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168B1 -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168B1
KR101779168B1 KR1020170081425A KR20170081425A KR101779168B1 KR 101779168 B1 KR101779168 B1 KR 101779168B1 KR 1020170081425 A KR1020170081425 A KR 1020170081425A KR 20170081425 A KR20170081425 A KR 20170081425A KR 101779168 B1 KR101779168 B1 KR 10177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insertion groove
cover
insulato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호
Original Assignee
노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호 filed Critical 노재호
Priority to KR102017008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에 관한 것으로,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11b)과, 상기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1c)와, 상기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1d)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합홈(11e)과,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11a)과 상기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2배기홀(11f,11g) 및,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되는 제1삽입홈(12a)과,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되는 제2삽입홈과(12b),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2c)와,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2d) 및,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12e)를 갖추고서,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포함하며, 원판 형상의 애자(I)를 수용하는 덮개부재(10)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1d,21e)을 구비한 제1고정부재(21)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2b,22c) 및,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2d,22e)을 구비한 제2고정부재(22) 및;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 거치부재(23)를 갖춘 고정기구(20)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 제1밴드(30)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 제2밴드(40)와: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와,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52)를 구비한 제1걸림부재(50) 및: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61)와, 상기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6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Insulator Cover Of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며, 현재에는 대부분 이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활선작업은 2가지 종류 즉, 직접활선작업과 간접활선작업으로 나누어져 있다.
간접활선작업의 경우 핫스틱이라는 공구를 이용해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간접활선작업은 공구를 이용한 작업으로서 안전성은 있으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접활선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끼고 전압이 22.9kV나 되는 특고압 전선을 접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작업시간은 짧게 소요되나 위험성이 대단히 큰 단점이 있으며, 그동안 작업 부주의로 인한 인명피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왔다.
이에 따라 완철에 설치된 애자에는 덮개가 구비되는 데, 종래에는 덮개를 애자에 설치하기가 불편하였고, 덮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쉽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06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자 덮개의 설치가 편리하고, 애자 덮개의 위치 고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11b)과, 상기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1c)와, 상기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1d)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합홈(11e)과,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11a)과 상기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2배기홀(11f,11g) 및,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되는 제1삽입홈(12a)과,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되는 제2삽입홈과(12b),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2c)와,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2d) 및,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12e)를 갖추고서,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포함하며, 원판 형상의 애자(I)를 수용하는 덮개부재(10)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1d,21e)을 구비한 제1고정부재(21)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2b,22c) 및,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2d,22e)을 구비한 제2고정부재(22) 및;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 거치부재(23)를 갖춘 고정기구(20)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 제1밴드(30)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 제2밴드(40)와: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와,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52)를 구비한 제1걸림부재(50) 및: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61)와, 상기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6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애자(I)에 견고히 설치되어, 활선 작업시 애자(I)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를 덮개부재(10)에 설치한 다음, 제1,2밴드(30,40)로 제1고정부재(21) 및 제2고정부재(22)를 묶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본 발명의 애자덮개를 애자(I)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에 거치부재(23)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구 등을 거치부재(23)에 임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를 통해 본 발명의 애자덮개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여, 거치부재(23)에 공구가 임시 거치될 시, 공구의 이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덮개(11)에 제1,2배기홀(11f,11g)가 구비되어, 덮개부재(10)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 및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가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2배기홀(11f,11g)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덮개가 애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 X'-X'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X-X선, X'-X'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Y-Y선, Y'-Y'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Y-Y선, Y'-Y'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자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덮개가 애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 X'-X'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X-X선, X'-X'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Y-Y선, Y'-Y'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Y-Y선, Y'-Y'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자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자덮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덮개는 덮개부재(10)와, 고정기구(20)와, 제1밴드(30)와, 제2밴드(40)와,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애자덮개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재(10)는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갖추고서, 원판 형상의 애자(I)를 감싼다. 본 실시예에서 애자(I)는 다수 개가 연결된다.
상기 제1덮개(11)는 제1삽입홈(11a)과, 제2삽입홈(11b)과, 제1돌부(11c)와, 제2돌부(11d)와, 결합홈(11e)과, 제1,2배기홀(11f,11g) 및,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은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은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성되되,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는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는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는,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2삽입홀(11h,11i)은,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된다.
상기 제2덮개(12)는 제1삽입홈(12a)과, 제2삽입홈(12b)과, 제1돌부(12c)와, 제2돌부(12d) 및, 결합돌기(12e)를 갖춘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2삽임홈(12b)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는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는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결합돌기(12e)는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고정기구(20)는 제1고정부재(21)와, 제2고정부재(22) 및, 거치부재(23)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는 삽입부(21a)와,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2삽입홈(21d,21e)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21a)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는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굴곡부(21b,21c)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제1,2삽입홈(21d,21e)은,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22)는 삽입부(22a)와, 제1,2굴곡부(22b,22c) 및, 제1,2삽입홈(22d,22e)를 갖춘다.
