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392B1 -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392B1
KR101779392B1 KR1020170062243A KR20170062243A KR101779392B1 KR 101779392 B1 KR101779392 B1 KR 101779392B1 KR 1020170062243 A KR1020170062243 A KR 1020170062243A KR 20170062243 A KR20170062243 A KR 20170062243A KR 101779392 B1 KR101779392 B1 KR 10177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inflammatory
disease
edi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609A (ko
Inventor
우미희
김영호
전도연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3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은 NO 생성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s isolated from Echinochloa utili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inflammation)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의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의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의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 회복 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일부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패혈증, 혈관 질환, 암 등을 유도한다. 즉, 염증 반응은 상처, 미생물 감염 등에 대항하는 숙주의 방어기제에 따른 병리학적인 기작 중 가장 중요한 반응이지만, 지속적이고 과도한 염증반응은 조직을 손상시킨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가장 대표적인 면역세포로서, 유해한 환경에서 숙주의 방어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진행과정에 관여한다. 지질다당류와 같은 염증 자극인자들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및 IL-1β와 같은 다양한 염증성 매개체를 생성하고,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와 COX-2(cyclooxygenase-2)를 합성하여 NO(nitric oxide) 및 PGE2(prostaglandin E2)를 생성한다(Jin, H. J. et al., 2010).
NO는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항상성 조절자이며, 장내 세균과 종양을 제거하고 혈압을 조절하거나 신경 전달을 매개하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염증이 발생하면 염증 관련 세포의 iNOS 발현량이 증가하여 다량의 NO가 생성되며, 과도하게 생성된 NO에 의해 조직 손상, 유전자 변이, 신경 손상 등이 발생하고,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부종이 유발된다.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대식세포의 COX-2에 의해 PGE2가 생성되는데 이것은 통증과 발열에 주로 관여하는 염증 인자이다(Wang, M. T. et al., 2007). 따라서, 염증 반응에서 생성되는 NO 및 COX-2의 생성 억제를 확인함으로서 항염증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최근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기능은 식품이나 식물체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고, 보다 건강하고 오래 살고자 하는 인류의 필요에 따라, 세계적으로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다양한 생리기능을 가진 물질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식물자원에 포함된 화합물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Lee, S. E. et al., 2004).
식용피(Echinochloa utilis, Barnyard millet)는 벼목 화본과 일년생 외떡잎식물로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등에서 재배된다. 식용피는 환경적응성이 아주 뛰어나서 산지나 척박한 땅, 염분 농도가 높은 땅에서 생육 가능하여 간척지 및 개간지 등의 제염작물로 유망할 뿐만 아니라 생육기간이 90~110일로 비교적 짧아 기상재해에 따른 대체작물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내한발성이 우수하고 소요되는 물의 요구량이 적어 기후적응성 우수하며, C4 식물로서 바이오매스(biomass)가 커 사료작물 및 바이오에너지 소재 작물로도 이용 가능하다(이성갑, 2009).
또한, 식용피는 필수아미노산, 불포화 지방산 등의 영양성분 함량이 다른 잡곡에 비해 우수하고, 특히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식용피를 이용한 면, 빵, 스넥, 피쌀 등을 개발하여 건강식품으로도 사용가능함이 보고되었다(Kim, J. Y. et al., 2011).
한편, 식용피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22779호에는 식용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1180호에는 식용피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있으나,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1180호, 식용피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013년 05월 20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222779호,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013년 01월 09일, 등록.
