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002B1 -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002B1
KR101777002B1 KR1020150093892A KR20150093892A KR101777002B1 KR 101777002 B1 KR101777002 B1 KR 101777002B1 KR 1020150093892 A KR1020150093892 A KR 1020150093892A KR 20150093892 A KR20150093892 A KR 20150093892A KR 101777002 B1 KR101777002 B1 KR 10177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pring
cushion
foundation
low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062A (ko
Inventor
원인희
Original Assignee
원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희 filed Critical 원인희
Priority to KR102015009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0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 A47C23/0522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using meta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7Attaching, or interconnecting of, springs in spring inlays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지점으로 활용되는 스프링 캡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수직한 쿠션 운동이 유발되고 충격이 분산되어 쿠션이 월등히 향상되며, 쿠션 스프링의 설치 조립이 용이토록 한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은, 하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일정 간격을 가지고 격자 배열되어 압축력에 탄성 반발하면서 수축하는 다수의 쿠션스프링과; 상기 다수의 쿠션스프링에 각기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캡과; 상기 하부 패널의 상방측 일정 높이에 다수의 강선이 횡열로 배치되어 어긋난 +자 형태로 교차하여 상기 스프링 캡과 결속되는 강선 교차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 캡의 완충 이동시 균형을 잡아주는 캡 밸런스 메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Foundation for matress cushion}
본 발명은 침대에 적용되는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션 지점으로 활용되는 스프링 캡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충격이 분산되어 쿠션이 월등히 향상되며, 쿠션 스프링의 설치 조립이 용이토록 한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용 파운데이션은 이중으로 매트리스를 적층하여 사용할 경우에 하부매트리스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 파운데이션은 투 매트리스 사용시 상부매트리스를 지지함은 물론 매트리스들간의 상호 완충작용을 통해 이중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파운데이션은 목재로 된 하부 패널과 메쉬 형상의 상부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하부 패널과 상부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부패널 및 상부프레임의 둘레면에 완충재와 커버재를 각각 씌워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27107호로서,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 또는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탄성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과 둘레면에 씌워지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에 구성되고 커버부에 의해 밀봉되는 완충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운데이션에 완충부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파운데이션에 주변물품이나 사람이 충돌하더라도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 프레임을 다수의 탄성스프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탄성스프링의 상단이 탄성 반발력의 지점이 된다. 이 경우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탄성스프링은 변형이 이루어져 탄성 반발력을 제대로 발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탄성 반발력의 지점이 선형으로 이루어져 고른 하중의 분산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충격이 고르게 분산되어 쿠션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27107호(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쿠션 지점으로 활용되는 스프링 캡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충격이 분산되어 쿠션이 월등히 향상되며, 쿠션 스프링의 설치 조립이 용이토록 한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은,
하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일정 간격을 가지고 격자 배열되어 압축력에 탄성 반발하면서 수축하는 다수의 쿠션스프링과;
상기 다수의 쿠션스프링에 각기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캡과;
상기 하부 패널의 상방측 일정 높이에 다수의 강선이 횡열로 배치되어 어긋난 +자 형태로 교차하여 상기 스프링 캡과 결속되는 강선 교차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 캡의 완충 이동시 균형을 잡아주는 캡 밸런스 메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스프링은
하단과 상단이 각기 원형으로 동일 방향으로 1회 권취된 환형 단부를 이루고, 양쪽 환형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은 1회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나선부를 이루어 Z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캡은,
평탄한 원형의 캡 플랜지와;
캡 플랜지의 하면에 돌출되고 스프링 결속용 환형홈을 갖는 원통부와;
원통부에서 연장된 테이퍼부와;
캡 플랜지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캡 연결공과;