상기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22a)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는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된다. 상기 제1,2굴곡부(22b,22c)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재(22)의 제1,2삽입홈(22d,22e)는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거치부재(23)는,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다.
상기 제1밴드(30)는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재(21)의 제1굴곡부(21b)의 외측에는 걸이부(21f)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밴드(30)는, 양단에 각각 제1,2걸이홀(31,32)이 형성되며, 제1밴드(30)의 제1걸이홀(31)이 제1고정부재(21)의 걸이부(21f)에 걸리고 제1밴드(30)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을 감으며, 제1밴드(30)의 제2걸이홀(32)이 제1고정부재(21)의 걸이부(21f)에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밴드(30)로 실리콘밴드 등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을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2밴드(40)는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부재(22)의 제1굴곡부(22b)의 외측에는 걸이부(22f)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밴드(40)는, 양단에 각각 제1,2걸이홀(41,42)이 형성되며, 제2밴드(40)의 제1걸이홀(41)이 제2고정부재(22)의 걸이부(22f)에 걸리고 제2밴드(40)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을 감으며, 제2밴드(40)의 제2걸이홀(42)이 제2고정부재(22)의 걸이부(22f)에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밴드(40)로 실리콘밴드 등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을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걸림부재(50)는 걸림부(51)와, 보호부(52)를 갖춘다.
상기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는,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는,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60)는 걸림부(61)와, 보호부(5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는,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는,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주(P)에는 완철(F)이 설치되고, 완철(F)에 애자(I)가 설치된다. 이때 애자(I)는 바 형상의 지지대(I1)에 설치되고, 지지대(I1)의 좌측단은 완철(F)에 설치되고, 지지대(I1)의 우측단은 클램프(C)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애자덮개는 제1덮개(11)와 제2덮개(12)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제1덮개(11)와 제2덮개(12)를 벌린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설치된 애자(I)에 덮개부재(10)를 씌운다. 이때 제1덮개(11)의 결합홈(11e) 및 제2덮개(12)의 결합돌기(12e)가 맞물려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가 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21)를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끼워 넣고, 제2고정부재(22)를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끼워 넣는다.
이때,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는 제1고정부재(21)의 제1삽입홈(21d)에 삽입되고,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는 제1고정부재(21)의 제2삽입홈(21e)에 삽입된다. 또한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는 제2고정부재(22)의 제1삽입홈(22d)에 삽입되고,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는 제2고정부재(22)의 제2삽입홈(22e)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밴드(30)를 통해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고, 제2밴드(40)를 통해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다.
그러면, 제1덮개(11)와 제2덮개(12)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활선 작업 등을 할 시 활선이 덮개부재(10)와 충돌하거나 작업자가 실수로 덮개부재(10)에 외력을 가할 시, 덮개부재(10)가 열리지 않고 안전하게 애자(I)를 보호한다.
이때, 고정기구(20)의 거치부재(23)는 굴곡된 형상을 이뤄, 작업자가 작업 중 공구 등을 임시로 걸어 놓을 수 있다.
