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09B1 - 테이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테이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09B1
KR101778109B1 KR1020160159992A KR20160159992A KR101778109B1 KR 101778109 B1 KR101778109 B1 KR 101778109B1 KR 1020160159992 A KR1020160159992 A KR 1020160159992A KR 20160159992 A KR20160159992 A KR 20160159992A KR 101778109 B1 KR101778109 B1 KR 10177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lade
frame
guide roll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철
Original Assignee
오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철 filed Critical 오용철
Priority to KR102016015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09B1/ko
Priority to PCT/KR2016/015457 priority patent/WO201810153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4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65H2301/51512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가 칼날에 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한 손으로도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칼날 커버가 테이핑 작업 중 테이프를 접착면에 가압하고, 테이프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테이프의 접착이 용이하고, 칼날 교체가 가능한 테이프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 롤이 장착되는 드럼(20)이 설치되는 프레임(10)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21)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30)와, 상기 프레임(10)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칼날 조립체(40)와, 상기 테이프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21)의 중앙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테이프(21) 주변에 배치되는 중앙표시부(50)로 구성됨으로써, 테이프의 접착이 용이하고, 칼날 조립체의 교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테이프 디스펜서{Tape Dispenser}
본 발명은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를 커팅 후 테이프의 일부분이 칼날에 붙은 상태를 유지하여 테이핑 작업이 용이하고, 공급되는 테이프의 중심점을 표시하는 중앙표시부가 구비되어 테이프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 수납되는 박스는 접착테이프를 통해 밀봉시켜 운반하는데, 이러한 박스 밀봉은 롤러타입의 접착테이프 커팅기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종래의 테이프 커팅기는 통상 두루마리 형태의 접착 테이프가 권취롤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본체의 이동 시 테이프가 박스지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회전식 드럼부재와, 본체 내에 제공되어 테이프의 인출을 안내하는 롤러 부재와, 본체의 전방 선단에 노출된 상태로 제공되는 드럼부재를 중심으로 한 회동 시 박스에 부착된 테이프를 커팅시키는 고정형 커팅날로 구성된다.
박스 포장 시 박스의 절개 부위 시작 위치에 테이프 끝단을 부착시킨다. 끝단이 박스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체를 절개라인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회전되는 드럼부재가 접착테이프를 가압하면서 이동하고, 동시에 가압 회전력에 의해 테이프가 절개부위에 부착된다. 이때 접착 테이프를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하면서 테이프가 연속적으로 인출된다. 이후 테이프의 접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본체를 박스로부터 소정 폭 이격되도록 한 다음 테이프의 표면이 밀착된 드럼부재를 중심으로 본체를 회동시키게 되면 본체의 전방에 설치된 커팅날이 테이프의 표면을 가압하여 절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테이프 커팅기는 테이프를 박스에 부착할 때 절개선을 따라 테이프의 중앙부를 위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칼날에 의해 절단된 테이프가 주변에 붙게 되어 손으로 떼야 하거나, 인출되는 테이프가 부착될 때 밀착되지 못하여 손으로 다시 테이프를 눌러 부착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44762호 "테이프 디스펜서"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14424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문헌 3.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462320호 "상자 포장용 수동 테이프 디스펜서"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선을 따라 테이프의 중앙부를 위치시키기 용이한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날 조립체의 교체 또는 칼날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날 커버를 통해 칼날을 보호함과 동시에 접착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를 가압하여 테이프가 접착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핑 작업 도중 테이프의 역회전을 방지하거나, 테이프를 커팅한 이후 테이프가 칼날에 붙어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 롤이 장착되는 드럼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칼날 조립체; 및 상기 테이프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의 중앙부를 표시하는 중앙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칼날 하우징; 및 상기 칼날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칼날;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 하우징에는, 상기 프레임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 내측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내측 저면에 상기 돌출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고정홈;이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은 복수개의 절단돌기가 구비되고 측단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 선단; 상기 선단과 대향되는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2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 하우징을 복개하는 칼날 커버가 더 포함된다.
