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53B1 -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 Google Patents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53B1
KR102086653B1 KR1020190109516A KR20190109516A KR102086653B1 KR 102086653 B1 KR102086653 B1 KR 102086653B1 KR 1020190109516 A KR1020190109516 A KR 1020190109516A KR 20190109516 A KR20190109516 A KR 20190109516A KR 102086653 B1 KR102086653 B1 KR 102086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enclosure
upper cover
groo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653B9 (ko
Inventor
임병택
서정화
정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토스
Priority to KR102019010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53B1/ko
Priority to PCT/KR2020/007519 priority patent/WO2021045357A1/ko
Publication of KR10208665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5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상측에 제1 홈을 구비한 몸체; 몸체 상에 마련되어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막도록 그 일측이 몸체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고, 하측에 제2 홈을 구비한 상부 커버; 몸체 및 상부 커버의 힌지 결합 부분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되,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회전 시에 상부 커버에 접촉하여 몸체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부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클램프; 및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으면서 제1 홈 및 제2 홈이 서로 연결되며, 서로 연결된 제1홈 및 제2 홈의 공간을 전력선로가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Enclosure of power line equipment and its installation mechanism, and power line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송전선로 및 배전선로 의 전력선로에 활선작업으로 설치 가능한 전력선로용 고장감지기 및 센서 등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의 정전 없는 안정적인 운용은 국가적인 각 산업의 고품질의 생산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일상생활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구사항이 되었다. 이러한 전력계통의 안정화를 위해,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등 IT기술과 4차 산업의 무선 통신방식의 센서기술을 이용한 전력용 원격감시제어 기술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질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는 고장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를 전력선로에 용이하게 정전 없이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전력선로의 고장 발생 시에 신속한 고장 위치 표정과 전력공급 서비스 복구를 위해, 고장감지기 등 각종 센서의 설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전력선로에 각종 센서를 설치해야 할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전력선로를 정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전력선로의 정전 상태에서 수행되는 전력선로에 대한 작업을 “정전작업”이라 지칭하며, 반대로 정전 없이 전력선로의 정상적인 전력공급 중에 수행되는 전력선로에 대한 작업을 “활선작업”이라 지칭한다.
즉, 종래의 경우, 배전선로의 복수 분기선로 등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정전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나, 정전으로 인해 전력공급 서비스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해당 설치 작업의 시행이 불가능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용 중인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 등의 전력선로에 정전 없이 활선작업으로 고장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의 설치나, 또는 해당 전력선로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철거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상측에 제1 홈을 구비한 몸체; 몸체 상에 마련되어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막도록 그 일측이 몸체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고, 하측에 제2 홈을 구비한 상부 커버; 몸체 및 상부 커버의 힌지 결합 부분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되,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회전 시에 상부 커버에 접촉하여 몸체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부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클램프; 및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으면서 제1 홈 및 제2 홈이 서로 연결되며, 서로 연결된 제1홈 및 제2 홈의 공간을 전력선로가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코어(core) 및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여 전력선로 상에 결합 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의 수용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는 제1 홈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한 하부 코어의 수용이 가능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제2 홈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한 상부 코어의 수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결합이 가능하되 상부 코어의 홈과 하부 코어의 홈이 이루는 공간을 전력선로가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되어 변류기를 통한 전원을 이용하는 기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전력선로 또는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고장감지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함체는 상기 클램프가 몸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함체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프가 몸체를 향하도록 회전하면서 제1 홈 및 제2 홈의 공간을 관통한 전력선로의 상부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설치기구의 제1 걸개와 걸림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되기 전, 설치기구의 제1 걸개가 걸림부에 걸림 체결되고 설치기구의 제2 걸개가 클램프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걸개 및 제2 걸개의 걸림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는 상기 전력선로의 정전 없이 활선작업으로 전력선로 상에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장치는 상술한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를 전력선로 상에 설치할 경우에 사용되는 설치장치로서, 상기 함체의 몸체에 마련된 걸림부에 걸림 체결 가능한 제1 걸개; 및 상기 함체의 클램프에 걸림 체결 가능한 제2 걸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장치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함체가 설치되기 전, 제1 걸개가 걸림부에 걸림 체결되고 제2 걸개가 클램프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함체의 상부 커버가 함체의 몸체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장치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함체가 설치될 시, 제1 걸개 및 제2 걸개의 걸림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함체의 상부 커버가 함체의 몸체의 상부를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장치는, 상기 제1 걸개가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걸개가 