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347B1 - Drug dispensing device - Google Patents

Drug dispen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347B1
KR101776347B1 KR1020127003524A KR20127003524A KR101776347B1 KR 101776347 B1 KR101776347 B1 KR 101776347B1 KR 1020127003524 A KR1020127003524 A KR 1020127003524A KR 20127003524 A KR20127003524 A KR 20127003524A KR 101776347 B1 KR101776347 B1 KR 10177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bottom plate
medicament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9257A (en
Inventor
히데노리 츠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4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2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Abstract

약제의 회수 및 불출을 더 한층 신속히 행하고, 한번에 대량의 약제 또는 형태가 다른 약제를,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분류하여 불출한다.
장치 본체(1)에,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2)과,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는 약제 수취부(9)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3)과, 약제 수취부(9)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저류시키는 약제 저류부(19a, 19b)를 구비하는 약제 저류 부재(15) 및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약제 회수부(31)를 포함하는 약제 회수 유닛(4)을 구비한다. 약제 회수 유닛(4)은, 2개의 약제 회수부(31)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를 구비한다.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는, 바닥판(22)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부(31)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부(31)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The recovery and dispensing of medicines are carried out more rapidly, and a large amount of medicines or medicines different in shape are dispensed at once without enlarging them.
A medicine receiving unit 3 having a medicine receiving unit 2 having a plurality of medicine receiving containers and a medicine receiving unit 9 for receiving dispensed medicines is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 The medicine storage member 15 having the medicine storage portions 19a and 19b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medicine from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9 and the medicine recovery portion 31 for recovering the medicine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19a or 19b And a drug recovery unit (4). The medicine recovery unit 4 has one medicine storage unit 19a or 19b for the two medicine recovery units 31. [ The medicine reservoir 19a or 19b is provided at the first dispensing position for allowing the bottom plate 22 to supply the stored medicine to one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s 31 with the support shaft 21 as the center, To the second dispensing position in which th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 can be supplied to the remaining side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DRUG DISPENSING DEVICE}[0001] DRUG DISPENS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종래, 약제 불출 장치로서, 예컨대, 복수 개의 앰플을 수용한 카세트를 장치 본체에 매트릭스형으로 배치하고, 앰플 회수부에 설치한 4개소의 앰플 저류실을 이용하여 4 처방분을 통합하여 회수한 후, 약제 회수 용기에 불출하도록 한 구성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Conventionally, as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for example, a cassette containing a plurality of ampoules is arranged in a matrix form in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four prescription contents are collectively collected using four ampoule storage chambers provided in the ampoule collection section , And is discharged to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카세트로부터 앰플을 회수하는 경우, 앰플 수용 드럼을 회전시켜 각 앰플 저류실을 회수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 되어, 회수 시간이 걸린다. 또한, 각 앰플 저류실에 회수된 앰플을 순차적으로, 트레이 내에서 분할된 각 수용실로 불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불출 시간을 억제할 수 없다. 최근에는, 점점 약제의 불출 업무의 신속화가 요청되고 있으며, 상기 구성으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앰플 저류실의 내용적을 크게 하면 대형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저류 가능한 앰플의 수가 제약되거나, 다른 형태(박스 포장 또는 봉투 포장)의 약제를 수용하거나 할 수 없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when the ampoule is withdrawn from the cassette, the ampoule containing drum must be rotated to move each ampoule storage room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recovered. Further, since the ampules collected in the respective ampule storage chambers are sequentially discharged to the respective containing chambers divided in the tray, the dispensing time can not be suppresse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ccelerating the dispensing work of the medicine gradually,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above configuration can not sufficiently cope with it. In addition, since the volume of each ampoule storage chamber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ampoule storage chamber is increased, so that the number of retainable ampoules is limited or it is not possible to accommodate other forms (box packaging or envelope packaging).

또한, 다른 약제 불출 장치로서, 예컨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박스 포장 등의 특수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서, 최하부로부터 2번째의 약제를 유지함으로써, 최하부의 약제를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 가능하게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3 참조). Further, as another medicine dispensing device, for example, a second medicine from the lowermost portion is held so as to dispense a special medicine such as box packing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west medicine can be dropped by its own weight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2 and 3).

그러나, 이 약제 불출 장치는, 특수 약제는 불출할 수 있지만, 내부 공간이 4 분할된 트레이로의 불출에 대응한 구성으로는 되지 않는다(트레이 내의 각 공간에의 배분 기능이 없다). However, this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can not dispense a special medicine, but it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ensation of the internal space into the four divided trays (there is no function of distributing to each space in the tray).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7-11770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17708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423071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4230712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제4259811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No. 4259811

본 발명은, 약제 수용 유닛으로부터의 약제의 회수와, 약제 회수 유닛으로의 약제의 불출을 더 한층 신속히 행할 수 있고, 한번에 대량의 약제를, 또는 형태가 다른 약제를, 대형화하지 않으면서, 분류하여 불출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quickly recovering the medicine from the medicine receiving unit and dispensing the medicine to the medicine returning unit and classifying the large amount of medicine at once or the medicine of the different form without enlarging it And a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dispensing the medicin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한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일단 저류시키는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는 약제 저류 부재와, 상기 약제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로서, 상기 약제 저류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저류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a medicine accommodat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medicament accommodating containers capable of discharging the accommodated medicament through the medicament discharging portion; And a control unit which is movably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moves to a medicament receiving position to receive medicines dispensed from the medicament discharging unit of the medicament receiving container of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And a medicine storage unit for receiving the medicine from the medicine receiving unit of the medicine receiving unit moved to the medicine delivering position and once storing the medicine from the medicine receiving unit of the medicine receiving unit,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medicine recovery unit in which at least two medicine recovery units are arranged to recover a medicine, The flow member is provided with one medicine reservoir for the adjacent two drug reservoirs, and the drug reservoir is configured to allow the bottom plate to supply one of the drug reservoirs, The first dispensing position and the medicine stored next can be pivoted to the second dispensing position for supplying the medicine to the other remaining side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한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상기 약제 저류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약제 회수 유닛의 인접하는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 device main body, a drug accommodating unit mounted on the devic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medicament accommodating containers capable of dispensing medicines accommodated therein through a medicament discharging part , Moves to a medicament receiving position to receive a medicament dispensed from a medicament discharging portion of a medicament receiving container of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moves to a medicament delivering position, and transfers the received medicament At least two medicines for receiving a medicament from a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of a medicament receiving unit moved to the medicament delivering position and for recovering medicines discharged from a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of the medicament storing unit, And a medicament recovery unit in which a recovery unit is arranged, wherein the medicament reception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Wherein the medicament receiving section has a first dispensing position for allowing the bottom plate to supply one of the medicament collecting sections with the medicines stored therein about the support shaft, Can be rotated to the second dispensing position in which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medicine to the other remaining side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이들 구성에 의해,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를 대응시키고 있기 때문에, 저류 가능한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의 형태의 차이에 상관없이, 앰플 등과 같은 깨지기 쉬운 약제라도,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저류하여 각 약제 회수부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약제 회수부로의 약제의 불출은, 바닥판의 회동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불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로부터 2개의 약제 회수부로 각각 바닥판의 회동 위치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With these configurations, since one drug reservoir or the medicament receiver is associated with the two medicament recovery sections, the capacity of the medicament reservoir or the medicament receiving section that can be stored can be increased. Therefore, even if fragile drugs such as ampoules are irrespective of differences in the form of medicines, they can be reliably stored without being damaged, and can be dispensed to the individual drug recovery units. In addition, dispensing of the medicine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can be coped with simply by chang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pense quickl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problem by switch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from one medicament reservoir or medicament receiver to the two medicament recovery uni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상기 바닥판은, 수평 위치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하방측으로 깊어지는 안내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late has a guide portion that is deeper downward toward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position.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공급된 약제를 전부 중앙 부분에 모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을 회동시켜 약제 회수부로 불출할 때,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넓이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위치로부터 불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단부로부터 불출되는 경우에 비교해서 낙하 치수를 대폭 억제할 수 있어, 약제 회수부로의 약제의 불출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앰플 등과 같이 깨지기 쉬운 약제의 경우에 유효하다. With this configuration, all of the medicines supplied to the medicament reservoir or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can be collected at the central portion. When the bottom plate is rotated and dispensed to the medicament recovery section, it can always be dispensed from the same position regardless of the area of the medicament storage section or the medicament receiving section. Therefore, the dropping dimension can be largely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discharg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drug storage portion or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dispensing state of the medicine to the medicine returning portion. Particularly, it is effective in the case of drugs that are fragile, such as ampoules.

상기 바닥판은, 제1 회동 위치 또는 제2 회동 위치로 회동했을 때, 바닥판의 일부가 약제 회수 유닛의 약제 회수부 내에 침입 가능하고, 또한,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회동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ottom plate is pivoted to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a part of the bottom plate is capable of intruding in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As shown in Fig.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로부터 불출하는 약제를, 측방으로 넘쳐흘러 떨어지는 일없이, 또한, 낙하 치수를 억제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충격력을 부여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약제 회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닥판이 약제 회수부에 회수된 약제 등에 간섭하더라도, 회동부가 상방측으로 회동함으로써, 약제나 바닥판에 작용하는 부하를 충분히 경감하여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medicine dispensed from the medicament reservoir or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to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without dropping the medicinal fluid over the side portion and suppressing the dropping dimension, It becomes possible. Further, even if the bottom plate interferes with the medicine recovered in the drug recovery unit,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upward, whereby the load acting on the medicine and the bottom plate can be sufficiently reduced to prevent damage.

상기 약제 저류부 또는 상기 약제 수취부의 양측에 설치한 안내 가이드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을 갖고, 약제 저류부의 바닥판의 회동 중심은, 회동에 의해 양측부가 양측면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guid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edicament reservoir or the medicament receiver has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inward toward the upper sid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of the medicament reservoir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both sides do not interfere with both sides .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이 수평 위치에 위치하면, 양측부가 평면에서 보아 안내 가이드에 의해서 덮인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공급되는 약제가 봉투 포장된 것 등인 경우에도, 바닥판과 안내 가이드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침입하는 일이 없다. 만일, 약제의 일부가 간극에 끼워져 있더라도, 바닥판이 회동하면, 약제는 약제 회수부측으로 배출되거나, 바닥판의 측부에 의해서 내측으로 복귀하게 되어, 막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약제를 저류하여 약제 회수부로 불출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ottom plate is positioned at the horizontal position, both side portions are covered by the guide guide as seen from the plane. Therefore, even when the medicament to be supplied to the medicament storage section or the medicament receiving section is packed in an envelope, the medicament does not enter the gap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guide guide. Even if a part of the medicine is sandwiched in the gap, if the bottom plate rotates, the medicine is discharged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side or returned to the inside by the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clogging does not occur. Therefore, various types of medicines can be stored and dispensed to the drug recovery part.

상기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양측부가, 이들 양측부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볼록부를 구비하고,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바닥판이, 그 양측부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상기 볼록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medicament reservoir or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has both side portions thereof with convex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th side portions thereof and the bottom plate of the medicament reservoir portion or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loped portion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onvex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both side portions thereof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nection.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공급하는 약제가 봉투 포장된 것 등인 경우에도, 볼록부의 존재에 의해 침입 가능한 범위를 작은 범위로 할 수 있다. 즉, 볼록부가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양측부와 바닥판의 양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지그재그형으로 된다. 이 때문에, 약제가 수용된 봉투의 가장자리가 침입할 수 없다.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약제를 저류하여 약제 회수부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medicine to be supplied to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or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is packed in an envelope or the like, the range that can be invaded by the presence of the convex portion can be set to a small range. That is, since the convex portions are loc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gap formed between both side portions of the medicament holding portion or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and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plate becomes zigzag. Therefore, the edge of the envelope containing the medicine can not enter. Therefore, various types of medicines can be stored and dispensed to the medicament recovery section.