이후,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를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삽입하고,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를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삽입한다. 이때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과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 사이에는 애자(I)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가 설치되면, 덮개부재(10)에 외력이 가해져, 좌우 방향으로 덮개부재(10)가 움직이려할 시, 애자(I)에 의해 덮개부재(10)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애자덮개가 초기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공구를 고정기구(20)의 거치부재(23)에 걸어 놓았을 시 공구가 흔들리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덮개(11)에 제1,2배기홀(11f,11g)이 형성되어, 덮개부재(10) 내부가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 및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가 각각 배치되어,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덮개(11)의 제1,2돌부(11c,11d)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덮개(12)의 제1,2돌부(12c,12d)가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밴드(30) 및 제2밴드(40)가 풀려,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의 결속이 해제될 시, 제1덮개(11)의 제1,2돌부(11c,11d) 및 제2덮개(12)의 제1,2돌부(12c,12d)의 자체 하중에 의해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의 회전이 방지되어,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가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애자(I)에 견고히 설치되어, 활선 작업시 애자(I)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를 덮개부재(10)에 설치한 다음, 제1,2밴드(30,40)로 제1고정부재(21) 및 제2고정부재(22)를 묶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본 발명의 애자덮개를 애자(I)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에 거치부재(23)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구 등을 거치부재(23)에 임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를 통해 본 발명의 애자덮개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여, 거치부재(23)에 공구가 임시 거치될 시, 공구의 이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덮개(11)에 제1,2배기홀(11f,11g)가 구비되어, 덮개부재(10)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 및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가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2배기홀(11f,11g)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덮개부재 11; 제1덮개
12; 제2덮개 20; 고정기구
21; 제1고정부재 22; 제2고정부재
23; 거치부재 30; 제1밴드
40; 제2밴드 50; 제1걸림부재
51; 걸림부 52; 보호부
60; 제2걸림부재 61; 걸림부
62; 보호부

Claims (1)

  1.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11b)과, 상기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1c)와, 상기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1d)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합홈(11e)과,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11a)과 상기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2배기홀(11f,11g) 및,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되는 제1삽입홈(12a)과,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되는 제2삽입홈과(12b),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2c)와,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2d) 및,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12e)를 갖추고서,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포함하며, 원판 형상의 애자(I)를 수용하는 덮개부재(10)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1d,21e)을 구비한 제1고정부재(21)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2b,22c) 및,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2d,22e)을 구비한 제2고정부재(22) 및;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 거치부재(23)를 갖춘 고정기구(20)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 제1밴드(30)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 제2밴드(40)와: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와,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52)를 구비한 제1걸림부재(50) 및: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61)와, 상기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6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덮개.
KR1020170081425A 2017-06-27 2017-06-2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KR10177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25A KR101779168B1 (ko) 2017-06-27 2017-06-2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25A KR101779168B1 (ko) 2017-06-27 2017-06-2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168B1 true KR101779168B1 (ko) 2017-09-18

Family

ID=6003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425A KR101779168B1 (ko) 2017-06-27 2017-06-2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399A (zh) * 2017-12-24 2018-05-01 江苏乾瀚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保持瓷瓶干燥的设备及方法
CN108695769A (zh) * 2018-07-30 2018-10-23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铁岭供电公司 避雷线修补辅助装置
KR102007805B1 (ko) 2019-05-17 2019-08-06 이상규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102038423B1 (ko) 2019-03-13 2019-10-30 이현숙 활선작업용 애자 덮개를 갖춘 가공 배전선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924A (ja) 2000-08-17 2002-02-28 Aiyou Sangyo:Kk 絶縁用カバー
KR200384366Y1 (ko) 2005-02-22 2005-05-13 한국전기안전공사 변압기용 절연 커버
JP2008263664A (ja) 2007-04-10 2008-10-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カバー装置
JP2016019360A (ja) 2014-07-08 2016-02-01 中国電力株式会社 ジャンパースリーブカバー用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924A (ja) 2000-08-17 2002-02-28 Aiyou Sangyo:Kk 絶縁用カバー
KR200384366Y1 (ko) 2005-02-22 2005-05-13 한국전기안전공사 변압기용 절연 커버
JP2008263664A (ja) 2007-04-10 2008-10-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カバー装置
JP2016019360A (ja) 2014-07-08 2016-02-01 中国電力株式会社 ジャンパースリーブカバー用クリッ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399A (zh) * 2017-12-24 2018-05-01 江苏乾瀚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保持瓷瓶干燥的设备及方法
CN108695769A (zh) * 2018-07-30 2018-10-23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铁岭供电公司 避雷线修补辅助装置
KR102038423B1 (ko) 2019-03-13 2019-10-30 이현숙 활선작업용 애자 덮개를 갖춘 가공 배전선로
KR102007805B1 (ko) 2019-05-17 2019-08-06 이상규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168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2298331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전선 간격 유지기구
US20240162695A1 (en) Trap-type live wire terminal insulation cap and indirect live wire insulation method for jumper wire using same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CN106300164A (zh) 线束固线夹
JP5349509B2 (ja) 縁線接続方法
KR102344312B1 (ko) 전선방호용 커버장치
JP2016019360A (ja) ジャンパースリーブカバー用クリップ
KR101457154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JP2006296113A (ja) 電柱および接地方法
KR20140002686U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KR102007805B1 (ko)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JP2017093183A (ja) クランプカバー装置
KR101778757B1 (ko)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KR102281030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JP515072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分岐具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方法
KR102514397B1 (ko) 활선 작업용 방호방법
CN217115581U (zh) 一种电缆终端紧线器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KR102625452B1 (ko) 절연방호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컷아웃스위치
KR101731469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JP2609992B2 (ja) アレスターカバー
JP3090871B2 (ja) 配電線用絶縁端末カバー
JPH07164929A (ja) 電車線ハンガイヤ用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