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312B1 - 포스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스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312B1
KR101778312B1 KR1020117023828A KR20117023828A KR101778312B1 KR 101778312 B1 KR101778312 B1 KR 101778312B1 KR 1020117023828 A KR1020117023828 A KR 1020117023828A KR 20117023828 A KR20117023828 A KR 20117023828A KR 101778312 B1 KR101778312 B1 KR 101778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onoxide
reactor
stream
feed stream
phosg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366A (ko
Inventor
게르하르트 올베르트
카이 틸레
병 연 김
하이너 쉘링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1013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80Phosg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6Nozzle-type reactors, i.e. the distribution of the initial reactants within the reactor is effected by their introduction or injection through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촉매 관 다발을 갖는 반응기 R 중 활성탄 층으로 충전된 촉매 관에서, 일산화탄소를 염소에 비해 화학양론적 과량으로 투입하여, 염소 공급물 스트림(2)과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3)을 배합 및 혼합하여 얻은 공급물 스트림(1)을 반응시켜, 포스겐 함유 액체 생성물 스트림(5), 및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일산화탄소 함유 오프가스 스트림(6)으로 분리되는 생성물 기체 혼합물(4)을 생성함으로써 포스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반응기 R 중 공급물 스트림(1)의 반응 및 상기 생성물 기체 혼합물(4)의 분리는 2.0∼6.0 bar 게이지 범위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고,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은,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6)의 유량 및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속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으로부터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실질 수치를,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3)의 유량 및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2)의 유량 및 염소 농도에 대한 연속 측정된 수치를 조합하여 계산하며, 그리고 상기 실질 수치를,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3)의 유량 및/또는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2)의 유량을 적용하여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의도 수치에 일치시킴으로써 조절하는 것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포스겐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HOSGENE}
본 발명은 고체 상태 촉매의 존재 하에 일산화탄소와 염소의 기상 반응에 의한 포스겐의 제조 방법, 및 또한 반응기를 이용한 포스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스겐은 실질적으로 모든 화학 분야의 중간생성물 및 최종 생성물의 제조에서 중요한 보조제이다. 양과 관련하여 가장 큰 사용 분야는 폴리우레탄 화학에서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나토디페닐메탄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이다.
포스겐은, 고체 상태 촉매, 바람직하게는 활성 탄소의 존재 하에 일산화탄소와 염소의 촉매 기상 반응에서 공업적으로 제조된다. 상기 반응은 강한 발열성이며; 형성 엔탈피는 -107.6 kJ/mol이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문헌[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 A 19, pages 413 to 414]에 기술된 공정에 의해 원통 다관식 반응기(shell-and-tube reactor)에서 실시된다. 여기서, 3∼5 mm 범위의 입도를 갖는 과립 촉매는 내부 직경이 50∼70 mm인 관에 설치된다. 상기 반응은 40∼50℃에서 시작하며, 상기 관 내의 온도는 약 400℃로 상승한 후, 빠르게 강하한다. 일산화탄소를 약간 과량으로 사용하여 모든 염소가 반응하고 염소 무함유 포스겐이 얻어지는 것을 확보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초대기압 하에, 빈번히 2∼6 bar의 게이지압에서 실시된다.
DE 102 08 398에는 원통 다관식 반응기 및 포스겐의 제조 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열교환기에서의 편향 영역에서의 부식 문제가 감소되고, 특정 단면 부하 증가, 따라서 높은 용량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체 상태 촉매의 존재 하에 일산화탄소와 염소의 기상 반응에 의해 포스겐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기로서, 상기 반응기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말단이 관판(tube plate)에 고정되어 있는 평행한 촉매 관 다발을 갖고, 상기 반응기의 각각의 말단에서의 캡 및 편향판은 상기 촉매 관들 사이의 중간 공간에서 상기 반응기의 세로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이의 편향판은 상기 반응기의 내벽의 반대면에서 개구부가 번갈아 자유롭고(free), 여기서 상기 촉매 관은 고체 상태 촉매로 충전되며, 기상 반응 혼합물은 상기 반응기의 한 말단으로부터 캡을 통해 상기 촉매 관을 거쳐 통과하고, 상기 반응기의 반대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캡을 통해 배출되며, 액체 열교환 매질은 상기 촉매 관 주위의 중간 공간을 거쳐 통과하는 것인 반응기는, 그 반응기가 상기 개구부 영역에서 관을 갖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반응기의 편향판의 자유단 및 내벽 사이의 영역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제안된다.