상기 바닥판은, 양단부에, 상기 바닥판이 각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할 때, 상기 약제 회수부 내로 연장하는 안내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한 유도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late has guiding portions that can be positioned at the guiding positions that extend into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when the bottom plate rotates toward the dispensing position.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수용부의 바닥면에 이르는 근방까지 유도부에 의해서 약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가 약제 수용부에 불출될 때에 받는 충격력을 충분히 억제하여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medicine can be guided by the guide portion to the vicini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cine accommodation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ress the impact force applied when the medicament is dispensed to the medicament accommodating port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상기 바닥판의 양단측이 칸막이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와, 상기 바닥판의 회동 시에 상기 칸막이 판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후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작부는, 유도부를 적절한 위치(적어도, 유도부를 약제 회수부 내로 이르게 하는 안내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구를 의미한다.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are constituted by a partition plate and the operating section is capable of moving the guide section to a retreat position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guide position and the partition plate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desirable. Here, the operating portion means a mechanism for positioning the guide portion at an appropriate position (at least, a guide position for guiding the guide portion into the drug recovery portion).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의 회동 동작에 맞추어, 동작부에 의해 유도부를 자동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ide portion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proper position by the operation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ottom plate.

상기 각 유도부는,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칸막이 판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유도부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판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each guide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guide portion formed on the partition plate, and guide portions provided on the guide portion, And guided by the guided portion.

이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에 의해서 피가이드부를 가이드하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도, 유도부를 자동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iding portion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a proper position eve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the guided portion is guided by the guiding portion.

상기 바닥판이 어느 한쪽의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약제가 상기 약제 회수부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동작부에 의해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portion rotates the guide portion toward the guide position when the bottom plate is rotated toward either of the dispensing positions so that the medicine arranged on the bottom plate moves toward the medicine recovery portion.

이 구성에 의해, 배치된 약제를 원활하게 불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arranged medicine in the dispensing direction.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유도부의 회동 범위를, 상기 바닥판의 회동에 의해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게 된 시점에서의 회동 위치를 넘어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late has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guide portion from rotating beyond the rotation position at the time point when the guide portion is not guided by the guide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Do.

이 구성에 의해, 피가이드부를 가이드부에 의해서 가이드할 수 있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어, 바닥판을 불출 위치로부터 원활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ided portion can be hel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guided by the guide portion, and the bottom plate can be smooth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from the dispensing position.

상기 바닥판의 회동 도중에서, 상기 약제 회수부에 약제가 불출되기 직전에, 일단, 상기 바닥판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controller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immediately before the medicine is dispensed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during the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의 회동 동작에 따른 약제의 이동을 일단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약제 회수부로의 약제의 불출 속도를 저감하여, 약제 회수부로의 불출 시에 받는 충격력을 충분히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medicine due to the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can be temporarily stopped, the dispensing speed of the medicine to the subsequent medicament recovery section can be reduced, and the impact force upon dispensing to the medicament recovery section can be sufficiently alleviated Lt; / RTI >

상기 바닥판의 정지 위치는, 가이드부에 의한 피가이드부의 가이드가 해제되어, 상기 약제가 상기 칸막이 판에 의해서 낙하가 저지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is a position where the guide of the guided part by the guide part is released and the medicine is prevented from being dropped by the partition plate.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으로부터의 약제의 불출 위치를 충분히 약제 회수부측으로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불출하는 약제가 받는 충격력을 더욱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dispensing position of the medicine from the bottom plate can be approached to the side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sufficiently, the impact force applied by the dispensing medicine can be further relaxed.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불출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저류하는 약제의 수량이나 형태에 변동이 있더라도, 약제를 확실하게 저류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를 불출할 때는, 단지 바닥판의 회동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어느 쪽의 약제 회수부로도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신속하고 또한 안정되게 약제의 불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wo medicament collecting parts are configured to dispense medicines from one medicament storing part or the medicament receiving part, the fluctuation in the quantity or shape of the medicines stored in the medicament storing part or the medicament receiving part Even if it has, you can surely keep the medicine. When the medicines are dispensed, medicines can be dispensed to either medicament recovery section only by chang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tably dispense the medicine.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도 2의 약제 저류 부재의 평면도이고, (b)∼(d)는 원판의 절결부와 센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어 유닛으로 실행하는 약제 공급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1의 제어 유닛으로 실행하는 약제 불출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1의 약제 불출 장치로 약제 회수 용기에 약제를 불출하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a)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의 경사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b)는 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의 개략 설명도이고, (d)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개략 설명도이고, (e)는 이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약제의 낙하 치수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바닥면부를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에 의한 약제의 불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에 의한 약제의 불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edicine holding member and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of FIG. 2;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edicine storage member and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shown in Fig. 3.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medicine storage member and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shown in Fig.
FIG. 6A is a plan view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of FIG. 2, and FIGS. 6B to 6D are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tched portion of the original plate and the sensor.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ents of the medicine supply proces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of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ents of the medicine dispensing proces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of Fig.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ries of operations until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of FIG. 1 dispenses medicine into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shown in Fig.
Fig. 11 (a) is a front view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1 (b) is a front sectional view thereof.
12 (a) to 12 (c) are schematic explanatory views of a medicine hold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 are schematic explanatory views of a medicine holding member shown in FIG. 3, And comparing the falling dimensions of the drug in the form.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ine hold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4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of Fig.
Fig.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Fig. 14 is viewed from the lower side. Fig.
16 is a front view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shown in Fig.
Fig. 1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dispensing operation of the medicine by the medicine holding member shown in Fig. 13; Fig.
Fig. 1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dispensing operation of the medicine by the medicine holding member shown in Fig. 1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 요소의 종류, 조합, 형상, 상대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절하게,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 "일단", "타단", "전", "후" 등)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however, the types, combinations, shapes, relative arrangements, and the lik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specific description. Further, although terms (for example, "upper", "lower", "once", "other end", "before", "after", etc.) indicating a specific direction or position are appropriately used, Is u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eanings of these terms.

(1.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약제 불출 장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장치 본체(1) 내에, 약제 수용 유닛(2), 약제 수취 유닛(3), 약제 회수 유닛(4) 및 제어 유닛(5)을 각각 설치한 구성이다. 1. Overall Configuration Fig. 1 shows a side view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is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a medicine receiving unit 2, a medicine receiving unit 3, a medicine collecting unit 4 and a control unit 5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apparatus main body 1.

(1-1. 약제 수용 유닛(2)) 약제 수용 유닛(2)은, 장치 본체(1)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부착된 카세트 수용부(6)와, 이 카세트 수용부(6)에 착탈되는 복수의 카세트(7)(약제 수용부)를 구비한다. (1-1. Medicament-receiving unit 2) The medicament-receiving unit 2 includes a cassette receiving part 6 which is attached so as to be pulled forward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1, And a plurality of cassettes 7 (medicine receiving portions).

카세트 수용부(6)는, 장치 본체(1)로부터 인출된 우측면(도 1에서는 정면)에 격자형으로 복수의 카세트(7)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각 카세트(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형상으로, 종류별로 복수의 약제가 각각 수용되고, 사이즈도 여러 가지이다. 각 카세트(7)의 하단부에는 불출구(8)가 형성되고, 이 불출구(8)를 통해, 수용한 약제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불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카세트(7) 내에 수용되는 약제로서, 유리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대략 원통형의 앰플이, 그 직경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불출하는 약제로서는, 앰플 이외에, 종이 박스나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봉투에 수용된 것 등,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카세트(7)는, 약제를 상하 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로 수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있어서 깊이 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로 수용하는 것 등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The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ssettes 7 detachably attached in a lattice form on the right side (front side in Fig. 1) drawn out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1. Each of the cassettes 7 has a housing shape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cassettes 7 accommodate a plurality of medicines for each type, and have various sizes. A discharge port 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cassette 7 so that the discharged medicines can be sequentially discharged one by one through the discharge port 8. Here, as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cassette 7, a substantially cylindrical ampule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is housed in a state aligned in the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ispensing agent includes various types such as those housed in envelopes made of paper boxes or synthetic resin sheets in addition to ampoules. The cassette 7 is not limited to being accommodated in a state in which the medicines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a state of being aligned in the depth direction in Fig.

(1-2. 약제 수취 유닛(3)) 약제 수취 유닛(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수용부(6)의 전면(前面)측에 배치되는 약제 수취부(9)를 구비한다. 약제 수취부(9)는, 프레임 형상의 지지부(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그 양단부가, 장치 본체측에 설치되고 상하(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11a, 11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벨트(11a 및 11b)는, 상하로 배치된 풀리(100a, 100b 및 101a, 101b)에 각각 걸쳐져 있다. 그리고 풀리(100a)를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벨트(11a, 11b)를 통해 지지부(10)가 승강한다. 이와 같이, 약제 수취부(9)는, 카세트 수용부(6)의 전면측에서 상하(수직) 및 좌우(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각 카세트(7)의 전방에 위치하는 각 약제 수취 위치와, 후술하는 약제 저류 부재(15)의 상측에 위치하는 약제 전달 위치로 각각 이동 가능하다. (1-2. Medicament receiving unit 3)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3 has a medicine receiving portion 9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sette receiving portion 6 as shown in Fig. 2 Respectively.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9 is disposed inside the frame-shaped supporting portion 10 and can reciprocate horizontally by a drive means such as a motor, a solenoid or the like (not shown).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0 are fixed to the belts 11a and 11b which are provid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side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elts 11a and 11b are respectively wound on upper and lower pulleys 100a and 100b and 101a and 101b. By rotating the pulley 100a by a motor (not shown), the support portion 10 is lifted and lowered via the belts 11a and 11b. Thus,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9 reciprocat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rom the front side of the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6, and moves to each of the medicament receipt positions And a drug delivery posi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ug storage member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약제 수취부(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수용부(6)의 전면(前面)에 대하여 전후(도 2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병설되는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를 구비한다.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에는, 카세트 수용부(6)측에 위치하는 측벽 상단으로부터 카세트 수용부(6)측을 향하여 경사 상측으로 연장되는 단면 대략 U자형의 가이드 플레이트(14a, 1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플레이트(14a, 14b)는, 선단 부분이 카세트(7)의 불출구(8)의 근방에 배치될 수 있고, 불출된 약제를 각 수용 용기(12, 13)로 유도한다. 또한, 각 가이드 플레이트(14a, 14b)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약제의 잔류가 방지된다. 또한, 각 수용 용기(12, 13)의 바닥면은 개방될 수 있으며, 약제 수취 유닛(3)이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한 후, 개방되어 카세트(7)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배출한다. 2,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9 is provided with a first receiving container 12 and a second receiving container 12 which are juxta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ight and left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sette receiving portion 6, And a storage container (13). The first accommodating container 1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container 13 are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U-shaped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sitioned on the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6 side toward the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6 side And plates 14a and 14b, respectively. The leading end portions of the guide plates 14a and 14b can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ort 8 of the cassette 7 to guide the dispensed medicines to the respective storage containers 12 and 13. [ Further, the guide plates 14a and 14b are configured so as to rotate by a motor (not shown), so that the medicine remains.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storage containers 12 and 13 can be opened and after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has moved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4, the medicine is released from the cassette 7 .

