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754B1 - 앵커 포인트 - Google Patents

앵커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754B1
KR101778754B1 KR1020127021890A KR20127021890A KR101778754B1 KR 101778754 B1 KR101778754 B1 KR 101778754B1 KR 1020127021890 A KR1020127021890 A KR 1020127021890A KR 20127021890 A KR20127021890 A KR 20127021890A KR 101778754 B1 KR101778754 B1 KR 10177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chor point
laceration
board
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348A (ko
Inventor
토마스 페테르손
Original Assignee
카고텍 스웨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고텍 스웨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카고텍 스웨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2013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wheeled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갑판의 보드(board)에 있는 원형 통공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에 의해 달성된다. 앵커 포인트는 기본적으로 원형인 래싱판(lashing plate)과 축선 방향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래싱판은 통공 둘레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한다. 또한, 래싱판은 그 상면에 래싱 훅크가 배치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한다. 축선 방향 고정 수단은 통공을 통해 래싱판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앵커 포인트{ANCHOR POINT}
본 발명은 선박에 적재된 차량들을 묶는 데에 적합한 앵커 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상품들을 선박으로 운송하는 경우, 안전한 운송을 위해, 상품들은 거친 바다에서도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게 갑판에 안전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상품들은 상품들을 앵커 포인트들에 묶는 기둥(post), 버팀대(brace), 로프, 케이블 등으로 고정된다. 이들 앵커 포인트는 선박의 갑판 위에 그리고 벽에 마련된다. 특히, 차량용 갑판은 일반적으로 운반용 강 구조물(carrying steel structure) 상에 배치된 목재 보드를 포함하는 갑판을 구비한다. 이들 갑판들에 대해, 앵커 포인트는 강 구조물 또는 목재 보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목재 보드에 마련된 앵커 포인트들은 일반적으로 목재 보드에 나사 고정된다. 이에 의해, 몇 개의 장착 단계(천공(boring), 나사 고정(screwing), 끼워 넣기(fitting))와 몇 개의 부품(스크루, 벽돌(bricks), 너트)이 필요하다. 따라서, 목재 보드에 앵커 포인트를 제공하는 간단한 시스템에 대한 소망이 있었다.
미국 특허 제6 106 206호는 트럭 상부 구조물 벽에 일체화되어 있고 서로 연이어 배치된 다수의 래싱 컵(lashing cup)을 구비하는 래싱 장치를 개시한다. 래싱 컵 각각은 컵 바닥을 향해 테이퍼진 원뿔대 형상이고, 벽들의 상응하는 오목부들에 폼 피팅(form fitting)되어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래싱 컵 각각은 래싱 컵의 내부와 중앙에 위치된 스트립과 컵의 개방된 측부 둘레에서 컵 바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를 포함한다. 이들 래싱 컵은 목재 보드에 접착되고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앵커 포인트들보다 장착하기가 더욱 간단하고 필요한 부품 수가 더욱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컵들을 접착하는 것은 자동차 데크(deck)의 험한 환경(demanding surroundings)에서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자동차 데크에서는 앵커 포인트들에 가해지는 힘이 더 크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제476 24 49 A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른 앵커 포인트들은 표면에 있는 통공을 통해 서로 부착되는 래싱판과 축방향 고정판을 포함한다. 이 판들은 부착 수단, 즉 스크루들과 볼트들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래싱 훅크가 래싱판에 수용되고 래싱력이 앵커 포인트에 인가되면, 축방향 고정판, 즉 부착 수단은 래싱 훅크에 의해 인가된 힘에 노출된다. 이와 같은 앵커 포인트가 선박의 갑판과 같은 환경에서 사용되면, 앵커 포인트의 모든 구성 부품들, 즉 래싱판, 축방향 고정 수단 및 부착 수단은 높은 래싱 부하에 견디는 소재로 만들어져야만 한다. 명백하게, 높은 응력과 부하에 견디는 소재는 이러한 성질을 갖지 않은 소재보다 더욱 비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갑판의 보드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높은 부하를 견딜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수의 부품들을 구비하고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는 간단하고 저렴한 앵커 포인트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래싱 훅크를 수용하고 있는 구조성 구성 부품이 래싱 훅크로부터 선박의 갑판으로 부하를 분산시켜야 한다는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에 의해 부착 수단과 축방향 고정 수단 둘 다에 가해지는 부하는 크게 감소되고, 세 개의 구성 부품들은 더욱 낮은 부하에 견디는 덜 비싼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갑판의 보드에 있는 기본적으로 원형인 통공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앵커 포인트를 통해 달성된다. 앵커 포인트는 묶일 상품을 대면하도록 구성된 래싱면과, 래싱면의 반대쪽에 있는 후면을 포함한다. 앵커 포인트가 사용될 때, 앵커 포인트는 앵커 포인트의 래싱면으로부터 바깥으로 향하는 힘, 즉 앵커 포인트에 수용된 래싱 훅크로부터의 견인력에 노출된다.
