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140B1 -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2140B1 KR102152140B1 KR1020190130382A KR20190130382A KR102152140B1 KR 102152140 B1 KR102152140 B1 KR 102152140B1 KR 1020190130382 A KR1020190130382 A KR 1020190130382A KR 20190130382 A KR20190130382 A KR 20190130382A KR 102152140 B1 KR102152140 B1 KR 1021521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beverage
- beverage container
- inlet hole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튜브를 이용하여 내측의 음료를 빨아먹을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은 경우에도 내측의 음료를 배출하여 먹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ck the beverage inside by using a tub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furthermore,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ver.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discharged and eate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튜브를 이용하여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을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은 경우에도 내측의 음료를 배출하여 먹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ten by inhaling the beverage inside by using a tub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further,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ver. It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eaten by discharging it.
최근 들어 물, 주스 또는 커피 등과 같이 다양한 음료를 보관할 수 있으며, 이동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음료용기가 제공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beverage containers such as water, juice or coffee can be stored and various types of beverage containers that can be transported and carried are provided.
이러한 음료용기는 단순한 컵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빨대 또는 튜브 등을 이용하여 내부의 음료를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Such a beverage container may have a simple cup shape, or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inhaling the beverage inside by using a straw or a tube.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튜브 등으로 음료용기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는 경우에 상기 음료용기를 역위치, 즉 뒤집어서 사용하게 되면 내측의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튜브가 상기 음료용기의 바닥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게 되면 상기 튜브의 하단부로 음료가 투입되지 않기 때문이다.However, looking at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tube in the prior art, when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is sucked and eaten with a tube,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is not discharg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used in a reverse position, that is, upside down. . This is because the tube extends long toward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ver, the beverage is not injec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tube.
또한, 종래기술의 튜브가 없는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상기 음료용기의 경우 내측의 음료를 먹기 위해서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사용해야 하며,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내측의 음료를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looking at a beverage container without a tube of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order to eat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must be turned over and used,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cannot be eat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에서 상기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두고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모두 내부의 음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use the beverage inside all of the beverage containers provided with a tube by placing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correct position or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ver and used in the reverse position. It aim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inhal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측에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배출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body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beverages therein, a lid sealing the opening, a first tub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from the storage space, and the It is achieved by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beverage in the storage space to the first tube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reverse position.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discharg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pivoting member that selectively rotates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body portion is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reverse position to discharge the beverage in the storage space.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회동가능한 제1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를 향해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하는 배출하우징 및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에 형성된 배출홀을 밀폐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제1 튜브로 상기 저장음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tube in the storage space, and has a first rotating member rotatable inside, so that when the body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beverage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tube. It is rotated to provide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is discharged, and to seal a discharge housing that blocks the discharge passage when the body part is located in a reverse position,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first tube when the body part is located in a correct position. And, when the body portion is located in the reverse posi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to open the discharge hole so that the stored beverage is supplied to the first tube through the discharge hole.
이때, 상기 배출하우징은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제1 유입홀과 제1 연결홀을 연결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housing has a first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beverage in the storage space is introduced and a first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tube, and the first rotation when the body part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member is rotated to open the first connection hole to provide a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inlet hole and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when the body portion is located in a reverse position, the first rotating member is It may be rotated to block the connection hole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한편, 상기 제2 회동부재는 상기 뚜껑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차단부 및 상기 회동축에서 상기 차단부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위치에 따라 중력에 의해 상기 차단부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부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id, a blocking part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o selectively block the discharge hole, and the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locking part. Thu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a load portion may be provided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for the blocking portion to rotate by gravity.
이때, 상기 배출하우징의 제1 유입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econd tube extending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hole of the discharge housing.
한편,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을 수평으로 구획하여 상부에 버퍼공간을 제공하는 제1 격벽과, 상기 버퍼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3 회동부재 및 상기 버퍼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며,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3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는 제4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that horizontally divides the storage space to provide a buffer space thereon, an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buffer space, and when the body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first partition wall A third rotation member formed in the buffer space to rotate to open a second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buffer space, and to block the second connection hole when the body portion is located in a reverse position, and a third rotation member that is pivotable to the buffer space Is provided and rotates to block a third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connected to the buffer space when the body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hole is formed when the body portion is located in a reverse posi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fourth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to open.
나아가, 상기 제3 회동부재와 제4 회동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함께 회동할 수 있다.Fur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members may be connected to rotate together.
한편, 상기 제1 격벽의 제2 연결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tube extending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내부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내부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볼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ner path is form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members, and when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in the forward position and the reverse position, the third rotation member moves along the inner path according to gravity It may further include a load ball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for the rotation member and the fourth rotation member to rotate.
한편,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 중에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members, when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reverse position,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members rotate according to gravity. The load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나아가,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뚜껑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5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discharge unit is formed on the lid, th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beverages in the storage space are discharged when the body part is located in the reverse position, and the discharge uni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id, and the body part is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case where the body portion is located in a reverse position, a fifth rota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rotate to block the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first tube.