(1-3. 약제 회수 유닛(4)) 약제 회수 유닛(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15)와, 그 하방측에 배치되고, 반송 부재(16)에 의해서 반송되는 약제 회수 용기(17)를 구비한다. (1-3 drug recovery unit 4) As shown in Fig. 1, the medicine recovery unit 4 is provided with a medicine holding member 15, a medicine holding member 15 arranged on the lower side thereof, And a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to be transported.

약제 저류 부재(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양측부를 구성하는 프레임(18)을, 4장의 칸막이 판(20)에 의해 2분할하여 약제 저류부[제1 약제 저류부(19a) 및 제2 약제 저류부(19b)]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약제 저류 부재(15)의 배면측에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풀리(110, 11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하방측의 풀리(111)는, 장치 본체(1)의 바닥면에 부착한 모터(112)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또한 벨트(11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벨트(113)는, 상방측의 풀리(110)에 걸쳐지고, 타단부가 약제 저류 부재(15)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약제 저류 부재(15)의 배면에는 피검출부로 되는 돌출편(114)이 설치된다. 이 돌출편(114)은, 약제 저류 부재(15)의 상승 위치에서, 배면측에 설치한 센서(115)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방측의 풀리(111)의 단부면에도 피검출부로 되는 돌출편(116)이 설치된다. 이 돌출편(116)은, 풀리(111)와 함께 회동하여, 약제 저류 부재(15)의 강하 위치에서, 센서(117)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터(113)를 구동하여 약제 저류 부재(15)를 상승 위치와 강하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the medicine storage member 15 has a rectangular shape in a plan view and is divided into two by a partition plate 20 of four sheets, the frame 18 constituting both side portions, 1 drug reservoir 19a and second drug reservoir 19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6 (a), the upper and lower pulleys 110 and 111 ar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medicine storage member 15, respectively. The pulley 111 on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12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 and one end of the belt 113 is connected. The belt 113 is wound on the upper pulley 1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 A protruding piece 114 serving as a to-be-detect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The protruded piece 114 is detected by the sensor 115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side at the rising position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A projecting piece 116 to be a detected portion is also provided on the end face of the pulley 111 on the lower side. The protruding piece 116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pulley 111 and is detected by the sensor 117 at a drop position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rive the motor 113 to position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to the ascending position and the descending position, respectively.

각 약제 저류부(19a, 19b)는, 상기 약제 수취 유닛(3)의 약제 수취부(9)가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했을 때, 각 수용 용기(12, 13)의 아래쪽에 각각 위치한다[도 9의 (d), (e) 참조]. 각 약제 저류부(19a, 19b)의 바닥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닥판(22)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Each of the medicine reservoirs 19a and 19b is located below each of the storage containers 12 and 13 when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9 of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moves to the medicine delivery position 9 (d), (e)]. As shown in Fig. 3, the bottom surfaces of the medicament reservoirs 19a and 19b are each composed of a bottom plate 22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support shaft 21. As shown in Fig.

칸막이 판(20)의 상부 내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를 막대 형상으로 한 안내 가이드(23)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가이드(23)는, 내측을 향하여 서서히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3a)을 갖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22)과의 간극을 일정 치수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초기 수평 위치의 바닥판(22)과 칸막이 판(20)의 간극은, 평면도로 보아 내측으로 밀려나오는 안내 가이드(23)에 의해서 덮인 상태로 된다. 각 칸막이 판(20)의 하단 가장자리는 가이드편(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편(24)은, 선단 부분이 각 약제 저류부(19a, 19b)의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가이드편(24)은, 약제 저류 부재(15)가 강하 위치에 위치할 때, 약제 회수 용기(17) 내에 침입하여, 바닥판(22)을 회동시켜 약제를 배출할 때, 약제가 측방으로 넘쳐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20, as shown in Fig. 3, a guide guide 23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ormed. The guide guide 23 has an inclined surface 23a that gradually slopes upward toward the inside and holds the gap with the bottom plate 22 at a predetermined dimension as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bottom plate 22 at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partition plate 20 is covered by the guide guide 23 pushed inwardly in plan view. The lower edge of each partition plate 20 is constituted by a guide piece 24.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guide piece 24 is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medicine reservoir portions 19a, 19b. When the medicament holding member 15 is located at the lowered position, the guide piece 24 enters the medicine collecting container 17 and rotates the bottom plate 22 to discharge the medicament. Prevent overflowing.

바닥판(22)은, 중앙부에서 가장 우묵하게 들어간 단면 대략 원호형(원호형이라도 좋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하여,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 각각 공급된 약제를 중앙부에 수집한다. 즉,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의 약제의 불출 위치의 차이에 상관없이, 바닥판(22)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한은, 약제는 항상 중앙부로 위치가 조정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22)을 각 불출 위치로 회동시켜 각 약제 회수부(31a∼31d)에 불출할 때, 약제를 항상 일정한 위치(중앙부)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어, 각 약제 회수부(31a∼31d)로의 약제의 불출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불출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bottom plate 22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arc-shaped (arc-shaped) section that is most recess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substantially arcuate portion serves as a guide portion, and the medicines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containers 12 and 13 are collected at the center portion. That is, as long as the bottom plate 22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is always adjusted to the center regardless of the dispensing position of the medicine from each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s 12, 13. [ Therefore, as described later, when the bottom plate 22 is pivoted to each dispensing position and dispensed to each of the drug recovery sections 31a to 31d, the medicine can always be mov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central portion)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dispensing state by making the same dispensing conditions for the medicines to the dispensing apparatuses 31a to 31d.

바닥판(22)의 양측부는, 축부(25a)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회동부(25)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이 회동하여 약제 회수 용기(17) 내에 침입하여, 이 용기에 수용된 약제 등과 간섭하더라도, 회동부(25)가 회동함으로써, 약제를 손상시키거나, 바닥판(22)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22 are constituted by a rotary portion 25 which can rotate only upward on the shaft portion 25a. Thus, even if the bottom plate 22 rotates and enters the medicine collecting container 17 to interfere with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rotating unit 25 rotates to damage the medic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바닥판(22)의 상면에는, 나사 고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점착 등에 의해 탄성 시트(26)가 부착되어 있다. 탄성 시트(26)는, 약제 수취 용기로부터 공급된 약제에 부여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약제의 손상을 방지한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2, an elastic sheet 26 is attached by screwing or by an adhesive or the like. The elastic sheet 26 relaxes impact applied to the medicine supplied from the medicine receiving container to prevent damage to the medicine.

바닥판(22)의 지지축(21)은, 초기 수평 위치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측의 소정 위치[여기서는, 바닥판(22)의 가장 깊은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을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회동시키면, 그 양단 가장자리가 약제 저류부(19a, 19b)의 내측 상방을 향하는 원호형의 궤적(A)을 그린다. 칸막이 판(20)의 안내 가이드(23)는, 내측을 향하여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판(22)의 양단 가장자리의 궤적(A)과는 간섭하지 않도록[즉, 안내 가이드(23)가 궤적(A)의 이동 시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선을 구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판(22)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있으면, 바닥판(22)의 양단 가장자리와 칸막이 판(20)의 안내 가이드(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부분은, 안내 가이드(23)의 약제 저류부(19a, 19b)의 내측으로 밀려 나오는 부분에 의해서 덮이고, 평면도로 보아, 보이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약제 수취 유닛(3)으로부터 약제 저류부(19a, 19b)에 공급된 약제가, 예컨대, 봉투에 수용된 형태인 경우에도, 그 가장자리가 상기 간극에 침입하여 막힘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만일, 약제가 간극에 끼인 경우라도, 바닥판(22)이 회동하면, 그 측방 가장자리부가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약제를 원활하게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제의 막힘 상태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The support shaft 21 of the bottom plate 22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ownward (in the vicinity of the deepest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22 her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connecting the two side edges at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 Thus, when the bottom plate 22 is rotated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an arc-shaped locus A whose both ends are directed toward the inside upper side of the medicine reservoirs 19a and 19b is drawn. The guide guide 23 of the partition plate 20 is constituted by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gradually upward toward the inside and is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cus A of the opposite ends of the bottom plate 22 (23) constitute a tangent line extending from the moving point of the locus (A)). The gap portion formed between both edges of the bottom plate 22 and the guide guide 23 of the partition plate 20 can be guided by the guide guides 23 Of the medicine reservoir portions 19a and 19b of the medicine reservoir portions 19a and 19b and is invisible in a plan view. Therefore, even when the medicine supplied from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to the medicine reservoirs 19a and 19b is accommodated in, for example, an envelope, the edge does not invade the gap to cause clogging. Even if the medicine is caught in the gap, when the bottom plate 22 is pivoted, the side edge portion thereof moves i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23, so that the medicine can smoothly move inward. Therefore, the clogged state of the medicine can be easily solved.

바닥판(22)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20)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121) 및 종동 기어(122)를 매개로 회동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1 불출 위치와, 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2 불출 위치로 각각 회동한다. 6 (a), the bottom plate 22 rotates through the driving gear 121 and the driven gear 122 by normal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motor 120, and as shown in Fig. 3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shown in the figure, to a first dispense position which is rotated about 90 degre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support shaft 21 and a second dispense position which is rotated about 90 degrees clockwise.

지지축(2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출부로서 3장의 원판[제1∼제3 원판(27a∼27c)]이 부착되어 있다. 각 원판(27a∼27c)에는 원주 방향으로 피치를 어긋나게 하여 절결부(28a∼28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원판(27a∼27c)의 절결부(28a∼28c)는, 센서[제1∼제3 센서(29a∼29c)]에 의해서 각각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22)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원판(27a)의 절결부(28a)가 제1 센서(29a)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리고 바닥판(2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불출 위치에 이르면, 제2 원판(27b)의 절결부(28b)가 제2 센서(29b)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 사이, 제1 센서(29a) 및 제3 센서(29c)는, 제1 원판(27a) 및 제3 원판(27c)에 의해서 광로가 차단된 상태로 된다. 또한, 바닥판(22)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 불출 위치에 이르면, 제3 원판(27c)의 절결부(28c)가 제3 센서(29c)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 사이, 제1 센서(29a) 및 제2 센서(29b)는, 제1 원판(27a) 및 제2 원판(27b)에 의해서 광로가 차단된 상태로 된다. As shown in Fig. 6, three support plates (first to third original plates 27a to 27c) are attached to the support shaft 21 as the detected portions. Each of the circular plates 27a to 27c is formed with notches 28a to 28c so as to be shifted in pitc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notches 28a to 28c of the respective disks 27a to 27c are respectively detected by sensors (first to third sensors 29a to 29c). When the bottom plate 22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the cutout portion 28a of the first original plate 27a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29a. When the bottom plate 2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reach the first dispensing position, the cutout portion 28b of the second original plate 27b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29b. Meanwhile, the first sensor 29a and the third sensor 29c are in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path is blocked by the first original plate 27a and the third original plate 27c. When the bottom plate 22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each the second dispensing position, the cutout portion 28c of the third original plate 27c is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29c. Meanwhile, the first sensor 29a and the second sensor 29b are in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path is blocked by the first original plate 27a and the second original plate 27b.