이성갑, 중국에서 잡곡 피의 생산 가공과 종합 이용, 2009. Jin, H. J.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ritic activity of total flavonoids of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J Ethnopharmacol., 127(3), 589-595, 2010. Kim, J. Y. et al.,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elected barnyard millet (Echinochloa utilis) species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20, 461-469, 2011. Lee, S. E. et al.,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of Korean medical herbs, J Medicinal Crop Sci., 12, 73-78, 2004. Migliorini, P. et al., Macrophage NO2- production as a sensitive and rapid assay for the quantitation of murine IFN-gamma, J Immunol Methods., 139(1), 107-114, 1991. Wang, M. T. et al., Cyclooxygenases, prostanoids, and tumor progression, Cancer Metastasis Rev., 26(3-4), 525-534, 2007.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또한,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식용피(Echinochloa utilis)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안티-1-(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4-[(E)-3-아세톡시프로펜-1-일]-2-메톡시페녹시}프로판-1,3-디올 3-아세테이트(화합물 1), 스키스펜리그난Ⅰ(화합물 2), 이합체 코니페릴 아세테이트(화합물 3), (+)시린가레시놀(화합물 4), 루시데날(화합물 5), 9,9'-비스아세틸-네오-올리빌(화합물 6), (2S,3S,4S,5S)-3,4-퓨란디메탄올, 테트라히드로-2,5-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3,4-디아세테이트(화합물 7), 에키노클로린 A(화합물 8), 에키노클로린 B(화합물 9), 2',3'-디히드록시프로필 노나데카노에이트(화합물 10) 및 (8E,11E)-2',3'-디히드록시프로필옥타데카-8,11-디에노에이트(화합물 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1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피(Echinochloa utilis)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안티-1-(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4-[(E)-3-아세톡시프로펜-1-일]-2-메톡시페녹시}프로판-1,3-디올 3-아세테이트(화합물 1), 스키스펜리그난Ⅰ(화합물 2), 이합체 코니페릴 아세테이트(화합물 3), (+)시린가레시놀(화합물 4), 루시데날(화합물 5), 9,9'-비스아세틸-네오-올리빌(화합물 6), (2S,3S,4S,5S)-3,4-퓨란디메탄올, 테트라히드로-2,5-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3,4-디아세테이트(화합물 7), 에키노클로린 A(화합물 8), 에키노클로린 B(화합물 9), 2',3'-디히드록시프로필 노나데카노에이트(화합물 10) 및 (8E,11E)-2',3'-디히드록시프로필옥타데카-8,11-디에노에이트(화합물 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신규 화합물 (±)-안티-1-(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4-[(E)-3-아세톡시프로펜-1-일]-2-메톡시페녹시}프로판-1,3-디올 3-아세테이트(화합물 1), 에키노클로린 A(화합물 8) 및 에키노클로린 B(화합물 9)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용피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식용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용피 추출물을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상기 화학식 1의 (±)-안티-1-(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4-[(E)-3-아세톡시프로펜-1-일]-2-메톡시페녹시}프로판-1,3-디올 3-아세테이트(화합물 1), 스키스펜리그난Ⅰ(화합물 2), 이합체 코니페릴 아세테이트(화합물 3), (+)시린가레시놀(화합물 4), 루시데날(화합물 5), 9,9'-비스아세틸-네오-올리빌(화합물 6), (2S,3S,4S,5S)-3,4-퓨란디메탄올, 테트라히드로-2,5-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3,4-디아세테이트(화합물 7), 에키노클로린 A(화합물 8), 에키노클로린 B(화합물 9), 2',3'-디히드록시프로필 노나데카노에이트(화합물 10) 및 (8E,11E)-2',3'-디히드록시프로필옥타데카-8,11-디에노에이트(화합물 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용피(Echinochloa utilis)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식용피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P-18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은 NO 생성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인 화합물 1, 8 및 9에 대한 1H-1H COSY (bold lines)와 1H-13C HMBC의 상관관계(arrow)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1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 1, 2, 3, 5, 6, 9 및 11을 LPS가 처리된 대식세포에 적용한 후, 생성되는 NO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LPS가 처리된 대식세포에, 본 발명의 화합물 1, 2, 3, 5, 6 및 9을 처리하는 경우, 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인 iNOS 및 COX-2의 단백질 발현량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식용피 유래 화합물의 분리>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용피(Echinochloa utilis)는 국립식량과학원(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에서 2013년 2월에 제공받았다.
건조된 식용피 낟알 30㎏을 80% 에탄올(4회×20ℓ)로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고, 상기 과정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1.1㎏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6ℓ의 물에 현탁하고, n-헥산(6ℓ×7회), 메틸렌클로라이드(6ℓ×7회), 에틸아세테이트(6ℓ×7회) 및 n-부탄올(6ℓ×7회)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305g),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68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35g) 및 n-부탄올 분획물(130g)과 마지막으로 물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 분획물 중 NO 생성을 저해하는 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TLC 분석 결과가 유사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하나로 합친 후, n-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1:0:0 → 1:1:0 및 1:1:0.1 → 1:1:1, 각 5ℓ)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입자크기: 63-200㎛, 컬럼크기: 10×120㎝)로 분획하여, TLC 패턴에 따른 14개의 소분획물(A~N)을 얻었다.
상기 14개의 소분획물을 사용하여 NO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소분획물 G 및 소분획물 H가 가장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상기 2개의 소분획물로부터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소분획물 G(2.8g)는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메탄올:물(1:1, 2:1, 4:1, 8:1, 12:1)의 조건으로 분획하여 14개의 소분획물(G-1~G-14)을 얻었으며, 상기 소분획물 중 G-2(98.7㎎)를 50% 메탄올 수용액으로 40분 동안 semi-preparative HPLC(RS tech Optima Pak C18 column, 컬럼크기: 10×250 ㎜, 입자크기: 5㎛)를 실시함으로서 화합물 5(6㎎)를 얻었다. 또한, 소분획물 G-3(183㎎)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입자크기: 63-200㎛, 컬럼크기: 2.5×50㎝) 및 메틸렌클로라이드:아세톤(10:1, 4ℓ)의 조건으로 용출하여 2개의 소분획물 G-3-1 및 G-3-2를 얻었으며, 이 중 소분획물 G-3-1(63㎎)을 56%의 메탄올 수용액으로 60분 동안 semi-preparative HPLC(RS tech Optima Pak C18 column, 컬럼크기: 10×250㎜, 입자크기: 5㎛)를 실시하여 화합물 6(6.7㎎) 및 화합물 7(16.6㎎)을 얻었다. 소분획물 G-7(97㎎) 및 소분획물 G-8(25㎎)은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입자크기: 25-100㎛, 컬럼크기: 2.5×1200㎝) 및 100% 메탄올로 분획하여 각각 화합물 3(37㎎) 및 화합물 9(8.2㎎)를 얻었다. 또한, 소분획물 G-13(54.5㎎)은 30% 아세토나이트릴 수용액(6ℓ) 및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 4.5×50㎝)로 분획하여 화합물 10(23㎎)을 얻었으며, G-14(180㎎)는 50% 아세토나이트릴 수용액(6ℓ)과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 4.5×50㎝)로 분획하여 화합물 11(61㎎)을 얻었다.