포스겐 반응기는 염소의 전환을 완결하도록 조작되며, 이는, 이후 용도,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제조에 요구되는 사양이, 잔류 염소 함량이 1000 ppm 이하, 또는 심지어 100 ppm 이하, 또는 심지어 10 ppm 이하의 실질적으로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포스겐을 규정하고, 염소 잔류물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색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활성탄 촉매의 활성은 상기 포스겐 반응기가 수 시간을 넘어서는 연장 기간 동안 화학양론적 과량의 염소로 작동되는 경우에 비가역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일산화탄소의 과량을 상기 포스겐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에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반응기는 항상 상기 반응기의 포스겐 하중에 따라서 1∼10%, 바람직하게는 2.5∼4% 범위의 화학양론적 과량의 일산화탄소로 조작된다. 그러나, 2개의 공급물 스트림 일산화탄소 및 염소의 변하지 않는 유량에서도, 일산화탄소의 과량이 더이상 확보되지 않는 원치 않는 조작 상태가 때때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질, 특히 비활성 물질, 구체적으로는 질소의 비율이 상기 일산화탄소 스트림의 총부피를 기준으로 0.5∼4 부피% 범위에서 흔히 변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조성의 이러한 변동이 상기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과량의 일산화탄소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분명한 해법, 즉, 매우 많은 화학양론적 과량의 일산화탄소에서 조작하는 것은, 그러나 경제적인 이유에서 배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 다관식 반응기에서의 포스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요구되는 사양에 부합하는 염소 무함유 포스겐 생성물을 얻는 것이 확보되고, 이와 동시에, 단순한 방식으로, 최소의 일산화탄소 소비가 확보된다.
이러한 목적은 촉매 관 다발을 갖는 반응기 중 활성탄 층으로 충전된 촉매 관에서, 일산화탄소를 염소에 비해 화학양론적 과량으로 투입하여, 염소 공급물 스트림과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을 배합 및 혼합하여 얻은 공급물 스트림을 반응시켜, 포스겐 함유 액체 생성물 스트림, 및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일산화탄소 함유 오프가스 스트림으로 분리되는 생성물 기체 혼합물을 생성함으로써 포스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반응기 중 공급물 스트림의 반응 및 상기 생성물 기체 혼합물의 분리는 2.0∼6.0 bar 게이지 범위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고,
상기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은,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의 유량 및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속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치와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유량 및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의 유량 및 염소 농도에 대한 연속 측정된 수치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실질 수치를 계산하며, 그리고 상기 실질 수치를,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유량 및/또는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의 유량을 적용하여 상기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의도 수치에 일치시킴으로써 조절하는 것인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염소 무함유 포스겐 생성물을 얻는 동시에 일산화탄소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항상 확보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을 조절 및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의 유량 및 염소 농도, 및 또한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유량은 연속으로 측정된다.