반송 부재(1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송 벨트(30)를 구비하여, 장치 본체(1) 내에 약제 회수 용기(17)를 반입하여, 회수 위치에서 일단 정지시킨 후, 외부로 반출한다. 2, the conveying member 16 is provided with a conveyance belt 30 driven by a motor (not shown) to carry the drug recovery container 17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1, And then is taken out to the outside.

약제 회수 용기(17)에는, 내부가 구획판에 의해서 4분할됨으로써 제1∼제4 약제 회수부(31a∼31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한 환자의 1일의 최대 처방수(아침, 낮, 저녁, 밤)에 맞춘 것이다. 각 약제 회수부(31a∼31d)의 크기는, 상기 약제 저류 부재(15)의 하나의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에 대하여 2개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약제 회수 용기(17)를 반송 부재(16)에 의해서 반송하여, 약제 저류 부재(15)의 아래쪽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약제 회수 용기(17)의 제1 및 제2 약제 회수부(31a 및 31b)의 상측에 제1 약제 저류부(19a)가 위치하고, 제3 및 제4 약제 회수부(31c 및 31d)의 상측에 제2 약제 저류부(19b)가 위치한다. The medicament recovery container 17 is divided into four parts by the partition plate so that the first to fourth medicament recovery parts 31a to 31d are respectively formed. This is in line with the maximum number of prescriptions per day for a patient (morning, day, evening, night). The size of each drug recovery part 31a to 31d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one drug storage part 19a or 19b of the drug storage member 15. That is, the drug recovery container 17 i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ing member 16 and the first and second drug recovery units 31a and 31b of the drug recovery container 17 are positioned under the drug storage member 15 And 31b and the second medicine reservoir portion 19b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drug recovery portions 31c and 31d.

(1-4. 제어 유닛(5)) 제어 유닛(5)은, 도시하지 않는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기억된 카세트(7)의 불출구(8)의 좌표 데이터 등을 참조하면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각종 모터 등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약제 수용 유닛(2)의 카세트(7)로부터 해당 약제를 불출시켜 회수하고, 약제 저류 부재(15)를 통해 약제 회수 용기(17)로 약제를 불출한다. 그 후, 약제 회수 용기(17)를 이동시켜 불출한 약제를 반출한다. (1-4. Control Unit 5) The control unit 5 reads the coordinate data of the discharge port 8 of the cassette 7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the prescription data inputted from a host computer or the like (not shown) Etc., and executes various programs. That is, by driving and controlling various motors and the like,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moved. Then, the medicines are discharged from the cassette 7 of the medicament containing unit 2 by withdrawing the medicines from the cassette 7, and the medicines are discharged to the medicinal substance collection container 17 through the medicines storage member 15. Thereafter, the drug recovery container 17 is moved to remove the dispensed medicament.

(2.동작)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약제 공급 처리 및 약제 불출 처리)을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2. Operation) Next, the operation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edicine supply processing and medicine dispensing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shown in Figs. 7 and 8. Fig.

(2-1. 약제 공급 처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의 불출 명령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1). 불출 명령이 있으면, 약제 수취부(9)의 어느 쪽의 수용 용기(12, 13)에 약제를 공급할 것인가를 결정한다(스텝 S2). 여기서는, 처음에 공급하는 쪽을 제1 수용 용기(12)로 결정하고, 그 후 제2 수용 용기(13)로 변경하고 있다. (2-1. Pharmaceutical Supply Processing) As shown in Fig. 7, first, it is judged whether there is an instruction to dispense medicine based on the prescription data (step S1). If there is a dispense instruction, it is determined which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s 9 and 12 the medicines are to be supplied to (step S2). Here, the first supply container 12 is first determined as the supply side, and then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is changed.

도 9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약제 수취부(9)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수용 용기(12)에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회수 용기(17)의 제1 약제 회수부(31a)[또는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할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3). 제1 약제 회수부(31a)에 약제를 공급하는 경우에,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키고, 제1 수용 용기(12)의 가이드 플레이트(14a)를, 제1 약제 회수부(31a)[또는 제2 약제 회수부(31b)]에 공급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불출구(8)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9 is 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9 (a). As shown in Fig. 9 (b), the first container 12 is dispensed 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unit 31a (or the second medicine recovery unit 31b) of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Step S3). When the medicine is supplied 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unit 31a,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moved to move the guide plate 14a of the first accommodation container 12 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unit 31a Or the second drug recovery portion 31b) of the cassette 7 containing the medicine to be supplied. Then, a prescribed amount of medicine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data.

제1 수용 용기(12)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하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회수 용기(17)의 제3 약제 회수부(31c)[또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할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4). 즉,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키고, 제2 수용 용기(13)의 가이드 플레이트(14b)를, 제3 약제 회수부(31c)[또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배출구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4b)를 회동시켜, 가이드 플레이트(14b) 상에 약제가 잔류하지 않고 전부 제2 수용 용기(13)에 공급되도록 한다. 제2 수용 용기(13)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유닛(3)을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5). 9 (c), when the supply of the medicine to the first container 12 is completed, the third medicine recovery unit 31c (or the fourth medicine recovery unit (not shown) of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31d) (step S4). That is,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3 is moved and the guide plate 14b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ontainer 13 is moved to the third medicine recovery unit 31c (or the fourth medicine recovery unit 31d) Is position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cassette (7) accommod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prescribed amount of medicine is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ption data. At this time, the guide plate 14b is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so that all of the medicine is left on the guide plate 14b and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 When the supply of the medicine to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is completed,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moved to the medicine returning unit 4 as shown in Fig. 9 (d) (step S5).

약제 회수 유닛(4)에서는, 제1 수용 용기(12)의 아래쪽에 제1 약제 저류부(19a)가 위치하고, 제2 수용 용기(13)의 아래쪽에 제2 약제 저류부(19b)가 위치하도록 약제 수취 유닛(3)을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약제 수취 유닛(3)을 강하시켜, 도 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수용 용기(12, 13)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불출된 약제를 약제 저류 부재(15)의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공급한다(스텝 S6). 이 경우, 약제 수취 유닛(3)을 강하시켜, 충분히 약제 회수 유닛(4)에 접근시키고 있기 때문에, 약제가 측방으로 넘쳐흘러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낙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가 받는 충격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서는, 바닥면이 단면 대략 원호형의 바닥판(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류된 약제가 중앙 부분에 모인다. In the medicine recovery unit 4, the first medicine storage portion 19a is located below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 and the second medicine storage portion 19b is located below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positioned. 9 (e),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containing containers 12, 13 is opened so that the dispensed medici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And supplies them to the medicine reservoirs 19a and 19b (step S6). In this case, since the medicine-receiving unit 3 is lowered to approach the medicine-recovery unit 4 sufficiently, the medicine does not flow over the side. In addition, since the falling distance can be shorten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medicine. In each of the medicine reservoirs 19a and 19b, the bottom surface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22 having a substantially arc-shaped section. For this reason, the stored medicines are gathered at the central portion.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약제가 저류되면, 도 9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키고(스텝 S7), 다음 약제의 회수를 실행한다. 즉,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켜, 제1 수용 용기(12)의 가이드 플레이트(14a)를, 제2 약제 회수부(31b)[또는 제1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불출구(8)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8). 제1 수용 용기(12)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켜, 제2 수용 용기(13)의 가이드 플레이트(14b)를, 제4 약제 회수부(31d)[또는 제3 약제 회수부(31c)]에 불출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배출구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9). 제2 수용 용기(13)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약제 수취 유닛(3)을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0). 계속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수용 용기(12, 13)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불출된 약제를 약제 저류 부재(15)의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공급한다(스텝 S11). When the medicines are stored in the medicament reservoirs 19a and 19b,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3 is moved as shown in (f) of Fig. 9 (step S7), and the next medicines are recovered. That is,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moved so that the guide plate 14a of the first accommodating container 12 can be moved to the second drug recovery unit 31b (or the first drug recovery unit 31a) (8) of the cassette (7) accommodated. T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medicines are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ption data (step S8). When the supply of the medicine to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 is completed,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moved so that the guide plate 14b of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is returned to the fourth medicine recovery unit 31d The third medicine recovery unit 31c) is position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cassette 7 containing the medicines to be dispens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prescribed amount of medicine is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ption data (step S9). When the supply of the medicine to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is completed,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moved to the medicine returning unit 4 (step S10). Subsequently,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storage containers 12, 13 is opened and the dispensed medicine is supplied to the respective medicine reservoirs 19a, 19b of the medicine storage member 15 (step S11) .

(2-2. 약제 불출 처리) 약제 저류 부재(15)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측의 배출 위치에 약제 회수 용기(17)가 위치 결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배출 위치에 약제 회수 용기(17)가 위치 결정되면(스텝 S21), 도 4의 (a) 및 도 9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15)를 강하시켜(스텝 S22), 배출 위치의 약제 회수 용기(17)에 접근시킨다. 또한, 저류된 약제를 어느 쪽의 약제 회수부(31a∼31d)에 불출해야 되는 것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23). (2-2 Drug dispensing process) In the drug storage member 15, as shown in Fig. 8, the process stands by until the medicine collection container 17 is positioned at the discharge position on the lower side. When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is positioned at the discharge position (step S21), the medicine storage member 15 is lowered (as shown in Figs. 4A and 9G) (step S22 ), And approaches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at the discharge position. In addition, it is judged which medicine dispensing portion 31a to 31d should discharge the stored medicine (Step S23).

약제의 불출은, 도 9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바닥판(22)을 대략 90도 회동시킴으로써 행한다(스텝 S24). As shown in Fig. 9 (h), dispensing of medicine is performed by rotating each of the bottom plates 22 by about 90 degrees (step S24).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한 약제를 제1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는 경우, 바닥판(22)을, 도 4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4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센서(29b)에 의해 제2 원판(27b)의 절결부(28b)가 검출됨에 따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약 90도 회동한 시점에서 정지하여, 저류되어 있던 약제는 제1 약제 회수부(31a)로 불출된다. 바닥판(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류된 약제가 중앙부에 모인다. 그리고 약제는 바닥판(22)의 회동 동작에 따라, 원활하게 제1 약제 회수부(31a)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령 바닥판(22)의 측부 가장자리부와 안내 가이드(23)의 사이의 간극에 (봉투 포장) 약제의 일부가 침입한 경우에도, 바닥판(22)의 측부 가장자리의 회동 궤적(A)은 안내 가이드(23)와의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변화된다. 즉, 도 4의 (a)로부터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2)의 우측의 측부 가장자리부는, 좌측 경사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에 대하여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과의 간극이 서서히 넓어지기 때문에, 약제에 무리한 부하가 걸려 손상되는 일이 없다. 아울러, 약제에 대하여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이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는 바닥판(22)의 회동 동작에 따라 이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약제의 막힘은 발생하지 않고, 약제는 바닥판(22)의 중앙부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2)의 일단 가장자리부측이 제1 약제 회수부(31a) 내에 침입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가 자유 낙하하는 일이 거의 없고, 또한 자유 낙하하더라도 그 거리가 작기 때문에, 충격을 받아 손상되는 일도 없다. 만일, 약제의 흐름이 강하여 제1 약제 회수부(31a)로부터 튀어나오려고 해도, 여기에는 가이드편(24)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측방으로 유출되는 일도 없다. When the medicine stored in the first medicine reservoir 19a is dispensed 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unit 31a, the bottom plate 22 is 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 (a) to the state shown in Fig. 4 (b) the cutout portion 28b of the second original plate 27b is rotated by the second sensor 29b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6 (c) Stop as detected. 5 (a), the bottom plate 22 is stopped at a time when the bottom plate 22 is rotated about 90 degrees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stored drug is returned to the first drug recovery unit 31a It is dispell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ttom plate 2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rc-shaped section, the stored medicines are gathered at the center. Then, the medicine moves 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unit 31a smooth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ottom plate 22. [ In this case, even when a part of the (bag-wrapping) medicine enters the gap between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bottom plate 22 and the guide guide 23, the rotation locus A of the side edge of the bottom plate 22 Is chang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guide guide 23 is gradually widened. 4 (a) to 4 (b), the right side edge portion of the bottom plate 22 is moved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slope so that the guide guide 23 ) Is gradually widened, so that a heavy load is applied to the medicament, so that the medicament is not damaged.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guide 2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medicine, the medicine moves to the inside while being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bottom plate 22. [ Therefore, clogging of the medicament does not occur, and the medicament can smoothly move toward the center portion side of the bottom plate 22. [ 12 (d), since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bottom plate 22 penetrates in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portion 31a, the medicine rarely falls freely, and the free Even if it falls, the distance is small, so that it is not damaged by a shock. Even if the flow of the medicament is strong and the medicament flows out from the first medicament recovery section 31a, the medicament does not flow out laterally because the guide piece 24 is located here.