소분획물 H(2.4g)는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입자크기: 25-100㎛, 컬럼크기: 2.5×1200㎝) 및 100% 메탄올로 분획하여 5개의 소분획물(H-1~H-5)을 얻었으며, 상기 소분획물 중 H-3(623㎎)를 메탄올:물(1:1, 2:1, 4:1, 8:1, 12:1)의 용출 조건에 따른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입자크기: 75-140㎛, 컬럼크기: 5×60㎝)를 실시하여 6개의 소분획물(H-3-1~H-3-6)을 얻었다. 또한, 상기 소분획물 중 H-3-2(386㎎) 및 H-3-5(52.1㎎)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입자크기: 63-200㎛, 컬럼크기: 2.5×50㎝) 및 메틸렌클로라이드:에틸아세테이트(각각 4:1 및 6:1, 3ℓ)로 용출하여 각각 화합물 1(15.0㎎) 및 화합물 8(22.0㎎)을 얻었다. 소분획물 H-4(323㎎)는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입자크기: 75-140㎛, 컬럼크기: 2.5×60㎝) 및 메탄올:물(3:2)의 조건으로 분획하여 6개의 소분획물(H-4-1~H-4-6)을 얻었으며, 상기 소분획물 중 H-4-3(203㎎)는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 4.5×50㎝) 및 66% 메탄올 수용액(4ℓ)을 사용하여 화합물 2(35.6㎎)를 분획하였고, 소분획물 H-4-6(32.1㎎)는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메탄올:물(3:2)로 화합물 4(12.0㎎)를 분획하였다.
<실시예 2. 식용피 유래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구조 확인>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분리 획득한 식용피 유래 화합물 1 내지 11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2-1. (±)- 안티 -1-(4-히드록시-3- 메톡시페닐 )-2-{4-[(E)-3- 아세톡시프로펜 -1-일]-2-메톡시페녹시}프로판-1,3-디올 3-아세테이트(화합물 1)
(±)-Anti-1-(4-hydroxy-3-methoxyphenyl)-2-{4-[(E)-3-acetoxypropen-1-yl]-2-methoxyphenoxy}propan-1,3-diol 3-acetate;
무색 오일(colorless oil);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2
0°(c 0.05, MeOH);
UV (MeOH) λ max ㎚ (log ε): 203 (4.23), 259 (3.84);
IR (KBr) ν max-1: 3666, 3416, 2971, 2337, 1736, 1598, 1510, 1477, 1054;
1H NMR 및 13C NMR 데이터는 하기 표 1 및 표 2 참조;
HR-FAB-MS m/z 460.1731 (calcd. for C24H28O9).
실시예 2-2. 스키스펜리그난Ⅰ(화합물 2)
schisphenlignan I;
무결정형 분말(amorphous powder);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3
-13.5°(c 0.17, MeOH);
UV (CHCl3) λ max (log ε): 204 (2.73);
IR ν max -1: 3425, 2923, 2853, 1741, 1616, 1518, 1465, 1240, 1146, 1034;
1H NMR (Methanol-d 4, 600 MHz) δ: 6.90 (1H, overlapped, H-2'), 6.92 (1H, br s, H-6'), 6.50 (1H, d, J = 15.8 Hz, H-7'), 6.19 (1H, dt, J = 5.8, 15.8 Hz, H-8'), 4.16 (2H, d, J = 5.8 Hz, H-9'), 6.78 (1H, dd, J = 1.7, 8.1 Hz, H-2), 6.74 (1H, d, J = 8.1 Hz, H-3), 6.90 (1H, overlapped, H-6), 5.41 (1H, d, J = 7.02 Hz, H-7), 3.68 (1H, m, H-8), 4.28 (1H, dd, J = 5.2, 11.1 Hz, H-9a), 4.37 (1H, dd, J = 7.4, 11.1 Hz, H-9b), 3.77 (3H, s, OCH3), 3.82(3H, s, OCH3), 1.95(3H, s, OCOCH3);
13C NMR (Methanol-d 4, 150 MHz) δ: 133.8 (C-1), 110.7 (C-2'), 149.3 (C-5), 148.0 (C-4), 116.4 (C-3), 120.2 (C-2), 90.0 (C-7), 51.8 (C-8), 66.8 (C-9), 133.0 (C-1'), 110.9 (C-2'), 145.8 (C-5'), 149.3 (C-4'), 129.4 (C-3'), 112.5 (C-6'), 132.0 (C-7'), 128.0 (C-8'), 64.0 (C-9'), 20.8 (OCOCH3), 56.6 (OCH3), 56.9 (OCH3), 172.8 (OCOCH3);
HR-ESI-MS m/z [M+Na]+ 423.1424 (calcd. for C22H24O7).