앵커 포인트는 기본적으로 원형인 래싱판과 축방향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래싱판은 기본적으로 원형인 통공의 가장자리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또한, 래싱판은 래싱 훅크가 배치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한다. 구멍은 앵커 포인트의 래싱면에서부터 래싱 훅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축방향 고정 수단은 통공을 통해 래싱판에 기계적으로 부착되게 구성된다.
앵커 포인트가 장착되면, 축방향 부착 수단의 외측 가장자리는 통공의 가장자리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축방향 고정 수단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와 래싱판의 플랜지는 장착된 경우에 래싱판과 축방향 고정 수단이 통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부착되고 이에 의해 앵커 포인트가 보드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보드의 반대쪽 면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보드는 합판 보드와 같은 목재 보드 또는 임의의 종류의 적절한 목질 보드(wood based board)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앵커 포인트는 플랜지가 앵커 포인트의 후면에서 기본적으로 원형인 통공의 가장자리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축방향 고정 수단의 외측 가장자리가 래싱면에서 기본적으로 원형인 통공의 가장자리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앵커 포인트가 래싱판의 구멍에 수용된 래싱 훅크로부터 가해지는 견인력에 노출되면, 래싱판만이 부하에 노출되고, 이 래싱판은 상기 힘을 래싱판의 플랜지를 거쳐서 앵커 포인트가 장착된 보드로 직접 전달한다. 축방향 고정 수단은 래싱 훅크로부터 가해지는 부하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축방향 고정 수단은 래싱판보다 구조 강도가 낮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래싱판과 축방향 고정 수단 사이의 응력에 민감한 연결부도 래싱력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래싱판과 축방향 고정 수단 간의 기계적 부착 수단 역시 강도가 덜한 방식으로 그리고 강도가 덜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앵커 포인트는 그 자신의 고정 구조로 인해 선박의 차량용 갑판의 보드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보드에 있는 통공의 외주 바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래싱판의 플랜지는 앵커 포인트를 제1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래싱판은 통공을 통해 축방향 고정 수단에 기계적으로 부착되고, 역시 통공의 외주 바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상기 축방향 고정 수단의 외측 가장자리 때문에 축방향 고정 수단은 앵커 포인트를 제2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반경 방향으로는, 앵커 포인트는 보드에 의해 둘러싸인다. 앵커 포인트가 통공에 정확히 끼워짐으로써, 앵커 포인트는 반경 방향으로 꽉 끼워질 수 있다.
명확하게, 앵커 포인트가 장착될 보드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래싱판이 평평한 경우에는 래싱판의 구멍은 상품들이 묶여 있는 표면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래싱판은 상기 구멍이 앵커 포인트의 래싱면의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앵커 포인트의 래싱면으로부터 래싱면의 구멍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래싱판의 컵 형상으로 인해 ,래싱판은 앵커 포인트의 래싱면과 후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게 된다. 측벽의 높이는 보드의 두께에 맞추어지고 기본적으로는 보드의 두께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이러한 래싱판은 그 높이가 두께보다 크다. 래싱판의 측벽은 통공의 측벽, 즉 통공과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래싱 구멍에 걸려 있는 래싱 훅크에서부터 가해지는 반경 방향 힘은 래싱 훅크로부터 래싱판으로 전달되고 래싱판의 측벽 및 보드의 통공의 측벽을 따라 분산된다. 통공과 래싱판의 원형이므로 반경 방향 힘은 균일하게 분산되게 된다. 한다.
