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005B1 -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 Google Patents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005B1
KR101780005B1 KR1020150077776A KR20150077776A KR101780005B1 KR 101780005 B1 KR101780005 B1 KR 101780005B1 KR 1020150077776 A KR1020150077776 A KR 1020150077776A KR 20150077776 A KR20150077776 A KR 20150077776A KR 101780005 B1 KR101780005 B1 KR 10178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ion
heel
insole
foo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008A (ko
Inventor
박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르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르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르코스
Priority to KR102015007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0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6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30Protecting the ball-joint against pressure while 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의 바닥창에 구비되도록 쿠션부재로 구성된 깔창에 있어서, 상기 깔창은 인체의 발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기준 두께를 지니는 미드 포션부를 중심으로 전방에 발의 중족골 부위에 대응되도록 프론트 포션부가 상기 기준 두께 이하의 두께를 지니도록 구비되고, 후방에 발의 뒤꿈치 부위에 대응되도록 힐 포션부가 상기 기준 두께 이상의 두께를 지니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깔창의 하부에 연속적인 보행 유도공간부가 마련되어 보행자의 발이 연속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Functional Inner Sole}
본 발명은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깔창은 인체의 발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기준 두께를 지니는 미드 포션부를 중심으로 전방에 발의 중족골 부위에 대응되도록 프론트 포션부가 상기 기준 두께 이하의 두께를 지니도록 구비되고, 후방에 발의 뒤꿈치 부위에 대응되도록 힐 포션부가 상기 기준 두께 이상의 두께를 지니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깔창의 하부에 연속적인 보행 유도공간부가 마련되어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
깔창(Inner Sole)이란, 밑창(Out Sole) 및 중창(Mid Sole)과 함께 신발의 바닥창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로서, 착화시 발의 착용감을 상승시키고, 발에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며, 발을 건조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보다 편안한 신발 착용감을 제공하고, 나아가 자세교정 및 바른 보행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깔창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도 1의 족압 분포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착용자는 발의 중족골 부위와 뒤꿈치 부위를 통하여 신체의 하중에 따른 충격력을 대부분 흡수 지지하게 된다. 장기간 보행시 인체의 발 중 중족골과 뒤꿈치 부분에 물집이 생기거나 굳은 살이 형성되는 것을 보아도 중족골 부위와 뒤꿈치 부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족압 분포도를 살펴보면, 보행시 발의 중심축은 뒤꿈치를 시작으로 중족골을 거쳐 내측 엄지 발가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보행의 중심축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5639호 "기능성 신발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2012. 06. 21. 공개)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 상부면의 바깥쪽이 안쪽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발 및 다리의 피로도를 줄이고,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아 디스크 및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을 포함한 종래 기술들은 깔창의 상부가 발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되어 발에 안락감을 제공할 뿐 깔창의 하부는 공간부 없이 플랫한 형상을 지니고 있어, 보행이나 운동시에 발생하는 내측 사선 방향으로 유도되는 족압 분포의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실질적인 보행 유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깔창 하부에 공간부가 없거나 극히 적어 보행이나 운동시 효율적으로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키지 못하여 충분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행시 신체의 하중에 따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키고, 깔창의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보행 유도공간부가 보행자의 발을 연속적으로 지지하여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의 바닥창에 구비되도록 쿠션부재로 구성된 깔창(10)에 있어서, 상기 깔창(10)은 인체의 발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기준 두께(MH)를 지니는 미드 포션부(12)를 중심으로 전방에 발의 중족골 부위에 대응되도록 프론트 포션부(11)가 상기 기준 두께(MH) 이하의 두께(FH)를 지니도록 구비되고, 후방에 발의 뒤꿈치 부위에 대응되도록 힐 포션부(13)가 상기 기준 두께(MH) 이상의 두께(HH)를 지니도록 구비되어 상기 깔창(10)의 하부에 연속적인 보행 유도공간부(20)가 마련되되, 상기 프론트 포션부(11)는 프론트 쿠션부(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힐 포션부(13)는 힐 쿠션부(13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힐 포션부(13)의 하부에 뒤꿈치 유도공간부(23)가 마련되고, 상기 미드 포션부(12)의 하부에 아치 유도공간부(22)가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에 중족골 유도공간부(21)가 마련되고, 보행자의 발이 상기 보행 유도공간부(20)의 뒤꿈치 유도공간부(23)에서 아치 유도공간부(22)를 거쳐 중족골 유도공간부(21)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지되어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행자의 발이 상기 보행 유도공간부(20)의 뒤꿈치 유도공간부(23)에서 아치 유도공간부(22)를 거쳐 중족골 유도공간부(21)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지되어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의 외측 외주면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위치인 하극점(BP)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의 내측 외주면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인 상극점(T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힐 포션부(13)의 내측 외주면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외측 외주면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프론트 쿠션부(11a) 또는 힐 포션부(13)의 힐 쿠션부(13a)는 복원력과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S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프론트 쿠션부와 힐 쿠션부를 통하여 보행시 발의 중족골 부위와 뒤꿈치 부위에 발생하는 신체의 하중에 따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또한, 쿠션부재가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프론트 쿠션부와 힐 쿠션부에 전달된 충격력이 그 두께로 인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흡수된 충격력이 신발의 바닥창에 전달되어 상쇄될 수 있다.