실시예 2-3. 이합체 코니페릴 아세테이트(화합물 3)
dimeric coniferyl acetate;
무색 오일(colorless oil);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4
-2.0°(c 1.2, CH2Cl2);
UV (CHCl3) λ max ㎚(log ε): 279 (4.19), 304 (3.86), 347 (3.29);
IR ν max -1: 3460, 3020, 2955, 2855, 1740, 1732, 1604, 1516, 1500, 1464, 1432, 1380, 1364, 1332, 1250, 1146, 1034, 960, 928, 856, 734;
1H NMR (Methanol-d 4, 600 MHz) δ: 6.90 (1H, overlapped, H-2'), 6.93 (1H, br s, H-6'), 6.56 (1H, d, J = 15.8 Hz, H-7'), 6.15 (1H, dt, J = 5.8, 15.8 Hz, H-8'), 4.64 (2H, d, J = 6.5 Hz, H-9'), 6.78 (1H, dd, J = 1.7, 8.2 Hz, H-2), 6.74 (1H, d, J = 8.2 Hz, H-3), 6.90 (1H, overlapped, H-6), 5.42 (1H, d, J = 7.08 Hz, H-7), 3.68 (1H, m, H-8), 4.27 (1H, dd, J = 7.5, 11.1 Hz, H-9a), 4.37 (1H, dd, J = 5.1, 11.1 Hz, H-9b), 3.77 (3H, s, OCH3), 3.82 (3H, s, OCH3), 2.01 (3H, s, OCOCH3), 1.95 (3H, s, OCOCH3);
13C NMR (Methanol-d 4, 150 MHz) δ: 133.7 (C-1), 116.7 (C-2'), 149.8 (C-5), 148.1 (C-4), 116.4 (C-3), 122.4 (C-2), 90.0 (C-7), 51.8 (C-8), 66.7 (C-9), 132.2 (C-1'), 110.7 (C-2'), 145.8 (C-5'), 149.3 (C-4'), 129.5 (C-3'), 112.6 (C-6'), 135.6 (C-7'), 129.5 (C-8'), 66.5 (C-9'), 20.8 (OCOCH3), 56.6 (OCH3), 56.9 (OCH3), 172.9 (OCOCH3), 172.7 (OCOCH3);
ESI-MS m/z [M-H]- 441 (calcd. for C24H26O8).
실시예 2-4. (+)시린가레시놀(화합물 4)
(+)syringaresinol;
노란 분말(yellow powder);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5
+42°(c 0.1, CHCl3);
UV (MeOH) λ max ㎚(log ε): 240(4.08), 271 (3.88);
IR ν max -1: 3340, 1610, 1521, 1456, 1425, 1377, 1319;
1H NMR (Methanol-d 4 , 600 MHz) δ: 6.60 (4H, s, H-2, 6, 2', 6'), 4.67 (2H, d, J = 3.6 Hz, H-7, 7'), 4.21 (2H, dd, J = 6.0, 9.0 Hz, H-9a, 9'a), 3.85 (2H, dd, J = 6.8, 9.0 Hz, H-9b, 9'b), 3.08 (2H, m), 3.79 (12H, s, 4' OCH3);
13C NMR (Methanol-d 4 , 150 MHz) δ: 131.1 (C-1, 1'), 104.7 (C-2, 2', 6, 6'), 149.5 (C-3, 3', 5, 5'), 136.4 (C-4, 4'), 87.8 (C-7, 7'), 55.7 (C-8, 8'), 72.9 (C-9, 9'), 57.0 (OCH3);
EI-MS m/z [M]+ 418 (calcd. for C22H26O8).