도 12는, 약제의 낙하 치수의 비교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a), (b)는 바닥판(22)을 평판형으로 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의 (c)는 바닥판(22)을 원호형으로 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의 (d)는, 바닥판(22)을 원호형으로 하고 그 일부를 제1 약제 회수부(31a) 내에 침입시킨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의 (e)는, 도 12의 (a)∼(d)에서의 낙하 치수를 비교한 것으로, 이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즉 도 12의 (d)에 의한 방법이 약제의 낙하 치수를 가장 억제할 수 있다. Fig. 12 show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drop size of the medicine. Figs. 12 (a) and 12 (b) show a case in which the bottom plate 22 is a flat plate. Fig. 12 (c) shows a case in which the bottom plate 22 has an arcuate shape. 12 (d) shows a case in which the bottom plate 22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a part thereof is infiltrated in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unit 31a. 12 (e) is a comparison of dropping dimensions in Figs. 12 (a) to 12 (d). As apparent from these drawing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method can most suppress the dropping dimension of the drug.

한편,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한 약제를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하는 경우, 바닥판(22)을, 도 4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센서(29c)에 의해 제3 원판(27c)의 절결부(28c)가 검출됨으로써 정지시키면 좋다. 이에 따라, 약제는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된다. 이 경우의 약제의 불출 동작은, 전술한 제1 약제 회수부(31a)에의 배출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dicine stored in the first medicine storage portion 19a is dispensed to the second medicine recovery portion 31b, the bottom plate 22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 (a) And the cutout portion 28c of the third original plate 27c is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29c as shown in Fig. 6 (d). Thus, the medicine is dispensed to the second medicine recovery unit 31b. In this case, the dispensing operation of the medicine is the same as the dispensing operation to the first medicine recovery section 31a described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제2 약제 저류부(19b)에 저류한 약제는, 제3 약제 회수부(31c) 또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된다. 이 불출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약제 저류부(19a)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 약제 저류부(19a)와 제2 약제 저류부(19b)의 바닥판(22)을 (벨트나 체인 등에 의해) 연동시키도록 하면, 동력원은 하나만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하는 약제를 제1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면, 제2 약제 저류부(19b)에 저류하는 약제는 제3 약제 회수부(31c)에 불출할 필요가 있고,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하는 약제를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하면, 제2 약제 저류부(19b)에 저류하는 약제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할 필요가 있다. The medicines stored in the second medicament reservoir portion 19b are dispensed to the third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c or the fourth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d. This dispensing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edicine reservoir portion 19a,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f the bottom plate 22 of the second medicine reservoir 19a and the bottom plate 22 of the second medicine reservoir 19b are interlocked (by a belt, a chain, or the like), only one power source is required. In this case, when the medicine stored in the first medicine storage portion 19a is dispensed to the first medicine collection portion 31a, the medicine stored in the second medicine storage portion 19b is supplied to the third medicine collection portion 31c When the medicine stored in the first medicine storage portion 19a is dispensed to the second medicine collection portion 31b, the medicine stored in the second medicine storage portion 19b is discharged to the fourth medicine collection portion 31d.

다음의 약제를 회수하기 위해서 이동시킨 약제 수취 유닛(3)에서는, 도 9의 (i) 및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시켜,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약제를 저류시킨다.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서는, 바닥판(22)을 전술한 방향과는 역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으면,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남아 있는 약제 회수부(31a, 31c)(또는 31b, 31d)에 약제가 각각 불출된다. 9 (i) and 9 (j), the medicine-receiving unit 3 moved to recover the next medicine is moved to the medicine-collection unit 4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medicine is stored in the portions 19a and 19b. In each of the medicine reservoirs 19a and 19b, the bottom plate 22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if it rotates counterclockwise). As a result, the medicines are dispensed to the remaining medicament recovery sections 31a and 31c (or 31b and 31d),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제1 약제 회수부(31a) 및 제2 약제 회수부(31b), 또는, 제3 약제 회수부(31c) 및 제4 약제 회수부(31d)에 각각 약제를 불출하기 위하여,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를 인접한 상태로,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약제 회수 용기(17)의 근방에 배치한 약제 저류 부재(15)에, 일단, 약제를 저류하고, 동시에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 용기(17)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불출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약제 저류부(19a)로부터 각 약제 회수부(31a 또는 31b)로, 제2 약제 저류부(19b)로부터 각 약제 회수부(31c 또는 31d)로 약제를 각각 불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저류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량이나, 박스 포장, 또는, 봉투 포장의 약제 등의 형태가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불출할 수 있다. 특히, 바닥판(22)을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의 수량이나 형태의 차이에 상관없이, 중앙 부분에 모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약제 회수부(31a∼31d)로의 불출 조건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안정된 불출 동작이 실현된다. 또한, 바닥판(22)의 양측부를 약제 회수부(31a∼31d)의 내부에 침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불출할 때에 약제에 충격력이 가해지기 어려워,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바닥판(22)의 양측부를 회동부(25)로 구성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회동부(25)에 약제 등이 접촉하더라도, 약제나 바닥판(22), 또는, 그 구동원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는 일이 없어,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dispense the medicines to the first medicament recovery section 31a and the second medicament recovery section 31b or the third medicines recovery section 31c and the fourth medicines recovery section 31d as described above, It is only required to move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container 13 in an adjacent stat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ed at low cost. Since the medicine once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member 15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and stored at the same time can be discharged to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It becomes possible. Since the medicines are dispensed from the first medicament reservoir 19a to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a or 31b and from the second medicament storage portion 19b to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c or 31d, The storage area can be widened. For this reason, it can be smoothly discharged even in the form of medicine, such as a quantity, a box package, or an envelope package. In particular, since the bottom plate 2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rcuate shape, it can be gathered in the central portion irrespective of the quantity or form of the medicine. Therefore, the dispensing condition to each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s 31a to 31d can be made constant at all times, and a stable dispens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Since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22 are infiltrated into the inside of the drug recovery portions 31a to 31d, it is difficult for the medicine to be subjected to impact force at the time of dispensing, and damage can be prevented. The bottom plate 22 and the bottom plate 22 can be pivotally moved only upward by the pivot 25 so that even when the pivot 2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edicine or the like, Or, an excessive load does not act on the drive source, and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복수 종의 약제를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에 불출하는 경우, 그 불출 순서는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고,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B 약제를 하나 불출하는 경우,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불출한 후,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가 아니라, B 약제를 먼저 하나 불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하나, B 약제를 하나 불출하고,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는 경우,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한 후,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기 전에, 먼저 제1 수용 용기(12)에 B 약제를 하나 불출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제1 수용 용기(12)보다 먼저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kinds of medicines are dispensed to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the dispensing order can be freely set. For example, when one A agent is dispensed to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 one A agent is dispensed to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and one B agent is dispensed to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 The first container B may be dispensed first, not the A medicament, to the second container 13. In the case where one A agent and one B agent are dispensed to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 and one A agent is dispensed to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 The first container 12 may be dispensed with one B agent before dispensing the A agent to the second container 13 after dispensing the first container 12, And one medicine A may be dispensed to the container 13.

(3.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등이 가능하다. (3. Other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저류 부재의 각 저류부의 바닥판(22)을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단면 대략 V 자형으로 하여도 좋다. 중요한 것은, 수평 기준 위치에 있는 바닥판(22)에 공급된 약제가, 그 자중에 의해 중심측에 모이는 형상의 바닥판(22)이라면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ottom plate 22 of each storage portion of the tablet storage member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arc-shaped s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ottom plate 22 may have a substantially V- It is important that the medicine supplied to the bottom plate 22 at the horizontally reference position is the bottom plate 22 having a shape that is gathered on the center side by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22)의 회동 위치를 지지축(21)에 설치한 3장의 원판(27a∼27c)과 3개 센서(29a∼29c)에 의해 검출하도록 했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원판(32a, 32b)과 2개의 센서(33a, 33b)에 의해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원판(32a, 32b)은 모두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22)이 수평 기준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센서(33a, 33b)는 모두 원판(32a, 32b)을 검출하고, 제1 불출 위치로 회동한 때에는, 센서(33a, 33b)는 모두 원판(32a, 32b)을 검출하지 않고,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한 때에는, 센서(33b)만이 원판(32b)을 검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품 개수를 줄여 저렴하게 바닥판(22)의 회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22 is detected by the three discs 27a to 27c and the three sensors 29a to 29c provided on the support shaft 21.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by two disks 32a and 32b and two sensors 33a and 33b. That is, the discs 32a and 32b are all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fixed in a position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support shaft 21 as a center. When the bottom plate 22 is positioned at the horizontal reference position, the sensors 33a and 33b detect the discs 32a and 32b, and when the bottom plates 22 and 22 are rotated to the first dispensing position, the sensors 33a and 33b Only the sensor 33b is set not to detect the original plate 32b when the original plates 32a and 32b are rotated and rotated to the second dispensing posi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detect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22 at low cost.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기준 위치에 있는 바닥판(22)의 양측부와, 칸막이 판(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안내 가이드(23)에 의해서, 평면도로 보아 덮이도록 구성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gap formed between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22 at the horizontal reference position and the partition plate 20 is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guide guide 23 in a plan view ,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it as follows.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 판(20)에, 바닥판(22)의 양측부의 회동 궤적(A)을 따른 원호면(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원호면(34)[원호면(34)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이라도 좋음]에 바닥판(22)의 양측부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볼록부(35)를 형성한다. 또한, 볼록부(35)는, 양측부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두께는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바닥판(22)의 양측부에는, 상기 볼록부(35)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36)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의 양측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극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약제의 일부(예컨대, 봉투 포장 약제의 가장자리)가 침입할 수 있는 연속된 간극이 없어져, 상기 안내 가이드(23)와 동일한 기능이 발휘된다. 이 때문에, 바닥판(22)이 수평 위치로부터 회동할 때, 그 측부 가장자리부의 회동 궤적(A)이 원호면(34)에 대하여 서서히 접근하게 되어 있다고 해도, 약제의 일부가 막힐 우려는 없다. That is, as shown in Fig. 11, an arc surface 34 along the locus of rotation A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22 is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20.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35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22 in the circular arc surface 34 (may be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ircular arc surface 34).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ortion 35 in the direction along the both side portions can be freely set.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22, notches 36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onvex portions 35 are formed. Accordingly, gaps are not formed continuously in the direction along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22. That is, there is no continuous gap in which a part of the medicine (for example, the edge of the bag packaging medicine) can enter, and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guide guide 23 is exhibited. Therefore, even when the rotation locus A of the side edge portion gradually approaches the arc surface 34 when the bottom plate 22 is rotate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a part of the medicine is not clogg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22)을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하고, 중앙부에 배치한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컨대, 지지축(21)이 바닥판(22)의 일단측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약제 회수 용기(17)를 이동시켜,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회수부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ottom plate 22 is circular in cross section and is pivoted about the support shaft 21 disposed at the center.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shaft 21 is mounted on the bottom plate 22 It is also possible to make one end side of the end portion. In this case,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may be moved to shift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recovery part for dispensing the medicin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수취 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일단, 약제 저류 부재(15)에 저류시키도록 했지만, 이 약제 저류 부재(1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약제 저류 부재(15)를 없애고, 약제 수취 유닛(3)의 각 약제 수취부(9)[이 경우, 각 약제 수취부(9)가 약제 저류부로서 기능함]의 바닥면을, 상기 약제 저류 부재(15)의 바닥판(22)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약제 수취 유닛(3)으로부터 약제 회수 용기(17)에 약제를 불출하지 않으면 다음의 약제를 회수할 수 없지만, 약제 저류 부재(15)가 불필요하게 되는 만큼, 조밀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edicine supplied from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However,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e bottom surface of each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9 (in this case, each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9 functions as a medicament holding portion) of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3 is removed from the medicament holding member 15, The structure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bottom plate 22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f the medicine is not dispensed from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to the medicine recovery container 17, the next medicine can not be recovered, but the medicine storage member 15 becomes unnecessary, .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회수 유닛(4)의 약제 저류 부재(51)를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 13으로부터 도 18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edicine holding member 51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4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However,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to Fig. 18 may be used.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51)는, 상기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15)와 같이, 평면도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다. 또한, 양측부를 구성하는 프레임판(52)이 4장의 칸막이 판(53)에 의해 2분할되어, 약제 저류부(54)[제1 약제 저류부(54a) 및 제2 약제 저류부(5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That is, the medicine holding member 51 shown in Figs. 13 and 14 has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like the medicine holding member 15 shown in Fig. The frame plate 52 constituting the both side portions is divided into two by the partition plate 53 of the four sections so that the medicine reservoir 54 (the first drug reservoir 54a and the second reservoir 54b) Respectively.