타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여 그 개구부에 함체의 수용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본체에 수용된 함체에 대한 제1 걸개 및 제2 걸개의 걸림 체결 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함체를 본체 내에 고정시키는 제3 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절연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장치는 상기 본체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장치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함체의 철거 시, 본체 내에 삽입된 삽입 걸림부가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된 함체의 몸체 표면에 걸림으로써 함체의 상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한 후, 상측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 함체가 절연봉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함체의 상부 커버를 함체의 몸체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 걸림부는 함체의 몸체 표면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본체에 수용된 함체의 수평 회전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는, 코어(core) 및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전력선로 상에 결합 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및 변류기를 수용한 함체를 포함하고 변류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에서 상기 함체는, 상측에 제1 홈을 구비하고, 제1홈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하부 코어를 수용한 몸체; 몸체 상에 마련되어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막도록 그 일측이 몸체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고, 하측에 제2 홈을 구비하며, 제2 홈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 코어를 수용한 상부 커버; 몸체 및 상부 커버의 힌지 결합 부분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되,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회전 시에 상부 커버에 접촉하여 몸체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부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클램프; 및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는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으면서 제1 홈 및 제2 홈이 서로 연결되고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가 결합되되, 서로 연결되는된 제1홈 및 제2 홈의 공간을 전력선로가 관통하여 상부 코어의 홈과 하부 코어의 홈이 이루는 공간을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는 상기 전력선로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고장감지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운용 중인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 등의 전력선로에 정전 없이 활선작업으로 고장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의 설치나, 또는 해당 전력선로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철거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전력선로의 원격 전류측정 또는 고장 위치를 신속하게 판단하게 하는 무선통신 방식 고장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를 전력선로의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설치 또는 철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선로 상에 각종 센서가 실제적으로 설치 가능하게 하므로, 해당 센서를 통한 전력공급의 품질 향상 및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함체는 제안하는 별도의 설치기구 없이는 철거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므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의 일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기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전력선로에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를 설치기구에 삽입한 준비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전력선로로부터 철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를 설치기구에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에 대해,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일 측면도, 도 5는 배면도, 도 6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기구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기구에 대해, 도 7은 사시도, 도 8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전력선로에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를 설치기구에 삽입한 모습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0은 전력선로로부터 철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를 설치기구에 삽입한 모습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이하, “본 함체”라 지칭함)는 정전 없이 활선작업으로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 등의 전력선로 상에 설치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본 함체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의 수용이 가능한 전력선로용 함체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함체는 전력선로 상에 설치됨에 따라 변류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는 전기, 전자 등의 전력선로용 기기(이하, “본 기기”라 지칭함)를 수용하기 위한 함체일 수 있다.
이때, 본 기기는 전력선로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고장감지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회로 구성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기판(117)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전류감지, 진동감지 온도감지, 습도감지, 풍량감지, 이미지감지, 부분방전감지, 또는 전자파감지가 가능하거나, 이들의 조합에 대한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고장감지기의 경우, 원활한 전력공급 서비스를 위해 전력선로 상에 필수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으나,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선작업으로 설치할 수 없었으나, 본 함체에 의해 활선작업으로 설치 가능하다.
이러한 본 기기는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변류기 및 전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력선로에 전류가 흐르면 암페어 법칙(ampere's law)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전력선로의 주변으로 자계가 발생하고, 발전용 변류기에는 패러데이 법칙(faraday's law)에 의하여 발생된 자계에 따라 유도 기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전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변류기에는 전력선로의 큰 전류에 대해 비례하는 작은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변류기는 코어(core)(122)와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coil)(12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122)는 철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력선로에 설치/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부 코어(122a)와 상부 코어(122b)를 포함하는 클램프(clamp) 방식의 구조물일 수 있다. 즉, 하부 코어(122a)는 상측으로 홈을 구비하고 상부 코어(122b)는 하측으로 홈을 구비하여, 이들 코어(122a, 122b)가 서로 결합하여 링(ring) 형상을 이루어 하나의 코어로 기능하거나, 분리되어 코어 기능을 중지될 수 있다. 코어(122a, 122b)가 서로 결합할 경우, 각 코어(122a, 122b)의 홈이 서로 연결되며, 연결된 홈의 공간에 전력선로가 안착될 수 있다.