나아가, 두께의 감소로 인하여 실용적이면서, 제작이 용이한 깔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이 쿠션부재의 낭비를 막고 전체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유도공간부가 확보됨으로써, 보행자의 발이 상기 보행 유도공간부의 뒤꿈치 유도공간부에서 아치 유도공간부를 거쳐 중족골 유도공간부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바른 보행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발과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킴과 동시에 신발 착용자의 바른 보행을 유도하여 교정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잘못된 보행으로 인한 배김 현상이나 물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깔창의 쿠션부재는 충격이 흡수되는 재질로 제작되어 충격흡수 및 탄력성이 뛰어나 장기 착용시 피로감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깔창의 상부에는 접촉면이 결합되므로 땀의 흡수가 뛰어나 착화시 쾌적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신발 착용자의 발에 작용되는 족압 분포도를 도시한 이미지.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깔창을 도시한 이미지.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깔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깔창을 폭방향인 도 3의 a-a', b-b' 및 c-c'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깔창을 길이방향인 도 3의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깔창을 외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고, (b)는 내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임.
도 7은 보행 또는 운동에 따른 보행 유도공간부의 변화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보행 또는 운동에 따른 보행 유도공간부의 변화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깔창의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깔창을 하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깔창(Inner Sole)에 관한 것으로서, 밑창(Out Sole) 및 중창(Mid Sole)과 함께 신발의 바닥창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밑창(Out Sole)의 상부에 중창(Mid Sole)이 구비되고, 중창의 상부에 깔창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깔창은 환기 또는 교체를 위하여 상시 신발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다.
도 1은 신발 착용자의 발에 작용되는 족압 분포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착용자는 발의 중족골 부위와 뒤꿈치 부위를 통하여 신체의 하중에 따른 충격력을 대부분 흡수 지지하게 되는바, 발의 중족골 부위와 뒤꿈치 부위의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보행이나 운동시에 족압 분포의 변화를 고려한 충격 흡수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신발의 바닥창에 구비되도록 쿠션부재로 구성된 깔창(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10)을 프론트 포션부(11), 미드 포션부(12) 및 힐 포션부(13)로 구분한다. 프론트 포션부(11)는 프론트 쿠션부(11a) 후방 끝단의 접선을 기준으로 전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힐 포션부(13)는 힐 쿠션부(13a) 전방 끝단의 접선을 기준으로 후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미드 포션부(12)는 상기 프론트 포션부와 힐 포션부의 사이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때, 전방과 후방의 의미는 힐 포션부를 기준으로 프론트 포션부의 위치가 전방이며, 그 반대가 후방인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깔창(10)은 인체의 발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기준 두께(MH)를 지니는 미드 포션부(12)를 중심으로 전방에 발의 중족골 부위에 대응되도록 프론트 포션부(11)가 구비되고, 후방에 발의 뒤꿈치 부위에 대응되도록 힐 포션부(1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두께는 상기 기준 두께(MH) 이하의 두께(FH)로 형성되고, 상기 힐 포션부(13)의 두께는 상기 기준 두께(MH) 이상의 두께(HH)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깔창(10)의 하부에 연속적인 보행 유도공간부(20)가 마련되되, 상기 프론트 포션부(11)는 프론트 