각 칸막이 판(53)은, 프레임판(52)의 하단보다 경사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부(55)를 갖는다. 또한, 각 칸막이 판(53)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 가장자리에,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56)는, 프레임판(52)의 내면에 위치하고,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칸막이 판(53)의 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부(56a)와, 이 수직부(56a)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1 경사부(56b)와, 이 제1 경사부(56b)로부터 더욱 경사 각도를 크게 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부(56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6)에는, 후술하는 회동부(63)의 돌기(64)가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부(56)와 돌기(64)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동작부가 구성되어 있다. Each of the partition plates 53 has an inclined portion 55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ame plate 52. As shown in Fig. 16, each partition plate 53 is formed with guide portions 56 extending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to both side edges thereof. The guide portion 56 includes a vertical portion 56a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plate 52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in parallel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3,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56c that extends further downward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56b by increasing the inclined angle. The projection 64 of the rotation unit 6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lid (or rolled) in the guide unit 56. [ Here, the oper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the guide portion 56 and the protrusion 64. [

각 약제 저류부(54a, 54b)의 바닥면은, 지지축(57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바닥판(57)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57a)의 위치는, 프레임판(52)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이다. 바닥판(57)은, 상기 도 3과 같이, 모터(58)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고, 그 회동 위치는, 상기 도 6과 같이, 지지축(57a)에 설치된 반원판(57b, 57c)을 광센서(59a, 59b)에서 각각 검출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즉, 광센서(59a, 59b)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58)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바닥판(57)을 초기 수평 위치[바닥판(57)의 제1 바닥면부(60)가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음)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1 불출 위치와,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2 불출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s of the medicine reservoir portions 54a and 54b are each composed of a bottom plate 57 rotatably mounted about a support shaft 57a. The position of the support shaft 57a is a substantially central position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frame plate 52. As shown in Fig. 3, the bottom plate 57 is rotated by driving of the motor 58, and its rotation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57b, 57c provided on the support shaft 57a And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s 59a and 59b, respectively. That is, the motor 58 is driven and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optical sensors 59a and 59b, whereby the bottom plate 57 is moved to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the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60 of the bottom plate 57, And a second dispense position that is rotated about 90 degrees counterclockwise from the first dispense position.

바닥판(57)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의 가장 우묵하게 들어간 부위가 제1 바닥면부(60)이고, 이 제1 바닥면부(60)의 양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되는 부위가 제2 바닥면부(61)이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종단면도로 보아 대략 원호형(원호형일 수도 있음)으로 되어 있다. 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안내부로서 기능하여,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 각각 공급된 약제(M)를 중앙부에 수집한다. 즉,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의 약제(M)의 불출 위치의 차이에 상관없이, 바닥판(57)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한은, 약제(M)는 항상 중앙부로 위치가 조정된다.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bottom plate 57 has a recessed portion that is the first recessed portion 60 and a portion that extends obliquely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60 Is a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And may have a generally arcuate shape (may be an arc shape) as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section as a whole. This substantially arcuate portion functions as a guide portion to collect the medicines M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containers 12 and 13 at the central portion. That is, as long as the bottom plate 57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regardless of the dispensing position of the medicine M from each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s 12 and 13, do.

각 제2 바닥면부(61)의 선단으로부터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편(62)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바닥면부(61)의 선단 부분에는, 힌지 결합에 의해 지지축(63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부(6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 바닥면부(60), 제2 바닥면부(61) 및 회동부(63)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는 가이드벽(60a, 61a, 63b)이 각각 기립하여, 횡단면 대략 U 자형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5, a stopper piece 62 protrudes from the tip end of each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respectively. A turning portion 63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each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with the support shaft 63a as a center by hinge engagement. Guide walls 60a, 61a and 63b are respectively erected from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60,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and the pivot portion 63 to have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각 회동부(63)는, 상기 스토퍼편(62)에 의해 제2 바닥면부(61)를 넘어 하방측으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회동부(63)가 스토퍼편(62)에 접촉한 상태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회동부(63)가 이루는 각도는, 후술하는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51)를 상승시켰을 때, 약제(M)가 그 무게 중심 위치와의 관계로 인하여, 길이 방향으로 기립하지 않고 옆으로 쓰러지는 값으로 하면 좋다. Each of the pivot portions 63 is prevented from turning downward beyond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by the stopper piece 62. [ The angle formed by the turning portion 63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state in which the turning portion 63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iece 62 is determined by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51, The value of the drug M may be set so that it falls sideways without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rug.

각 회동부(63)의 양측 외면(일측만이라도 좋음)에는 돌기(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돌기(64)는 회전 가능한 외륜을 갖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판(52)의 가이드부(56)에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한다. 또한, 돌기(64)의 위치는, 회동부(63)의 회전 중심인 지지축(63a)에 대하여, 상기 제2 바닥면부(61)가 위치하는 평면보다 상방측으로 되어 있다. Projections 64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nly one side) of each of the rotary parts 63. Each projection 64 is formed of a bearing having a rotatable outer ring and slides (or rolls) on the guide portion 56 of the frame plate 52.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64 is located above the plane on which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63a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portion 63. [

상기 바닥판(57) 및 상기 회동부(63)의 상면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65)가 점착되어 있다. 이 시트(65)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약제(M)(특히, 앰플)가 받는 충격력을 완화한다. A sheet 65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57 and the turning portion 63 as shown in Fig. This sheet 65 is made of rubber or the like having elasticity, and alleviates the impact force applied by the supplied medicine M (particularly, ampule).

상기 회동부(63)에 따르면, 바닥판(57)이 도 17의 (a)에 도시하는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회동하면, 이 회동 동작에 따라 상방측으로 이동하는 회동부(63)[도 17의 (a)에서, 우측에 위치]가,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 판(53)의 내면에 의한 지지를 잃는다. 이 때문에, 회동부(63)는, 그 자중에 의해서 바닥면이 스토퍼편(62)에 접촉할 때까지 회동한다. 다만, 회동부(63)의 상면에는 시트(65)가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57)이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제1 불출 위치(제2 불출 위치의 경우도 동일)까지 회동했다고 해도, 회동부(63)가 회동하는 일은 없다. 즉, 회동부(63)의 덜걱거림이 방지된다. When the bottom plate 57 is pivoted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shown in Fig. 17A, the pivoting portion 63 (Fig. 17 (a) (position on the right side in Fig. 17A) loses support by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3 as shown in Fig. 17 (b). Therefore, the turning portion 63 rotates until its bottom surface contacts the stopper piece 62 by its own weight. 18 (a) (the second dispensing position shown in Fig. 18 (a)), as described later, since the sheet 65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ing portion 63, , The turning unit 63 does not rotate. That is, the rattle of the turning portion 63 is prevented.

한편, 바닥판(57)의 회동 동작에 따라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회동부(63)에서는, 돌기(64)가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하는 가이드부(56)의 위치가 회동부(63)의 지지축(63a)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기 때문에,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닥면부(6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서서히 커지도록 회동한다. 그리고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57)이 초기 위치로부터 거의 60도 회동한 시점에서, 회동부(63)의 돌기(64)는 가이드부(56)의 지지를 잃는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회동부(63)가 스토퍼편(62)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동하여, 제2 바닥면부(61)와 대략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guide portion 56 in which the protrusion 64 slides (or rolls) in the rotation portion 63 that moves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ottom plate 57 17 (b),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and the shaft 63a is gradually increased. 17 (c), when the bottom plate 57 is rot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about 60 degrees, the projection 64 of the rotation part 63 loses support of the guide part 56 . Further, at this point, the turning portion 63 is rotated to the position where it contacts the stopper piece 62, and is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61.

또한, 약제 저류 부재(51)는, 상기 도 3과 같이, 도시하지 않는 모터, 풀리 및 벨트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3, the medicine storage member 51 can be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the motion of a motor, a pulley, and a belt (not shown).

여기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저류 부재(5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의 스텝 S1로부터 S24와 같이 하여,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 수용 유닛(2)의 카세트(7)로부터 약제 수취부(9) 중 어느 하나의 수용 용기(12, 13)에 공급된 약제(M)를, 약제 저류 부재(51)의 각 약제 저류부(54)에 공급한다. 그리고 각 약제 저류부(54)에 공급된 약제(M)를, 배출 위치에 위치 결정된 약제 회수 용기(17) 중 어느 하나의 약제 회수부(31a∼31d)에 불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medicine holding member 5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other words, based on the prescription data, any one of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s 9 from the cassette 7 of the medicine containing unit 2 to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9, as in Steps S1 to S24 of the flowchart shown in Figs. 7 and 8, (M) supplied to the drug reservoir (12, 13) to each drug reservoir (54) of the drug reservoir (51). And dispenses the medicines M supplied to the medicament reservoir 54 to any one of the medicament recovery units 31a to 31d among the medicament recovery containers 17 positioned at the discharge pos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case of dispensing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a will be mentioned.