한편,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내측 상부에 상기 제1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의 하부에 상하로 승하강 하는 제1 승하강부재 및 제2 승하강부재를 구비하고, 하부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정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2 유입홀과 상기 몸체부의 역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3 유입홀이 형성된 전환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tube, a connection space connected to the first tube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and a first elevating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in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space, and A conversion housing having a second elev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at the bottom, and having a second inlet hole through which beverage is introduced when the body is in a correct position and a third inlet hole through which beverage is introduced when the body is in a reverse position. It can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이 차단되며,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이 개방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ody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second inlet hole is opened by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third inlet hole is blocked by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nd the body portion is reversed. When positioned at the position, the second inlet hole may be blocked by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third inlet hole may be opened by the second elevating member.
또한, 상기 전환하우징의 제2 유입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tube extending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hole of the conversion housing.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에서 상기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두고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모두 내부의 음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ven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us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tube, or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ver and used in the reverse position, all the beverages inside can be easily inhaled. I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외부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and 5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and 7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to 10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and 13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unit according to FIG. 1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0)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또는 배치)된 경우이고, 도 3은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여기서, 상기 '정위치'라 함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몸체부(100)가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는 위치 또는 상기 몸체부(100)가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위치된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위치'라 함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몸체부(100)를 뒤집어서 상기 음료용기(1000)의 뚜껑(200)이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는 위치 또는 상기 뚜껑(200)이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위치된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term'fixed position' is defined as a position in which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료용기(1000)는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측에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110)을 제공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200),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배출하도록 상기 뚜껑(200)에 연결되는 제1 튜브(610) 및 상기 저장공간(110)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610)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출유닛(900)을 구비할 수 있다.1 to 3, the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00)는 먼저 몸체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내측에 저장공간(110)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공간(110)에 물, 주스(juice), 커피(coffee) 등과 같은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The
상기 몸체부(100)는 도면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00)는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제작의 용이성 등을 위하여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몸체부(100)의 개구된 상부에는 뚜껑(200)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110)으로 음료를 투입하거나 세척 등의 경우에는 상기 뚜껑(200)을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음료용기(10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200)을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
상기 뚜껑(200)도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한편, 상기 뚜껑(200)에는 상기 저장공간(110)에 수용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튜브(610)가 연결된다. 상기 제1 튜브(610)는 상기 뚜껑(200)을 관통하여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상기 제1 튜브(610)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저장공간(110)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610)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출유닛(900)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종래기술의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튜브 등으로 음료용기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는 경우에 상기 음료용기를 역위치, 즉 뒤집어서 사용하게 되면 내측의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튜브가 상기 음료용기의 바닥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게 되면 상기 튜브의 하단부로 음료가 투입되지 않기 때문이다.Looking at a beverage container equipped with a tube of the prior art, when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is sucked and eaten with a tube or the like,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is not discharg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used in a reverse position, that is, upside down. This is because the tube extends long toward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ver, the beverage is not injec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tube.
또한, 종래기술의 튜브가 없는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상기 음료용기의 경우 내측의 음료를 먹기 위해서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사용해야 하며,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내측의 음료를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looking at a beverage container without a tube of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order to eat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must be turned over and used,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cannot be eaten.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를 구비하여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을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은 경우에도 내측의 음료를 배출하여 먹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ub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o tha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an be sucked and eaten, and even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ver,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drinks can be discharged and eate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9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300, 360)를 구비할 수 있다.2 and 3, the discharging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유닛(900)은 상기 저장공간(110)에서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제1 회동부재(360)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하는 배출하우징(600)을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배출유닛(9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된 배출홀(611)을 밀폐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홀(611)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상기 저장음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측, 또는 상기 저장공간(1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서 음압이 결리는 경우에 상기 제2 튜브(510)를 통해 유입된 음료를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음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음료를 제공하지 않는 역할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입홀(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홀(622)에 전술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튜브(510)의 상단부에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벨로우즈(512)를 구비하여 상기 제2 튜브(510)의 하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 경우,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내측 공간에는 회동 가능한 제1 회동부재(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부재(360)가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또는 역위치의 위치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여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음료를 공급 또는 음료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동할 수 있는 제1 회동축(361)과, 상기 제1 회동축(36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플레이트(36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이 경우, 상기 몸체부(100)가 도 2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상기 제1 연결홀(612)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제1 유입홀(622)과 제1 연결홀(612)을 연결하는 배출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해 회동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홀(612)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튜브(510), 제1 유입홀(622), 상기 배출하우징(600) 및 제1 연결홀(612)을 거쳐 상기 제1 튜브(610)에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음료용기(1000)를 정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의 내측에 음압이 걸리게 되어, 전술한 배출유로를 통해 음료가 상기 제1 튜브(610)의 상단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laces the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차단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상기 몸체부(100)가 도 3과 같이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중력에 의해 하부를 향해 회동하게 되어,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차단플레이트(363)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로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2 튜브(510) 및 배출하우징(600)을 통해서 음료가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튜브(610)에 직접 형성된 배출홀(611)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홀(611)은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홀(611)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측에서 상기 뚜껑(200)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음료용기(10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최대한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하기 위함이다.3, the