코어(122)는 코일(121)의 권선 수에 따라 고 전압, 고 전류의 선로 전압을 저 전압, 저 전류로 변성시킬 수 있다. 다만, 본 함체의 구조상 누수 발생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코일(121)은 하부 코어(122b)에만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함체는 몸체(106), 상부 커버(101), 클래프(109), 제1 스프링(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6)는 상측에 제1 홈(112a)을 구비한 것으로서, 하부 코어(122a)의 수용이 가능하다. 이때, 하부 코어(122a)는 그 상측에 형성된 홈이 제1 홈(112a)에 대응하도록 몸체(106)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몸체(106)는 하부 코어(122a)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 코어(122a)를 수용하는 하부 코어 홀더(123a)를 그 상측에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코어 홀더(123a)는 하부 코어(122a)를 둘러싸되, 상부 코어(122b)와 접촉 결합하기 위한 하부 코어(122a)의 부위(이하, “하부 코어 노출 부위”라 지칭함)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부 커버(101)는 하측에 제2 홈(112b)을 구비한 것으로서, 몸체(106)를 덮도록 몸체(106) 상에 마련되며, 상부 코어(122b)의 수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부 코어(122b)는 그 하측에 형성된 홈이 제2 홈(112b)에 대응하도록 상부 커버(101)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부 커버(101)는 상부 코어(122b)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 코어(122b)를 수용하는 상부 코어 홀더(123b)를 그 하측에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코어 홀더(123b)는 상부 코어(122b)를 둘러싸되, 하부 코어(122a)와 접촉 결합하기 위한 상부 코어(122b)의 부위(이하, “상부 코어 노출 부위”라 지칭함)를 노출시킬 수 있다. 다만, 구조를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 6에서 상부 코어(122b) 및 하부 코어 홀더(123a)는 생략하였으며, 이들 구성(122b, 123a)은 도 9 및 도 10을 참고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커버(101)는 그 일측이 몸체(106)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며, 그 회전에 따라 몸체(106)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막을 수 있다.
몸체(106) 및 상부 커버(101)는 힌지용 바(116)를 통해 힌지 체결될 수 있다. 즉, 몸체(106)의 일측에는 힌지용 바(116)의 삽입이 가능한 힌지 홈이 형성된 몸체측 힌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101)의 일측에는 힌지용 바(116)의 삽입이 가능한 힌지 홈이 형성된 상부 커버측 힌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측 힌지(113)와 상부 커버측 힌지(114)의 각 힌지 홈에 힌지용 바(116)가 삽입되어 힌지 체결됨으로써, 힌지용 바(116)를 축으로 상부 커버(101)와 몸체(106)의 사이가 떨어지거나 접촉할 수 있어, 몸체(106)의 상부가 상부 커버(101)에 의해 개방되거나 막혀질 수 있다. 즉, 몸체측 힌지(113)와 상부 커버측 힌지(114)는 상부 커버(101)를 몸체(106)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닫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클램프(109)는 몸체(106) 및 상부 커버(101)의 힌지 결합 부분, 즉 힌지용 바(116)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성이다. 특히, 클램프(109)는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회전 시에 상부 커버(101)의 클램프 걸림부(100)에 접촉하여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109)가 클램프 걸림부(100)에 걸린 상태에서, 클램프(109)에 계속된 상부 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클램프(109)는 상부 커버(101)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몸체(106)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클램프(109)는 상부 커버(101)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몸체(106)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제1 스프링(115)은 상부 커버(101)가 몸체(106)의 상부를 닫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제1 탄성력은 상부 커버(101)가 몸체(106)의 상부를 닫는 방향으로 상부 커버(10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프링(115)은 그 일단이 상부 커버(10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몸체(106)에 연결됨으로써, 제1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115)은 힌지용 바(116)의 중심부에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함체는 이러한 몸체(106), 상부 커버(101), 클래프(109) 및 제1 스프링(115)의 구성을 통해 전력선로 상에 활선작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함체가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스프링(115)의 제1 탄성력에 의해 상부 커버(101)가 몸체(106)의 상부를 닫으면서 제1 홈(112a) 및 제2 홈(112b)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홈(112a) 및 제2 홈(112b)은 하나의 전력선용 홈(112)을 이룬다.
