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757B1 -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757B1
KR101778757B1 KR1020170084858A KR20170084858A KR101778757B1 KR 101778757 B1 KR101778757 B1 KR 101778757B1 KR 1020170084858 A KR1020170084858 A KR 1020170084858A KR 20170084858 A KR20170084858 A KR 20170084858A KR 101778757 B1 KR101778757 B1 KR 10177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ixing
insertion groove
cov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범
Original Assignee
미래컨설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컨설턴트(주) filed Critical 미래컨설턴트(주)
Priority to KR102017008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11b)과, 상기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1c)와, 상기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1d)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합홈(11e)과,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11a)과 상기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2배기홀(11f,11g) 및,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되는 제1삽입홈(12a)과,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되는 제2삽입홈과(12b),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2c)와,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2d) 및,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12e)를 갖추고서,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포함하며, 원판 형상의 애자(I)를 수용하는 커버부재(10)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1d,21e)을 구비한 제1고정부재(21)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2b,22c) 및,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2d,22e)을 구비한 제2고정부재(22) 및;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 거치부재(23)를 갖춘 고정기구(20)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 제1밴딩기구(30)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 제2밴딩기구(40)와:
측방이 개구되며 제1밴딩기구(30) 또는 가공배전선(L)이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체(71a)와, 상기 고정체(71a)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바(71b)와, 회전바(71c)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바(71c)의 우측단에 구비된 삽입홈(71c1)에 상기 연결바(71b)가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바(71c) 및, 하단이 완철(F)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회전바(71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71d)를 구비한 지지부재(71)와; 지지부재(71)의 고정체(71a)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7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볼트(72)를 갖춘 지지장치(70)와:
지지장치(70)의 회전바(7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81)와; 'ㄷ'자 형상의 고정부(82a)와, 상기 고정부(8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8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부(82b)를 구비한 다수의 고정체(82)와; 상기 고정체(82)의 고정부(82a)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8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볼트(83)를 갖춘 고정장치(80)와:
고정장치(80)의 고정부(82a)에 설치되며, 완철(F)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하는 화재감지센서(90)와: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와;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52)를 구비한 제1걸림부재(50) 및: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61)와; 상기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6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Supporting Equipment Of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수 공사를 진행할 시, 완철 부근을 지나는 가공배전선을 임시로 옮겨 고정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공배전선을 임시로 지지하는 수단이 없었으며, 특히 다수 개의 가공배전선을 지지할 수 없어, 가공배전라인의 보수 공사가 쉽지 않았다.
한편, 가공배전라인을 보수할 시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활선 작업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완철에 설치된 애자에 덮개가 씌워지는 데, 종래에는 덮개를 애자에 설치하기가 불편하였고, 덮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가공배전라인에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즉각적으로 알 수 없어, 화재에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03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가공배전선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가공배전라인에 화재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애자를 덮는 커버부재의 설치 및 위치 고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11b)과, 상기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1c)와, 상기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1d)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합홈(11e)과,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11a)과 상기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2배기홀(11f,11g) 및,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되는 제1삽입홈(12a)과,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되는 제2삽입홈과(12b),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2c)와,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2d) 및,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12e)를 갖추고서,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포함하며, 원판 형상의 애자(I)를 수용하는 커버부재(10)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1d,21e)을 구비한 제1고정부재(21)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2b,22c) 및,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2d,22e)을 구비한 제2고정부재(22) 및;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 거치부재(23)를 갖춘 고정기구(20)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 제1밴딩기구(30)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 제2밴딩기구(40)와:
측방이 개구되며 제1밴딩기구(30) 또는 가공배전선(L)이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체(71a)와, 상기 고정체(71a)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바(71b)와, 회전바(71c)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바(71c)의 우측단에 구비된 삽입홈(71c1)에 상기 연결바(71b)가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바(71c) 및, 하단이 완철(F)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회전바(71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71d)를 구비한 지지부재(71)와; 지지부재(71)의 고정체(71a)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7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볼트(72)를 갖춘 지지장치(70)와:
지지장치(70)의 회전바(7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81)와; 'ㄷ'자 형상의 고정부(82a)와, 상기 고정부(8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8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부(82b)를 구비한 다수의 고정체(82)와; 상기 고정체(82)의 고정부(82a)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8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볼트(83)를 갖춘 고정장치(80)와:
고정장치(80)의 고정부(82a)에 설치되며, 완철(F)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하는 화재감지센서(90)와: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와;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52)를 구비한 제1걸림부재(50) 및: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61)와; 상기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6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완철(F) 주변의 가공배전선(L)의 배치 위치에 따라 고정장치(80)의 고정체(82)의 좌우 위치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가공배전라인 수리 시 다수의 가공배전선(L)을 편리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별도의 관리센터에 화재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려,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지지장치(70)를 통해 애자(I)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배전라인 수리 작업시에는 지지장치(70)를 통해 가공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10)를 애자(I)에 견고히 설치하여, 가공배전라인 수리 작업시 애자(I)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를 커버부재(10)에 설치한 다음, 제1,2밴드(30,40)로 제1고정부재(21) 및 제2고정부재(22)를 묶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본 발명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를 애자(I)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에 거치부재(23)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구 등을 거치부재(23)에 임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를 통해 본 발명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여, 거치부재(23)에 공구가 임시 거치될 시, 공구의 이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덮개(11)에 제1,2배기홀(11f,11g)가 구비되어, 커버부재(10)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 및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가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2배기홀(11f,11g)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가 완철 및 애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 및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X-X선, X'-X'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X-X선, X'-X'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Y'-Y'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Y-Y선, Y'-Y'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가 완철 및 애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 및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X-X선, X'-X'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X-X선, X'-X'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Y'-Y'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Y-Y선, Y'-Y'선에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는 커버부재(10)와, 고정기구(20)와, 제1밴딩기구(30)와, 제2밴딩기구(40)와, 지지장치(70)와, 고정장치(80)와, 화재감지센서(90)와,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의 각 구성의 표면은 절연 기능을 갖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0)는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갖추고서, 원판 형상의 애자(I)를 감싼다. 본 실시예에서 애자(I)는 다수 개가 연결된다.
상기 제1덮개(11)는 제1삽입홈(11a)과, 제2삽입홈(11b)과, 제1돌부(11c)와, 제2돌부(11d)와, 결합홈(11e)과, 제1,2배기홀(11f,11g) 및,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은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은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성되되,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는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는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는,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덮개(11)의 제1,2삽입홀(11h,11i)은,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된다.
상기 제2덮개(12)는 제1삽입홈(12a)과, 제2삽입홈(12b)과, 제1돌부(12c)와, 제2돌부(12d) 및, 결합돌기(12e)를 갖춘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2삽임홈(12b)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는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는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덮개(12)의 결합돌기(12e)는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고정기구(20)는 제1고정부재(21)와, 제2고정부재(22) 및, 거치부재(23)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는 삽입부(21a)와,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2삽입홈(21d,21e)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21a)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는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굴곡부(21b,21c)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제1,2삽입홈(21d,21e)은,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22)는 삽입부(22a)와, 제1,2굴곡부(22b,22c) 및, 제1,2삽입홈(22d,22e)를 갖춘다.
상기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22a)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는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된다. 상기 제1,2굴곡부(22b,22c)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재(22)의 제1,2삽입홈(22d,22e)는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거치부재(23)는,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다.
