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571B1 -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 Google Patents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571B1
KR101721571B1 KR1020160151790A KR20160151790A KR101721571B1 KR 101721571 B1 KR101721571 B1 KR 101721571B1 KR 1020160151790 A KR1020160151790 A KR 1020160151790A KR 20160151790 A KR20160151790 A KR 20160151790A KR 101721571 B1 KR101721571 B1 KR 10172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lumn
plane
height
flui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김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우 filed Critical 김재우
Priority to KR102016015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orage container including double bottom plan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container comprises a first bottom plane, a side plane, a pillar, and a second bottom plane. The side place has vertically divided first and second inner planes on the first bottom plane, and an edge of the second inner plane can be connected to an edge of the first bottom plane. A height of the pilla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inner plane and one end of the pillar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plane along a vertical direction. The center of the second bottom plane is disposed in the other end of the pillar and the second bottom plane is in comparison with the second inner plane. The second inner plane can be formed with a curvature matched with a curvature of a virtual sphere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pill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container can prevent sloshing of a fluent substance.

Description

이중 밑면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이중 밑면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 dual bottom surface.

일반적으로 유동성 물질은 저장 용기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용기는 뚜껑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뚜껑이 사용되지 않는 저장 용기의 경우, 또는 뚜껑이 있더라도 뚜껑을 열어서 사용하는 저장 용기의 경우, 저장 용기에 저장된 유동성 물질은 외부 힘에 의해 저장 용기에서 흘러 넘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힘은 저장 용기가 이동하는 도중에 발생되거나, 또는 유저(User)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동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위생상 혹은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유동성 물질이 음식물인 경우, 음식물이 그릇 외부로 흘러 넘칠 수 있고 또한 이로 인해 화상의 위험이 있다. 만약, 유동성 물질이 화학 물질인 경우, 특히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저장 용기에 저장된 경우, 위생상 혹은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Generally, the fluid material can be stored in a storage container. The storage vessel may or may not include a lid. In the case of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lid is not used, or in the case of a storage container which is used by opening the lid even if it has a lid, the liqui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may overflow from the storage container by external force. Here, the external forc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or may be generated by a user. In this case, hygienic or safety problems may occur depending on the type of fluid material. If the fluid material is food, the food may overflow out of the bowl and there is also a risk of burns. If the fluent material is a chemical, sanitary or safety problems may occur, especially if harmful substances are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저장 용기에 저장된 유동성 물질의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 용기에 뚜껑이 사용되거나, 저장 용기의 높이를 높이거나, 또는 받침대와 같은 저장 용기에 부가 장치들이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저장 용기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To prevent entanglement of the flui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a lid may be used in the storage container, a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increased, or additional devices may be added to the storage container such as a pedestal.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storage container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중 밑면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 double bottom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 제 1 밑면, 옆면, 기둥, 제 2 밑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옆면은 상기 제 1 밑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제 1 내면 및 제 2 내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내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 기둥은 상기 제 2 내면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 1 밑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일단이 상기 제 1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밑면은 상기 기둥의 타단에 중심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내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내면은 상기 기둥의 타단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a first bottom surface, a side surface, a column, and a second bottom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rface may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and a second inner surface which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n edg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may be connected to an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The column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surfac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The second bottom surface is centered on the other end of the column and can contact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a curvature of a virtual sphere abou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유동성 물질의 출렁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는 크기가 증가되지 않으면서 상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low of the fluid. Particularly,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above-described effects without increasing the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저장 용기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가상의 구 중심의 부근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A-A'에 따른 저장 용기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by way of example, a cross s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A 'in FIG.
5 and 6 are enlarged views of the vicinity of the imaginary sphere center shown in Figs. 2 to 4. Fig.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A 'of FIG. 1; FIG.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100)는 제 1 밑면(110), 옆면(120), 및 제 2 밑면(13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storage container 100 may include a first bottom surface 110, a side surface 120, and a second bottom surface 130.