이때, 전력선로는 서로 연결된 제1 홈(112a) 및 제2 홈(112b)의 공간, 즉 전력선용 홈(112)을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기구 등을 통해, 상부 커버(101)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몸체(106)가 개방된 상태의 본 함체를 전력선로에 위치시킨 후, 상부 커버(101)에 대한 지지력를 해제함으로써 전력선로 상에 본 함체를 보다 간편하게 활선작업으로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본 함체는 하부 코어(122a) 및 상부 코어(122b)의 결합(즉, 하부 코어 노출 부위와 상부 코어 노출 부위의 접촉 결합)이 가능하며, 이때 전력선로가 하부 코어(122a)의 홈과 상부 코어(122b)의 홈이 이루는 공간을 관통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함체에 포함된 본 기기는 변류기가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탄성력에 의해 하부 코어(122a)와 상부 코어(122b)가 접촉하게 되면서 코어(122)의 역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함체는 클램프(109)가 몸체(106)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102, 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프링(102, 103)은 그 일단이 클램프(109)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몸체(106)에 연결됨으로써, 제2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프링(102, 103)은 힌지용 바(116)의 양측에 각각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함체는 제2 스프링(102)의 하부를 몸체(106)에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기(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함체가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2 스프링(102, 103)은 제2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클램프(109)가 몸체(106)를 향하도록 클램프(109)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해당 제2 탄성력에 의해, 클램프(109)는 상부 커버(101)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그 양측 부위가 각각 제1 홈(112a) 및 제2 홈(112b)의 공간을 관통한 전력선로의 상부를 접촉하면서 전력선로의 상부를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전력선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전력선로는 그 하측에 위치한 몸체(106)의 제1 홈(112a)과, 그 상측에 위치한 클램프(109)의 양측 부위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2 탄성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본 함체는 전력선로 상에 더욱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함체를 전력선로에 위해, 클램프(109)의 타단을 상부 방향으로 약 30도 정도 회전시키면, 클램프 걸림부(100)가 클램프(109)에 걸려서 상부 커버(101)가 함께 올려지게 된다. 이후, 선로용 홈(112)의 위치에 전력선로가 물리도록 클램프(109)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리면, 제2 스프링(102, 103)의 제2 탄력력에 의해 클램프(109)는 전력선의 직경 크기에 따라서 전력선로를 눌러서 고정한다. 이때, 상부 커버(101)는 제1 스프링(115)의 제1 탄성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려오면서, 하부 코어(122a) 및 상부 코어(122b)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1 홈(112a)의 바닥면에는 제1 돌기(10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109)가 몸체(106)의 방향으로 전력선로에 대한 압력을 가할 때, 그 마찰계수를 올려 전력선로에 대한 본 함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력선로와 본 함체 간의 고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본 함체가 바람의 풍향에 의해서도 전력선로 상에서 쉽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클램프(109)와 힌지용 바(116) 사이에는 스프링 가이드(104)를 구비하여 제2 스프링(102, 103)의 직경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탄성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본 함체가 더 고정력으로 전력선로 상에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가이드(104)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함체는 몸체(106)의 바닥을 덮되 몸체(106)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바닥 커버(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바닥 커버(105)가 탈거되면, 몸체(106) 내부에 구비된 기판(117), 기타 부품 등의 조립 및 점검이 가능하다. 몸체(106)의 바닥에 바닥 커버(105)를 다수의 볼트와 방수용 고무링(118)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몸체(106)에 대한 방수 및 방분진 기능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6)의 내측 면에서 하부 코어(122a)와 몸체(106) 간에 용액 에폭시 수지 등으로 접착 고정 및 경화를 통해, 몸체(106)와 하부 코어(122a) 간의 방수 및 방분진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다수 쌍의 커버고정 매입 너트(120)와, 이에 체결되는 커버고정 볼트(119)를 이용하여, 몸체(106)에 바닥 커버(105)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6)의 내부 공간에는 본 기기의 기판(117), 안테나, 백업용 축전지 등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기구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기구(이하, “본 설치기구”라 지칭함)는 전력선로의 정전 없이 활선작업으로 본 함체를 전력선로 상에 설치하거나, 설치된 본 함체를 전력선로로부터 철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본 설치기구는 본체(207), 제1 걸개(208), 제2 걸개(203), 