축방향 고정 수단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축방향 고정 수단은 부착판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래싱판과 부착판은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기계적으로 부착되고, 이에 따라 앵커 포인트가 보드에 장착되면 앵커 포인트는 통공과 래싱판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부착판과 래싱판은 서로에 대해 정지된 상태가 된다. 스크루와 볼트, 납땜, 용접, 압착(press) 또는 폼 피팅(form fitting)과 같은 여러 가지 적당한 부착 수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가 본 발명의 앵커 포인트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부착 수단은 분리 가능한 부착 수단이고, 특히 베이요넷 마운트이다. 베이요넷 마운트는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이거나 혹은 축방향 베이요넷 마운트일 수 있다.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가 사용되면, 부착판 역시 그 표면으로부터 기본적으로 직교하게 연장되고 이에 의해 래싱판과 통공의 측벽들과 평행한 측벽을 구비해야 한다. 그러면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는 래싱판과 부착판의 측벽들 상에 위치된다. 베이요넷 마운트의 암형부와 수형부는 각각 래싱판 또는 부착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래싱판과 부착판을 서로 부착하기 위해 베이요넷 마운트를 사용하면, 앵커 포인트를 보드에 장착하는 것이 쉬워지고 어떤 추가 부품 또는 공구 없이 행할 수 있다는 명확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앵커 포인트는, 필요한 경우, 보드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부착 수단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포인트의 구성으로 인해 베이요넷 마운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요넷 마운트의 암형부를 구비한 판은 양쪽 회전 방향으로 슬롯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 회전 방향의 슬롯은 두께가 서로 다른 보드에 대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방향의 슬롯은 앵커 포인트를 제1 두께, 예를 들어 22mm의 두께를 갖는 보드 상에 장착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 회전 방향의 장착 슬롯들은 앵커 포인트를 제2 두께, 예를 들어 24mm의 두께를 갖는 보드 상에 장착시키기 위한 것이 된다.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의 대안으로, 축방향 베이요넷 마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축방향 베이요넷 마운트의 암형부와 수형부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래싱판과 부착판의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축방향 베이요넷 마운트를 구비한 앵커 포인트를 두께가 서로 다른 보드에 적합화시키기 위하여, 벽돌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요넷 마운트는 암형부의 슬롯들의 형상과 수형부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탄성력으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자체 고정식이다. 앵커 포인트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탄성력이 극복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이에 의해,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와 축방향 마운트 둘 다에 대해 베이요넷 마운트에 고정 플러그를 보충하는 선택안을 고려할 수 있다. 고정 플러그는 래싱판과 부착판을 서로 회전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단순한 원통형 플러그일 수 있다. 고정 플러그는 래싱판과 부착판의 구멍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부착 수단의 대안으로서, 래싱판과 부착판 사이에 영구 부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착 수단은 영구물이다. 이와 같은 부착 수단은 납땜 또는 용접일 수 있다.