그러나, 질, 즉,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일산화탄소 농도의 직접적인 측정은 높은 작동압으로 인해 알기 힘들고, 비활성 물질의 비율이 매우 낮은 높은 유량으로 인해 부정확하며, 건강에 해로운 기체, 구체적으로 일산화탄소로 인해 안전 상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측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다른 데이타, 즉, 플랜트를 이탈하는 오프가스 스트림의 양 및 조성으로부터, 개별 작동 상태에 대한 각 경우에서의,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의 양 및 조성(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의 조성은 거의 변하지 않는 경험을 기준으로 확인됨) 및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양을 조합하여, 상기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실질 수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상기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에 대한 의도 수치는 특정 상태에 대해서, 즉, 실험 측정에 의해 입증된 반응 속도론 모델을 기초로 상기 활성탄 층의 기하 형태, 포스겐 하중 및 작동압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 조절하려는 파라미터, 즉, 상기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을 연속 계산하고, 개개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계산되거나 실험적으로 측정되고 제어 변수를 통해 영향을 받는 의도 수치, 즉,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의 유량과 비교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상기 의도 수치로 맞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응 속도론 모델을 기초로 계산된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의도 수치는 상기 반응기에서와 같은 작동 조건 하에서 상기 반응기의 촉매 관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 단일 촉매 관을 갖는 파일롯 반응기로서, 그 촉매 관은 활성탄 촉매에 의해 다양한 충전 높이로 충전되고, 포스겐 하중 스펙트럼(load spectrum)이 각각의 충전 높이에 대해서 통과되는 파일롯 반응기에서 염소 돌파(breakthrough)가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과량을, 연결된 염소 측정에 의해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타당성(plausibility)을 시험하였다.
상기 반응기에 대한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실질 수치 및 의도 수치는 상기 방법에 대한 공정 제어 시스템에서 이롭게 명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실질 수치는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상기 의도 수치로 맞출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특정 일산화탄소 소비는, 상기 반응기의 생성물 기체 혼합물로부터 포스겐 생성물을 분리하고, 잔류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서브스트림을 분리하며, 이러한 서브스트림을 재순환 스트림으로서 상기 포스겐 반응기의 상류 지점으로 재순환시켜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재순환 스트림은 흔히 상기 재순환 스트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50 중량% 범위의 잔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가진다.
재순환 스트림으로서 상기 포스겐 반응기의 상류 지점으로 재순환되는 서브스트림은, 상기 액체 포스겐이 분리된 후의 생성물 기체 혼합물로부터 잔존하는 기체 스트림의 40∼95 중량%, 바람직하게는 75∼90 중량%의 양에 이를 수 있다.
상기 포스겐 반응기의 상류 지점으로의 상기 재순환 스트림의 재순환은 상기 2개의 공급물 스트림, 즉,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 또는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의 하나의 가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제트 노즐(driving jet nozzle)을 통해 이롭게 영향을 받는다. 상기 구동 제트 노즐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또한 재순환을 위한 라인은 염소 및 포스겐에 의한 부식에 저항성인 스틸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포스겐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단에서 응축에 의해 상기 포스겐 반응기의 하류에서 생성물 기체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잔류 기체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재순환 스트림으로서 상기 포스겐 반응기의 상류 지점으로 재순환되는 서브스트림, 및 포스겐이 스크러빙 칼럼에서 스크러빙되어 상기 플랜트로부터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남기는 잔류 스트림으로 분할된다. 상기 스크러빙 칼럼으로부터의 포스겐 스트림은 상기 바람직한 2단 응축으로부터의 생성물 스트림과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포스겐 반응기 상류의 지점으로의 서브스트림의 재순환을 갖는 공정 변경예에서, 상기 재순환 스트림의 유량이 연속으로 측정되고, 상기 재순환 스트림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의 유량 및 일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측정 데이타와 상기 응축의 작동 조건 온도 및 압력의 조합으로부터 연속으로 계산된다. 이러한 데이타, 즉, 상기 재순환 스트림의 유량 및 일산화탄소 농도는 상기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실질 수치 계산에 연속으로 적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의 유량은 상기 플랜트로부터의 오프가스 스트림의 배출을 위한 압력 조절 밸브의 상류에서 측정되고,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예를 들어 IR 분광광도법에 의해 상기 압력 조절 밸브의 하류에서 측정된다.
상기 포스겐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 농도의 측정과 비교하여,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 농도의 측정은 상당히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며; 특히, 상기 유량은 상당히 낮고, 고압 하의 측정이 불필요하며, 특히 내압 측정 셀이 필요하지 않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의 유량 및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 농도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의 하류에서 연속으로 측정된다.
