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826B1 -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826B1
KR101777826B1 KR1020170016794A KR20170016794A KR101777826B1 KR 101777826 B1 KR101777826 B1 KR 101777826B1 KR 1020170016794 A KR1020170016794 A KR 1020170016794A KR 20170016794 A KR20170016794 A KR 20170016794A KR 101777826 B1 KR101777826 B1 KR 10177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abrasive
polishing cloth
tube
periphe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순애
Original Assignee
함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순애 filed Critical 함순애
Priority to KR102017001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0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flaps or strips arranged around th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바닥면에는 원형의 수용홈과,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중심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관통관이 마련된 원통형의 성형 케이스를 통해 제작되는 연마재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에 대응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수용홈에 밀착되는 원판형의 하부허브; 상기 돌출부에 각각 끼워져 중첩 배치되면서, 하부가 상기 하부허브의 둘레부분과 연접하는 설정된 형상의 연마포 조각편; 상기 관통관에 대응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에 관통 결합되면서, 둘레부분이 상기 연마포 조각편의 상부와 연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둘레부분의 일측에 원형으로 양각된 돌출홈이 마련되는 원판형의 상부허브; 및 상기 상부허브의 둘레부분에 도포되어 하부방향으로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허브, 연마포 조각편, 상부허브를 일체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허브의 둘레부분은, 상기 돌출홈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말단이 상부방향을 바라보도록 굴곡 연장되는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부허브가 연마포 조각편과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연마작업 시에 연마포 조각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SAFETY IMPROVED ABRASIVE}
본 발명은 원형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사포조각과 접착성 물질을 통해 결합하여 중심축 역할을 하는 홀더가 접착성 물질에 대한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상구조를 변화시켜 사포조각과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제작이나 기타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금속재료의 표면은 일정 입도 이상의 거칠기를 가지며, 절삭가공, 용접가공 등의 기계가공과정에서 거친 금속표면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금속의 거친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표면의 가공비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금속표면에 대한 연마작업이 수행된다.
여기서, 금속표면의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연마장치에는 전동 공구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금속표면을 연마하는 휠 형상의 연마재가 포함되는데, 상기 연마재는 그 재료와 구조형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복수개의 사포(페파)조각을 중첩시켜 원형을 이루도록 제작한 사포 휠 연마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상기 사포 휠 연마재는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연마용 사포조각편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중첩되어 적층형성된 원판형 연마포 조립체와, 상기 연마포 조립체의 중공에 배치되어, 접착성을 갖는 수지층에 의해 상기 연마포 조립체의 일부분과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전동 공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설정된 직경의 홀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홀더는 하나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상기 연마포 조립체와의 접착 결합이 불안정하다는 이유로 최근 들어서는, 이중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홀더 형상은 수지층이 도포되면서 실제 접착력을 갖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다는 원론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연마작업 시에 사포조각편의 비산으로 인한 안전사고, 비위생적인 작업환경 등 다양한 문제점이 여전히 야기되고 있으며, 더불어, 수지층의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 제약되어 있으므로, 외관상 깔끔하지 못하다는 단점도 극복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457호(고안의 명칭: 연마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원형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사포조각과 접착성 물질을 통해 결합하여 중심축 역할을 하는 홀더가 접착성 물질에 대한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상구조를 변화시켜 사포조각과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사포조각으로도 균일한 정렬이 가능해지므로, 사포조각의 정렬을 위한 복잡한 가공이 불필요해지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지지구조에 의해 관통되는 홀더가 중심부의 연장을 통해 상호 밀착되도록 하여 접착성 물질의 도포 시에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견고한 중심축에 의해 연마작업 시에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는, 내측 바닥면에는 원형의 수용홈과,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중심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관통관이 마련된 원통형의 성형 케이스를 통해 제작되는 연마재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에 대응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수용홈에 밀착되는 원판형의 하부허브; 상기 돌출부에 각각 끼워져 중첩 배치되면서, 하부가 상기 