상기 칼날 커버는 상기 칼날 하우징의 상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 커버는 상기 칼날 하우징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칼날 커버가 상기 칼날 하우징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 커버의 선단에는 공급되는 테이프가 접착되는 부위에 밀착되도록 굽어져 상기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가 일시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이 멈춤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기 회전 방지턱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디스펜서는 절개선을 따라 테이프의 중앙부를 위치시키기 용이하므로 패키징의 완성도를 올려주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즉 테이프가 부착되는 절개선을 따라 테이프의 중앙영역이 위치하므로 접착면에 균일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디스펜서는 오랜 기간 사용하여 칼날이 무뎌지는 경우, 칼날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제품의 수명이 증가되고 유지비용을 절감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를 이용하여 절단 칼날을 고정시키는 기존 고정구조에 비하여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디자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디스펜서는 칼날커버가 칼날 하우징이나 프레임에 설치되어 칼날을 보호하고, 테이프 접착시에는 회동되면서 테이프를 접착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외력에 의한 칼날의 손상이 방지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테이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디스펜서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디스펜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칼날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칼날 조립체가 부착되는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프레임의 저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테이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테이프 디스펜서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중앙표시부의 외곽선을 따라 천공하고 절곡하여 고정핀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테이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디스펜서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디스펜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칼날 조립체를 분해하여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칼날 조립체가 부착되는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프레임의 저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21)가 감겨진 테이프 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과 드럼(20)이 설치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테이프(21)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30)와, 공급되는 테이프를 절단하는 칼날 조립체(40)로 구성된다.
드럼(2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드럼(20)의 외주면에는 테이프가 감겨진 테이프 롤의 내주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테이프 롤은 드럼(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드럼(20)의 내측에는 프레임(10)에 형성된 지지바(23)가 삽입되는 삽입홀(23a)이 구비된다. 드럼(20) 내측에는 드럼(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2a)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2a)은 드럼(20)의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끝단이 확장된 단면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22a)에는 파지부재(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파이부재(2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길 수 있도록 호형의 외주면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지부재(22)에는 가이드레일(22a)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홈이 형성된다. 파지부재(22)는 가이드레일(22a)를 따라 드럼(20)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된다.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테이프 디스펜서를 파지할 때는 파지부재(22)가 오른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왼손으로 테이프 디스펜서를 파지할 때는 파지부재(22)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파지부재(22)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므로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 모두 쉽게 테이프 디스펜서를 파지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지지바(23)의 끝단은 확장된 단면을 갖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3)가 방사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단면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10)은 일측 프레임(11), 중앙 프레임(12), 타측 프레임(13)이 조립된 구조로서, 드럼(20)의 상부에 드럼(20)을 덮도록 설치된다. 일측 프레임(11)과 타측 프레임(13)이 접하는 일정 부분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각각의 체결부(11a, 13a)가 형성된다. 체결부(11a, 13a)와 대향되는 방향에는 볼트가 체결되어 일측 프레임(11)과 타측 프레임(13)을 고정시키는 또 다른 체결부(13b)가 형성된다. 가이드 롤러(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체결부(13b)에 볼트를 체결하면 일측 프레임(11)과 타측 프레임(13)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가이드 롤러(30)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레임(10)에는 드럼(20)과 가이드 롤러(30)가 설치된다. 드럼(20)은 지지바(23)에 의해 일측 프레임(11)에 고정된다. 지지바(23)는 일측 프레임(11)에 볼트로 고정되거나, 핀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일측 프레임(11)과 타측 프레임(13)의 선단부 하단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턱(15)이 구비된다. 회전방지턱(15)은 가이드 롤러(30) 하단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일차적으로 이동하는 테이프(21)를 가이드 롤러(30)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테이프 롤에서 이탈된 테이프(21)는 다시 테이프 롤로 감기지 않고 재사용이 용이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테이프(21)의 이동이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30)가 가압부재(7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방지턱(15)에 밀착된다. 가이드 롤러(30)가 이동중인 테이프(21)와 함께 회전방지턱(1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 가이드 롤러(30)의 역회전이나 회전이 방지되므로 테이프(21)가 이탈되어 테이프 롤에 역으로 감기거나 다른 부위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테이프(21)를 다시 이동시키면 그 힘에 의해 가압부재(70)가 변형되면서 가이드 롤러(30)의 회전이 진행된다. 가이드 롤러(30)가 회전되면서 테이프는 원활하게 프레임(10)의 선단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에 완충커버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프레임(10)에 완충커버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완충커버가 결합되면 추락 등의 원인으로 인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테이프 디스펜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 조립체(40)는 프레임(10)의 선단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테이프를 절단한다. 칼날 조립체(40)는 칼날(41)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날 하우징(45)으로 구성된다.
칼날 하우징(45)은 선단에 칼날(41)이 결합되도록 요입홈이 형성된다. 칼날 하우징(45)의 선단에 구비된 요입홈은 칼날(41)의 선단은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부는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프레임(10)의 선단에는 가이드홈(47)이 형성된다. 칼날 하우징(45)에는 가이드홈(47)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6)가 형성된다.