실시예 2-5. 루시데날(화합물 5)
lucidenal;
갈색 점성액(brown viscous liquid);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6
-25.3°(c 0.170, CHCl3),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7
-26.7°(c 0.33, MeOH);
UV (CHCl3) λ max ㎚(log ε): 244(2.75), 281 (2.74);
IR ν max -1: 3425, 2926, 1728, 1680, 1642, 1514, 1268, 1228;
1H NMR (Methanol-d 4 , 600 MHz) δ: 4.17 (1H, d, J = 11.8 Hz, H-1), 3.89 (1H, m, H-2), 6.51 (1H, s, H-4a), 6.16 (1H, s, H-4b), 9.39 (1H, s, H-5), 4.12 (1H, dd, J = 2.6, 9.8 Hz, H-6a), 3.90 (1H, dd, J = 5.1, 9.8 Hz, H-6b), 1.95 (3H, s, H-8), 6.98 (1H, d, J = 1.6 Hz, H-6'), 6.76 (1H, d, J = 8.1 Hz, H-3'), 6.86 (1H, d, J = 1.6, 8.1 Hz, H-2'), 6.79 (1H, d, J = 1.3 Hz, H-2''), 6.62 (1H, d, J = 8.2 Hz, H-5''), 6.65 (1H, dd, J = 1.3, 8.2 Hz, H-6''), 3.87 (3H, s, OCH3), 3.80(3H, s, OCH3);
13C NMR (Methanol-d 4 , 150 MHz) δ: 52.8 (C-1), 41.9 (C-2), 151.4 (C-3), 138.7 (C-4), 196.3 (C-5), 67.1 (C-6), 172.7 (C-7), 20.8 (C-8), 136.4 (C-1') 112.8 (C-2'), 149.2 (C-3'), 146.0 (C-4'), 116.1 (C-5'), 121.7 (C-6'), 56.6 (OCH3), 136.3 (C-1''), 112.5 (C-2''), 148.9 (C-3''), 146.4 (C-4''), 116.1 (C-5''), 121.5 (C-6''), 56.5 (OCH3);
HR-EI-MS m/z [M]+ 400.1515 (calcd. for C22H24O7).
실시예 2-6. 9,9'-비스아세틸-네오-올리빌(화합물 6)
9,9'-bisacetyl-neo-olivil;
연한 분말(pale powder);
UV (MeOH) λ max ㎚(log ε): 225, 275;
IR ν max -1: 3300, 2940, 2870, 1705, 1660, 1575, 1490, 1240, 1185, 1070;
1H NMR(Methanol-d 4 , 400 MHz) δ: 7.01 (2H, d, J = 1.8 Hz, H-2', 2''), 6.81 (2H, d, J = 8.1 Hz, H-5', 5''), 6.89 (2H, dd, J = 1.8, 8.1 Hz, H-6', 6''), 4.95 (2H, d, J = 8.2 Hz, H-2, 5), 2.51 (2H, m, H-3, 4), 4.27 (4H, d, J = 3.2 Hz, H-6, 7), 3.89 (6H, s, 2' OCH3, OCH3), 1.91 (3H, s, COCH3);
13C NMR (Methanol-d 4 , 100 MHz) δ: 134.3 (C-1, 1'), 111.4 (C-2, 2'), 149.3 (C-3, 3'), 147.7 (C-4, 4'), 116.3 (C-5, 5'), 120.7 (C-6, 6'), 85.1 (C-7, 7'), 51.5 (C-8, 8'), 64.7 (C-6, 7) 56.6 (OCH3), 172.7 (COCH3), 20.8 (OCOCH3);
EI-MS m/z [M]+ 460 (calcd. for C24H28O9).
실시예 2-7. (2 S ,3 S ,4 S ,5 S )-3,4-퓨란디메탄올, 테트라히드로-2,5-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3,4-디아세테이트(화합물 7)
(2S,3S,4S,5S)-3,4-furandimethanol, tetrahydro-2,5-bis(4-hydroxy-3-methoxyphenyl)-3,4-diacetate;
연한 분말(pale powder);
1H NMR (Methanol-d 4 , 400 MHz) δ: 7.11 (1H, d, J = 1.5 Hz, H-2'), 7.03 (1H, d, J = 1.3 Hz, H-2''), 6.99 (1H, dd, J = 1.5, 8.1 Hz, H-5'), 6.90 (1H, d, J = 1.3, 8.1 Hz, H-5''), 6.86 (1H, d, J = 8.1 Hz, H-6'), 6.83 (1H, d, J = 8.1 Hz, H-6''), 5.15 (1H, d, J = 7.6 Hz, H-2), 4.66 (1H, d, J = 8.5 Hz, H-5), 2.74 (1H, m, H-3), 2.42 (1H, m, H-4), 4.30 (2H, m, H-6, 7), 3.93 (3H, s, OCH3), 3.89 (3H, s, OCH3), 1.97 (3H, s, OCOCH3), 1.89 (3H, s, OCOCH3);
13C NMR (Methanol-d 4 , 100 MHz) δ: 133.3 (C-1), 131.0 (C-1'), 111.8 (C-2), 111.4 (C-2'), 149.3 (C-3), 149.0 (C-3'), 147.8 (C-4), 147.3 (C-4'), 116.4 (C-5), 116.2 (C-5'), 121.0 (C-6), 120.5 (C-6'), 84.8 (C-7), 82.6 (C-7'), 46.7 (C-8), 51.3 (C-8'), 65.9 (C-6), 65.6 (C-7), 56.6 (OCH3), 172.8 (OCOCH3), 172.7 (OCOCH3), 20.8 (OCOCH3), 20.7 (OCOCH3).