하부허브의 둘레부분과 연접하는 설정된 형상의 연마포 조각편; 상기 관통관에 대응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에 관통 결합되면서, 둘레부분이 상기 연마포 조각편의 상부와 연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둘레부분의 일측에 원형으로 양각된 돌출홈이 마련되는 원판형의 상부허브; 및 상기 상부허브의 둘레부분에 도포되어 하부방향으로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허브, 연마포 조각편, 상부허브를 일체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허브의 둘레부분은, 상기 돌출홈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말단이 상부방향을 바라보도록 굴곡 연장되는 만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한 형상에 의해 상기 말단이 상기 돌출홈과 설정된 간격을 갖게 되어 상기 도포되는 접착부재에 대한 수용면적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허브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 시에, 상기 수용홈의 테두리에 일측이 걸리도록 굴절 연장된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포 조각편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허브는, 상기 관통관의 외면둘레를 따라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연접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허브의 직경은, 상기 하부허브의 직경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는, 원형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마포 조각편과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하여 중심축 역할을 하는 상부허브가 접착부재에 대한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곡선구조로 변화시켜 연마포 조각편과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연마작업 시에 연마포 조각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단순하게 제작되는 연마포 조각편으로도 균일한 정렬이 가능해지므로, 연마포 조각편의 정렬을 위한 복잡한 가공이 불필요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관통관에 의해 관통되는 하부허브와 상부허브가 관통관의 외면둘레를 따라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통해 상호 밀착되도록 하여 접착부재의 도포 시에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상호 관통공 테두리의 견고한 밀착에 의해 연마작업 시에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성형 케이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연마재의 상부홀더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상기 연마재의 하부홀더 및 연마포 조각편이 성형 케이스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연마재의 제작이 완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성형 케이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연마재의 상부홀더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연마재의 하부홀더 및 연마포 조각편이 성형 케이스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연마재의 제작이 완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바닥면에는 원형의 수용홈(11)과,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2)가 마련되고, 중심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관통관(13)이 마련된 원통형의 성형 케이스(10)를 통해 제작되는 연마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100)는 하부허브(110), 연마포 조각편(120), 상부허브(130) 및 접착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 케이스(10)는 후술될 구성요소들을 배치시켜 일체로 결합된 상기 연마재(100)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 틀로서, 설정된 수용공간(10a)이 마련되도록 연직방향으로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다양한 공지의 플라스틱 소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형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성형 케이스(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바닥면 중심으로부터 설정된 직경과 높이를 가지면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관통관(13)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내측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관통관(13)이 마련된 외측방향에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직경을 이루면서 음각 형성된 원형의 수용홈(1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1)은 좀 더 구체적으로, 하부방향으로 음각되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두리 부분에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면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1)의 중심부근에는 설정된 직경을 가지면서 돌출되도록 양각된 양각부(11b)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성형 케이스(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2)가 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돌출부(12)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후술될 연마포 조각편(120)이 끼워져 중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허브(110)는 후술될 상부허브(130)와 분리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과의 접착 결합에 의해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홀더로서, 상기 성형 케이스(10)의 관통관(13)에 대응하는 제1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13)에 관통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홈(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수용홈(11)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허브(110)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홈(11)의 곡면부(11a) 및 양각부(11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허브 둘레부분(110a)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제1 