상기 원통부에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차되는 강선의 어긋난 높이만큼의 간극을 가지고 상호 교차되는 강선 결속용 슬롯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플랜지의 밑면에는 강선 교차부에 지지되는 스프링 캡의 지지위치를 더 넓게 확장시키도록 4개소에 강선에 거치되는 거치홈을 갖는 강선 거치블록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에 쿠션스프링의 조립을 안내하는 스프링 안내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에 쿠션스프링의 조립을 안내하는 스프링 안내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웃한 스프링 캡을 연결하여 완충 면적의 증가와 스프링 캡의 수직 운동을 이웃한 스프링 캡과 동기화시키는 캡 싱크로나이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싱크로나이저는 일자형으로,
양단에 스프링 캡의 캡 연결공에 테이퍼 끼움 결합되는 결합용 헤드부와;
양쪽 결합용 헤드부를 연결하는 아암과;
상기 결합용 헤드부에 각기 강선을 결속시키기 위해 상호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는 강선 결속용 슬롯과;
상기 아암의 밑면에 강선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 이탈방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싱크로나이저는 열십자형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프링 캡의 캡 연결공에 테이퍼 끼움 결합되는 중앙 결합용 헤드부와;
중앙 결합용 헤드부에 둘레로 일단이 연결되어 90도 간격마다 배치된 4개의 아암과;
4개의 아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프링 캡과 이웃한 4개의 스프링 캡에 각기 끼움 결합되는 에지 결합용 헤드부와;
상기 중앙 및 에지 결합용 헤드부에 각기 강선을 결속시키기 위해 상호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는 강선 결속용 슬롯과;
상기 아암의 밑면에 강선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 이탈방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에 따르면, 쿠션 지점으로 활용되는 스프링 캡의 설치를 강선 결속용 슬롯을 통해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간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쿠션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 캡의 상하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캡 싱크로나이저를 매개로 이웃한 스프링 캡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여 기울어짐이 없이 수직한 운동이 유발되고 충격이 분산되어 쿠션이 월등히 향상된다.
또한, 스프링 캡에 스프링 결속용 환형홈 또는 결속용 반구형 돌기를 이용함으로써 스프링 캡이 쿠션스프링에 용이하게 조립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프링 캡과 쿠션스프링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프링 캡의 저면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변형된 스프링 캡과 쿠션스프링의 분해사시도 및 조립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또 다른 변형된 스프링 캡의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또 다른 변형된 스프링 캡의 정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의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12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의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10)은 침대에서 이중으로 매트리스를 적층하여 사용할 경우, 하부매트리스(또는 스프링박스)에 적용된다. 매트리스용 파운데이션은 매트리스 사용시 상부매트리스를 지지함은 물론 매트리스들간의 상호 완충작용을 통해 이중의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10)은 도 1과 같이 쿠션 지점으로 활용되는 스프링 캡(16)의 설치를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쿠션스프링(14)으로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 캡(16)의 상하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웃한 스프링 캡(16)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여 기울어짐이 없이 수직한 운동이 유발되고 충격이 분산되어 쿠션이 월등히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쿠션 스프링(14)의 설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10)은 기본적으로 하부 패널(12), 쿠션스프링(14), 스프링 캡(16), 캡 밸런스 메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2가지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2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하부 패널(12)은 파운데이션의 하부에 마련되어 바닥에 지지되고, 상면에 쿠션스프링(14)이 다수의 행 및 열로 배열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하부패널(12)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목재로 구성되어 쿠션스프링(14)이 타카(Tacker)장비를 통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스프링(14)은 하부 패널(12)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일정 간격을 가지고 격자 배열되어 있다. 쿠션스프링(14)은 압축력에 탄성 반발하면서 수축하는 것으로, 횡과 열이 교차되는 교차 부위마다 설치되어 다수개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쿠션스프링(14)은 상부매트리스를 지지하고 완충작용을 통해 쿠션력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쿠션스프링(14)은 하단과 상단이 각기 원형으로 동일 방향으로 1회 권취된 환형 단부(141,142)를 이루고, 양쪽 환형 단부(141,142)를 연결하는 부분은 1회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나선부(143)를 이루어 Z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같이 본 실시 예에서 쿠션스프링(14)은 Z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탄성 반발력이 뛰어나고 큰 힘에 압축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스프링 캡(16)은 다수의 쿠션스프링(14)에 각기 상단에 결합되어 쿠션의 지점력으로 작용한다.