고정돌기(46)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이 확장된 단면을 갖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돌기(46)가 가이드홈(4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돌기(46)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홈(47)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10)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홈(47)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홈(47)의 끝단부가 가이드홈(47) 사이 폭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고정돌기(46)는 가이드홈(47)에 쉽게 삽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상면이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경사진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 하우징(45)의 내측 저면에는 돌출부(48)가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된다. 또한 돌출부(48)와 나란하게 고정홈(49)이 형성된다. 고정홈(49)은 칼날(41)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다. 돌출부(48)는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되며,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된 칼날(41)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측면이 경사를 이루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홈(49)은 돌출되는 끝단을 향할수록 폭이 점점 두꺼워지는 구조로 돌출된다.
칼날(41)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절단돌기(42a)가 형성되고 양 측단(43)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 선단(42)과, 상기 선단(42)에 대항되며 칼날 하우징(45)에 결합되는 후단(44)으로 구성된다. 측단과 선단이 이루는 예각은 85도에서 60도가 적합하다. 칼날 하우징의 선단은 칼날(41)의 측단을 감싸는 장변과 단변이 구성된다. 장변은 단변의 길이보다 1.2 내지 1.5 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41)의 선단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절단돌기(42a)는 톱니 형상을 이루도록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절단돌기(42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평행을 이루는 하면으로 이루어진 칼날 비형성부(42c)와, 칼날 비형성부(42c)의 끝단에서 상면을 향해 경사를 칼날 형성부(42b)로 구성된다. 칼날 형성부는 톱니를 이루도록 돌출되는 측면에도 칼날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도 포함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칼날 형성부(42b)와 칼날 비형성부(42c)가 하면 측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칼날 형성부(42b)와 칼날 비형성부(42c)가 상면에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단돌기(42a)에 내측방향으로 칼날 비형성부(42c)가 구비됨으로써, 칼날 형성부(42b)에 의해 절단된 테이프가 칼날 비형성부(42c)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핑 작업을 진행하던 도중에 테이프가 칼날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남겨진 테이프가 임시적으로 칼날 비형성부(42c)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테이핑 작업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절단된 테이프가 칼날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주변에 부착되거나 테이프 롤에 부착되어 한손으로는 테이프 디스펜서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부착된 테이프를 접착면에서 떼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후단(44)은 돌출부(48)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1절곡부(44a)와, 제1절곡부(44a)에서 연장되어 고정홈(49)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2절곡부(44b)로 구성된다. 제1절곡부(44a)는 돌출부(48)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그 간격이 가까워지도록 절곡된다. 제1절곡부(44a)는 'ㄷ'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끝단을 향할수록 그 간격이 가까워지도록 절곡된 구조로 구성되어, 고정홈(49)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는 고정홈(49)의 폭과 제1절곡부(44a)의 간격을 조절하여 꽉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절곡부(44a)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고정홈(49)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2절곡부(44b)는 그 두께가 고정홈(49)의 폭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꽉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 조립체(40)를 이루는 칼날(41)의 상면에는 중앙표시부(50)가 형성된다. 중앙표시부(50)는 바람직하게는 실크스크린 방식에 의하여 인쇄될 수 있다. 중앙표시부(50)는 공급되는 테이프의 중앙지점을 지시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프레임(10)의 선단에는 가이드 롤러(30)가 삽입되는 회동축(14)이 형성된다. 회동축(14)은 일측 프레임(11)과 타측 프레임(13)의 선단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구성된다. 회동축(14)은 일측 프레임(11)이나 타측 프레임(13)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동축(14)의 외경은 가이드 롤러(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가이드 롤러(30)의 내경과 회동축(14)의 외경 사이 간격만큼 가이드 롤러(30)가 이동되면서 가이드 롤러(30)와 회전방지턱(15)의 접촉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 롤러(30)의 회전이 멈춘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30)를 회전 방지턱(15)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70)가 형성된다. 가압부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내측면에서 가이드 롤러(30)를 향해 돌출된다. 가압부재(70)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된다. 가압부재(70)의 끝단에서는 가이드 롤러(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분기된다. 