상기 제1밴딩기구(30)는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재(21)의 제1굴곡부(21b)의 외측에는 걸이부(21f)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밴딩기구(30)는, 양단에 각각 제1,2걸이홀(31,32)이 형성되며, 제1밴딩기구(30)의 제1걸이홀(31)이 제1고정부재(21)의 걸이부(21f)에 걸리고 제1밴딩기구(30)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을 감으며, 제1밴딩기구(30)의 제2걸이홀(32)이 제1고정부재(21)의 걸이부(21f)에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밴딩기구(30)로 실리콘밴드 등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을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2밴딩기구(40)는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부재(22)의 제1굴곡부(22b)의 외측에는 걸이부(22f)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밴딩기구(40)는, 양단에 각각 제1,2걸이홀(41,42)이 형성되며, 제2밴딩기구(40)의 제1걸이홀(41)이 제2고정부재(22)의 걸이부(22f)에 걸리고 제2밴딩기구(40)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을 감으며, 제2밴딩기구(40)의 제2걸이홀(42)이 제2고정부재(22)의 걸이부(22f)에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밴딩기구(40)로 실리콘밴드 등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을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지지장치(70)는 지지부재(71)와, 고정볼트(72)를 갖추고서, 커버부재(10) 및 고정기구(20)를 완철(F)에 고정하거나, 가공배전선(L)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71)는 고정체(71a)와, 연결바(71b)와, 회전바(71c) 및, 지지바(71d)를 갖춘다.
상기 고정체(71a)는, 측방이 개구되며 제1밴딩기구(30) 또는 가공배전선(L)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71a)는 'ㄷ'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연결바(71b)는 상기 고정체(71a)에서 좌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바(71c)는 회전바(71c)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바(71c)의 우측단에 구비된 삽입홈(71c1)에 상기 연결바(71b)가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지지바(71d)는, 하단이 완철(F)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회전바(71c)가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장치(70)의 고정볼트(72)는 지지부재(71)의 고정체(71a)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7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고정장치(80)는 이동체(81)와, 이동체(81)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체(82)와, 고정체(82)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볼트(83)를 갖춘다.
상기 이동체(81)는 지지장치(70)의 회전바(7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81)는 지지장치(70)의 회전바(7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체(82)가 이동체(81)에 설치될 시, 상기 고정체(82)의 좌우 위치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80)의 고정체(82)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82a)와, 상기 고정부(8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8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부(82b)를 갖춘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82)는 상기 이동체(81)에 나사산 결합되기 때문에 고정체(82)의 좌우 위치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80)의 고정볼트(83)는 상기 고정체(82)의 고정부(82a)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8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볼트(83)는 상기 고정부(82a)에 가공배전선(L)이 배치될 시 가공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90)는 고정장치(80)의 고정부(82a)에 설치되며, 완철(F)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한다. 여기서 별도의 관리센터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확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90)는 고정장치(80)의 고정부(82a)에 설치되지만, 완철(F) 주변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면 본 발명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의 구성의 어느 곳에도 설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재감지센서(90)는 열, 연기 등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50)는 걸림부(51)와, 보호부(52)를 갖춘다.
상기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는,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는,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60)는 걸림부(61)와, 보호부(5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는,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는,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공배전라인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이 커버부재(10)까지 전달되어, 도 9와 같이 화재가 진행되면, 본 발명의 화재감지센서(90)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무선송출한다.
그러면, 별도의 관리센터의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여, 화재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주(P)에 설치된 완철(F)에 지지장치(70)가 설치되고, 고정장치(80)의 고정체(82)에 화재감지센서(90)를 설치한다. 그리고 애자(I)에 커버부재(10), 고정기구(20), 제1밴딩기구(30), 제2밴딩기구(40), 제1걸림부재(50), 제2걸림부재(60)를 설치한다. 여기서 애자(I)는 바 형상의 지지대(I1)에 설치되고, 지지대(I1)의 좌측단은 완철(F)에 설치되며, 지지대(I1)의 우측단은 클램프(C)에 연결된다.