제3 스프링(201), 절연봉(2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설치기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본 함체는 몸체(106)에 형성된 걸림부(1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110)는 몸체(106)로부터 돌출되거나 요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207)는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여 그 개구부에 본 함체의 수용이 가능한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207)의 일측에는 본 함체의 걸림부(110)에 걸림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걸개(208)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7)의 타측에는 본 함체의 클램프(109)에 걸림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걸개(203)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개(208)는 본 함체의 걸림부(110)와 걸림 체결되어, 본 함체와 본 설치기구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2 걸개(203)는 클램프(109)와 걸림 체결되어, 클램프(109)와 상부 커버(101)가 몸체(106)의 상부로부터 개방되게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의 걸림 체결은 본 함체에 대한 상부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개(208)는 본체(207)의 일측에 마련된 제1 암(20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2 걸개(203)는 본체(207)의 타측에 마련된 제2 암(202)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절연봉(211)은 본체(207)와 결합하여, 높은 위치의 전력선로에 대한 활선작업으로 본 함체의 설치 또는 철거가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본체(207)와 절연봉(211)의 결합은 본체(207)에 형성된 절연봉 연결용 나사홈(212)과, 절연봉(211)에 형성된 절연봉 나사산(210) 간의 나사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전력선로 상에 본 함체의 설치: 설치 모드>
전력선로 상에 설치되기 전, 본 함체는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본 함체에서 힌지용 바(116) 부분이 본 설치기구의 제2 암(206) 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본 함체의 하면을 제3 스프링(201) 상에 올려놓고 본 함체가 그 하부 방향으로 눌러지게 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개(208)가 본 함체의 걸림부(110)에 걸림 체결되게 하고, 제2 걸개(203)가 본 함체의 클램프(109)에 걸림 체결되게 한다. 즉, 제1 걸개(208)를 걸림부(110)에 건 후, 클램프(109)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걸개(203)에 건다.
그 결과, 본 함체의 상부 커버(101)는 몸체(106)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본 함체의 설치를 위한 준비 상태에 해당한다. 다만, 걸림 체결의 대상이 구비된 위치를 고려할 때, 제1 걸개(208)는 제2 걸개(203) 보다 낮은 위치에서 걸림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걸림부(110)는 본 함체를 전력선로 상에 설치하기 위해 본 설치기구에 본 함체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걸림부(110)는 본 설치 기구의 제1 걸개(208)를 걸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제1 결개(208) 및 제2 걸개(203)의 걸림 체결에 필요한 각 탄성력은 본 설치기구의 제3 스프링(201)에 의헤 제공될 수 있다. 즉, 제3 스프링(201)은 본 함체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걸개(208)와 걸림부(110)의 걸림 체결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걸개(203)와 클램프(109)의 걸림 체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스프링(201)은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와 본 함체가 상호적으로 힘을 작용하여, 본 함체가 본 설치기구에 고정되게 도와줄 수 있다.
특히, 제3 스프링(201)이 본체(207)의 개구부의 바닥면에 구비됨에 따라,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에 수용된 본 함체에 대한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의 걸림 체결 시에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제3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의 본 함체에 대한 상부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걸림 체결과, 상부 방향으로 제공된 제3 탄성력에 의해, 본 함체는 설치 준비 상태 시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 내에서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작업자는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에 수용되되 상부 커버(101)가 몸체(106)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본 함체를 본체(207)의 하부에 연결된 절연봉(211)을 이용하여 전력선로에 근접시킬 수 있다. 즉, 본 함체의 제1 홈(112a) 및 제2 홈(112b)의 사이에 전력선로가 위치하도록 본 함체가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의 걸림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본 함체의 상부 커버(101)가 몸체(106)의 상부를 닫으면서 본 함체가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전력선로 상에 본 함체가 설치된 후,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의 걸림 체결 해제는 작업자가 절연봉을 이용해 본 설치기구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전력선로가 몸체(106)의 제1 홈(112a)의 바닥면에 접촉할 때 본 설치기구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력선로가 제1 홈(112a)의 바닥면을 누르면서 본 함체가 제3 스프링(201)을 압축시킬 수 있다.