래싱판은 단단한 물품에 견디는 소재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는 앵커 포인트가 작동되는 환경이 험하기 때문이다. 래싱판은 래싱판에 묶일 수 있는 래싱 훅크 때문에 가장 높은 전단 응력에 노출될 것이다. 래싱판은 금속인데, 철, 철 합금 또는 경량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래싱판은 선택적으로는 적당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부착판은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부착판에 가해지는 응력은 래싱판과 비교하여 낮고, 이에 따라 부착판에 요구되는 소재 요건은 더욱 낮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포인트는 각기 다른 형상의 통공을 구비할 수 있고, 원형 구멍 또는 클로버 잎 형상의 구멍이 바람직하다. 앵커 포인트용으로 두 개의 공통 구멍이 있고, 이에 의해 기존의 래싱 기어가 본 발명의 앵커 포인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보드의 통공 내에서 앵커 포인트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회전 방향 고정 수단은 앵커 포인트의 모든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앵커 포인트는, 래싱판과 일체로, 즉, 성형(moulding) 또는 적당한 제조 방법에 의해 래싱판과 일체로 만들어진 부착판을 구비하는데, 그러면 래싱판과 부착판을 보드의 서로 다른 면들에서부터 배치하고 부착 수단을 가지고 이들을 서로 부착함으로써 앵커 포인트를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래싱판과 부착판 사이의 영구 부착 수단을 가지고서 앵커 포인트를 더욱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부착판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설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설부들이 부착판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며, 이에 따라 설부들은 보드에 있는 통공의 외주 바깥으로 돌출하게 된다. 보드에 있는 통공에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통공은 소켓들을 구비하며, 이 소켓들은 통공에 소켓이 없을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원형인 통공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다. 소켓들은 부착판 상의 설부들에 상응하는 형상을 나타내는데, 이 소켓들은 설부들이 그에 상응하는 소켓들을 통해 안내될 수 있게 설부들보다 약간 더 크다. 그러면, 이미 서로에 대해 부착되어 있는 래싱판과 부착판을 구비한 앵커 포인트는 위에서부터 보드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설부들이 소켓들을 통과하고 래싱판의 플랜지가 보드 위에 받쳐지면, 설부들은 통공 외주의 소켓들이 없는 부분의 위/아래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앵커 포인트는 보드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는, 앵커 포인트는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회전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앵커 포인트는 스프링과 유사한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스프링은 래싱판의 측벽 내부에 장착되고 래싱판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설부들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설부들은 축방향 고정 수단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래싱판은 그 측벽 내에 구멍들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의 설부들은 이 구멍들 바깥으로 돌출할 수 있게 된다. 탄성력은 래싱판의 반경 방향으로 가해지며, 이에 의해 앵커 포인트가 장착되면 탄성력은 설부들을 통공의 외주 바깥으로 가압한다. 설부들은 힘이 아래에서부터 가해지는 경우에 래싱판의 측벽 내부에서 가압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스프링을 축방향 고정 수단으로 구비한 앵커 포인트는 보드의 상면에서부터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포인트의 모든 실시예에 대해 래싱판은 원형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를 구비한 앵커 포인트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앵커 포인트를 보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축방향 베이요넷 마운트를 구비한 앵커 포인트를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앵커 포인트를 보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상시 부착판을 구비한 앵커 포인트를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앵커 포인트를 보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반경 방향 고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을 구비한 앵커 포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앵커 포인트를 보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클로버 잎 모양 구멍을 구비한 앵커 포인트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앵커 포인트(1)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든 실시예에서, 앵커 포인트는 래싱판(4, 104, 204, 304)의 외측 플랜지(6, 106, 206, 306)와 부착 수단(14, 114)을 통해 래싱판(4)에 기계적으로 부착되게 구성된 축선 방향 고정 수단(5, 105, 205, 305)에 의해 보드(2)에 있는 통공(3)에 고정될 수 있다. 앵커 포인트(1)는 기본적으로 원형이고 이에 의해 적절한 통공(3) 역시 기본적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플랜지(6, 106, 206, 306)와 축선 방향 고정 수단(5, 105, 205, 305)의 외측 가장자리(11, 111, 211, 311) 둘 다 직경이 보드의 통공(3)의 직경보다 넓다. 앵커 포인트(1)가 통공(3)에 장착되면, 래싱판(4, 104, 204, 304)과 축선 방향 고정 수단(5, 105, 205, 305)은 보드(2)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보드(2)에서 축선 방향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 포인트(1)는 돌출된 외측 플랜지(6, 106, 206, 306)와 축선 방향 고정 수단(5, 105, 205, 305)의 외측 가장자리(11, 111, 211, 311) 간의 거리가 기본적으로 보드의 두께(tb)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앵커 포인트(1)와 보드(2) 간의 어떠한 축선 방향 움직임도 일어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a에서는, 보드에 장착된 앵커 포인트(1)는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b와 도 5에서는, 앵커 포인트(1)는 사시도도 도시되어 있다.