실시예 2-8. 에키노클로린 A(화합물 8)
Echinochlorin A;
백색 무정형 분말(white amorphous powder);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8
+20.2°(c 0.005, CHCl3);
UV (CHCl3) λ max ㎚(log ε): 244 (4.55), 292 (4.52);
IR (KBr) ν max-1: 3399, 2916, 2850, 1715, 1630, 1596, 1516, 1466, 1267, 1170;
1H NMR 및 13C NMR 데이터는 하기 표 3 참조;
HR-FAB-MS m/z 503.2595 [M+Na]+ (calcd. for C26H40O8Na+).
실시예 2-9. 에키노클로린 B(화합물 9)
Echinochlorin B;
연한 무정형 분말(pale amorphous powder);
UV (MeOH) λ max ㎚(log ε): 203 (4.39), 278 (4.64);
IR (KBr) ν max-1: 3441, 2928, 1676, 1666, 1583, 1407, 1240, 1076, 996, 990;
1H NMR 및 13C NMR 데이터는 하기 표 3 참조;
HR-FAB-MS m/z 309.2063 [M+H]+ (calcd. for C26H41O8 +).
실시예 2-10. 2',3'-디히드록시프로필 노나데카노에이트(화합물 10)
2',3'-dihydroxypropyl nonadecanoate;
흰색 분말(white powder);
1H NMR (Chloroform-d, 600 MHz) δ: 4.13 (2H, m, H-1'), 3.89 (1H, m, H-2'), 3.65 (1H, dd, J = 3.7, 11.5 Hz, H-3'a), 3.56 (1H, dd, J = 5.9, 11.5 Hz, H-3'b), 1.59 (2H, dd, J = 6.7, 7.0 Hz, H-2), 1.22~1.27 (34H, m, H-2~18), 0.85 (3H, t, J = 6.8 Hz, H-19);
13C NMR (Chloroform-d, 150 MHz) δ: 65.3 (C-1'), 70.5 (C-2'), 63.6 (C-3'), 174.6 (C-1), 22.9 (C-2), 25.1 (C-3), 32.1 (C-4), 30.0 (C-5), 29.9 (C-6), 29.8 (C-7), 29.8 (C-8), 29.8 (C-9), 29.7 (C-10), 29.6 (C-11), 29.5 (C-12), 29.5 (C-13), 29.5 (C-14), 29.3 (C-15), 29.3 (C-16), 29.3 (C-17), 27.4 (C-18), 14.3 (C-19);
GC-MS m/z 354 [M-H2O]+.
실시예 2-11. (8 E ,11 E )-2',3'-디히드록시프로필옥타데카-8,11-디에노에이트(화합물 11)
(8E,11E)-2',3'-dihydroxypropyloctadeca-8,11-dienoate;
연한 분말(pale powder);
1H NMR (Methanol-d 4, 600MHz) δ: 3.51 (2H, t, J = 4.5 Hz, H-1'), 3.77 (1H, m, H-2'), 4.10 (1H, dd, J = 4.2, 11.4 Hz, H-3'a), 4.02 (1H, dd, J = 6.2, 11.3 Hz, H-3'b), 2.31 (2H, t, J = 7.4 Hz, H-2), 1.58 (2H, m, H-3), 1.31 (14H, m, H-4~6, 14~17), 2.02 (4H, m, H-7, 13), 5.30 (4H, m, H-8, 9, 11, 12), 2.73 (2H, t, J = 6.7 Hz, H-10), 0.87 (3H, t, J = 6.42 Hz, H-18);
13C NMR (Methanol-d 4, 150MHz) δ: 66.6 (C-1'), 71.3 (C-2'), 64.2 (C-3'), 175.6 (C-1), 35.1 (C-2), 26.1 (C-3), 32.8 (C-4), 30.8 (C-5), 30.6 (C-6), 28.3 (C-7), 131.1 (C-8), 129.2 (C-9), 27.0 (C-10), 129.2 (C-11), 131.0 (C-12), 28.3 (C-13), 30.4 (C-14), 30.3 (C-15), 30.3 (C-16), 23.7 (C-17), 14.6 (C-18);
GC-MS m/z 336 [M-H2O]+.