쿠션부(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힐 포션부(13)는 힐 쿠션부(13a)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프론트 쿠션부(11a)와 힐 쿠션부(13a)를 통하여 보행시 발의 중족골 부위와 뒤꿈치 부위에 발생하는 신체의 하중에 따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쿠션부(11a)와 힐 쿠션부(13a)의 높이는 1 ~ 2m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의 (a), (b)와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포션부(11) 및 힐 포션부(13)의 저면에는 하부 프론트 쿠션부(11b) 및 하부 힐 쿠션부(13b)가 하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론트 쿠션부(11b)와 하부 힐 쿠션부(13b)를 통하여 보행시 발의 중족골 부위와 뒤꿈치 부위에 발생하는 신체의 하중에 따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프론트 쿠션부(11b) 및 하부 힐 쿠션부(13b)가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포션부(11) 및 힐 포션부(13)에 전달된 충격력이 그 두께로 인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흡수된 충격력이 신발의 바닥창에 전달되어 상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프론트 쿠션부(11b)와 하부 힐 쿠션부(13b)의 돌출높이는 1 ~ 2m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힐 포션부(13)의 하부에 뒤꿈치 유도공간부(23)가 마련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드 포션부(12)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하부에 아치 유도공간부(22)가 마련되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에 중족골 유도공간부(21)가 마련되고, 보행자의 발이 상기 보행 유도공간부(20)의 뒤꿈치 유도공간부(23)에서 아치 유도공간부(22)를 거쳐 중족골 유도공간부(21)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지되어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한다.
보행 유도공간부가 확보됨으로써, 두께의 감소로 인하여 실용적이면서, 제작이 용이한 깔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이 쿠션부재의 낭비를 막고 전체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발이 상기 보행 유도공간부(20)의 뒤꿈치 유도공간부(23)에서 아치 유도공간부(22)를 거쳐 중족골 유도공간부(21)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바른 보행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의 외측 외주면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위치인 하극점(BP)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의 내측 외주면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인 상극점(T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하극점(BP)이란 깔창의 하부면과 맞닿는 뒤꿈치 유도공간부(23)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정의하며, 상극점(TP)이란 깔창의 하부면과 맞닿는 중족골 유도공간부(21)의 가장 높은 지점으로 정의한다.
이로써, 깔창의 하부면은 전체적으로 상극점에서 하극점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보행 유도공간부(20)가 깔창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연속되게 마련되어 보행의 중심축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외측 외주면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상기 힐 포션부(13)의 내측 외주면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외측 외주면은 각각 깔창(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외측에 형성된 외주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내·외측 외주면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된다는 정의는 내·외측 외주면의 일부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힐 포션부의 내측 외주면의 두께(MH)보다 힐 포션부의 외측 외주면의 두께(HH)가 적어도 2배 이상의 값을 지니고, 프론트 포션부의 외측 외주면의 두께(MH)는 프론트 포션부의 내측 외주면 두께(FH)의 2배 이상의 값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경사진 보행 유도공간부가 확보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보행의 중심축이 이동됨으로써 바른 보행이 유도되는 것이다.