이후, 제3 스프링(201)이 소정 길이만큼 압축되면, 본 함체에 대한 상부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던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의 걸림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활선작업으로 본 함체를 전력선로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부 커버(101)는 제1 스프링(115)의 제1 탄성력에 의해 몸체(106)의 상부를 닫으면서 서로 연결되는 제1 홈(112a) 및 제2 홈(112b)의 공간에 전력선로가 위치하게 되며, 이와 함께 클램(109)는 제2 스프링(102, 103)의 제2 탄성력에 의해 전력선로를 몸체(106)의 방향으로 압박하면서 고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력선로가 본 함체의 제1 돌기(108) 부분에 위치하도록 본 설치기구를 올리되, 전력선로와 제1 돌기(108)가 맞닿을 수 있게 설치기구를 올려주면, 제3 스프링(201)이 수축하면서 본 함체는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걸림 체결되었던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가 풀리게 된다. 이때, 제1 스프링(115) 및 제2 스프링(102, 103)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커버(101) 및 클램프(109)가 몸체(106)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히면서 본 함체가 전력선로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설치기구는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본 함체의 철거 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함체는 몸체(106)의 표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2 돌기(10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설치기구는 본체(207)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 걸림부(20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삽입 걸림부(204)는 제1 암(200) 및 제2 암(206)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걸개(213)에 걸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걸개(213)도 복수개 마련되어 제1 암(200) 및 제2 암(206)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본 함체의 철거: 철거 모드>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본 함체의 철거 전, 삽입 걸림부(204)는 제3 걸개(213)와 걸림 체결이 해제된 후,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 걸림부(204)는 본체(207)의 내부 공간으로 그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설치 모드>에서 상술하지 않았으나, 삽입 걸림부(204)가 제3 걸개(213)와 걸림 체결된 후에 제1 걸개(208) 및 제2 걸개(203)의 걸립 체결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삽입 걸림부(204)를 위로 젖힘으로써 제3 걸개(213)와 삽입 걸림부(204)가 걸림 체결될 수 있다. 반대로, 본 <철거 모드>에서는, 삽입 걸림부(204)를 제3 걸개(213)에서 그 반대 방향으로 풀어줌으로써 제3 걸개(213)와 삽입 걸림부(204)의 걸림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걸림부(204)의 걸림 해제 및 본체(207) 내로의 삽입 이후, 작업자는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본 함체가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의 개구부 내에 수용되도록 본 설치기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함체가 본 설치기구 본체(207)에 수용되면서, 본 설치기구 본체(207) 내에 삽입된 삽입 걸림부(204)는 본 함체의 몸체(106) 표면에 걸림으로써 본 함체의 상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함체의 몸체(106)의 표면에는 그 외경이 다른 영역 보다 큰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경이 큰 영역에 삽입 걸림부(204)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외경이 큰 영역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6)의 표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삽입 걸림부(204)는 본 함체의 철거 시, 본 함체와 본 설치기구를 연결 고정해 해 줄 수 있다.
이후, 상측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 본 함체가 본 설치기구의 절연봉(211)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전력선로가 본 함체의 상부 커버(101)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 결과, 상부 커버(101)는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몸체(106)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부 커버(101)의 클램프 걸림부(100)가 클램프(109)에 접촉하면서, 상부 커버(101)의 회전에 따라 클램프(109)도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본 함체가 상측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본 설치기구의 절연봉(211)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 걸림부(204)는 본 함체의 몸체(106) 표면에 구비된 제2 돌기(107)에 걸리게 되면서, 본 설치기구 본체(207)에 수용된 본 함체의 수평 회전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본 함체를 보다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6)의 제2 돌기(107)가 본 설치기구의 삽입 걸림부(204)에 걸릴 때까지, 절연봉(211)을 수평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면서 절연봉(211)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계 방향의 회전을 더하게 되면, 수평 방향의 회전 움직임이 제한된 본 함체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본 함체가 전력선로에서 철거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본 설치기구의 본체(207)에 삽입된 삽입 걸림부(204)를 인출함으로써, 철거된 본 함체를 본 설치기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함체의 제2 돌기(107)는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본 함체의 수평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므로, 본 철거기구 없이는 타인이 임의로 해당 본 함체를 철거할 수 없게 한다. 