간격(11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부허브(110)는, 상기 수용홈(11)에 수용 시에, 상기 수용홈(11)의 테두리에 일측이 걸리도록 굴절 연장된 걸림턱(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간격(112) 및 걸림턱(113)에 의해 상기 하부허브(110)는 상기 수용홈(11)으로 후술될 접착부재(140)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은 회전에 의해 설정된 표면을 연마하도록 각각의 단위 조각으로 이루어진 날으로서, 설정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성형 케이스(10)의 돌출부(12)에 각각 끼워져 중첩 배치되면서, 하부 일부분이 상기 하부허브 둘레부분(110a)과 연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의 중첩 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적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강사나 유리, 규석 등의 가루를 발라 붙인 천으로 제작된 사포(페파)날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상부허브(130)는 상술한 하부허브(110)와 함께,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과의 접착 결합에 의해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을 고정 및 지지하는 홀더로서, 상기 관통관(13)에 대응하는 제2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13)에 관통 결합되면서, 상부허브 둘레부분(130a)이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의 상부 일부분과 연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허브(130)는 하부허브(110)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하부허브(110)와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허브(110)와 함께, 상기 원형으로 이루어진 연마포 조각편(120)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공(131)은 전술한 상기 하부허브(110)의 제1 관통공(111)과 함께, 전동 공구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며, 이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허브(130)는 하부허브(110)에 대응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허브 둘레부분(130a)의 일측에 원형으로 양각된 돌출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허브 둘레부분(130a)은 상기 돌출홈(132)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말단이 상부방향을 바라보도록 굴곡 연장되는 만곡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만곡부(1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만곡한 형상에 의해 상기 말단이 상기 돌출홈(132)과 설정된 제2 간격(134)을 갖게 되어 상기 접착부재(140)에 대한 상기 상부허브(130)의 수용면적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133)의 형상에 따른 가압에 의해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의 설치각도에 대한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 정렬을 위한 분리, 절단 등의 복잡한 가공을 수행할 필요 없이, 단순한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으로도 균일한 정렬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허브(130)는 관통관(13)의 외면둘레를 따라 상기 제2 관통공(131)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111)과 연접하는 연장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135)에 의해 상기 제1,2 관통공(111, 131)은 상호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140)의 도포 시에 상기 제1,2 관통공(111, 131)의 틈새로 상기 접착부재(140)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밀착에 의해 연마작업 시에 진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허브(130)의 직경은 상기 하부허브(1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허브(110)의 제1 간격(112) 범위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허브(130)에서부터 도포된 상기 접착부재(140)는 하부방향으로 흡수되면서 상기 제1 간격(112) 범위 밖으로 유출되는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40)는 상기 하부허브(110), 연마포 조각편(120), 상부허브(130)를 일체 결합시키는 접착성 재료로서, 상기 상부허브 둘레부분(130a)에 도포되어 하부방향으로 흡수되면서 상기 연마포 조각편(120)과 접촉하고, 나아가, 상기 하부허브(110)에까지 이르러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접착부재(14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는 접착성 액상물질이 바람직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굽힘강도,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가 취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접착성 수지가 취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100)는, 원형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마포 조각편(120)과 접착부재(140)를 통해 결합하여 중심축 역할을 하는 상부허브(130)가 접착부재(140)에 대한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곡선구조로 변화시켜 연마포 조각편(120)과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연마작업 시에 연마포 조각편(12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단순하게 제작되는 연마포 조각편(120)으로도 균일한 정렬이 가능해지므로, 연마포 조각편(120)의 정렬을 위한 복잡한 가공이 불필요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관통관(13)에 의해 관통되는 하부허브(110)와 상부허브(130)가 관통관(13)의 외면둘레를 따라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5)를 통해 상호 밀착되도록 하여 접착부재(140)의 도포 시에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상호 제1,2 관통공(111, 131) 테두리의 견고한 밀착에 의해 연마작업 시에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성형 케이스 10a : 수용공간
11 : 수용홈 11a : 곡면부
11b : 양각부 12 : 돌출부
13 : 관통관 100 : 연마재
110 : 하부허브 110a : 하부허브 둘레부분
111 : 제1 관통공 112 : 제1 간격
113 : 걸림턱 120 : 연마포 조각편
130 : 상부허브 130a : 상부허브 둘레부분
131 : 제2 관통공 132 : 돌출홈
133 : 만곡부 134 : 제2 간격