스프링 캡(16)은 평탄한 원형의 캡 플랜지(161)와, 캡 플랜지(161)의 하면에 돌출되고 스프링 결속용 환형홈(162a)을 갖는 원통부(162)와, 원통부(162)에서 연장된 테이퍼부(169)와, 캡 플랜지(161)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캡 연결공(163)과, 원통부(162)에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차되는 강선(181,182)의 어긋난 높이만큼의 간극(G)을 가지고 상호 교차되는 강선 결속용 슬롯(164,165)이 구비되어 있다. 강선 결속용 슬롯(164,165)은 원통부(162)의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 구간 절개된 형태이다.
이같이 스프링 캡(16)은 원통부(162)의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 구간 절개된 형태의 강선 결속용 슬롯(164,165)이 구비되어 있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스프링 캡(16)을 캡 밸런스 메쉬(18)에 끼워넣는 것으로 강선(181,182)에 쉽게 조립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스프링 캡(16)은 부가적으로 캡 플랜지(161)의 밑면 90도 간격마다 모두 4개소에 강선(181,182)에 거치되는 거치홈(166a)을 갖는 강선 거치블록(16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캡 밸런스 메쉬(18)측 강선 교차부(183)에 지지되는 스프링 캡(16)의 지지위치를 더 넓게 확장시켜 쿠션동작시 스프링 캡(16)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스프링 캡(16)은 테이퍼부(169)에 쿠션스프링(14)의 환형 단부(142) 조립을 안내하는 스프링 안내돌기(169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도 11과 같이 테이퍼부(169)에 쿠션스프링(14)의 환형 단부(142) 조립을 안내하는 스프링 안내홈(169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안내돌기(169a)와 스프링 안내홈(169b)은 테이퍼부(169)에 나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쿠션스프링(14)의 환형 단부(142)가 안내되어 스프링 캡(16)의 스프링 결속용 환형홈(162a)에 쉽게 조립되도록 유도한다.
도 1과 같이 캡 밸런스 메쉬(18)는 하부 패널(12)의 상방측 일정 높이에 다수의 강선(181,182)이 횡열로 배치되어 어긋난 +자 형태로 교차하여 스프링 캡(16)과 결속되는 강선 교차부(183)를 갖는다. 캡 밸런스 메쉬(18)는 스프링 캡(16)의 완충 이동시 강선(181,182)을 매개로 균형을 잡아준다.
한편, 도 2 및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은 이웃한 스프링 캡(16과 16)을 연결하여 완충 면적의 증가와 스프링 캡(16)의 수직 운동을 이웃한 스프링 캡(16)과 동기화시키는 캡 싱크로나이저(20 또는 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캡 싱크로나이저(20)는 2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제1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는 일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양단에 스프링 캡(16)의 캡 연결공(163)에 테이퍼 끼움 결합되는 결합용 헤드부(201,201')와, 양쪽 결합용 헤드부(201,201')를 연결하는 아암(202)과, 결합용 헤드부(201,201')에 각기 강선(181,182)을 결속시키기 위해 상호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는 강선 결속용 슬롯(203,204)과, 아암(202)의 밑면에 강선(181 또는 182)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 이탈방지홈(205)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같이 제1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는 도 2와 같이 이웃한 스프링 캡(16과 16)을 연결시킴으로써 이웃한 스프링 캡(16과 16) 중 어느 하나의 상하 동작시 다른 하나도 캡 싱크로나이저(20)를 통해 연동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완충력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동작하는 스프링 캡(16)의 안정되고 수직한 운동 자세를 유도하게 된다.