분기된 가압부재(70)의 끝단에 의해 가이드 롤러(30)의 외주면은 안정적으로 회전방지턱(50)을 향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테이프 디스펜서는 칼날(41)의 상면에 중앙표시부(5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박스를 테이핑할 때, 박스의 절개선을 따라 중앙표시부(50)가 위치하도록 한상태에서 테이프(21)를 접착시키면 절개선을 따라 테이프(21)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포장의 완성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 조립체(40)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오랜 시간 사용으로 인해 칼날의 마모가 발생되면, 테이프 디스펜서 전체의 교체가 아니라 칼날 조립체(40) 또는 칼날(41)의 교체를 통해 테이프 디스펜서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테이프 디스펜서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칼날(41)의 제1절곡부(44a)와 제2절곡부(44b)에 의해 칼날(41)이 칼날 하우징(45)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2에 칼날(41)이 칼날 하우징(45)에 결합된 상태로 칼날 하우징(45)을 프레임(10)에 결합시키면 칼날(41)은 프레임(10)의 결합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프레임(10)의 결합면에 의해 칼날 하우징(45)에서 칼날(41)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디스펜서를 이용해 박스의 테이핑 작업을 진행하면 인출되는 테이프의 힘에 의해 가압부재(70)가 변형되면서 가이드 롤러(30)와 회전방지턱(15)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가이드 롤러(30)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30)를 따라 인출되는 테이프는 박스에 부착된다. 테이핑 작업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테이프 디스펜서의 칼날(41)을 테이프(21)에 가깝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테이프(21)를 절단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테이프 디스펜서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에 칼날 하우징(45)의 상면에 결합되는 칼날 커버(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칼날 커버(60)는 칼날 하우징(45)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61)와, 칼날 커버(60)를 칼날 하우징(45)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압부(62)로 구성된다.
칼날 커버(6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칼날 커버(6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 결합부(61)는 칼날 하우징(45)의 상면에 구비된 홀(6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힌지 결합부(61)는 칼날 하우징(45)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61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힌지 결합부(61)는 칼날 하우징(45)의 상면에 구비된 홀(61a)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 바람직하며, 토션스프링의 일측은 칼날 하우징(45)에 고정되고 타측은 칼날 커버(60)에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은 칼날 커버(60)가 칼날 하우징(45)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칼날 커버(60)에 힘을 가한다.
도 10 (a)는 중앙표시부(50)를 외곽선을 따라 천공한 다음 절곡하여 고정핀을 형성한 변형예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 (b)는 도 10(a)의 상하를 뒤집어 도시한 A-A'단면도이다.
상기에서는 중앙표시부(50)를 실크스크린 방식에 의해 인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크스크린 인쇄 대신에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표시부(50)에 해당하는 영역을 천공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41)의 중앙표시부(50)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선단부가 개구된 도형의 형상(예컨대, U자나 V자 형태)으로 천공한 다음,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41)의 선단을 향해 절곡함으로써, 상단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앙표시부(50) 부분이 천공되어 시각적으로 인지될 뿐 아니라, 하단으로 절곡된 부위에 의해 테이프 고정핀(5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천공된 부위는 중앙표시부(50)로서 역할하며, 상기 테이프 고정핀(51)은 테이프 커팅시 테이프를 잡아줌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프레임
20 : 드럼
21 : 테이프
30 : 가이드 롤러
40 : 칼날 조립체
41 : 칼날
45 : 칼날 하우징
50 : 중앙표시부
51 : 테이프 고정핀
60 : 칼날 커버

Claims (7)

  1. 테이프 롤이 장착되는 드럼(20)이 설치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21)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30);
    상기 프레임(10)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칼날 조립체(40); 및
    상기 테이프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21)의 중앙부를 표시하는 중앙표시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30)의 내경(3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회동축(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30)가 일시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턱(1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이 멈춤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기 회전 방지턱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70)가 구비되는 테이프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조립체(40)는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칼날 하우징(45); 및
    상기 칼날 하우징(45)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칼날(41);을 포함하는 테이프 디스펜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하우징(45)에는,
    상기 프레임(10)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6);
    내측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48); 및
    내측 저면에 상기 돌출부(48)과 나란하게 형성된 고정홈(49);이 구비되는 테이프 디스펜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41)은
    복수개의 절단돌기(42a)가 구비되고 측단(43)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 선단(42);
    상기 선단(42)과 대향되는 후단(44)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8)가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1절곡부(44a); 및
    상기 제1절곡부(44a)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49)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2절곡부(44b);를 포함하는 테이프 디스펜서.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하우징(45)을 복개하는 칼날 커버(6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칼날 커버(60)는 상기 프레임(10) 또는 상기 칼날 하우징(45)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테이프 디스펜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조립체(40)는 칼날(41)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41)에 대해, 상기 칼날(41)의 상기 중앙표시부(50)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선단부가 개구된 도형의 형상으로 천공하고, 상기 칼날(41)의 선단방향으로 절곡한 테이프 고정핀(51)을 형성시킨 테이프 디스펜서.