앵커 포인트(1)에 대해, 도 1a와 도 1b의 실시예에 따르면, 래싱판(4)과 부착판(5)은 부착판(5)이 앵커 포인트(1)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부착된다. 또한, 래싱판(4)은 측벽(12)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기본적으로 보드(2)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hl)를 나타낸다.
래싱 훅크(10)가 래싱판(4)의 구멍(8)에 걸릴 수 있는데, 이 구멍(8)은 부착판(5)의 표면(9)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위치된다. 부착판(5)은 상응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이 구멍을 통해 래싱판(5)의 구멍(8)이 비어져 나올 수 있다. 래싱 훅크(10)는 앵커 포인트(1), 즉 래싱판(4)에 걸린다. 래싱 훅크(10)를 통해 앵커 포인트(1)에 가해지는 힘은 래싱판(4)으로부터 플랜지(6)와 부착판의 측벽(15)을 지나서 보드(2)로 전달되고, 통공(3)의 원주(7)를 따라 전파된다. 이에 의해 부착판(5)은 래싱 훅크(10)로부터 어떠한 하드웨어(hard ware)도 받지 않으며, 필요하다면, 래싱판(5)보다 강도가 낮은 저렴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부착판(5)의 저면, 즉 래싱판(104)을 향하는 측면에는 지지 리브(23)들이 마련된다. 지지 리브(23)들은 부착판(105)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킨다.
도 1a와 도 1b의 실시예에서는, 부착 수단이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14)이다.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14)는 도 1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고, 부착판(5) 상에 두 개의 슬롯(20, 21)을 구비한 암형부와 래싱판 상에 핀(19)을 구비한 수형부를 포함하며, 암형부와 수형부는 각 판(4, 5)의 둘 다 측벽(12, 15) 상에 위치된다. 암형부의 두 슬롯(20, 21)이 서로 반대인 회전 방향으로 안내되고 깊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베이요넷 마운트(14)는 앵커 포인트(1)가 각기 다른 두께로 보드(2) 상에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명백히, 베이요넷 마운트(14)의 암형부와 수형부는 각 판(4, 5)의 다른 측벽(12, 15) 상에도 위치될 수 있다. 앵커 포인트의 창의적인 구성으로 인해, 부착 수단, 즉 베이요넷 마운트(14)는 래싱판(4)에 가해지는 어떠한 래싱력도 받지 않는다.
앵커 포인트(1)를 보드(2)에 장착하기 위해, 래싱판(4)과 부착판(5)은 통공(3)을 통해 서로 부착되고, 이에 의해 래싱판(4)과 부착판(5)은 보드의 반대측에서부터 끼워진다. 베이요넷 마운트(14)의 수형부의 핀(19)은 암형부로 안내되고, 두 판(4, 5)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요넷 마운트(14)는 앵커 판(1)을 보드(3)에 록킹시킨다. 도 1b에서, 왼쪽 슬롯(20)은 오른쪽 슬롯(21)보다 앵커 포인트(1)를 더욱 두꺼운 보드(2)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앵커 포인트(1)의 다른 실시예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의 실시예들은 부착 수단이 축방향 베이요넷 마운트(114)라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들과 다르다. 이에 의해, 부착판(105)이 측벽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래싱판에 가해지는 힘은 래싱판(104)의 측벽(112)으로부터 통공(3)의 외주(7)로 직접 전달된다. 부착판(105)은 그 저면, 즉 래싱판(104)을 향하는 측면에 부착판(105)의 구조 강도에 도움이 되는 지지 리브(123)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요넷 마운트(114)의 수형부가 부착판(105)에 위치되고, 베이요넷 마운트(114)의 암형부의 슬롯(120)이 래싱판(104)에 위치된다.