저장 용기(100)는 유동성 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저장 용기(100)는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그릇, 음료수 컵, 조리용 용기(예를 들면, 냄비), 각종 인스턴트 식품 용기, 생수통 등일 수 있다. 유동성 물질의 저장을 위해, 제 1 밑면(110) 및 옆면(120)은 서로 연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옆면(120)은 제 1 밑면(1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옆면(120)은 제 1 밑면(110)이 연장된 것일 수도 있다. 옆면(120)은 XY 평면과 대비하여 수직하게 제작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지 않게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옆면(120)의 XY 평면에 대한 각도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유동성 물질(10)은 제 1 밑면(110) 및 옆면(120)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동성 물질은 물, 술, 기름, 음료 등의 액체 또는 모래, 설탕, 소금 등과 같은 고체일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100 may store a fluid material. Illustratively, the storage container 100 may be a food-containing container, a beverage cup, a cooking container (e.g., a pot), various instant food containers, For storage of the fluid material,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ide surface 120 may be connected or attached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side surface 120 may be connected to an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n another embodiment, the side surface 120 may be an extension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The side surface 120 may be made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or may be made non-vertical as show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ngle of the illustrated side surface 120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The fluid material 10 may be stored in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ide surface 120. [ By way of example, the fluid material may be a liquid such as water, alcohol, oil, beverage, or solid such as sand, sugar, salt, and the like.

제 1 밑면(110) 및 옆면(120)은 유동성 물질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1 밑면(110) 및 옆면(120)의 재질은 금속, 고무, 유리, 합성 수지, 도자기 등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ide surface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prevents the fluid material from leaking. Illustratively, the material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ide surface 120 may be metal, rubber, glass, synthetic resin, ceramics or the like or a combination thereof.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밑면(110)의 형상은 어느 한 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모든 점들의 집합인 원 또는 타원의 형상(즉,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밑면(110)과 연결된 옆면(120)은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may be a circle or oval shape (i.e., a circular shape) that is a set of all points at the same distance at any point.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120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 용기(100)는 유동성 물질의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밑면(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밑면(110)은 유동성 물질의 출렁임과 관계없이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제 2 밑면(130)은 유동성 물질의 출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 2 밑면(130)은 제 1 밑면(110)과 유사한 형상(즉,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는 이중 밑면(제 1 및 제 2 밑면들(11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 제 2 밑면(130)의 움직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container 100 may include a second bottom surface 130 to prevent swelling of the fluid material.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s fixed regardless of the elongation of the fluid material, while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can move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fluid material.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e., a circular shape). That is, the storag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uble bottom surfac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110 and 130). Hereinafter,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저장 용기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외부로부터 저장 용기(10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외부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저장 용기(100)에 힘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저장 용기(10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 2 밑면(130)의 기울어짐 또는 움직임에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구를 도시한다.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by way of example, a cross-s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A 'of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no force is exerted on the storage container 100 from the outside,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0 in an arrow direction from the outside. FIG. 4 shows an imaginary sphe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r movemen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0 in an arbitrary direction from the outside.

도 2를 참조하면, 옆면(120)은 제 1 밑면(110)에 수직 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제 1 내면(122) 및 제 2 내면(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내면(125)의 가장자리는 제 1 밑면(1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면(122)의 높이는 H1이고, 제 2 내면(125)의 높이는 H2이고, 후술할 기둥(130)의 높이는 H3이고, 저장 용기(100)의 높이는 H4이다.Referring to FIG. 2, the side surface 120 may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122 and a second inner surface 125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The edg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may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The height of the first inner surface 122 is H1, the height of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is H2, the height of the column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H3, and the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H4.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100)는 제 1 밑면(110) 및 제 2 밑면(130) 사이에 위치한 기둥(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기둥(140)은 제 2 밑면(130)에 가리므로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기둥(140)의 일단은 z축 방향(즉, 제 1 밑면(110)에 수직 방향)에 따라 제 1 밑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기둥(140)은 제 1 밑면(110)이 연장되거나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즉, 기둥(140)은 제 1 밑면(110)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기둥의 높이(H3)는 제 2 내면의 높이(H2)보다 낮을 수 있다.2 through 4, the storage container 100 may include a column 140 positioned between a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a second bottom surface 130. In FIG. 1, the column 140 is shown as a dotted line because it is covered by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One end of the column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long the z-axis direction (i.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n an embodiment, the posts 140 may be those in which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s extended or protruded. That is, the column 14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height H3 of the column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H2 of the second inner surface.

