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624Y1 -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 Google Patents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624Y1
KR200234624Y1 KR2020010006365U KR20010006365U KR200234624Y1 KR 200234624 Y1 KR200234624 Y1 KR 200234624Y1 KR 2020010006365 U KR2020010006365 U KR 2020010006365U KR 20010006365 U KR20010006365 U KR 20010006365U KR 200234624 Y1 KR200234624 Y1 KR 200234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ed
square frame
trumpet
out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귀태
Original Assignee
조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귀태 filed Critical 조귀태
Priority to KR2020010006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624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의 상단이 상부 사각틀채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되고,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의 하단은 하부 사각틀채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되는 침대스프링에 있어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상기 나팔형스프링(4)의 중간부에 중간 사각틀채(3)가 클립(6)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침대스프링이 적용된 침대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눕게 되면, 비교적 많이 권선된(여기서는 8조) 침대스프링이 중간 사각틀채(3)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침대스프링은 하중을 받은 방향인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침대스프링의 쿠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은 물론 스프링의 피로도가 감소됨에 따라 침대스프링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spring for bed}
본 고안은 침대에 적용되는 침대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팔형 스프링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침대스프링을 잡아주는 상,하부 사각틀채 사이에또 하나의 사각틀채를 설치하여 침대스프링이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고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침대의 쿠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침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된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우리생활에 빼 놓을 수 없는 생활가구로 자리 잡고 있고, 이 침대는 우리 체형에 맞게 해를 거듭할수록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침대 매트리스는 철제 와이어로 엮어진 침대 프레임의 내부에 스프링을 다수 배열하여 놓고, 그 상하측으로 팜록, 우레탄층, 순모층 등의 쿠션 완화재를 적층한 다음에 외부 전체를 미장포로 피복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침대의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스프링부재 즉, 침대스프링이라 할 수 있는데, 종래의 침대스프링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30)의 상단이 상부 사각틀채(10)에 고정용 클립(5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 스프링(30)의 하단이 하부 사각틀채(20)에 역시 고정용 클립(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들 나팔형스프링(30)은 코일스프링(40)에 의해 서로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침대 스프링은 상부 사각틀채(10)와 하부 사각틀채(20)에 나팔형스프링(30)과 코일스프링(40)이 얽혀져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침대스프링은 하중을 받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쿠션을 형성하나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쿠션효과가 떨어지고 결국 침대스프링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 사각틀채와 하부 사각틀채 사이에 중간 사각틀채를 보강함으로써 침대스프링이 하중을 받을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의 상단이 상부 사각틀채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되고,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의 하단은 하부사각틀채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되는 침대스프링에 있어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상기 나팔형스프링(4)의 중간부에 중간 사각틀채(3)가 클립(6)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스프링을 일부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스프링을 일부만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스프링의 상세도,
도 4는 종래의 기술로서 도 1에 대응되는 침대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사각틀채, 2 --- 하부 사각틀채,
3 --- 중간 사각틀채, 4,4' --- 나팔형스프링,
5,5' --- 코일스프링, 6 --- 고정용 클립.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스프링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스프링의 상세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4)의 상단이 상부 사각틀채(1)에 고정용 클립(6)으로 고정되고,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4)의 하단은 하부 사각틀채(2)에 고정용 클립(6)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 나팔형스프링(4)과 이웃하는 나팔형스프링(4')의 상,하단은 코일스프링(5)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 스프링(4)의 중간부는 중간 사각틀채(3)에 의해 역시 고정용 클립(6)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침대스프링은 천과 같은 부재에 의해 씌워져 재봉되어 메트리스로 된다. 즉, 일정하게 배열되어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진 상기 침대스프링이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침대스프링의 상하측에는 각각 시트편이 놓여져서 그 축방향 통로를 차단하고 이렇게 축방향의 상하단이 시트편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침대스프링을 다수 배열한 침대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은 적당한 금형에 넣어지고 그 외부가 천연 라텍스 발포층으로 피복되게 한다. 즉, 상기 천연 라텍스 발포층을 금형으로 주입하여 침대 프레임의 외주를 둘러싸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침대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눕게 되면 침대스프링에 직접 하중이 적용되어, 나팔형스프링(4)의 상단이 수직하방으로 압축되면서 이웃하는 나팔형 스프링(4')과 연결된 코일스프링(5)을 당기게 된다. 이때 비교적 많이 권선된(여기서는 8조) 침대스프링이 중간 사각틀채(3)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침대스프링은 하중을 받은 방향인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즉, 침대 프레임과 접하게 되는 중간 사각틀채(3)가 비교적 높이가 높은 나팔형 스프링(4)을 침대의 바깥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 결국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침대스프링의 상부 사각틀채와 하부 사각틀채 사이에 중간 사각틀채를 보강함으로써 침대스프링이 하중을 받을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침대스프링이 오로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됨에 따라 침대스프링의 쿠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은 물론 스프링의 피로도가 감소됨에 따라 침대스프링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스프링의 운반할 때에도 좌우로 요동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침대스프링의 취급이 수월해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 스프링의 상단이 상부 사각틀채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되고, 최외각에 위치된 나팔형스프링의 하단은 하부 사각틀채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되는 침대스프링에 있어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상기 나팔형스프링(4)의 중간부에 중간 사각틀채(3)가 클립(6)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팔형 스프링(4)의 권선된 수가 6조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KR2020010006365U 2001-03-09 2001-03-09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KR200234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65U KR200234624Y1 (ko) 2001-03-09 2001-03-09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65U KR200234624Y1 (ko) 2001-03-09 2001-03-09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624Y1 true KR200234624Y1 (ko) 2001-10-06

Family

ID=7306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365U KR200234624Y1 (ko) 2001-03-09 2001-03-09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6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702B1 (ko) * 2008-02-20 2010-05-24 임영일 침대용 매트리스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KR20200121129A (ko) 2019-04-15 2020-10-23 서진원 다중 스프링을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702B1 (ko) * 2008-02-20 2010-05-24 임영일 침대용 매트리스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KR20200121129A (ko) 2019-04-15 2020-10-23 서진원 다중 스프링을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3603B2 (ja) マットレス用ポケットスプリングセット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7444706B2 (en) Bed construction with reduced sagging
US7917980B2 (en) Mattress design
US6223370B1 (en) Anti-roll off mattress construction
US20070169276A1 (en) Mattress with improved edge support
JP2012086000A (ja) マットレス用ポケットスプリング
WO2007013855A1 (en) An innerspring unit
KR200462262Y1 (ko) 마이크로 포켓스프링이 내장된 이중 쿳션 매트리스
KR200234624Y1 (ko)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US6292965B1 (en) Mattress
KR100970910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KR102503374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1762855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0234625Y1 (ko) 이중 침대스프링
KR102308368B1 (ko) 매트리스
KR100520332B1 (ko)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KR101152597B1 (ko) 침대용 코일스프링 매트리스
US4034429A (en) Inner spring construction for mattresses, cushions and the like
KR101304645B1 (ko) 매트리스
KR20140095716A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0440712B1 (ko)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세팅 방법
KR102248410B1 (ko) 매트리스
KR100959702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950009849Y1 (ko) 쿳션장치
KR101310780B1 (ko) 적층형 스프링조립체를 갖는 침대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