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919B1 -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 - Google Patents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919B1
KR101778919B1 KR1020170045008A KR20170045008A KR101778919B1 KR 101778919 B1 KR101778919 B1 KR 101778919B1 KR 1020170045008 A KR1020170045008 A KR 1020170045008A KR 20170045008 A KR20170045008 A KR 20170045008A KR 101778919 B1 KR101778919 B1 KR 10177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wer
departure
separation prevent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to KR102017004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후방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BREAKAWAY PREVENTING APPARATUS FOR DRAWER, DRAWER AND FURNITURE}
본 발명은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후방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옷이나, 책자, 생활용품 등을 보관 및 수납하기 위해 사용되며, 서랍이 복수 구비된다.
이와 같은 서랍은 통상 전,후,하판 및 양측판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각종 수납물이 수납될 수 있는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종래의 서랍은 개방시 등 수납된 수납물이 후판을 넘어서 후방으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369563호(2004.12.09.)에는 '가구용 서랍'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서랍은 연장부와 이웃하는 서랍 간 또는 연장부와 서랍장 간 틈새를 차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장부와 이웃하는 서랍 또는 연장부와 서랍장이 접하는 경우, 마찰에 의해 서랍의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563호(2004.12.09.) '가구용 서랍'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후방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110)을 형성하는 서랍(100)의 후판(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1)로써, 상기 후판(120)에 고정되는 고정부(10); 및 상기 고정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상기 후판(120)을 넘어가 떨어지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후판(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11); 및 상기 상판(1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후판(120)에 접하는 측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20)는, 상기 상판(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판(21); 상기 이탈방지판(21)의 하부를 상기 상판(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22); 및 외력에 의한 상기 이탈방지판(2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판(21)은,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23)에 의해 상기 상판(11)에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에 의한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는 한편, 가압 해제에 따라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100); 및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서랍(100)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220)을 형성하는 몸체(210)를 포함하는 가구(200)로써,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판(21)과 상기 몸체(210) 간의 이격공간이나, 상기 이탈방지판(21)과 이웃하는 서랍(100) 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서랍(100)의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후방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고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서랍이 가구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이하 "이탈방지장치"라 한다)(1)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110)을 형성하는 서랍(100)의 후판(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상기 후판(120)을 넘어 후방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로써, 상기 후판(120)에 고정되는 고정부(10) 및 상기 고정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상기 후판(120)을 넘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0)를 포함한다.
수납물은 서류, 책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랍(10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120)과 함께 하판(130), 전판(140) 및 양측판(150)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10)을 형성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서랍(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220)을 형성하는 몸체(210)의 상기 수용공간(220)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면서 가구(200)를 이룬다.
상기 전판(140)에는 손잡이(141)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210)의 전면을 이룬다.
상기 후판(120)은 상기 양측판(150)과 동일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전판(140)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복수의 서랍(100)이 몸체(210)에 수용되어 가구(200)를 이루는 상태에서 최상층 서랍의 후판(120)과 몸체(210) 간의 이격공간과 함께 이웃하는 서랍(100)의 후판(120) 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상기 후판(120)을 넘어가면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판(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11) 및 상기 상판(1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후판(120)에 접하는 측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1)은 상기 후판(12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후판(12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측판(12)은 나사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후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판(12)에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후판(1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상,측판(11,12)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ㄱ'자 형태를 이룬다.
또는, 상기 측판(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의 전,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후판(120)의 전,후면에 접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상,측판(11,12)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이탈방지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판(21), 상기 이탈방지판(21)을 상기 상판(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22) 및 외력에 의한 상기 이탈방지판(2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판(21)은 상기 후판(12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상기 후판(120)을 넘어가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이탈방지판(21)은 복수의 서랍(100)이 몸체(210)에 수용되어 가구(200)를 이루는 상태에서 최상층 서랍의 후판(120)과 몸체(210) 간의 이격공간과 함께 이웃하는 서랍(100)의 후판(120) 간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상기 후판(120)을 넘어가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첩부재(22)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1)에 연결한다.
상기 복수의 절첩부재(22)는 고정핀(24)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핀(24)을 중심으로 접이될 수 있다.