제 2 밑면(130)은 기둥(14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2 밑면(130)의 중심이 기둥(14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밑면(130)은 기둥(140)의 타단과 부착된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기둥(140)의 타단 위에 놓인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밑면(110) 및 제 2 밑면(130) 사이에 공간이 발생될 수 있고, 이 공간은 비어 있을 수 있다. 즉, 유동성 물질(10)과 제 2 밑면(130)은 직접적으로 서로 맞닿을 수 있고, 유동성 물질(10)은 제 2 밑면(130), 제 1 내면(122) 그리고 제 2 내면(125)의 일부분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More specifically, the center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At this time,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not be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but may simply be placed on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As a result, a spa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and this space may be empty. In other words, the fluid material 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can directly abut one another, and the fluid material 10 can contact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the first inner surface 122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And can be stored in a space formed as a part.

제 2 밑면(130)은 기둥(140)의 타단에 놓인 것이므로, 기둥(140)의 타단과 분리될 수도 있다. 즉 제 2 밑면(130)은 저장 용기(100)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밑면(130)의 재질은 탄력이 있는 재질(예를 들면, 고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장 용기(100)의 세척은 용이하다.Since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That is,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100. To this end, the material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a resilient material (e.g., rubber). As a result, the cleaning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easy.

도 2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저장 용기(100)에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유동성 물질(10)에 의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동성 물질(10)의 중력에 의해) 제 2 밑면(130)은 제 1 밑면(110)과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2 밑면(130)은 XY 평면에 놓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since th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0 from the outside,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by gravity of the fluid material 10)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lie in the XY plane.

반면에 도 3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저장 용기(100)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제 2 밑면(130)은 유동성 물질(10)에 의해 제 1 밑면(110)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유동성 물질(10)이 한쪽으로 쏠리면, 한쪽으로 쏠린 유동성 물질(10)의 무게에 의해 제 2 밑면(130)은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유동성 물질(10)이 쏠린 제 2 밑면(130)의 부분은 하강하는 반면에, 유동성 물질(10)이 쏠리지 않은 제 2 밑면(130)의 다른 부분은 상승할 수 있다. 제 2 밑면(130)이 기울어지는 방향은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힘은 저장 용기(100)에 임의의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으므로, 제 2 밑면(130)이 기울어지는 방향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제 2 밑면(130)은 시소(Seesaw)의 원리와 유사하게 유동성 물질(10)의 이동 혹은 움직임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3,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tilted toward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by the fluid material 10 because force is appli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0 from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when the fluid material 10 is tilted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tilted by the weight of the fluid material 10 that has been squeezed to one side. That is, a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on which the fluid material 10 is tilted may be lowered while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on which the fluid material 10 is not tilted may ri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tilts can be determined by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In particular, since the force can be appli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0 in any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tilts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figure. In summary,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can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r movement of the fluid material 10, similar to the principle of seesaw.