KR1020160159992A 2016-11-29 2016-11-29 테이프 디스펜서 KR10177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92A KR101778109B1 (ko) 2016-11-29 2016-11-29 테이프 디스펜서
PCT/KR2016/015457 WO2018101532A1 (ko) 2016-11-29 2016-12-29 테이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92A KR101778109B1 (ko) 2016-11-29 2016-11-29 테이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109B1 true KR101778109B1 (ko) 2017-09-13

Family

ID=5996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992A KR101778109B1 (ko) 2016-11-29 2016-11-29 테이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8109B1 (ko)
WO (1) WO201810153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315B1 (ko) * 2018-08-06 2019-04-18 오용철 고정 레버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KR20210002809A (ko) * 2019-07-01 2021-01-11 김명부 테이프 부착기
KR102298759B1 (ko) * 2021-04-13 2021-09-03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KR102342272B1 (ko) * 2020-09-10 2021-12-24 김미향 휴대용 물테이프 공급장치
KR20230030418A (ko) * 2021-08-25 2023-03-06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47Y1 (ko) * 2004-09-06 2004-11-26 김광호 박스테이프 커터
KR100779842B1 (ko) * 2006-12-08 2007-11-28 이동수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070B2 (en) * 2002-02-21 2003-12-30 Harrison Huang Tape dispenser
KR20090100699A (ko) * 2008-03-20 2009-09-24 정의현 접착테이프 커터
US10150638B2 (en) * 2013-09-30 2018-12-11 Yong Chul Oh Tape dispen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47Y1 (ko) * 2004-09-06 2004-11-26 김광호 박스테이프 커터
KR100779842B1 (ko) * 2006-12-08 2007-11-28 이동수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315B1 (ko) * 2018-08-06 2019-04-18 오용철 고정 레버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WO2020032332A1 (ko) * 2018-08-06 2020-02-13 오용철 고정 레버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US11396439B2 (en) 2018-08-06 2022-07-26 Yong Chul Oh Tape dispenser having fixing lever
KR20210002809A (ko) * 2019-07-01 2021-01-11 김명부 테이프 부착기
KR102246377B1 (ko) * 2019-07-01 2021-04-28 김명부 테이프 부착기
KR102342272B1 (ko) * 2020-09-10 2021-12-24 김미향 휴대용 물테이프 공급장치
WO2022055247A1 (ko) * 2020-09-10 2022-03-17 김미향 휴대용 물테이프 공급장치
KR102298759B1 (ko) * 2021-04-13 2021-09-03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KR20230030418A (ko) * 2021-08-25 2023-03-06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KR102575299B1 (ko) 2021-08-25 2023-09-06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32A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109B1 (ko) 테이프 디스펜서
EP2459454B1 (en) Cutting unit for labelling machines
JP6424228B2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EP1967475B1 (en) Tape cutter device
KR20110108616A (ko)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
US20030226868A1 (en) Disposable packaging and cutting assembly
JP4641347B2 (ja) スリッタにおける切断装置
EP0629372A1 (en) Shear-cutting paper towel dispenser
KR100842223B1 (ko) 테이프 커팅기용 커팅장치
US2485002A (en) Tape serving machine
KR200409752Y1 (ko) 테이프 부착기
MXPA01012248A (es) Distribuidor de cinta.
JP4724134B2 (ja) 壁紙糊付機用スリッター
JP4143813B2 (ja) 自動壁紙糊付機
KR102575811B1 (ko) 권취형 필름 절단장치
JP2004329309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巻取り具
JP2006347760A (ja) 粘着テープカッタ
KR102575299B1 (ko) 테이프 커터기
KR101250970B1 (ko) 박스 테이프 디스펜서
CN215439012U (zh) 一种带材分条机的切割分条机构
CN117699531A (zh) 接装纸拼接设备、拼接方法及卷烟机
RU123715U1 (ru) Компактный диспенсер для ручной отмотки и обрезки самоклеящейся ленты (варианты)
KR200432792Y1 (ko) 테이프 커팅기용 커팅장치
JP3187593U (ja) フィルム巻き取り装置
JP3143495U (ja) 壁紙糊付機用スリッタ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