여기서, 애자(I)에 커버부재(10), 고정기구(20), 제1밴딩기구(30), 제2밴딩기구(40), 제1걸림부재(50), 제2걸림부재(60)를 설치하는 것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1덮개(11)와 제2덮개(12)를 벌린 상태에서 애자(I)에 커버부재(10)를 씌운다. 이때 제1덮개(11)의 결합홈(11e) 및 제2덮개(12)의 결합돌기(12e)가 맞물려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가 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21)를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끼워 넣고, 제2고정부재(22)를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끼워 넣는다.
이때,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는 제1고정부재(21)의 제1삽입홈(21d)에 삽입되고,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는 제1고정부재(21)의 제2삽입홈(21e)에 삽입된다. 또한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는 제2고정부재(22)의 제1삽입홈(22d)에 삽입되고,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는 제2고정부재(22)의 제2삽입홈(22e)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밴딩기구(30)를 통해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고, 제2밴딩기구(40)를 통해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다.
그러면, 제1덮개(11)와 제2덮개(12)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가공배전라인 수리 작업 등을 할 시 가공배전선(L)이 커버부재(10)와 충돌하거나 작업자가 실수로 커버부재(10)에 외력을 가할 시, 커버부재(10)가 열리지 않고 안전하게 애자(I)를 보호한다.
이때, 고정기구(20)의 거치부재(23)는 굴곡된 형상을 이뤄, 작업자가 작업 중 공구 등을 임시로 걸어 놓을 수 있다.
이후,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를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삽입하고,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를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삽입한다. 이때 제1걸림부재(50)의 걸림부(51)과 제2걸림부재(60)의 걸림부(61) 사이에는 애자(I)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가 설치되면, 커버부재(10)에 외력이 가해져, 좌우 방향으로 커버부재(10)가 움직이려할 시, 애자(I)에 의해 커버부재(10)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버부재(10)의 초기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공구를 고정기구(20)의 거치부재(23)에 걸어 놓았을 시 공구가 흔들리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지지장치(70)가 직립되어 있을 시, 상기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덮개(11)에 제1,2배기홀(11f,11g)이 형성되어, 커버부재(10) 내부가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 및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가 각각 배치되어, 제1덮개(11)의 제1,2배기홀(11f,11g)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덮개(11)의 제1,2돌부(11c,11d)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덮개(12)의 제1,2돌부(12c,12d)가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밴딩기구(30) 및 제2밴딩기구(40)가 풀려,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의 결속이 해제될 시, 제1덮개(11)의 제1,2돌부(11c,11d) 및 제2덮개(12)의 제1,2돌부(12c,12d)의 자체 하중에 의해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의 회전이 방지되어, 제1덮개(11) 및 제2덮개(12)가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애자(I)에 커버부재(10), 고정기구(20), 제1밴딩기구(30), 제2밴딩기구(40), 제1걸림부재(50), 제2걸림부재(60)가 설치되면, 지지장치(70)의 회전바(71c)를 수평으로 배치시킨 후, 지지장치(70)의 고정체(71a)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체(71a)를 제1밴딩기구(30)에 삽입한다. 그리고 지지장치(70)의 고정볼트(72)를 상기 고정체(71a)에 체결하면, 도 2와 같이 지지장치(70)와 제1밴딩기구(30)가 연결된다.
이 처럼, 지지장치(70)외 제1밴딩기구(30)가 연결되면, 애자(I)와 완철(F) 간의 결속이 느슨해져, 애자(I)가 완철(F)에서 분리될 시, 애자(I)와 함께 낙하하는 커버부재(10)를 지지장치(70)가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관리자가 애자(I)와 완철(F) 간의 문제를 발견하기까지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공배전라인 수리 작업을 할 시, 완철(F) 부근을 지나가는 가공배전선(L, 예를 들어 점퍼선, 점퍼선 연결 없이 완철을 통과하는 가공배전선)을 임시로 고정한 후, 가공배전라인을 보수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배전선(L)의 고정 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장치(70)의 고정볼트(72)를 푼 후, 지지장치(70)의 고정체(71a)를 도 10과 같이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지지장치(70)의 회전바(71c)를 회전시킬 시, 상기 회전바(71c)가 제1밴딩기구(3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도 11과 같이 상기 회전바(71c)가 직립될 수 있다.