약제 저류부(54)에서는, 바닥판(57)을 제1 불출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부(63)는, 돌기(64)가 칸막이 판(53)의 가이드부(56)를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하여, 제2 바닥면부(6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서서히 커지도록 회동한다. 그리고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57)이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약 60도 회동한 시점에서, 회동부(63)는 스토퍼편(62)에 거의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동한다. In the medicine reservoir (54), the bottom plate (57) is rotated to the first dispens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unit 6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jection 64 slides (or rolls) the guide unit 56 of the partition plate 53,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rotation unit 63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unit 61 gradually increases . 17 (c), when the bottom plate 57 is rotated about 60 degrees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the pivotal portion 63 is rotated to a position where it almost contacts the stopper piece 62 .

바닥판(57)의 회동 동작에 따라, 약제 저류부(54)에 저류되어 있는 약제(M)는, 그 자중에 의해 바닥판(57)의 상면을 미끄러져 서서히 회동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동부(63)의 회동 동작에 따라 더욱 회동부(63)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바닥판(57)이 도 17의 (c)에 도시하는 위치를 넘어, 중간 위치에 이르면, 일단, 바닥판(57)의 회동을 정지한다(예컨대, 1초 미만으로 한다. 여기서는, 0.2∼0.3초로 한다). 중간 위치는, 돌기(64)가 가이드부(56)에 의한 지지는 잃지만, 약제(M)가 칸막이 판(53)에 접촉하여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는 위치이며, 약제(M)의 이동이 정지된다. The medicine M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54 sli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57 due to its own weight and moves to the side of the rotary portion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bottom plate 57. [ And further moves toward the tip end side of the swinging part 63 in accordance with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winging part 63. [ When the bottom plate 57 reaches the intermediate position beyond the position shown in FIG. 17C, the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57 is stopped (for example, less than 1 second). Here, 0.3 seconds). The intermediate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projection M is prevented from dropping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plate 53 although the projection 64 is lost due to the support by the guide portion 56, do.

그 후, 바닥판(57)의 회동을 재개하여,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제1 불출 위치에 이르면, 약제(M)는 칸막이 판(53)의 가이드를 잃고 약제 회수부(31a)로 불출된다. 이 경우, 회동부(63)가 회동하여 약제 회수부(31a)의 내부에까지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약제(M)는 원활하게 약제 회수부(31a) 내로 이동한다. 통상 사이즈의 약제(M)라면, 그대로 경사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기 때문에,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돌한 후, 반드시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위치에서 약제의 이동을 일단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미끄러져 내려가는 약제(M)의 이동 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제(M)가 흐름이 강하여 약제 회수부(31a)로부터 튀어나갈 우려는 없다. 또한, 약제(M)가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돌했을 때, 큰 충격력을 받는 일이 없고, 따라서 손상되는 일도 없다. 18 (a), the medicine M loses the guide of the partition plate 53 and is returned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a, . In this case, since the rotation unit 63 is rotated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a, the medicine M smoothly moves in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a. If the medicament M of a normal size is used, it slides downwardly in an inclined downward direction. Therefore, after collid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a, the medicines M are always collapsed sideways.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vement of the medicine is temporarily stopp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moving speed of the drug M slipping down can be reduced. Therefore,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medicament M flows out from the medicine recovery portion 31a because of strong flow. In addition, when the medicament M collid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overy section 31a, it does not receive a large impact force and is therefore not damaged.

또한, 약제 회수부(31a)에 길이 방향으로 기립 상태로 수용되었을 때, 상측으로 돌출하는 큰 사이즈의 약제(M)의 경우, 회동부(63)를 미끄러져 내려가, 그 일부가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약제(M)는 회동부(63)를 미끄러져 내려가며, 자유 낙하하는 일이 전혀 없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중간 위치에서 약제의 이동을 일단 정지시키고, 미끄러져 내려가는 약제(M)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과 맞물려, 약제(M)가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돌했을 때, 큰 충격력을 받는 일이 없고, 따라서 손상되는 일이 없으며, 기립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바닥판(57)이 제1 불출 위치까지 회동하면[이때, 큰 사이즈의 약제(M)의 일부가 확실하게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일단, 정지하더라도 좋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51)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약제(M)는 일부를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반대측에서의 회동부(63)에 의한 지지 면적이 서서히 작아진다. 그리고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63)에 의한 지지가 완전히 없어진 시점에서, 약제(M)는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적재된다. In the case of the large-size drug M projecting upward, when the drug recovery unit 31a is held in the standing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tation unit 63 slides down, and a part thereof is returned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a. Therefore, the medicine M slides down the swinging part 63 and never falls freely.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ement of the medicine M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moving speed of the slipping down medicament M is reduced, the medicines M collid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a When you do, you will not get great impact, so you will not be damaged, and you will not have to stand up. When the bottom plate 57 is rotated to the first dispensing position (at this time, a part of the medicine M in a large size can sure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g recovery section 31a, 18 (b), the medicine holding member 51 is moved upward. As a result, while the medicine M is kep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g recovery portion 31a, the support area by the rotation portion 63 on the opposite side is gradually reduced. 18 (c), at the point when the support by the pivotal part 63 is completely eliminated, the medicine M is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cine recovery part 31a in a side collapsed state.

약제(M)가, 예컨대, 봉투 포장된 직방체 형상이면, 약제(M)를 자유 낙하에 의해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는 경우, 그 길이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세트(7)로부터 약제(M)를 불출하는 경우, 약제의 길이 방향이 도 15에 도시하는 좌우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가 되기 쉽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63)를 설치함으로써, 약제(M)를 경사진 상태로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M)가 길이 방향으로 기립하는 일은 없다. When the medicines M ar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acked in an envelope, when the medicines M are discharged to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a by free fall, the medicines M can st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ticularly, when the medicine M is dispensed from the cassette 7, sin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dicament is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5, it tends to st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dicine M can be dispensed to the medicine recovery portion 31a in an inclined state by providing the swing portion 63, the medicine M will not stand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런데, 상기 회동부(63)는, 그 일부(예컨대, 기초부) 또는 전부를 탄성편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돌기(64)가 가이드부(56)에 의한 지지를 잃은 시점에서, 약제(M)의 자중에 의해 탄성편이 탄성 변형되어, 회동부(63) 또는 탄성편이 약제 회수부(31a) 내에 위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바닥판(57)이 회동하여, 약제(M)가 칸막이 판(53)의 내면에 대한 접촉 상태가 해제된 시점에서, 약제(M)의 자중에 의해 탄성편이 탄성 변형되어, 회동부(63) 또는 탄성편이 약제 회수부(31a)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63)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Howev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rotary part 63 to comprise a part (for example, a base part) or all of the elastic part. That is, when the protrusion 64 loses its support by the guide portion 56, the elastic piece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elf weight of the medicine M, and the elastic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rotation portion 63 or the elastic piece medicament recovery portion 31a . At the time when the bottom plate 57 is rotated and the medicine M is relea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3, the elastic piece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medicine M, 63 or the elastic piece may be located in the drug recovery section 31a. Thus,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turning portion 63 can be obtained.

또한, 회동부(63)의 회동 동작을 규제하기 위해서, 영구 자석이나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회동부(63)의 일부[예컨대, 가이드벽(61a)의 외면]와, 제2 바닥면부의 일부에 자성 재료와 영구 자석을 각각 설치하거나, 코일 스프링을 걸거나 하면 좋다.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ressing member such as a permanent magnet or a spring in order to regulate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turning portion 63. [ For example, a magnetic material and a permanent magnet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a part of the turning portion 63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wall 61a) and a par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or a coil spring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탄성편, 영구 자석,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약제(M)의 자중에 의해, 탄성편 또는 회동부(63)를 작동시키고, 그 후, 약제(M)의 약제 회수부(31a)로의 불출이 완료하면,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When the elastic piece, the permanent magnet, the spring, or the like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piece or the swinging part 63 is actuated by the self weight of the medicine M and then the medicine recovery part 31a ),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회동부(63)나 탄성편을 설치하는 대신에, 바닥판(57)만을 강하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대응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더하여, 바닥판(57)만을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바닥판(57)을 강하시킴으로써, 바닥판(57)의 일부를 약제 회수부(31a) 내로 이동시킨다. 이 때, 바닥판(57)을 충분히 강하시킨 상태에서, 약제(M)가 칸막이 판(20)에 대한 접촉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약제(M)를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분히 가까운 위치에 불출할 수 있다. Further, instead of providing the pivotal portion 63 or the resilient piece, only the bottom plate 57 can be dealt with. That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a mechanism for lifting only the bottom plate 57 is provided. Then, the bottom plate 57 is lower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 (c), thereby moving a part of the bottom plate 57 in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31a. At this time, the medicine M is released from the contact with the partition plate 20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57 is sufficiently lowered. Accordingly, the medicine M can be dispensed to a position sufficiently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cine recovery portion 31a.

또한, 상기 도 13으로부터 도 16에서는, 약제 저류 부재(51)에 채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여기서 설명한 구성은, 약제 저류 부재(51)를 생략한 경우의 약제 수취 유닛(3)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3 to 16, the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the case where the medicine storage member 51 is employed. However, the structure described here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adopted in the medicine storage unit 3 when the medicine storage member 51 is omitted It is also possible.