포스겐을 형성하는 일산화탄소와 염소의 반응을 위한 반응기는 바람직하게는 주 반응기(main reactor) 및 후 반응기(after-reacto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후 반응기 내의 반응은 10%의 잔류물 전환율로 실시될 수 있고, 상기 후 반응기는 단열로 또는 냉각과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시간 오프셋으로 조작되는 2개의 평행한 측정 설비가 이롭게는, 상기 오프가스 중 일산화탄소 농도의 측정을 위한 압력 조절 밸브의 하류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비작동 시간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포스겐 반응기 하류의 생성물 기체 혼합물의 염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간격을 두고 또는 연속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은 상기 포스겐 반응기 하류의 생성물 기체 혼합물에 대한 염소 함량 측정을 기초로 하여 대략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그러나, 상기 염소 측정 및 상기 반응기 조절의 이러한 방법은 매우 신뢰성이지 않다.
본 발명은 도면의 도움으로 하기 예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도식 플랜트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촉매 관의 충전 높이 및 포스겐 하중의 함수로서의, 상기 일산화탄소 과량의 의도 수치에 대한 파라미터 군에 의한 조작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1의 도시는 염소 공급물 스트림(참조 번호 2) 및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참조 번호 3)이 정적 혼합기 M에서의 배합 및 혼합 후에 공급물 스트림 1로서 공급되는 포스겐 반응기 R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기 R로부터의 생성물 기체 혼합물 4는 상기 도에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응축기 K로 공급된다. 여기서, 액체 포스겐은 생성물 스트림 5로서 기체 스트림 7을 떠나 분할되며, 상기 기체 스트림 7은 재순환 스트림 8 및 잔류 스트림 9로 분할된다. 상기 재순환 스트림 8은, 예를 들어 상기 도에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 3의 가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제트 노즐 T를 통해 상기 반응기 R의 상류 지점으로 재순환된다. 상기 잔류 스트림 9는, 추가 포스겐 생성물이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모노클로로벤젠에 의해 스크러빙되는 스크러빙 칼럼 W로 공급되어 상기 플랜트로부터 방출되는 오프가스 스트림 6를 남긴다.
도 2는 촉매 관 중 촉매 충전 높이, 포스겐 하중, 압력 및 온도의 조작 조건의 함수로서의, 상기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에 대한 의도 수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군에 의한 조작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포스겐 반응기로의 공급물 스트림 중 일산화탄소 CO의 과량은 가로 좌표에서 백분율로 나타내며, 상기 촉매 관의 충전 높이 h는 세로 좌표에서 미터로 나타낸다.
상기 곡선 I∼Ⅶ는 각 경우에 포스겐 kg/m2/s로 상이한 하중 상태를 의미한다: 곡선 I는 포스겐 하중 1.4에 해당하고, 곡선 Ⅱ는 포스겐 하중 1.6에 해당하며, 곡선 Ⅲ는 포스겐 하중 1.8에 해당하고, 곡선 Ⅳ는 포스겐 하중 2.0에 해당하며, 곡선 Ⅴ는 포스겐 하중 2.2에 해당하고, 곡선 Ⅵ는 포스겐 하중 2.4에 해당하며, 곡선 Ⅶ은 포스겐 하중 2.6에 해당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조작 다이어그램은 하기 방식의 실험에 의해 실험적으로 도시되었다:
포스겐 합성에서 통상적인, 외부 직경 44.5 mm, 벽 두께 2.6 mm 및 길이 5 m의 듀플렉스 스틸 1.4462의 촉매 관이 출발 지점으로 사용된다. 이는 활성 탄소에 의해, 1.5 m의 충전 높이에서 시작하여 0.25 m 단계로 증가시켜 최대 4.5 m의 충전 높이의 다양한 충전 높이로 충전시킨다.