상술한 제 2 밑면(130)의 동작에 의해, 유동성 물질(10)은 저장 용기(100) 외부로 넘치지 않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저장 용기(100)에 힘이 가해지면, 유동성 물질(10)은 저장 용기(100) 외부로 넘치는 대신에, 제 2 밑면(130)이 기울어지면서 발생되는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저장 용기(100)로 가해진 힘은 시소의 원리에 따른 제 2 밑면(130)의 움직임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의 유동성 물질(10)의 무게와 도 3에서의 유동성 물질(10)의 무게는 서로 일치할 수 있다.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described above, the fluid material 10 may not overflow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More specifically,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0 from the outside, the fluid material 10 may be filled in a space generated by inclining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instead of overflow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have. That is,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dispers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esaw. Therefore, the weight of the fluid material 10 in FIG. 2 and the weight of the fluid material 10 in FIG. 3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도 4에서는 가상의 구(200)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상의 구(200)는 제 2 밑면(130)의 기울어짐 또는 움직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 용기(100)의 구성 요소는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의 구(200)의 중심은 기둥(14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In Fig. 4, the hypothetical sphere 200 is indicated by a chain double-dashed line. The virtual sphere 200 may be formed by tilting or moving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and is not a component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Referring to FIG. 4, the center of the virtual sphere 200 may b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내면(125)은 가상의 구(200)의 일부분과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구(200)의 일부분은 제 2 밑면(130)이 실제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 2 내면(125)과 유사하게, 제 2 밑면(130)의 가장자리도 가상의 구(200)의 일부분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제 2 밑면(130)의 가장자리는 제 2 내면(125)과 밀착되거나 접하기 위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정리하면, 제 2 내면(125), 제 2 밑면(130)의 가장자리, 그리고 가상의 구(200)의 곡률(Curvature)들 각각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내면(125)은 기둥(140)의 타단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의 곡률과 일치할 수 있다. 제 2 내면의 높이(H2)는 기둥의 높이(H3)보다 클 수 있고, 저장 용기의 높이(H4)보다는 작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may coincide with a portion of the virtual sphere 200. Here, a portion of the virtual sphere 200 may mean a space where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can actually move. Similar to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the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also coincide with a portion of the hypothetical sphere 200. In other words, the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have a curved surface shape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or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In summary, the curvatures of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the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and the imaginary sphere 200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may coincide with the curvature of a virtual sphere abou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The height H2 of the second inner surface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H3 of the column and may be less than the height H4 of the storage container.

제 2 내면(125)과 제 2 밑면(130)의 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거나 접하면, 유동성 물질(10)은 제 1 밑면(110) 및 제 2 밑면(1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유동성 물질(10)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내면(125)과 제 2 밑면(130)의 가장자리는 발수코팅 될 수 있다. The fluid material 10 may not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if the edges of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are in close contact or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edges of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water repellent coated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fluid material 10.

도 4를 참조하면, 가상의 구의 지름(D)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상의 구의 지름(D)은 제 2 밑면의 지름(D)과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저장 용기의 높이(H4)가 제 2 밑면의 지름(D)보다 작은 경우는 저장 용기의 높이(H4)가 제 2 밑면의 지름(D)보다 큰 경우에 비해, 저장 물질이 외부로 넘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 용기의 높이(H4)의 제 2 밑면의 지름(D)에 대한 비율(즉, H4/D)이 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라도, 유동성 물질(10)의 출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담는 저장 용기(100)인 경우, 저장 용기의 높이(H4)는 3cm 이상일 수 있고, 제 2 밑면의 지름(D)은 저장 용기의 높이(H4)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기둥의 높이(H3)는 1cm 이상일 수 있다. 저장 용기의 높이(H4)가 3cm 보다 낮거나 또는 기둥의 높이(H3)가 1cm 보다 낮으면, 제 2 밑면(130)이 유동성 물질(10)의 무게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수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4, the diameter D of the imaginary sphere is shown. Here, the diameter D of the imaginary sphere may coincide with the diameter D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When the height H4 of the storage containe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orage material overflows to the outsid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height H4 of the storage contain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It is relatively l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ratio (H4 / D) of the height H4 of the storage container to the diameter D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is less than or equal to 1, .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storing or containing food, the height H4 of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3 cm or more and the diameter D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may be larger than the height H4 of the storage container have. At this time, the height H3 of the column may be 1 cm or more. If the height H4 of the storage container is less than 3 cm or the height H3 of the column is less than 1 cm, the range in which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can move by the weight of the fluid material 10 may be limited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value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100)는 기체 통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 통로(150)는 제 2 밑면(130)의 기울어짐 또는 움직임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공기의 유출입을 위해 제 1 밑면(110) 또는 제 2 내면(125) 중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체 통로(150)의 위치, 크기, 개수, 모양 등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있어서, 액체는 기체 통로(150)를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는 기체 통로(15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체 통로(150)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물질 구멍의 지름은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는 통과할 수 있게 예시적으로 10nm 보다 작을 수 있다. 2 through 4, the storage container 100 may include a gas passage 150. The gas passage 150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125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in response to the inclination or movemen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The position, size, number, shape, and the like of the gas passage 150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In an embodiment, the liquid can not pass through the gas passageway 150, and the gas can pass through the gas passageway 150. To this end, the gas passageway 150 may comprise a porous material. Here, the diameter of the porous material hole may be illustratively less than 10 nm so that the liquid can not pass through and the gas can pass through.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저장 용기(100)는 기체 통로(150)를 포함하는 대신에, 제 1 밑면(110) 또는 옆면(120)을 다공성 물질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밑면(110) 또는 옆면(120)이 상술한 기체 통로(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orage vessel 100 may comprise a first bottom surface 110 or a side surface 120 of a porous material instead of including a gas passage 150. In this case,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or the side surface 120 may serve as the gas passage 150 described above.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도시된 가상의 구 중심의 부근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둥(140)과 제 2 밑면(130)은 서로 맞닿거나 접할 수 있다. 전술한대로, 기둥(140)의 타단은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도 5에서, 기둥(140)의 타단과 맞닿는 제 2 밑면(130)의 부분(즉, 제 2 밑면(130)의 중심)은 평평할 수 있다. 반면에 도 6에서, 기둥(140)의 타단과 맞닿는 제 2 밑면(130)의 부분은 평평하지 않고, 반구 형상에 따라 홈이 패일 수 있다. 홈의 유무와 관계 없이, 제 2 밑면(130)은 유동성 물질(10, 도 2 내지 도 4 참조)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움직일 수 있다.5 and 6 are enlarged views of the vicinity of the imaginary sphere center shown in Fig. 5 and 6, the pillars 14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in contact with 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may be hemispherical. 5, the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that abuts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i.e., the center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may be flat. On the other hand, in FIG. 6, the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which contacts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is not flat, and the groove may be depressed depending on the hemispherical shap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groove,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can be tilted or moved by the fluid material 10 (see Figs. 2 to 4).