그 결과,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본 함체의 도난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종래에 전력선로용 철탑 및 전주의 도괴 등 전력선로의 고장 및 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고장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한 무선통신 고장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를 전력선로 상에 설치 시, 정전 없이 활선작업은 작업자의 안전 상의 이유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운용 중인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 등의 전력선로에 정전 없이 활선작업으로 고장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의 설치나, 또는 해당 전력선로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철거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력선로의 원격 전류측정 또는 고장 위치를 신속하게 판단하게 하는 무선통신 방식 고장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를 전력선로의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설치 또는 철거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선로 상에 각종 센서가 실제적으로 설치 가능하게 하므로, 해당 센서를 통한 전력공급의 품질 향상 및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함체는 제안하는 별도의 설치기구로 없이는 철거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므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클램프 걸림부 101: 상부 커버
102, 103: 제2 스프링 104: 스프링 가이드
105: 바닥 커버 106: 몸체
107: 제2 돌기 108: 제1 돌기
109: 클램프 110: 걸림부
111: 스프링 고정기 112: 선로용 홈
112a: 제1 홈 112b: 제2 홈
113: 몸체측 힌지 114: 상부 커버측 힌지
115: 제1 스프링 116: 힌지용 바
117: 기판 118: 방수용 고무링
119: 커버고정 볼트 120: 커버고정 매입 너트
121: 코일 122: 코어
122a: 하부 코어 122b: 상부 코어
123: 코어 홀더 123a: 하부 코어 홀더
123b: 상부 코어 홀더 200: 제1 암
201: 제3 스프링 202: 제2 암
203: 제2 걸개 204: 삽입 걸림부
205: 암 고정 볼트 206: 제2 암
207: 본체 208: 제1 걸개
209: 제4 스프링 210: 절연봉 나사산
211: 절연봉 212: 절연봉 연결용 나사홈
213: 제3 걸개

Claims (14)

  1. 상측에 마련된 제1 홈과, 설치기구의 제1 걸개와 걸림 체결이 가능한 걸림부를 각각 구비한 몸체;
    몸체 상에 마련되어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막도록 그 일측이 몸체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고, 하측에 제2 홈을 구비한 상부 커버;
    몸체 및 상부 커버의 힌지 결합 부분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되,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회전 시에 상부 커버에 접촉하여 몸체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부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클램프; 및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되기 전, 설치기구의 제1 걸개가 걸림부에 걸림 체결되고 설치기구의 제2 걸개가 클램프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고,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으면서 제1 홈 및 제2 홈이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제1홈 및 제2 홈의 공간을 전력선로가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걸개 및 제2 걸개의 걸림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코어(core) 및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여 전력선로 상에 결합 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의 수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홈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한 하부 코어의 수용이 가능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제2 홈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한 상부 코어의 수용이 가능하며,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결합이 가능하되 상부 코어의 홈과 하부 코어의 홈이 이루는 공간을 전력선로가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되되 변류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는 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전력선로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고장감지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몸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프가 몸체를 향하도록 회전하면서 제1 홈 및 제2 홈의 공간을 관통한 전력선로의 상부를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로의 정전 없이 활선작업으로 전력선로 상에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9.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를 전력선로 상에 설치할 경우에 사용되는 설치장치로서,
    상기 함체의 몸체에 마련된 걸림부에 걸림 체결 가능한 제1 걸개; 및
    상기 함체의 클램프에 걸림 체결 가능한 제2 걸개;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로 상에 함체가 설치되기 전, 제1 걸개가 걸림부에 걸림 체결되고 제2 걸개가 클램프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함체의 상부 커버가 함체의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며,
    상기 전력선로 상에 함체가 설치될 시, 제1 걸개 및 제2 걸개의 걸림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함체의 상부 커버가 함체의 몸체의 상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개가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걸개가 타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여 그 개구부에 함체의 수용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본체에 수용된 함체에 대한 제1 걸개 및 제2 걸개의 걸림 체결 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함체를 본체 내에 고정시키는 제3 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절연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된 함체의 철거 시, 본체 내에 삽입된 삽입 걸림부가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된 함체의 몸체 표면에 걸림으로써 함체의 상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한 후, 상측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 함체가 절연봉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함체의 상부 커버를 함체의 몸체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걸림부는 함체의 몸체 표면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본체에 수용된 함체의 수평 회전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기구.