각각의 충전 높이에 대해서, 상기 포스겐은 포스겐 1.4∼2.6 kg/m2/s에서부터 포스겐 0.2 kg/m2/s 단계로 증가시키고, 염소 돌파가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과량은 연결된 염소 측정에 의해 측정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상기 반응기의 개개의 조작 상태에 대한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의도 수치를 상기 한계에 상당히 근접하게 취할 수 있다. 이는, 일산화탄소 소비가 최소인 동시에, 촉매 변경에 영향을 미치는 상당한 작업과 연관된 플랜트의 비작동 시간을 방지할 수 있다: 촉매 변경, 즉, 촉매 관의 비움, 세정, 시험, 재충전, 포스겐 무함유 촉매 형성 및 건조는 일반적으로 12∼17일의 작업일이 걸린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촉매 관의 작동 시간을 증가시켜 법적으로 규정된, 일반적으로 2∼5 년의 유지 간격에 부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적으로 측정된 의도 수치는 상기 반응 속도론 모델을 조정하는 데 적용하였다.

Claims (15)

  1. 촉매 관 다발을 갖는 반응기 R 중 활성탄 층으로 충전된 촉매 관에서, 일산화탄소를 염소에 비해 화학양론적 과량으로 투입하여, 염소 공급물 스트림(2)과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3)을 배합 및 혼합하여 얻은 공급물 스트림(1)을 반응시켜, 포스겐 함유 액체 생성물 스트림(5)과,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일산화탄소 함유 오프가스 스트림(6)으로 분리되는 생성물 기체 혼합물(4)을 생성함으로써 포스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기 R 중 공급물 스트림(1)의 반응 및 상기 생성물 기체 혼합물(4)의 분리는 2.0∼6.0 bar 게이지 범위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고,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은,
    a)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6)의 유량 및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속 측정하고,
    b)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3)의 유량을 연속 측정하고,
    c)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2)의 유량 및 염소 농도를 연속 측정하고,
    d) a) 내지 c)의 측정으로부터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실질 수치를 계산하고,
    e) 상기 실질 수치를,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3)의 유량 및/또는 상기 염소 공급물 스트림(2)의 유량을 적용하여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의도 수치에 일치시킴으로써 제어하는 것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R로의 상기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의도 수치는 상기 반응기 R의 실질 작동 상태에 대해서 계산되고, 상기 포스겐 하중 및 작동압은 반응 속도론 모델을 기초로 계산되는 것인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반응 속도론 모델을 기초로 계산되는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의도 수치는, 상기 반응기 R에서와 같은 작동 조건 하에 상기 반응기 R의 촉매 관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 단일 촉매 관을 갖는 파일롯 반응기로서, 그 촉매 관이 활성탄 촉매에 의해 다양한 충전 높이로 충전되고, 포스겐 하중 스펙트럼(load spectrum)이 각각의 충전 높이에 대해서 통과되는 파일롯 반응기에서 염소 돌파(breakthrough)가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과량을, 연결된 염소 측정에 의해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타당성(plausibility)을 시험하는 것인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에 대한 실질 수치 및 의도 수치는 상기 방법에 대한 공정 제어 시스템에서 명시되는 것인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겐 함유 액체 생성물 스트림(5)은, 재순환 스트림(8)으로서 상기 반응기 R의 상류 지점으로 재순환되는 서브스트림과, 포스겐이 스크러빙 칼럼 W에서 스크러빙되는 잔류 스트림(9)으로 분할되는 기체 스트림(7)을 잔류시키면서, 상기 생성물 기체 혼합물(4)로부터 응축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스크러빙 칼럼 W로부터 오프가스 스트림(6)은 배출되며, 상기 재순환 스트림(8)의 유량은 연속으로 측정되고, 상기 재순환 스트림(8)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6)의 유량 및 일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측정 데이타와 상기 응축의 작동 조건 온도 및 압력의 조합으로부터 연속으로 계산되며, 상기 재순환 스트림(8)의 유량 및 일산화탄소 농도는 상기 반응기 R로의 공급물 스트림(1) 중 일산화탄소의 과량의 실질 수치의 계산에 연속으로 사용되는 것인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6)의 유량은 상기 압력 조절 밸브의 상류에서 측정되고,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6) 중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의 하류에서 측정되는 것인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6)의 유량 및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6) 중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의 하류에서 연속으로 측정되는 것인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응축에 의한 상기 생성물 기체 혼합물(4)로부터의 액체 포스겐 스트림(5)의 분리는 2개의 단에서 실시되는 것인 