도 2a와 도 2b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플러그(122)가 래싱판(104)과 부착판(105)을 고정 플러그(122)를 부착한 후에는 두 판(104, 105)이 서로 회전될 수 없도록 서로 고정시킨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에 따른 앵커 포인트에서는, 래싱판(204)이 앵커 포인트(1)의 상측면에 배치되는데, 이 상측면은 래싱 훅크(10)가 앵커 포인트(1)에 걸리게 되는 측면이다. 부착 수단은 용접 심(welded seam) 또는 납땜 심(soldered seam)과 같은 영구 부착 수단(214)이고, 이에 의해 부착 수단(214)을 사용(application)한 후에는 래싱판(204)과 부착판(205)은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래싱판(204)과 부착판(205)은 하나의 소재로 만들어지는 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접 심 또는 납땜 심(214)은 래싱판(204)의 측벽(212)에서부터 부착 판(205)까지 이어지는 전이부(transition)에 부착 수단을 형성한다. 래싱 훅크(10)를 통해 래싱판(204)에 가해지는 힘은 측벽(212)을 지나서 통공(203)의 외주(307)로 전달된다.
설부(216)들이 부착판(205)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설부(216)들은 부착판(205)의 외부 가장자리(211)를 형성한다. 앵커 포인트(1)를 보드(2)에 장착하기 위해, 통공(303)에 소켓(217)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부착판(205)의 설부(216)들은 소켓(217)들을 통해 안내되고, 설부(216)들이 완전히 통과함에 따라 부착판(205)은 설부(216)들이 통공(203)의 주 원주(main periphery)(207) 외부로 돌출하도록 회전된다. 주 원주(207)는 통공(203)의 원형부이고, 이 원주에서부터 소켓들이 돌출된다.
또한, 고정 스크류(222)는 래싱판(205)이 보드(2)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고정 스크류(222)는 래싱판(204)의 구멍을 통과해서 보드(2)에 하방으로 박힌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앵커 포인트와 마찬가지로, 도 4a 및 도 4b에 따른 실시예의 래싱판(304)은 앵커 포인트(1)의 래싱 측면에 배치되는데, 래싱 측면은 래싱 훅크(10)가 앵커 포인트(1)에 걸리는 측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따른 앵커 포인트의 축방향 고정 수단은 스프링(305)이다. 스프링(305)은 래싱판(304)의 측벽(312)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스프링(305)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부(316)들을 구비한다. 설부(316)들은 래싱판(312)의 측벽(312)에 있는 구멍(317)들을 통해 바깥으로 돌출된다. 설부(316)들은 쐐기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앵커판(1)이 보드(2)의 통공을 통해 가압되면 설부(316)들은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래싱판(304)의 측벽(312)이 통공(3)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설부(316)가 통공(3) 전체를 통과함에 따라 탄력에 의해 설부(316)들이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설부들의 외측 가장자리(311)가 통공(3)의 원주(7) 바깥으로 돌출된다.
도 5에는 래싱판(4, 104, 204, 304)에 있는 구멍의 선택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멍(408)은 클로버 잎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로버 잎 형상의 구멍(304)은 선박에 흔히 탑재되는 벌브 훅크(4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전부가 둥근 래싱 구멍(8) 또는 클로버 잎 형상의 래싱 구멍(408)을 구비할 수 있다.