1… 장치 본체
2… 약제 수용 유닛
3… 약제 수취 유닛
4… 약제 회수 유닛
5… 제어 유닛
6… 카세트 수용부
7… 카세트
8… 불출구
9… 약제 수취부
10… 지지부
11… 레일
12… 제1 수용 용기
13… 제2 수용 용기
14a, 14b… 가이드 플레이트
15… 약제 저류 부재
16… 반송 부재
17… 약제 회수 용기
18… 프레임
19a… 제1 약제 저류부
19b… 제2 약제 저류부
20… 칸막이 판
21… 지지축
22… 바닥판
23… 안내 가이드
23a… 경사면
24… 가이드편
25… 회동부
26… 탄성 시트
27a… 제1 원판
27b… 제2 원판
27c… 제3 원판
28… 절결부
29a… 제1 센서
29b… 제2 센서
29c… 제3 센서
30… 반송 벨트
31a… 제1 약제 회수부
31b… 제2 약제 회수부
32a, 32b… 원판
33a, 33b… 센서
34… 원호면
35… 볼록부
36… 절결부
51… 약제 저류 부재
52… 프레임판
53… 칸막이 판
54… 약제 저류부
54a… 제1 약제 저류부
54b… 제2 약제 저류부
55… 경사부
56… 가이드부(동작부)
56a… 수직부
56b… 제1 경사부
56c… 제2 경사부
57… 바닥판
57a… 지지축
58… 모터
59… 광센서
60… 제1 바닥면부
60a… 가이드벽
61… 제2 바닥면부
61a… 가이드벽
62… 스토퍼편
63… 회동부(유도부)
63a… 지지축
63b… 가이드벽
64… 돌기[피가이드부(동작부)]
65… 시트
100a, 100b, 101a, 101b, 110, 111… 풀리
112… 모터
113… 벨트
114, 116… 돌출편
115, 117… 센서
120… 모터
121… 구동 기어
122… 종동 기어
One… Device body
2… The medicine receiving unit
3 ... The medicine receiving unit
4… Drug recovery unit
5 ... The control unit
6 ... Cassette receiving portion
7 ... cassette
8… Outflow
9 ... The medicine-
10 ... Support
11 ... rail
12 ... The first container
13 ... The second container
14a, 14b ... Guide plate
15 ... Drug storage member
16 ... The conveying member
17 ... Drug recovery container
18 ... frame
19a ... The first drug reservoir
19b ... The second drug reservoir
20 ... Partition plate
21 ... Support shaft
22 ... Bottom plate
23 ... Guide guide
23a ... incline
24 ... Guide
25 ... The turning part
26 ... Elastic sheet
27a ... The first disk
27b ... The second disk
27c ... Third disk
28 ... The cut-
29a ... The first sensor
29b ... The second sensor
29c ... Third sensor
30 ... Conveying belt
31a ... The first medicine-
31b ... The second medicine-
32a, 32b ... negative
33a, 33b ... sensor
34 ... Circle arc
35 ... Convex portion
36 ... The cut-
51 ... Drug storage member
52 ... Frame plate
53 ... Partition plate
54 ... Drug reservoir
54a ... The first drug reservoir
54b ... The second drug reservoir
55 ... Inclined portion
56 ... The guide portion (operating portion)
56a ... Vertical portion
56b ... The first inclined portion
56c ... The second inclined portion
57 ... Bottom plate
57a ... Support shaft
58 ... motor
59 ... Light sensor
60 ... The first bottom surface
60 ... Guide wall
61 ... The second bottom surface
61a ... Guide wall
62 ... Stopper
63 ... Rotating part (guide part)
63a ... Support shaft
63b ... Guide wall
64 ... Projection [Guided part (operation part)]
65 ... Sheet
100a, 100b, 101a, 101b, 110, 111 ... Pulley
112 ... motor
113 ... belt
114, 116 ... Projecting pieces
115, 117 ... sensor
120 ... motor
121 ... Drive gear
122 ... Driven gear

Claims (15)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한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일단 저류시키는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는 약제 저류 부재와, 상기 약제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 저류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저류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A device body,
A medicine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medicament receiving containers capable of dispensing the medicament contained therein through the medicament discharg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is movably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moves to a medicine receiving position to receive a medicine dispensed from a medicine discharging unit of the medicine holding unit of the medicine holding unit, A medicine receiving unit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drug storage member for receiving the drug from the drug receiving unit of the drug receiving unit moved to the drug delivery position and storing the drug once; and at least two drug recovery units for recovering the drug discharged from the drug storage unit The drug recovery unit
/ RTI >
Wherein the medicament storage member includes one medicament storage portion for the adjacent two medicament recovery portions, and the medicament storage portion can supply the medicines stored therein to one of the medicament recovery portions, And a second dispensing position for allowing the medicine stored next to be supplied to the remaining one side of the medicine recovery unit to be rotated.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약제 회수 유닛의 인접하는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A device body,
A medicine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medicament receiving containers capable of dispensing the medicament contained therein through the medicament discharg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is movably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moves to a medicine receiving position to receive a medicine dispensed from a medicine discharging unit of the medicine holding unit of the medicine holding unit, A medicine receiving unit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drug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medicine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of the medicine receiving unit,
/ RTI >
Wherein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includes one medicament receiving unit for two adjacent medicament recovery units of the medicament recovery unit, and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medicament- Wherein the first dispensing position allows the medicine to be supplied to the other one of the medicine dispensing part and the second dispensing position where the medicine stored next can be supplied to the remaining one side of the medicine recovering pa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수평 위치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하방측으로 깊어지는 안내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ttom plate has a guide portion which is deeper downward toward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제1 회동 위치 또는 제2 회동 위치로 회동했을 때, 바닥판의 일부가 약제 회수 유닛의 약제 회수부 내에 침입 가능하고,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회동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bottom plate is rotated to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a part of the bottom plate is capable of intruding into the drug recovery unit of the drug recovery unit, And a pivoting portion that is pivotable only upward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류부의 양측에 설치한 안내 가이드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을 갖고, 약제 저류부의 바닥판의 회동 중심은, 회동에 의해 양측부가 양측면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guid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edicine reservoir has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inwar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pivot center of the bottom plate of the medicine reservoir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dispenser is set to a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부의 양측에 설치한 안내 가이드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을 갖고, 약제 수취부의 바닥판의 회동 중심은, 회동에 의해 양측부가 양측면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The med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uide gui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have inclined surfaces projecting inwar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pivot centers of the bottom plate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are formed so that both side portions do not interfere with both side surfaces And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dispenser is set to a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류부의 양측부가, 이들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볼록부를 구비하고, 약제 저류부의 바닥판이, 그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볼록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drug reservo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side portions of the medicine reservoir portion have convex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th side portions, and the bottom plate of the drug reservoir portion has a cutout portion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onvex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th side portions thereof And discharging the medic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부의 양측부가, 이들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볼록부를 구비하고, 약제 수취부의 바닥판이, 그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볼록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The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side portions of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convex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th side portions, and the bottom plate of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notch portion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onvex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th side portions thereof And discharging the medici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양단부에, 상기 바닥판이 각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할 때, 상기 약제 회수부 내로 연장하는 안내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한 유도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med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has guiding portions, which can be positioned at guiding positions that extend into the medicament collecting portion when the bottom plate rotates toward each dispensing position, at both end portions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양단측이 칸막이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와, 상기 바닥판의 회동 시에 상기 칸막이 판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후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0.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both end sides of the bottom plate are constituted by partition plates,
And an operating portion capable of moving the guide portion to the guide position and a retreat position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guide plate and the partition plate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도부는,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칸막이 판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유도부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판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each guide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Wherein the operating portion comprises a guide portion formed on the partition plate and a guided portion provided on the guide portion and guided by the guide portion when the bottom plate is rota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이 어느 한쪽의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약제가 상기 약제 회수부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동작부에 의해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when the bottom plate is rotated toward either one of the dispensing positions, when the medicine arranged on the bottom plate moves toward the medicine recovery unit side, the operating unit rotates the guide unit toward the guide position Wherein the dispenser is configured to dispense the medic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유도부의 회동 범위를, 상기 바닥판의 회동에 의해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게 된 시점에서의 회동 위치를 넘어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bottom plate restricts a rotation range of the guide portion so as not to rotate beyond a rotation position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guided portion is not guided by the guide portion due to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And a stoppe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pp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회동 도중에서, 상기 약제 회수부에 약제가 불출되기 직전에, 일단, 상기 바닥판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2.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immediately before the medicine is dispensed to the medicine recovery unit during the rotation of the bottom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정지 위치는, 가이드부에 의한 피가이드부의 가이드가 해제되어, 상기 약제가 상기 칸막이 판에 의해서 낙하가 저지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top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is a position where the guide of the guided part by the guide part is released, and the medicine is prevented from falling by the partition plate.
KR1020127003524A 2009-08-12 2010-08-06 Drug dispensing device KR1017763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7203 2009-08-12
JP2009187203 2009-08-12
JP2010170710 2010-07-29
JPJP-P-2010-170710 2010-07-29
PCT/JP2010/063374 WO2011018998A1 (en) 2009-08-12 2010-08-06 Drug dispen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257A KR20120049257A (en) 2012-05-16
KR101776347B1 true KR101776347B1 (en) 2017-09-07

Family

ID=4358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524A KR101776347B1 (en) 2009-08-12 2010-08-06 Drug dispens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668685B2 (en)
KR (1) KR101776347B1 (en)
CN (1) CN102573756B (en)
WO (1) WO201101899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47A (en) * 2020-03-04 2021-09-14 (주)제이브이엠 Medicine delivery unit and medicine deliv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9487B2 (en) * 2011-03-10 2015-01-07 株式会社トーショー Drug handing agent
JP6015125B2 (en) * 2012-05-18 2016-10-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Drug dispensing device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CN104684529B (en) * 2012-11-01 2018-09-11 普和希控股公司 Medicine containing box and the medicine delivering device for assembling the medicine containing box
JP6096149B2 (en) * 2014-05-01 2017-03-15 義広 平山 Dispensing device
JP6785033B2 (en) * 2015-07-02 2020-11-18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Drug packaging equipment and drug supply equipment
CN105539929B (en) * 2016-01-27 2018-10-16 青岛三维海容机电有限公司 A kind of drug dispensing tray
KR101721571B1 (en) * 2016-11-15 2017-03-30 김재우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JP6860636B2 (en) * 2019-11-01 2021-04-21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Drug packaging equipment and drug supply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9899A (en) 2004-10-12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jection medicine automatic put-out device
JP2007007443A (en) 2006-09-12 2007-01-1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Medicament put-o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1679B1 (en) * 1987-02-27 1991-07-12 Cga Hbs INSTALLATION FOR MAKING BATCHES OF ARTICLES
JPH03201183A (en) * 1989-12-28 1991-09-03 Kubota Corp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09194023A (en) * 1996-01-12 1997-07-29 Ishii Ind Co Ltd Oscillation type conveying device
JP3971544B2 (en) * 2000-02-17 2007-09-05 グローリー機器株式会社 Medal cleaning device
TWI290898B (en) * 2002-08-05 2007-12-11 Yuyama Mfg Co Ltd Feeding device of drug
JP4643448B2 (en) * 2003-07-31 2011-03-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Drug dispensing apparatus and drug filling apparatus
JP4421920B2 (en) * 2003-09-26 2010-02-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Chemical dispensing device
JP4992262B2 (en) * 2005-09-30 2012-08-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Drug dispensing device
CN101820847B (en) * 2007-09-21 2014-03-12 克里腾株式会社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9899A (en) 2004-10-12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jection medicine automatic put-out device
JP2007007443A (en) 2006-09-12 2007-01-1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Medicament put-ou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47A (en) * 2020-03-04 2021-09-14 (주)제이브이엠 Medicine delivery unit and medicine deliv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06371B1 (en) 2020-03-04 2022-06-08 (주)제이브이엠 Medicine delivery unit and medicine deliv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3756B (en) 2014-08-27
CN102573756A (en) 2012-07-11
JP2015051367A (en) 2015-03-19
KR20120049257A (en) 2012-05-16
JP5924397B2 (en) 2016-05-25
WO2011018998A1 (en) 2011-02-17
JPWO2011018998A1 (en) 2013-01-17
JP5668685B2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347B1 (en) Drug dispensing device
JP5346023B2 (en) Automatic discharger for free-form tablet of medicine packaging device and tablet supply method
US10486889B2 (en) Drug feeder
EP2436362B1 (en) Rotary-type tablet feeder
KR101743412B1 (en)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CA2533265C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CN101686897B (en) Tablet filler device
US6581355B1 (en) Tablet filling device
US6789996B2 (en) Medicine feed apparatus
JP2010535606A (en) Quantity adjusting module and automatic tablet dispenser for free-form tablets and tablet supply method
TW201708046A (en) Medicine feeding canister for in an automat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TWI685335B (en) Medicament dispensing apparatus
JP4964199B2 (en) Individual packaging medicine automatic supply equipment
US6726056B2 (en) Medicine feed apparatus
KR101576197B1 (en) Drug cartridge
KR20140055947A (en) Drug gathering apparatus
KR101107664B1 (en) Tarblet divider of the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JP2006223538A (en) Medicine deliver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