Position 화합물 1(CD3OD)
δ H (J in Hz) δ C
1 132.6
2 6.87 (1H, dd, 1.9, 8.3) 121.1
3 6.91 (1H, d, 8.3) 118.7
4 149.6
5 149
6 7.01 (1H, d, 1.9) 111.7
7 6.55 (1H, d, 15.9) 135
8 6.18 (1H, dt, 6.5, 15.9) 123.2
9 4.64 (2H, dd, 1.1, 6.5) 64.9
1' 133.4
2' 6.82 (1H, dd, 1.8, 8.3) 121
3' 6.72 (1H, d, 8.3) 116
4' 147.5
5' 152
6' 6.98 (1H, d, 1.8) 111.9
7' 4.81 (1H, d, 5.8) 74.5
8' 4.52 (1H, m) 83.4
9'a 4.18 (1H, dd, 3.7, 11.9) 66.4
9'b 3.97 (1H, dd, 6.2, 11.9)
OCH3 3.78 (3H, s) 56.5
OCH3 3.88 (3H, s) 56.7
OCOCH 3 1.87 (3H, s) 21
OCOCH 3 1.88 (3H, s) 20.7
OCOCH3 172.6
OCOCH3 172.9
1H(600 MHz) and 13C(150 MHz)NMR
Position 1Sb 1Rb
δ H δ H
7' 6.35(d, J = 6.2)
or 6.27(d,J = 6.2)
6.27(d, J = 6.2)
or 6.35(d, J = 6.2)
8' 4.68(m) or 4.64(m) 4.64(m) or 4.68(m)
9'a 4.20(dd, J = 4.5,12.0)
or 4.13(dd, J = 4.5,12.0)
4.13(dd, J = 4.5,12.0)
or 4.20(dd, J = 4.5,12.0)
9'b 3.90(dd, J = 5.2,12.0)
or 3.85(dd, J = 5.2,12.0)
3.85(dd, J = 5.2,12.0)
or 3.90(dd, J = 5.2,12.0)
δ in ppm, J in Hz; b in chloroform-d
Position 화합물 8(CDCl3) 화합물 9(CD3OD)
δ H (J in Hz) δ C δ H (J in Hz) δ C
1 4.32-4.40 (2H, overlapped) 64.8 177.8
2 1.83 (2H, m) 29.8 2.20 (2H, t, 7.4) 35.0
3 1.90 (2H, m) 29.7 1.50-1.55 (2H, m) 26.1
4 1.46-1.60 (2H, m) 26.2 1.22-1.29 (2H, m) 30.1
5 1.46-1.60 (2H, m) 28.9 1.22-1.29 (2H, m) 30.0
6 1.46-1.60 (2H, m) 29.3 1.50-1.55 (2H, m) 25.0
7 1.46-1.60 (2H, m) 29.4 2.56-2.61 (2H, overlapped) 41.8
8 1.46-1.60 (2H, m) 29.6 202.8
9 1.46-1.60 (2H, m) 29.7 6.48-6.52 (1H, m) 137.5
10 1.46-1.60 (2H, m) 29.8 7.20-7.24 (1H, m) 141.0
11 1.83 (2H, m) 25.1 7.20-7.24 (1H, m) 141.0
12 2.55 (2H, t, 6.1) 34.3 6.48-6.52 (1H, m) 137.5
13 174.5 202.7
14 2.56-2.61 (2H, m) 41.8
15 1.50-1.55 (2H, m) 25.1
16 1.22-1.29 (2H, m) 32.7
17 1.22-1.29 (2H, m) 23.7
18 0.83 (3H, t, 6.9) 14.4
1' 148.2
2' 7.12 (1H, d, 8.0) 115.0
3' 7.27 (1H, d, 8.0) 123.2
4' 127.2
5' 7.24 (1H, overlapped) 109.6
6' 147.0
7' 7.81 (1H, d, 15.8) 144.9
8' 6.50 (1H, d, 15.8) 115.8
9' 167.7
OCH3 4.13 (3H, overlapped) 56.1
1'' 4.32-4.40 (2H, overlapped) 65.3
2'' 4.13 (1H, overlapped) 70.4
3''a 3.80 (1H, dd, 4.9, 9.8) 63.6
3''b 3.90 (1H, br, d, 9.8)
< 실시예 3. 세포배양>
본 발명의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세포의 배양 조건은 하기와 같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100U/㎖)/스트렙토마이신(100㎍/㎖)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 배지에서 37℃, 5% CO2의 습윤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는 6-웰 플레이트(6-well tissue culture plates)에서 2.5×106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1을 12.5~50.0㎍/㎖의 농도로 첨가하여, 60분 동안 사전 배양하였다.