  13. 코어(core) 및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전력선로 상에 결합 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및
    변류기를 수용한 함체;를 포함하고 변류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며,
    상기 함체는,
    상측에 마련된 제1 홈과, 설치기구의 제1 걸개와 걸림 체결이 가능한 걸림부를 각각 구비한 몸체;
    몸체 상에 마련되어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막도록 그 일측이 몸체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고, 하측에 제2 홈을 구비한 상부 커버;
    몸체 및 상부 커버의 힌지 결합 부분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되, 그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회전 시에 상부 커버에 접촉하여 몸체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부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클램프; 및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며,
    전력선로 상에 설치되기 전, 설치기구의 제1 걸개가 걸림부에 걸림 체결되고 설치기구의 제2 걸개가 클램프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개방하고,
    전력선로 상에 설치될 시,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으면서 제1 홈 및 제2 홈이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제1홈 및 제2 홈의 공간을 전력선로가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걸개 및 제2 걸개의 걸림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상부 커버가 몸체의 상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로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고장감지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로용 기기.
KR1020190109516A 2019-09-04 2019-09-04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KR10208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16A KR102086653B1 (ko) 2019-09-04 2019-09-04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PCT/KR2020/007519 WO2021045357A1 (ko) 2019-09-04 2020-06-10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16A KR102086653B1 (ko) 2019-09-04 2019-09-04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53B1 true KR102086653B1 (ko) 2020-03-09
KR102086653B9 KR102086653B9 (ko) 2023-02-23

Family

ID=6980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516A KR102086653B1 (ko) 2019-09-04 2019-09-04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6653B1 (ko)
WO (1) WO20210453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357A1 (ko) * 2019-09-04 2021-03-11 주식회사 파워토스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2832B (zh) * 2021-04-07 2022-04-05 无锡圣普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线路自动化终端户外测试集线盒
CN116520097B (zh) * 2023-07-05 2023-08-29 成都汉度科技有限公司 一种高空线缆故障检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04Y1 (ko) * 2004-09-15 2004-12-03 주식회사 평일 클램프 변류기
KR101586785B1 (ko) * 2015-11-16 2016-02-02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분리형 변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449Y1 (ko) * 2002-11-18 2003-02-07 정덕조 제어용 변류기
JP4494939B2 (ja) * 2004-11-15 2010-06-3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ルダークリップ
KR102086653B1 (ko) * 2019-09-04 2020-03-09 주식회사 파워토스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04Y1 (ko) * 2004-09-15 2004-12-03 주식회사 평일 클램프 변류기
KR101586785B1 (ko) * 2015-11-16 2016-02-02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분리형 변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357A1 (ko) * 2019-09-04 2021-03-11 주식회사 파워토스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53B9 (ko) 2023-02-23
WO2021045357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653B1 (ko)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CA28072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 overhead monitoring device
JP5976121B2 (ja) 電源開閉装置用小型接続システム
KR101323607B1 (ko) 변류기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US8913126B2 (en) Portable self powered line mounted high speed camera system for overhead electric power lines
RU172428U1 (ru) Извещатель охранный магнитоконтактный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JP2011522229A (ja) ファラデー光電流センサ装置
CN105356368A (zh) 绝缘护罩安装工具
US8248059B2 (en) Electronic transformer measuring device having surface mounting assembly
CN105807098B (zh) 用于电网的导体的检测器
US20200176169A1 (en) Two part clamping and suspension mechanism for a split toroidal current transformer
JP2006275800A (ja) 電力量計用通信装置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20100015139A (ko) 전압, 전류 및 온도 측정용 프로브 제조 방법 및 이의방법으로 제조되는 전압, 전류 및 온도 측정용 프로브
KR200453958Y1 (ko) 회로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량계
US20150187490A1 (en) Current transformer having a short-circuit device
JP2021015668A (ja) 円筒形高圧カットアウトの誤挿入防止カバーおよび高圧配電線路用接地装置
KR20090050215A (ko) 볼센서 하우징
JP2019530864A5 (ko)
KR102519172B1 (ko) 화재발생경보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CN215266694U (zh) 一种配电设备外壳接地结构及配电设备
JP4926818B2 (ja) 油入電気設備の絶縁体保護機構
CN220104301U (zh) 一种电缆安全监控装置
KR102537456B1 (ko)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