이때 제1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으로 캡 밸런스 메쉬(18)에 배열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12c와 같이 제2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는 열십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3 및 도 12c와 같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프링 캡(16)의 캡 연결공(163)에 테이퍼 끼움 결합되는 중앙 결합용 헤드부(201a)와, 중앙 결합용 헤드부(201a)에 둘레로 일단이 연결되어 90도 간격마다 배치된 4개의 아암(202a)과, 4개의 아암(202a)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프링 캡(16)과 이웃한 4개의 스프링 캡(16)에 각기 끼움 결합되는 에지 결합용 헤드부(201a')와, 중앙 및 에지 결합용 헤드부(201a,201a')에 각기 강선(181,182)을 결속시키기 위해 상호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는 강선 결속용 슬롯(203,204)과, 아암(202a)의 밑면에 강선(181 또는 182)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 이탈방지홈(205a)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같이 제2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는 중앙에 1개의 스프링 캡(16)을 그 주변으로 4개의 스프링 캡(16,16,16,16)을 연결시킴으로써 모두 5개의 스프링 캡(16) 중 어느 하나의 상하 동작시 다른 것들도 캡 싱크로나이저(20)를 통해 연동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완충력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동작하는 스프링 캡(16)의 안정되고 수직한 운동 자세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하부 패널(12)에 쿠션스프링(14)을 조립한다. 쿠션스프링(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캡 밸런스 메쉬(18)의 강선(181,182) 교차부위마다 설치되어 하부 패널(12)에 다수개로 배열 고정된다.
그 다음, 캡 밸런스 메쉬(18)에 스프링 캡(16)을 조립한다.
스프링 캡(16)은 캡 밸런스 메쉬(18)의 강선(181,182)이 교차되는 강선 교차부(183)마다 조립된다. 도 5와 같이 조립 방법은 스프링 캡(16)의 강선 결속용 슬롯(164,165)에 강선(181,182)의 강선 교차부(183)를 집어넣어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그 다음, 스프링 캡(16)을 쿠션스프링(14)에 조립한다.
이는 스프링 캡(16)측 원통부(16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프링 결속용 환형홈(162a)에 쿠션스프링(14)의 상단측 환형 단부(142)를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면 캡 밸런스 메쉬(18)는 스프링 캡(16)에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추가적으로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 또는 20')가 더 조립될 수 있다. 제1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는 결합용 헤드부(201,201')를 통해 스프링 캡(16)에 조립되고, 제2 형태의 캡 싱크로나이저(20')는 중앙 결합용 헤드부(201a)와 에지 결합용 헤드부(201a')를 통해 스프링 캡(16)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10)은 쿠션 지점으로 활용되는 스프링 캡(16)의 설치를 강선 결속용 슬롯(164,165)을 통해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쿠션스프링(14)으로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 캡(16)의 상하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캡 싱크로나이저(20 또는 20')를 매개로 이웃한 스프링 캡(16)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여 기울어짐이 없이 수직한 운동이 유발되고 충격이 분산되어 쿠션이 월등히 향상된다.