도 1의 신발 착용자의 발에 작용되는 족압 분포도를 살펴보면, 전방 내측 엄지 발가락을 향하여 높은 압력분포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보행시 발의 중심축은 뒤꿈치를 시작으로 중족골을 거쳐 내측 엄지 발가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보행의 중심축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연속적인 보행 유도공간부(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가 발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되고 하부는 공간부 없이 플랫한 형상을 지니는 깔창은 발에 안락감을 제공할 뿐, 보행이나 운동시에 발생하는 내측 사선 방향으로 유도되는 족압 분포의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실질적인 보행 유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반면, 도 7에서는 보행 또는 운동에 따른 보행 유도공간부의 변화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행 유도공간부(20)는 지면에 닿기 전인 (ㄱ)단계에서는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가 지면에 닿은 후 (ㄴ) 내지 (ㄹ)단계를 거치면서 보행 유도공간부(20)는 점진적으로 후방에 형성된다. 이로써, 발과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킴과 동시에 신발 착용자의 바른 보행을 유도하여 교정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나아가 잘못된 보행으로 인한 배김 현상이나 물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보행 또는 운동에 따른 보행 유도공간부의 변화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뒤꿈치가 지면에 닿는 순간인 (ㄱ)단계에서는 내측에 뒤꿈치 유도공간부(23)가 형성되고, 미드 유도공간부(22)가 거의 소멸하는 단계인 (ㄴ)단계를 거쳐, (ㄷ)단계에서는 외측에 중족골 유도공간부(21)가 형성되는 것으로, 결국 보행 유도공간부(20)는 점진적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깔창의 외측과 내측에서도 발과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신발 착용자의 바른 보행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깔창의 쿠션부재는 충격이 흡수되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레탄이나 합성고무재 또는 발포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합성수지재만으로 쿠션부재를 제작하는 경우, 잦은 보행에 의하여 복원력과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쿠션부재 내부에 코일 스프링(S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SP)은 하부 프론트 쿠션부(11b) 또는 하부 힐 쿠션부(13b)에 마련된 끼움홈(SPH)에 삽입결합된다. 이로써, 충격흡수 및 탄력성이 뛰어나 장기 착용시 피로감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깔창의 상부에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촉면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접촉면은 향균성과 통풍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땀의 흡수가 뛰어나 착화시 쾌적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발명에 따른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깔창 11:프론트 포션부
11a:프론트 쿠션부 11b:하부 프론트 쿠션부
12:미드 포션부 13:힐 포션부
13a:힐 쿠션부 13b:하부 힐 쿠션부
20:보행 유도공간부 21:중족골 유도공간부
22:아치 유도공간부 23:뒤꿈치 유도공간부
SP:코일 스프링 SPH:끼움홈

Claims (5)

  1. 기준 두께(MH)를 지니는 미드 포션부(12)를 중심으로 전방에 발의 중족골 부위에 대응되도록 프론트 포션부(11)가 구비되고, 후방에 발의 뒤꿈치 부위에 대응되도록 힐 포션부(13)가 구비되어지는 신발용 깔창(10)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미드 포션부(12)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은 폭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외측 외주면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상기 힐 포션부(13)의 내측 외주면은 기준 두께(MH)와 동일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포션부(11) 및 힐 포션부(13)의 저면에는 하부 프론트 쿠션부(11b) 및 하부 힐 쿠션부(13b)가 하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힐 포션부(13)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포션부(11)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77776A 2015-06-02 2015-06-02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KR10178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76A KR101780005B1 (ko) 2015-06-02 2015-06-02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76A KR101780005B1 (ko) 2015-06-02 2015-06-02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08A KR20160142008A (ko) 2016-12-12
KR101780005B1 true KR101780005B1 (ko) 2017-09-20

Family

ID=5757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776A KR101780005B1 (ko) 2015-06-02 2015-06-02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107A (ko) 2017-11-16 2019-05-24 허정호 기능성 신발깔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0114A1 (en) 2004-04-09 2006-01-05 Love Bethel W Heel balancing inso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0114A1 (en) 2004-04-09 2006-01-05 Love Bethel W Heel balancing ins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107A (ko) 2017-11-16 2019-05-24 허정호 기능성 신발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08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399B2 (en) Shoe insole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US20130133224A1 (en) Shoe Insole
JP5858450B1 (ja) 靴中敷き
KR101690708B1 (ko)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구두용 중창
WO2022271605A1 (en) Reversed arch shoes
JP5364797B2 (ja) ハイヒール用中敷
KR100720959B1 (ko) 측면공간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JP5677417B2 (ja) 健康靴および方法
KR101780005B1 (ko)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JP5815172B2 (ja) 履物用中底又はインソ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る歩行用履物又はスニーカー
KR200467057Y1 (ko) 신발용 깔창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101196569B1 (ko)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KR20120085568A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JP6353479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20070078764A (ko) 무릎관절보호깔창
KR20200049024A (ko) 교정용 신발
JP3234721U (ja)
KR100627676B1 (ko) 신발의 솔 구조
KR20100009229A (ko) 건강신발
KR20110125161A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신발 안창
KR200418471Y1 (ko) 신발의 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