Claims (13)

  1. 선박에 탑재된 차량과 같은 상품을 묶기 위한 앵커 포인트(1)로서,
    보드(2)에 있는 원형인 통공(3)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 묶일 상품을 대면하도록 구성된 래싱면과,
    - 래싱면의 반대쪽에 있는 후면을 포함하고,
    - 원형인 래싱판(4, 104)과,
    - 축방향 고정수단(5, 105)을 추가로 포함하고,
    래싱판(4, 104)은
    - 래싱 훅크(10, 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8, 108, 408)과,
    - 원형인 통공(3)의 가장자리(7)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6, 106)를 구비하고,
    축방향 고정 수단(5, 105)은 래싱판(4, 104)에 통공(3)을 통해 기계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축방향 고정 수단(5, 105)의 적어도 외측 가장자리(11, 111)는 원형인 통공(3)의 가장자리(7)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앵커 포인트(1)에 있어서,
    - 플랜지(6, 106)는 앵커 포인트(1)의 후면에서 원형인 통공(3)의 가장자리(7)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 축방향 고정 수단(5, 105)의 외측 가장자리는 앵커 포인트(1)의 래싱면에서 원형인 통공(3)의 가장자리(7)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며,
    래싱판(4, 104)은 앵커 포인트(1)의 후면과 래싱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측벽(12, 112, 212)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8, 108, 408)은 앵커 포인트(1)의 래싱면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2, 112)의 높이(hl)는 보드(2)의 두께(tb)와 동일하고, 래싱판(4, 104)의 상기 측벽(12, 112)은 통공(3)의 벽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축방향 고정 수단은 부착판(5, 105)이고, 래싱판(4, 104)과 부착판(5, 105)은 앵커 포인트(1)가 보드(2)에 장착되면 앵커 포인트(1)가 통공(3)에 고정되고 래싱판(4, 104)과 부착판(5, 105)은 서로에 대해 정지된 상태이도록 부착 수단(14, 114)을 이용하여 서로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4. 제3항에 있어서,
    부착 수단은 베이요넷 마운트(14, 114)이고, 상기 베이요넷 마운트는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14) 또는 축방향 베이요넷 마운트(1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5. 제3항에 있어서,
    부착판(5, 105) 역시 래싱판(4)의 측벽(12)과 평행하게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15)을 구비하고, 부착 수단은 래싱판(4)과 부착판(5)의 측벽(12, 15)들에 각각 위치된 반경 방향 베이요넷 마운트(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6. 제5항에 있어서,
    베이요넷 마운트(14)의 암형부를 구비한 래싱판(4)은 양쪽 회전 방향으로 슬롯(20, 21)들을 구비하며, 제1 회전 방향의 슬롯(20)들은 앵커 포인트(1)를 제1 두께를 갖는 보드(2) 상에 장착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 회전 방향의 장착 슬롯(21)들은 앵커 포인트(1)를 제2 두께를 갖는 보드(2) 상에 장착시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7. 제3항에 있어서,
    래싱판(104)과 부착판(105)의 서로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고정 플러그(12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래싱판(4, 104)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9. 제8항에 있어서,
    축방향 고정 수단(5, 105)은 래싱판(4, 104)의 소재보다 구조 강도가 낮은 소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래싱판의 구멍은 원형 구멍(8) 또는 클로버 잎 모양 구멍(4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 고정 수단(222)이 앵커 포인트(1)를 보드(2)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포인트(1).
  12. 삭제
  13. 삭제
KR1020127021890A 2010-01-22 2011-01-20 앵커 포인트 KR101778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050072-6 2010-01-22
SE1050072A SE536474C2 (sv) 2010-01-22 2010-01-22 Förankringspunkt
PCT/SE2011/050060 WO2011090430A1 (en) 2010-01-22 2011-01-20 Anchor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48A KR20120136348A (ko) 2012-12-18
KR101778754B1 true KR101778754B1 (ko) 2017-09-26

Family

ID=4430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890A KR101778754B1 (ko) 2010-01-22 2011-01-20 앵커 포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26015B1 (ko)
JP (1) JP5714609B2 (ko)
KR (1) KR101778754B1 (ko)
CN (1) CN102712349B (ko)
SE (1) SE536474C2 (ko)
WO (1) WO2011090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8536A (zh) * 2014-07-22 2014-10-29 厦门船舶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压载舱绑扎杯结构及其制造方法
SE1551682A1 (en) * 2015-12-21 2017-06-22 Macgregor Sweden Ab Load-bearing panel for cargo on a ship
US10118674B1 (en) * 2016-03-10 2018-11-06 Peck & Hale, L.L.C. Cargo lashing fitting
DE102016116773B4 (de) 2016-09-07 2021-06-02 Schmitz Cargobull Aktiengesellschaft Nocken und Einrichtung zum Anschlagen eines Spann- oder Anschlagmittels an einem Untergrund sowie Boden oder Wand für ein Nutzfahrzeug mit einer Einrichtung zum Anschlagen eines Spann- oder Anschlagmittels