이는, 서랍(100)의 인출시, 상기 수용공간(22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 등에 의한 가압 즉, 외력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판(21)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수납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서랍(100)이 가구(200)로부터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재인입시, 상기 이탈방지판(21)을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개방된 가구(200)의 전면 및 수용공간(220)으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이탈방지판(21)을 가압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이탈방지판(21)으로의 인위적인 가압 해제에 따라 회동된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23)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면서 상기 상판(11)으로부터 상기 이탈방지판(2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토션스프링(23a)은 상기 고정핀(24)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이탈방지판(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판(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23a)이 배치되는 상기 이탈방지판(21) 및 상기 상판(11)에는 중공(A)이 형성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23a)과 상기 고정핀(24)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23a)의 수축,이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상기 탄성부재(23)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수직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22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서랍(100)이 가구(200)로부터 완전 인출 후 재인입시,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접이될 수 있음으로써 가구(200)로의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인위적인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랍(100)이 몸체(210)에 수용되어 가구(200)를 이루는 상태에서 이탈방지판(21)과 몸체(210) 간의 이격공간과 함께 이탈방지판(21)과 이웃하는 서랍(100) 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서랍(100)의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0)는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볼(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31)은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수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이웃하는 몸체 또는 이웃하는 서랍(100)의 하판(130)에 접하면서 서랍(100)의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실리콘판(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리콘판(32)은 이탈방지판(21)과 몸체(210) 간의 이격공간과 함께 이탈방지판(21)과 이웃하는 서랍(100) 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이웃하는 몸체(210) 또는 이웃하는 서랍(100) 과의 접촉에 의한 상기 이탈방지판(21)의 마모 등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서랍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후방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이탈방지장치 10 : 고정부
11 : 상판 12 : 측판
20 : 이탈방지부 21 : 이탈방지판
22 : 절첩부재 23 : 탄성부재
23a : 토션스프링 24 : 고정핀
100 : 서랍 110 : 수납공간
120 : 후판 130 : 하판
140 : 전판 150 : 측판
200 : 가구 210 : 몸체
220 : 수용공간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110)을 형성하는 서랍(100);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서랍(100)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220)을 형성하는 몸체(210); 및
    상기 서랍의 후판(12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1)를 포함하는 가구로써,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상기 후판(120)에 고정되는 고정부(10); 및
    상기 고정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수납물이 상기 후판(120)을 넘어가 떨어지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후판(12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후판(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11); 및
    상기 상판(11)의 전,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후판(120)의 전,후면에 접하는 측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판(11,12)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이탈방지부(20)는,
    상기 상판(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판(21);
    상기 이탈방지판(21)의 하부를 상기 상판(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22); 및
    외력에 의한 상기 이탈방지판(2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서랍(100)의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상기 이탈방지판(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볼(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첩부재(22)는,
    경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수직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수직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랍(100)이 상기 몸체(210)로부터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재인입시,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몸체(210)의 전면 및 상기 수용공간(220)으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탄성부재(23)는,
    일단부가 상기 이탈방지판(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판(11)에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면서 상기 상판(11)으로부터 상기 이탈방지판(2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수직을 이룬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이탈방지판(21)으로의 인위적인 가압 해제에 따라 회동된 상기 이탈방지판(21)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5008A 2017-04-06 2017-04-06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 KR101778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08A KR101778919B1 (ko) 2017-04-06 2017-04-06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08A KR101778919B1 (ko) 2017-04-06 2017-04-06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919B1 true KR101778919B1 (ko) 2017-09-14

Family

ID=5992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008A KR101778919B1 (ko) 2017-04-06 2017-04-06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9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547A (ja) * 2001-03-15 2002-09-24 Cleanup Corp 引出し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547A (ja) * 2001-03-15 2002-09-24 Cleanup Corp 引出し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243B2 (en) Self-closing and opening preventing device for slide rails
US9010885B2 (en) Cabinet table
JP3152028U (ja) ひきだしに用いる回帰装置
KR101454633B1 (ko) 서랍장
US20080211362A1 (en) Piece of Furniture With a Removable Container in a Drawer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US870805A (en) Ironer's cabinet.
KR101778919B1 (ko) 서랍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서랍 및 가구
JP6622966B2 (ja) 引出しおよび該引出し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200457209Y1 (ko) 서랍장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KR200394809Y1 (ko) 결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책상과 의자
KR20210000489U (ko) 승강식 수납장치
KR200427396Y1 (ko)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KR101800510B1 (ko) 수납장
TW200412880A (en) Compound rail
JP4304344B2 (ja) 物品収納具および物品収納家具
US20060103089A1 (en) Household lectern
KR102666674B1 (ko) 서랍 의류 정리장치
CN109501511A (zh) 一种便携式绘画板
KR101417796B1 (ko) 여닫이문짝 겸 접이탁자가 부설된 가구
CN219845624U (zh) 一种抽屉柜
KR20230070634A (ko) 서랍 의류 정리장치
KR200419618Y1 (ko) 붙박이장용 신발장 힌지장치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