또한, 쿠션스프링(14)은 스프링 안내돌기(169a)나 스프링 안내홈(169b)을 통해 스프링 캡(16)의 스프링 결속용 환형홈(162a)에 결속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하부 패널
14: 쿠션스프링
141,142: 환형단부
143: 나선부
16: 스프링 캡
18: 캡 밸런스 메쉬
181,182: 강선
183: 강선교차부
20,20': 캡 싱크로나이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하부 패널(12)과;
    하부 패널(12)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일정 간격을 가지고 격자 배열되어 압축력에 탄성 반발하면서 수축하는 다수의 쿠션스프링(14)과;
    상기 다수의 쿠션스프링(14)에 각기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캡(16)과;
    상기 하부 패널(12)의 상방측 일정 높이에 다수의 강선(181,182)이 횡열로 배치되어 어긋난 +자 형태로 교차하여 상기 스프링 캡(16)과 결속되는 강선 교차부(183)를 갖고 상기 스프링 캡(16)의 완충 이동시 균형을 잡아주는 캡 밸런스 메쉬(18);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캡(16)은,
    평탄한 원형의 캡 플랜지(161)와;
    캡 플랜지(161)의 하면에 돌출되고 스프링 결속용 환형홈(162a)을 갖는 원통부(162)와;
    원통부(162)에서 연장된 테이퍼부(169)와;
    캡 플랜지(161)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캡 연결공(163)과;
    상기 원통부(162)에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차되는 강선(181,182)의 어긋난 높이만큼의 간극(G)을 가지고 상호 교차되는 강선 결속용 슬롯(164,16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랜지(161)의 밑면에는 강선 교차부(183)에 지지되는 스프링 캡(16)의 지지위치를 더 넓게 확장시키도록 4개소에 강선(181,182)에 거치되는 거치홈(166a)을 갖는 강선 거치블록(166)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169)에 쿠션스프링(14)의 조립을 안내하는 스프링 안내돌기(169a)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93892A 2015-07-01 2015-07-01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KR10177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92A KR101777002B1 (ko) 2015-07-01 2015-07-01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92A KR101777002B1 (ko) 2015-07-01 2015-07-01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62A KR20170004062A (ko) 2017-01-11
KR101777002B1 true KR101777002B1 (ko) 2017-09-08

Family

ID=5783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892A KR101777002B1 (ko) 2015-07-01 2015-07-01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338A (ko) 2019-08-27 2021-03-09 이미선 파운데이션 일체형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7223B2 (en) 2018-06-06 2020-04-14 Steven Bayer Independent spring support structure
CN112674539A (zh) * 2019-10-17 2021-04-20 厦门新技术集成有限公司 用于家具的弹性模块和弹性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009A (ja) * 1998-08-05 2000-02-22 Tetsuo Tokuda スプリング構成体
JP2007275543A (ja) * 2006-04-07 2007-10-25 Ace Bed Co Ltd 接触防止及び剛性補強構造を有するベッドマットレス用スプ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07B1 (ko) 2013-01-04 2014-08-07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009A (ja) * 1998-08-05 2000-02-22 Tetsuo Tokuda スプリング構成体
JP2007275543A (ja) * 2006-04-07 2007-10-25 Ace Bed Co Ltd 接触防止及び剛性補強構造を有するベッドマットレス用スプリ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338A (ko) 2019-08-27 2021-03-09 이미선 파운데이션 일체형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62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799B2 (en) Advanced conformance encased coil spring units
KR101777002B1 (ko)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US6427990B1 (en) Spring body
CN103313629B (zh) 床垫内置弹簧插入物和支撑物
EP2853176A1 (en) High tension coil spring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al noise
US7216859B2 (en) Damping arrangement
KR101718229B1 (ko) 상단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
US7063309B2 (en) Mattress spring structure
KR102037625B1 (ko)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하단 매트리스 및 그 제작 방법
AU2013270541B2 (en) High tension coil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 noise
US5005809A (en) Spring element for a foundation unit and foundation unit employing a spring element
KR20200071963A (ko) 쿠션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한 하단 매트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718230B1 (ko) 하단 매트리스 지지프레임
EP0775269B1 (en) Improved multi-fold interlockable spring module for use in mattress foundation structures
US4721290A (en) Bent wire spring unit
KR101678870B1 (ko) 매트리스 지지대
KR20120081300A (ko) 매트리스용 파운데이션
US7546647B1 (en) Bedding foundation and support module therefor
KR102253541B1 (ko) 침대 매트리스
US5149064A (en) Foundation unit edge support system
KR102165892B1 (ko)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모듈형 침대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US6272700B1 (en) Dual layer bedding or seating product
KR200234624Y1 (ko)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JP5078760B2 (ja) パーティション板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