US11052813B1 (en) 2018-02-21 2021-07-06 Peck & Hale, L.L.C. Cargo lashing fitting
CN109292615B (zh) * 2018-11-28 2023-10-20 浙江协成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吊钩组
US11046233B1 (en) 2018-12-18 2021-06-29 Peck & Hale, L.L.C. Cargo lashing fitting
SE543808C2 (sv) * 2020-01-13 2021-07-27 Powsecu Ab Fastsättningsanordning
GB2611753A (en) * 2021-10-12 2023-04-19 Nissan Motor Mfg Uk Ltd Isofix anchorage arran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398A1 (en) 2005-05-11 2006-11-16 Macgregor (Swe) Ab Lashing device for cargo on a ship and a cargo deck provided with such a lashing device
WO2009132390A1 (en) 2008-04-29 2009-11-05 Rohan Perkins Recessed attachment poi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209A (en) * 1971-09-14 1975-01-14 Peck & Hale Deck socket assembly
JPS5137781A (en) * 1974-09-17 1976-03-30 Petsuku Ando Heiru Inc Detsuki soketsuto
US4948311A (en) * 1987-07-13 1990-08-14 St Pierre Frank H Tie down fitting
US4762449A (en) * 1987-07-13 1988-08-09 St Pierre Frank H Tie down fitting
GB8923458D0 (en) * 1989-10-18 1989-12-06 York Trailer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rgo restraint in refrigerated vehicles and containers
DE4226886A1 (de) * 1992-08-13 1994-02-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festig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6764259B1 (en) * 2002-05-24 2004-07-20 John Preta Retractable anchor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the anchor device
ATE427261T1 (de) * 2004-06-22 2009-04-15 Fincantieri Cantieri Navali It Befestigung, insbesondere zur vertauung von fahrzeugen an bord von schiffen, und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r solcher befestigung am deck
US7686551B2 (en) * 2007-04-18 2010-03-30 Black & Gray Design & Manufacturing, Inc. Tie-down ancho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398A1 (en) 2005-05-11 2006-11-16 Macgregor (Swe) Ab Lashing device for cargo on a ship and a cargo deck provided with such a lashing device
WO2009132390A1 (en) 2008-04-29 2009-11-05 Rohan Perkins Recessed attachment p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14609B2 (ja) 2015-05-07
KR20120136348A (ko) 2012-12-18
CN102712349B (zh) 2015-05-20
SE536474C2 (sv) 2013-12-03
CN102712349A (zh) 2012-10-03
EP2526015B1 (en) 2019-05-01
SE1050072A1 (sv) 2011-07-23
WO2011090430A1 (en) 2011-07-28
EP2526015A1 (en) 2012-11-28
EP2526015A4 (en) 2014-01-15
JP2013517978A (ja)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754B1 (ko) 앵커 포인트
US4905942A (en) Mounting unit for attaching supply lines or cables to motor vehicles
US4843792A (en) Socket support and interlock for staging panels
CN203439148U (zh) 卡车货箱和连接系统
US4845915A (en) High impact panel corner
US7481610B1 (en) Tie-down assembly
US8413342B2 (en) Level with a magnet-mounting structure
US7506775B2 (en) Shelter mast support system
US7549668B2 (en) Integral hitch and beam
EP2818429A1 (fr) Dispositif de bridage de conteneurs
CA2716181A1 (en) Kit for forming modular structures on a vehicle
US6161272A (en) Liquid storage tank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10676011B2 (en) Logistic rail assembly for a composite panel
US10391918B2 (en) Load bearing rail and tie-down ring assembly
JP3774062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US20060006627A1 (en) Connecting device
ATE419990T1 (de) Vorrichtung an einer ladungsstützeinrichtung
EP3392112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élément en toiture ou en sous-châssis d'un véhicule ferroviaire
KR101136475B1 (ko) 차량용 확성기 결합장치
US20200079272A1 (en) Cargo/Payload Securement System For Trucks/Trailers
US20240034426A1 (en)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ally Operable Passenger Vehicle
KR0127841Y1 (ko) 가분해 자동차의 운송을 위한 철구조물
GB2083417A (en) Cargo restraint system
JPH0737240Y2 (ja) 連結端子台の記名片保持装置
US20040091312A1 (en)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in a mount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