제조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스트림(8)은 상기 재순환 스트림(8)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60 중량% 범위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스트림(8)은 상기 일산화탄소 공급물 스트림(3) 또는 염소 공급물 스트림(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제트 노즐(driving jet nozzle) T를 통해 상기 반응기 R의 상류 지점으로 재순환되는 것인 제조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포스겐을 형성하는 일산화탄소와 염소의 반응을 위한 반응기 R은 주 반응기(main reactor) 및 후 반응기(after-reactor)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 반응기 내의 반응은 10%의 잔류물 전환율로 실시되고, 상기 후 반응기는 단열로 또는 냉각과 함께 작동되는 것인 제조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간 오프셋(time offset)으로 작동되는 2개의 평행한 측정 설비가 상기 오프가스 스트림 (6) 중 일산화탄소 농도의 측정을 위해 압력 조절 밸브의 하류에 제공되는 것인 제조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 기체 혼합물(4)의 염소 함량은 상기 반응기 R의 하류에서 측정되는 것인 제조 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R의 실질 작동 상태는 상기 활성탄 층의 기하 구조에 의해 고려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117023828A 2009-03-11 2010-03-10 포스겐의 제조 방법 KR101778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4882.6 2009-03-11
EP09154882 2009-03-11
EP09157407.9 2009-04-06
EP09157407 2009-04-06
PCT/EP2010/053011 WO2010103029A1 (de) 2009-03-11 2010-03-10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s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366A KR20110138366A (ko) 2011-12-27
KR101778312B1 true KR101778312B1 (ko) 2017-09-13

Family

ID=4214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828A KR101778312B1 (ko) 2009-03-11 2010-03-10 포스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93803B2 (ko)
EP (1) EP2406181B1 (ko)
JP (1) JP5681121B2 (ko)
KR (1) KR101778312B1 (ko)
CN (2) CN102348639A (ko)
ES (1) ES2847290T3 (ko)
HU (1) HUE052073T2 (ko)
PT (1) PT2406181T (ko)
WO (1) WO2010103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1818B1 (de) 2009-04-24 2014-08-2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rbstabilem mda und mdi
JP2012532918A (ja) 2009-07-16 2012-12-2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ジフェニルメタンジイソシアネート類の明色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
CN102092713B (zh) * 2010-12-13 2013-05-22 甘肃银光聚银化工有限公司 连续制备光气的方法
EP2691364B1 (de) * 2011-03-31 2015-03-04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aten
KR20150029697A (ko) 2012-07-11 2015-03-18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포스겐 제조 장치 및 방법
US10059594B2 (en) * 2013-07-26 2018-08-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igh purity phosgene
CN105408250B (zh) 2013-07-26 2018-08-07 沙特基础全球技术有限公司 用于生产高纯光气的方法和装置
EP2896597A1 (de) 2014-01-21 2015-07-22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m An- und Abfahren eines Phosgengenerators
CN105960389A (zh) 2014-02-04 2016-09-21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用于生产碳酸酯的方法
WO2015119981A2 (en) 2014-02-04 2015-08-1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 for producing carbonates
WO2017194293A1 (en) * 2016-05-10 2017-11-16 Huntsman International Llc A process for manufacturing isocyanates and/or polycarbonates
EP3421426A1 (de) * 2017-06-29 2019-01-02 Covestro Deutschland AG Energieeffizientes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phosgen-dampf
US20220212936A1 (en) 2019-04-25 2022-07-07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phosgene
WO2020233921A1 (de) * 2019-05-20 2020-11-26 Basf Se Verfahren und reaktor zur herstellung von phosgen
CN113402383A (zh) * 2020-03-17 2021-09-17 上海祖玥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2-乙基己酸与光气反应合成2-乙基己酰氯的方法
WO2022223203A1 (en) 2021-04-21 2022-10-27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phosge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414A (ja) * 2004-10-15 2005-11-04 Sumitomo Chemical Co Ltd 塩素ガスの除害方法
