상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구름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가이드홀은 상기 팁절연부재의 내부에서 편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전극체와 상기 팁절연부재는 AgCu 또는 Copper 또는 silver로 이루어진 필러(Filler)를 이용한 브레이징(brazing) 접합으로 상호접합되거나 또는 Polymer를 이용한 이종물질 접합으로 상호접합되거나 또는 기계적 끼움으로 상호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작 팁은, 상기 제1,2 전극선을 감싸며 상기 제1,2 전극체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외부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절연체의 일부는 상기 제1,2 전극체의 일측부와 반대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KR1020170013801A 2016-02-15 2017-01-31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KR10178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08243.1A CN108601665A (zh) 2016-02-15 2017-02-03 包括双极电烙器的支架传递系统
EP17753397.3A EP3417836A4 (en) 2016-02-15 2017-02-03 STENT PLACEMENT SYSTEM COMPRISING AN ANODE TYPE ELECTRIC CAUTÉRIZATION POINT
JP2018538692A JP6793736B2 (ja) 2016-02-15 2017-02-03 双極型電気焼灼チップが備えられたステント伝達システム
US16/072,520 US11045252B2 (en) 2016-02-15 2017-02-03 Stent delivery system including anode-type electrical cautery tip
PCT/KR2017/001172 WO2017142236A1 (ko) 2016-02-15 2017-02-03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57 2016-02-15
KR20160017157 2016-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733A KR20170095733A (ko) 2017-08-23
KR101781052B1 true KR101781052B1 (ko) 2017-10-23

Family

ID=5975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01A KR101781052B1 (ko) 2016-02-15 2017-01-31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45252B2 (ko)
EP (1) EP3417836A4 (ko)
JP (1) JP6793736B2 (ko)
KR (1) KR101781052B1 (ko)
CN (1) CN1086016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81B1 (ko) * 2016-11-16 2018-10-01 (주) 태웅메디칼 단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KR102244846B1 (ko) * 2019-04-18 2021-04-28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딜리버리 장치
CA3167407A1 (en) * 2020-02-11 2021-08-19 John Paul Urbanski Medical dilator
US20230130473A1 (en) * 2020-03-20 2023-04-27 Boston Scientific Medical Device Limited Needle assembly for forming hole through biological wall
WO2023286108A1 (ja) * 2021-07-12 2023-01-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医療機器用電極および医療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199A (ja) 2001-12-10 2005-04-28 ダブリュ アイ ティー アイ 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治療用カテーテルおよび治療後ステントのコンビネーション
JP2010512858A (ja) 2006-12-15 2010-04-30 カーディオマイン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テントシステム
JP2015521065A (ja) 2012-05-18 2015-07-27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焼灼兼用ステント施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914A (en) 1989-01-06 1998-05-12 Advanced Coronary Intervention Catheter for obstructed stent
US5683366A (en) 1992-01-07 1997-11-04 Arthroc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surgical tissue canalization
US6500173B2 (en) * 1992-01-07 2002-12-31 Ronald A. Underwood Methods for electrosurgical spine surgery
WO1995010978A1 (en) * 1993-10-19 1995-04-27 Ep Technologies, Inc. Segmented electrode assemblies for ablation of tissue
US6891379B2 (en) 2002-09-04 2005-05-10 Draeger Medical System, Inc. EKG wiring system
US20060111704A1 (en) * 2004-11-22 2006-05-25 Rox Medical,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assisted arterio-venous fistula creation
KR100773587B1 (ko) 2006-04-27 2007-11-08 전명기 소작용 전극
CA2666661C (en) * 2006-10-18 2015-01-20 Minnow Medical, Inc. Tuned rf energy and electrical tissue characterization for selective treatment of target tissues
JP2010530260A (ja) 2007-06-15 2010-09-09 チュンアン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ー アカデミー コー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バイポーラ電極方式のガイドワイヤー及び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20090131798A1 (en) * 2007-11-19 2009-05-21 Minar Christopher 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vascular imaging and occlusion crossing
JP5371309B2 (ja) 2008-07-23 2013-12-1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KR101241267B1 (ko) * 2011-08-24 2013-03-15 신경민 가이드와이어 안내 장치
AU2012318647B2 (en) 2011-10-04 2017-06-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in-stent restenosis
US9452069B2 (en) 2012-04-27 2016-09-27 Medtronic Vascular, Inc. Reconfigurable stent-graf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JP6360042B2 (ja) 2012-05-17 2018-07-18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隣接する組織層を横断する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1493766B1 (ko) 2013-08-12 2015-02-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카테터가 구비된 고주파 소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199A (ja) 2001-12-10 2005-04-28 ダブリュ アイ ティー アイ 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治療用カテーテルおよび治療後ステントのコンビネーション
JP2010512858A (ja) 2006-12-15 2010-04-30 カーディオマイン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テントシステム
JP2015521065A (ja) 2012-05-18 2015-07-27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焼灼兼用ステント施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7836A1 (en) 2018-12-26
US20190059994A1 (en) 2019-02-28
CN108601665A (zh) 2018-09-28
EP3417836A4 (en) 2019-10-02
US11045252B2 (en) 2021-06-29
JP6793736B2 (ja) 2020-12-02
KR20170095733A (ko) 2017-08-23
JP2019506211A (ja)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052B1 (ko)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US9808311B2 (en) Deflectable medical devices
US20140200578A1 (en) Renal nerve ablation catheter
WO2014158513A1 (en) Rotation mechanism for bipolar and monopolar devices
KR101902781B1 (ko) 단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EP3363398A1 (en) Cutting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EP2967727B1 (en) Electrosurgical system with electrically active outer surface
JP4740150B2 (ja) 医療用ワイヤ
JP3911877B2 (ja) 医療用電気処置器具
WO2017122546A1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WO2023092851A1 (zh) 射频消融导管装置
US20220151653A1 (en) Cap for endoscope
JP6944996B2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WO2022190400A1 (ja) 焼灼穿刺針
JPH11155876A (ja) 鉗子型電気処置器具
JPH11155874A (ja) 鉗子型電気処置器具
JP2000262539A (ja) 高周波処置具
JP2022139260A (ja) 高周波処置具
JPH11155875A (ja) 鉗子型電気処置器具
CN111163831A (zh) 可变刚度导丝
JP2018196726A (ja) ピン電極を備えた凝固および切開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