실시 예에 있어서, 기둥(140)의 타단 및 기둥(140)의 타단과 맞닿는 제 2 밑면(130)의 부분은 자력에 의해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둥(140)의 타단은 자석으로 구현되고, 기둥(140)의 타단과 맞닿는 제 2 밑면(130)의 부분은 금속(예를 들면, 철)로 구현되거나, 혹은 반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자력에 의해, 기둥(140)의 타단 및 제 2 밑면(130)의 중심은 서로 견고하게 맞닿거나 접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which abuts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More specifically,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is implemented as a magnet,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that contacts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may be implemented as a metal (e.g., iron) It is possible. By the magnetic force,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4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can firmly contact or touch each other.

도 7은 도 1의 A-A'에 따른 저장 용기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300)는 제 1 밑면(310), 옆면(320), 제 2 밑면(330), 기둥(340), 및 기체 통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옆면(320)은 제 1 내면(322) 및 제 2 내면(3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밑면(310), 옆면(320), 제 1 내면(322), 제 2 내면(325), 기둥(340), 및 기체 통로(35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가상의 구(400)도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A 'of FIG. 1; FIG. Referring to FIG. 7, the storage vessel 300 may include a first bottom surface 310, a side surface 320, a second bottom surface 330, a column 340, and a gas passageway 350. The side surface 320 may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322 and a second inner surface 325. Here, the first bottom surface 310, the side surface 320, the first inner surface 322, the second inner surface 325, the column 340, and the gas passage 35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virtual sphere 4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밑면(33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제 2 밑면(130)과 대체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7을 참조하면, 제 2 밑면(330)은 제 2 밑면(130)과 달리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밑면(330)은 유동성 물질(30)이 제 1 밑면(310) 및 제 2 밑면(1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제 2 밑면(130)에 비해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bottom surface 330 may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illustrated in FIGS. However,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bottom surface 33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different from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The second bottom surface 330 thus prevents the flowable material 30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3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on the second bottom surface 130 shown in FIGS.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이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술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앞으로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a concrete exampl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embodiments that can be simply modified or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 30: 유동성 물질
100, 300: 저장 용기
110, 310: 제 1 밑면
120, 320: 옆면
122, 322: 제 1 내면
125, 325: 제 2 내면
130, 330: 제 2 밑면
140, 340: 기둥
150, 350: 기체 통로
200: 가상의 구
10, 30: fluid material
100, 300: storage container
110, 310: first bottom surface
120, 320:
122, 322: first inner surface
125, 325: second inner surface
130, 330: a second bottom surface
140, 340: Column
150, 350: gas passage
200: A virtual hole