135 : 연장부 140 : 접착부재

Claims (6)

  1.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에 있어서,
    내측 바닥면에는 원형의 수용홈과,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중심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관통관이 마련된 원통형의 성형 케이스;
    상기 관통관에 대응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수용홈에 밀착되며, 상기 수용홈에 수용시 상기 수용홈의 테두리에 일측이 걸리도록 굴절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의 하부허브;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허브의 둘레부분과 연접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각각 끼워져 중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마포 조각편;
    상기 관통관에 대응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관에 관통 결합되면서 둘레부분이 상기 연마포 조각편의 상부와 연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둘레부분의 일측에 원형으로 양각된 돌출홈이 마련되며, 상기 돌출홈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말단이 상부방향을 바라보도록 굴곡 연장되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의 상부허브; 및
    상기 상부허브의 둘레부분에 도포되어 하부방향으로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허브, 상기 연마포 조각편 및 상기 상부허브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마재는,
    상기 성형 케이스의 상기 수용홈에 상기 하부허브를 배치하고, 복수의 상기 연마포 조각편을 상기 성형 케이스의 상기 돌출부에 각각 배치한 후, 상기 상부허브를 결합한 다음, 상기 상부허브의 둘레부분에 상기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상기 하부허브, 상기 연마포 조각편, 상기 상부허브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만곡부의 형상에 따른 가압에 의해 상기 연마포 조각편의 설치각도에 대한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연마포 조각편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가공을 수행할 필요 없이 직사각형의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상기 연마포 조각편의 균일한 정렬이 가능해지며,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시 상기 하부허브의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수용홈으로 상기 접착부재가 흘러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만곡부의 만곡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접착부재에 대한 수용면적과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각각의 상기 연마포 조각편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연마작업시 상기 연마포 조각편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한 형상에 의해 상기 말단이 상기 돌출홈과 설정된 간격을 갖게 되어 상기 도포되는 접착부재에 대한 수용면적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허브는,
    상기 관통관의 외면둘레를 따라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연접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허브의 직경은,
    상기 하부허브의 직경보다 작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KR1020170016794A 2017-02-07 2017-02-07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KR10177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94A KR101777826B1 (ko) 2017-02-07 2017-02-07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94A KR101777826B1 (ko) 2017-02-07 2017-02-07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826B1 true KR101777826B1 (ko) 2017-09-12

Family

ID=5992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794A KR101777826B1 (ko) 2017-02-07 2017-02-07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955B1 (ko) * 2019-01-01 2019-06-20 최정식 배관 플랜지의 씰 페이스 연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61Y1 (ko) * 2005-06-03 2005-09-20 김봉철 연마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61Y1 (ko) * 2005-06-03 2005-09-20 김봉철 연마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955B1 (ko) * 2019-01-01 2019-06-20 최정식 배관 플랜지의 씰 페이스 연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444B (zh) A polishing pad dresser with a brush holder
KR101777826B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마재
CN103465184B (zh) 砂布轮及其制造方法
KR200467032Y1 (ko) 평면 및 곡면 연마용 디스크
CN101480788A (zh) 一种磨片及其制备方法
KR102052501B1 (ko)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KR102384837B1 (ko) 그라인더의 환경친화형 휠페이퍼
CN211439612U (zh) 耐磨磨片
KR101849166B1 (ko)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디스크
JP3053622B1 (ja) フラップホイール
KR102415092B1 (ko) 가공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그라인딩 공구의 제조방법
CN110883708B (zh) 一种磨片的制备方法
JP2017019062A (ja) 研磨ディスク及びその研磨ディスクの製造方法
CN104802100A (zh) 钎焊金刚石百叶轮
KR102138127B1 (ko) 석재 가공용 커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석재 가공용 커터
TW201505772A (zh) 砂布輪及其製造方法
JP2020508890A (ja) ワンタッチホルダー用固定部を取り付けた研磨ディスク
CN210819176U (zh) 砂轮
WO2016166852A1 (ja) 砥材および回転研磨工具
CN212887107U (zh) 一种碟形砂轮
CN208854417U (zh) 一种高厚度砂轮组
CN216299022U (zh) 一种超宽组合倒角砂轮
JP5973787B2 (ja) 光学素子加工用工具、砥石保持工具、光学素子加工用工具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並びに、光学部材の製造方法
KR200397729Y1 (ko) 그라인더용 연마디스크
JP4128413B2 (ja) 研磨ホイールの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