<실시예 4. 세포생존율 측정>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1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3의 조건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5×104 cells/㎖)에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1을 50㎍/㎖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0.1㎍/㎖의 LPS로 자극시켰다. 이때 대조군(무처리군)을 처리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24시간 동안 0.1㎍/㎖의 LPS로 자극시키거나, 또는, LPS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에 2㎎/㎖의 MTT 시약 50㎕를 더한 뒤, 37℃에서 2시간 동안 추가 반응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생성된 포마잔 결정(formazan crystal)은 DMSO에 녹여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1 및 대조군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의 세포생존율이 95% 이상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1이 대식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NO 생성 저해 활성 분석>
선행문헌 [Migliorini, P. et al., 1991]을 참고하여, 배양된 RAW 264.7 세포의 상등액을 이용하여 아질산염(nitrite)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NO 생성량을 분석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3의 조건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5×104 cells/㎖)에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1(12.5, 25 및 50.0㎍/㎖의 각 농도별 처리) 또는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2, 0.4 및 0.8㎍/㎖의 각 농도별 처리)을 각각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0.1㎍/㎖의 LPS로 자극시켰고, 이때 음성대조군(무처리군)을 처리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24시간 동안 0.1㎍/㎖의 LPS로 자극시키거나, 또는, LPS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상등액과 그리스 시약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이로부터 NO 생성 저해 활성을 분석하여 도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조건 IC50(μM)a
화합물 1 101.75±7.60
화합물 2 51.91±4.74
화합물 3 36.03±4.75
화합물 5 4.80±0.50
화합물 6 27.16±4.35
화합물 9 20.77±1.62
화합물 11 60.12±2.83
양성대조군(덱사메타손) 1.02±0.08
* a: The inhibitory effects are represented as the concentration(μM) giving 50% inhibition(IC50) relative to the control.
상기 표 4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을 LPS가 처리된 대식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의 화합물이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표 4 및 도 3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화합물 4, 7, 8 및 10에 대한 NO 생성 저해 활성도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면역 블롯 분석(immunoblot analysis)>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인 iNOS 및 COX-2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식세포로부터 상기 단백질을 추출하여 발현 및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3의 과정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차가운 세포 파쇄 용액(50mM Tris-HCl, pH 7.5, 1% Nonidet P-40, 1.0mM EDTA, 1.0mM phenylmethyl sulfonyl fluoride, 1.0㎍/mL leupeptin, 1.0mM sodium vanadate, 150mM NaCl)을 더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과정에서 추출된 단백질 50㎍을 취하여 SDS-PAGE를 실시한뒤,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Millipore, Bedford, MA, USA) 멤브레인에 전이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을 5% 탈지유(skim milk)가 포함된 PBST(phosphate buffer saline-Tween buffer)로 25℃에서 30분 동안 블록킹(blocking)한 후, 1차 항체(iNOS 및 COX-2, Santa Cruz, CA, USA)를 첨가한 뒤, 추가 반응하였다. 이후,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포함된 2차 항체로 반응한 뒤, ECL 시약(enhanced chemiluminescence, Amersham Pharmacia Biotec, UK)을 첨가하여 단백질이 전이된 멤브레인의 분석을 실시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고하면, LPS가 처리된 대식세포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는 경우, 염증성 관련 단백질인 iNOS 및 COX-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7. 독성실험>
실시예 7-1. 급성독성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 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를 20마리를 준비하였고, 각 군별로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30% PEG-400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1.0g/㎏의 농도로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상기 루시데날(화합물 5)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모두 생존하였다.
실시예 7-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C57BL/6J 생쥐를 대상으로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1.0g/㎏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과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나 특이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루시데날(화합물 5)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식용피(Echinochloa utilis)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47840791-pat0000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식용피(Echinochloa utilis)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7047840791-pat000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식용피(Echinochloa utilis)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식용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용피 추출물을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 1의 루시데날(화합물 5)을 분리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7047840791-pat00011
KR1020170062243A 2017-05-19 2017-05-19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243A KR101779392B1 (ko) 2017-05-19 2017-05-19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243A KR101779392B1 (ko) 2017-05-19 2017-05-19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16A Division KR101800785B1 (ko) 2017-01-25 2017-01-25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09A KR20170060609A (ko) 2017-06-01
KR101779392B1 true KR101779392B1 (ko) 2017-09-18

Family

ID=5922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243A KR101779392B1 (ko) 2017-05-19 2017-05-19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392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Life Science, 2014, vol. 24, no.11, pp. 1157~1167
Pharmaceutical Biology, 2015, vol. 53, no. 11, pp. 1628~16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09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752B1 (ko)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0065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풀색꽃무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4533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41092B1 (ko) 진통에 유효한 초피 잎 추출물의 분획물
KR101747696B1 (ko)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516986A (ja) ウスバノコギリモク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関節炎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130047458A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7668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1752247B1 (ko) 부처손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9392B1 (ko)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0785B1 (ko)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1438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8571A (ko) 천일사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활성의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1039145B1 (ko) 부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순환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80939B1 (ko)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101687770B1 (ko) 양주좀개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활성의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1967173B1 (ko)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0752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7477B1 (ko) 뽕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1008A (ko)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오스카렐라 스티란스(Oscarella stillan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당뇨 조성물
KR101783309B1 (ko) 자주색만년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2876B1 (ko) 방향족 케톤계 화합물, 이의 생산 방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