Claims (7)

제 1 밑면;
상기 제 1 밑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제 1 내면 및 제 2 내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내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옆면;
상기 제 2 내면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 1 밑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일단이 상기 제 1 밑면에 연결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타단에 중심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내면과 접하는 제 2 밑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내면은 상기 기둥의 타단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저장 용기.
A first bottom surface;
A side surface having a first inner surface and a second inner surface which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the edg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 column lower than a height of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surfac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nd a second bottom surface having a center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is formed to coincide with a curvature of a virtual sphere abou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밑면과 상기 제 2 밑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공기의 유출입을 위해 상기 제 1 밑면에 배치되는 기체 통로를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as passage arranged on the first bottom surface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액체는 상기 기체 통로를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는 상기 기체 통로를 통과하는 저장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quid does not pass through the gas passage and the gas passes through the gas pass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밑면 및 제 2 밑면 각각은 원형의 형상이고, 상기 옆면은 원통형 형상인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side surface has a cylindrical sha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밑면은 평평하거나 볼록하고, 상기 제 2 밑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 2 내면과 접하기 위한 곡면 형상이고, 상기 제 2 밑면의 재질은 고무 또는 합성 수지인 저장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bottom surface is flat or convex, the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is curved to contact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the material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is rubber or synthetic resi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일단은 반구 형상인 저장 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ne end of the column is hemispherical in shap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의 높이의 상기 제 2 밑면의 지름에 대한 비율은 1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기둥의 높이는 1cm 이상인 저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ratio of a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to a diameter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is less than or equal to 1 and a height of the column is not less than 1 cm.
KR1020160151790A 2016-11-15 2016-11-15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KR101721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90A KR101721571B1 (en) 2016-11-15 2016-11-15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90A KR101721571B1 (en) 2016-11-15 2016-11-15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571B1 true KR101721571B1 (en) 2017-03-30

Family

ID=5850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790A KR101721571B1 (en) 2016-11-15 2016-11-15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7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036U (en) * 2010-12-03 2011-02-17 内田 輝 Seesaw-style book stand
KR200456362Y1 (en) * 2010-04-30 2011-10-27 (주)미래세움 Apparatus for experiencing tidal power generation
KR20120049257A (en) * 2009-08-12 2012-05-1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Drug dispensing device
JP5441920B2 (en) * 2008-01-14 2014-03-12 ピーアイ デザイン アーゲー Double-walled container with pressure compensation ope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1920B2 (en) * 2008-01-14 2014-03-12 ピーアイ デザイン アーゲー Double-walled container with pressure compensation opening
KR20120049257A (en) * 2009-08-12 2012-05-1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Drug dispensing device
KR200456362Y1 (en) * 2010-04-30 2011-10-27 (주)미래세움 Apparatus for experiencing tidal power generation
JP3166036U (en) * 2010-12-03 2011-02-17 内田 輝 Seesaw-style book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556B2 (en) Liquid container having single cap
US10414558B2 (en) Liquid container having double cap
US8931654B2 (en) Closure device for a fluid vessel
RU2433076C2 (en) Fluid dispenser
EA018432B1 (en) Cap (variants) and container (variants)
US4646944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10322427B2 (en) Cleaning fluid dispenser
KR101721571B1 (en) Container including double base plane
JP2013536134A (en) Beverage container guard
EP2265151B1 (en) Lid assembly
JP6292531B1 (en) Container for liquid
US11278159B2 (en) Cleaning fluid dispenser
JP7196191B2 (en) cosmetic container
JP2009220824A (en) Container for liquid
JP5413961B2 (en) pitcher
JP2007112490A (en) Liquid filling nozzle
JP3142315U (en) container
JP2008007135A (en) Container and sinker for container
US20070082525A1 (en) Drinking vessels
KR20070008088A (en) Cup holder
KR200394535Y1 (en) A cup which can tilt at various angle according to amount of contents
RU2766328C2 (en) Mug
JP7250660B2 (en) pouring cap
KR102152140B1 (en) Beverage container
CN208048529U (en) A kind of refluence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