JP2005305415A (ja) * 2004-03-23 2005-11-04 S T Chem Co Ltd 脱臭除湿剤及び脱臭除湿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09186A5 (en) * 1970-10-06 1972-05-26 France Etat Phosgene - prepd from chlorine and excess carbon monoxide, - partially condensing product and recycling part of gaseous residue
SE416760B (sv) * 1977-08-23 1981-02-02 Volvo Ab Sett for bestemning eller styrning av en katalysators egenskaper och/eller forloppet av den av katalysatorn beroende reaktionen
US4231959A (en) * 1978-02-15 1980-11-04 Stauffer Chemical Company Phosgene manufacture
IL125827A (en) * 1996-02-21 2001-08-08 Du Pont Phosgene manufacturing process
US6054107A (en) * 1996-06-28 2000-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sgene manufacturing process
GB9819079D0 (en) * 1998-09-03 1998-10-28 Bp Chem Int Ltd Carbonylation process
JP2000203824A (ja) * 1999-01-08 2000-07-25 Teijin Chem Ltd ホスゲンの製造方法
JP4290793B2 (ja) * 1999-01-22 2009-07-08 帝人化成株式会社 ホスゲンの製造方法
DE19916856A1 (de) * 1999-04-14 1999-09-23 Eckert Gmbh D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rbonyldichlorid aus Chlor und Kohlenmonoxid
US6399823B1 (en) * 2001-04-30 2002-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phosgene
JP2003154235A (ja) * 2001-11-21 2003-05-27 Canon Inc ガス処理装置及びガス処理方法
ATE309856T1 (de) * 2002-02-27 2005-12-15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sgen
JP4041420B2 (ja) * 2003-03-14 2008-01-30 株式会社日本触媒 気相反応装置の緊急停止方法
US7250530B2 (en) * 2003-07-30 2007-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es and systems for making phosgene
US7813839B2 (en) * 2006-12-14 2010-10-12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 for controlling a production process
DE102007057462A1 (de) 2007-11-29 2009-06-10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sgen mit reduzierter CO-Emission
JP5336828B2 (ja) * 2008-12-02 2013-11-06 三井化学株式会社 塩化カルボニ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0076209A1 (de) 2008-12-16 2010-07-08 Basf Se Reak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sgen
KR101653850B1 (ko) 2008-12-16 2016-09-02 바스프 에스이 포스겐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415A (ja) * 2004-03-23 2005-11-04 S T Chem Co Ltd 脱臭除湿剤及び脱臭除湿器
JP2005305414A (ja) * 2004-10-15 2005-11-04 Sumitomo Chemical Co Ltd 塩素ガスの除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3029A1 (de) 2010-09-16
EP2406181B1 (de) 2020-10-28
CN105540589A (zh) 2016-05-04
JP2012520228A (ja) 2012-09-06
HUE052073T2 (hu) 2021-04-28
EP2406181A1 (de) 2012-01-18
US8993803B2 (en) 2015-03-31
US20110319662A1 (en) 2011-12-29
KR20110138366A (ko) 2011-12-27
CN105540589B (zh) 2018-12-04
CN102348639A (zh) 2012-02-08
PT2406181T (pt) 2020-12-24
JP5681121B2 (ja) 2015-03-04
ES2847290T3 (es)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312B1 (ko) 포스겐의 제조 방법
RU2487116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зоцианатов
US7547801B2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eparation of isocyanates
US7851648B2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isocyanates
US7915444B2 (en) Method for producing diisocyanates
US8288584B2 (en) Process for preparing isocyanates
KR101457240B1 (ko)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방법
CN106554293B (zh) 一种制备无色或浅色多异氰酸酯的方法
EP2490999B1 (en) Isothermal reactor for hydrocarbon nitration
US20230312462A1 (en) Process for producing isocyanates
US20220332587A1 (en) Process and reactor for producing phosgene
KR20230011290A (ko) 이소시아네이트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를 작동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