이때, 도 12와 같이 고정장치(80)의 이동체(81)를 회전시키면, 고정장치(80)의 고정체(82)의 좌우 위치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배전선(L)을 지지장치(70)의 고정체(71a)에 삽입한 후, 지지장치(70)의 고정볼트(72)를 상기 고정체(71a)에 체결하면, 도 13과 같이 가공배전선(L)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L)의 위치에 따라 고정장치(80)의 고정체(82)의 좌우 위치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도 13과 같이 가공배전선(L)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장장치(80)의 고정체(82) 중 어느 하나가 갑작스럽게 손상 될 시, 다수의 고정체(82) 중 손상되지 않은 않은 고정체(82)를 고정장치(80)의 이동체(81)에서 분리한 후, 손상된 고정체(82)를 손상되지 않은 고정체(82)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장치(80)의 고정체(82) 중 어느 하나가 갑작스럽게 손상되더라도 가공배전선(L)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완철(F) 주변의 가공배전선(L)의 배치 위치에 따라 고정장치(80)의 고정체(82)의 좌우 위치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가공배전라인 수리 시 다수의 가공배전선(L)을 편리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별도의 관리센터에 화재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려,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지지장치(70)를 통해 애자(I)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배전라인 수리 작업시에는 지지장치(70)를 통해 가공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10)를 애자(I)에 견고히 설치하여, 가공배전라인 수리 작업시 애자(I)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를 커버부재(10)에 설치한 다음, 제1,2밴드(30,40)로 제1고정부재(21) 및 제2고정부재(22)를 묶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본 발명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를 애자(I)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20)에 거치부재(23)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구 등을 거치부재(23)에 임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걸림부재(50) 및 제2걸림부재(60)를 통해 본 발명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여, 거치부재(23)에 공구가 임시 거치될 시, 공구의 이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덮개(11)에 제1,2배기홀(11f,11g)가 구비되어, 커버부재(10)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제1걸림부재(50)의 보호부(52) 및 제2걸림부재(60)의 보호부(62)가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2배기홀(11f,11g)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 수리 작업시 가공배전선(L)을 지지하는 지지대 기능을 하는 지지장치(70)에, 커버부재(10), 고정기구(20), 제1밴딩기구(30), 제2밴딩기구(40), 제1걸림부재(50), 제2걸림부재(60), 고정장치(80), 화재감지센서(90)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로 정의하였다.
10; 커버부재 11; 제1덮개
12; 제2덮개 20; 고정기구
21; 제1고정부재 22; 제2고정부재
23; 거치부재 30; 제1밴딩기구
40; 제2밴딩기구 50; 제1걸림부재
51; 걸림부 52; 보호부
60; 제2걸림부재 61; 걸림부
62; 보호부 70; 지지장치
71; 지지부재 72; 고정볼트
80; 고정장치 81; 이동체
82; 고정체 83; 고정볼트
90; 화재감지센서

Claims (1)

  1.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삽입홈(11a)과, 제1덮개(11)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1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11b)과, 상기 제1삽입홈(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1c)와, 상기 제2삽입홈(11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1d)와, 제1덮개(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합홈(11e)과, 제1덮개(11)의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11a)과 상기 제2삽입홈(11b)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2배기홀(11f,11g) 및, 상기 제1,2배기홀(11f,11g)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덮개(11)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2삽입홀(11h,11i)을 갖춘 반원 형상의 제1덮개(11)와;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과 연통되는 제1삽입홈(12a)과, 제2덮개(12)의 상하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12a)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과 연통되는 제2삽입홈(12b)과,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돌부(12c)와, 상기 제2삽입홈(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돌부(12d) 및, 제2덮개(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덮개(11)의 결합홈(11e)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12e)를 갖추고서, 상단이 제1덮개(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제2덮개(12)를 포함하며, 원판 형상의 애자(I)를 수용하는 커버부재(10)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1삽입홈(11a) 및 제2덮개(12)의 제1삽입홈(12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1b,21c) 및, 제1고정부재(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1돌부(11c) 및 제2덮개(12)의 제1돌부(12c)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1d,21e)을 구비한 제1고정부재(21)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덮개(11)의 제2삽입홈(11b) 및 제2덮개(12)의 제2삽입홈(12b)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으로 굴곡되는 제1,2굴곡부(22b,22c) 및, 제2고정부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며 제1덮개(11)의 제2돌부(11d) 및 제2덮개(12)의 제2돌부(12d)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홈(22d,22e)을 구비한 제2고정부재(22) 및; 좌측이 제1고정부재(21)의 삽입부(2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측이 제2고정부재(22)의 삽입부(2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굴곡된 거치부재(23)를 갖춘 고정기구(20)와:
    제1고정부재(21)의 제1,2굴곡부(21b,21c)를 묶는 제1밴딩기구(30)와:
    제2고정부재(22)의 제1,2굴곡부(22b,22c)를 묶는 제2밴딩기구(40)와:
    측방이 개구되며 제1밴딩기구(30) 또는 가공배전선(L)이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체(71a)와, 상기 고정체(71a)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바(71b)와, 회전바(71c)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바(71c)의 우측단에 구비된 삽입홈(71c1)에 상기 연결바(71b)가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바(71c) 및, 하단이 완철(F)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회전바(71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71d)를 구비한 지지부재(71)와; 지지부재(71)의 고정체(71a)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7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볼트(72)를 갖춘 지지장치(70)와:
    지지장치(70)의 회전바(7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81)와; 'ㄷ'자 형상의 고정부(82a)와, 상기 고정부(8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8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부(82b)를 구비한 다수의 고정체(82)와; 상기 고정체(82)의 고정부(82a)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8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볼트(83)를 갖춘 고정장치(80)와:
    고정장치(80)의 고정부(82a)에 설치되며, 완철(F)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하는 화재감지센서(90)와:
    제1덮개(11)의 제1삽입홀(11h)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와;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1배기홀(11f)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52)를 구비한 제1걸림부재(50) 및:
    제1덮개(11)의 제2삽입홀(11i)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애자(I)와 맞닿고 후단이 제1덮개(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61)와; 상기 걸림부(61)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을 가리도록 제1덮개(11)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1덮개(11)의 제2배기홀(11g)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호부(62)를 갖추고서, 상기 애자(I)를 기준으로 제1걸림부재(50)와 좌우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KR1020170084858A 2017-07-04 2017-07-04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KR10177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858A KR101778757B1 (ko) 2017-07-04 2017-07-04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858A KR101778757B1 (ko) 2017-07-04 2017-07-04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757B1 true KR101778757B1 (ko) 2017-09-26

Family

ID=6003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858A KR101778757B1 (ko) 2017-07-04 2017-07-04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7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9360A (ja) 2014-07-08 2016-02-01 中国電力株式会社 ジャンパースリーブカバー用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9360A (ja) 2014-07-08 2016-02-01 中国電力株式会社 ジャンパースリーブカバー用クリ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179B1 (ko) 초고압 가공 송전선로 탈선방지용 고정장치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1625042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915252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1779168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KR102348867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형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1787358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KR20200051247A (ko)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KR102320722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1778757B1 (ko)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대
CN105356368A (zh) 绝缘护罩安装工具
KR102086653B1 (ko)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KR101210518B1 (ko)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CN205123131U (zh) 绝缘护罩安装工具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20130002631U (ko)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KR20210032097A (ko) 컷아웃스위치용 방호장치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2143127B1 (ko) 방호관 취부장치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KR102009659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누수와 누전 감시장치
KR102075108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