상기 배출홀(611)이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튜브(610)에는 걸림턱(630)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걸림턱(630)은 상기 배출홀(611)과 상기 뚜껑(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잡아당기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턱(630)에 의해 상기 제1 튜브(610)가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배출홀(611)이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king
이 경우,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611)을 밀폐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홀(611)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상기 저장음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동부재(300)는 상기 뚜껑(20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축(320)과, 상기 제2 회동축(32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61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차단부(342) 및 상기 제2 회동축(320)에서 상기 차단부(342)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차단부(342)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제2 회동축(320)은 상기 뚜껑(200)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고정부(210)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동고정부(21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뚜껑(200)을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유닛(900)이 함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동고정부(210)는 상기 뚜껑(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2 회동축(320)에는 상기 배출홀(611)을 차단하는 차단부(342)와, 상기 몸체부(100)의 위치에 따라 중력에 의해 상기 차단부(342)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부(320)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많이 나가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또는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회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이 경우, 상기 하중부(320)는 제1 연결바(322)에 의해 상기 제2 회동축(3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342)는 제2 연결바(340)에 의해 상기 제2 회동축(3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342)의 형태는 도면에서 대략 구(球, sphere)형의 형상으로 도시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부(342)는 일부가 잘린 반구 형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하중부(320)는 상기 제2 회동축(320)을 중심으로 상기 차단부(342)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중부(320)가 상기 차단부(34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하중부(320)가 회동하는 경우에 그 회동력이 상기 차단부(342)에 가장 크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하중부(320)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342)는 반대로 위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튜브(610)의 배출홀(611)을 막아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서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반면에,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하중부(320)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회전하며, 상기 차단부(342)는 반대로 위로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배출홀(611)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측의 음료가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내부의 배출유닛(19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몸체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4는 상기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해당하며, 도 5는 상기 음료용기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Meanwhile,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1900)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을 수평으로 구획하여 상부에 버퍼공간(1300)을 제공하는 제1 격벽(1200)을 구비할 수 있다.4 and 5, the
즉, 상기 제1 격벽(1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공간이 버퍼공간(1300)에 해당한다.That is, the
이 경우, 상기 배출유닛(1900)은 상기 버퍼공간(13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는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함께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공간(1300)의 일측에는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가 회동할 수 있는 회동고정부(12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가 상기 제1 격벽(1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하게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1220)을 개방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홀(1220)을 차단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The third
예를 들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1520)와, 상기 제3 연결부(15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3 차단부(1510, 1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연결부(15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rotating
또한,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1240)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며,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개방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rotating
예를 들어,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연결부(1420)와, 상기 제4 연결부(14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4 차단부(1410, 1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연결부(14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urth rotating
이 경우,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의 한 쌍의 제3 차단부(1510, 1530) 중에 하나와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한 쌍의 제4 차단부(1410, 1430) 중에 하나가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one of the pair of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의 제3 연결부(1520)가 구부러진 방향과,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제4 연결부(1420)가 구부러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연결홀(1220) 또는 제3 연결홀(1240)을 차단하는 경우에 연결홀을 보다 확실히 차단하여 차단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Meanwhile, as shown in the drawing, a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connecting
한편, 전술한 한 쌍의 제3 차단부(1510, 1530)와 제4 차단부(1410, 1430)의 형태는 대략 구(球, sphere)형의 형상으로 도시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차단부(1510, 1530)와 제4 차단부(1410, 1430)는 일부가 잘린 반구 형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pair of
이 경우, 상기 제1 격벽(1200)의 하면의 제2 연결홀(1220)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튜브(610)가 연결되는 뚜껑(1100)에는 제4 연결홀(1110)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이때,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은 평면상에서 동심원으로 배치되어 중첩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제4 연결홀(1110)의 직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동심원으로 배치되지 않는 경우(직하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의 각 단면적의 적어도 50% 이상이 평면상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개방된 경우에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한 음압이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전술한 배치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한 음압이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대부분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홀(1220) 및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를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This means that when the
또한,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전술한 배치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음압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의 제3-1 차단부(1510)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제4-1 차단부(1430)는 아래로 회동한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게 되어,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when the
반면에, 상기 제3 연결홀(1240)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4 연결홀(1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상기 제3 연결홀(1240)에서 바로 제4 연결홀(1110)로 투입되어 너무 많은 양의 음료가 한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연결홀(1110)의 직하부에는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3 연결홀(124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3 연결홀(1240)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4 연결홀(1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제1 격벽(1200)에는 안착부(1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50)는 오복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동부재(1500)가 도 4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제3-2 차단부(1530)가 상기 안착부(1250)의 내측으로 수용 및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a
나아가,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내부경로(145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볼(14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Further, when at least one of the third rotating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내부에 내부경로(145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경로(1450)의 내측에 하중볼(1440)이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an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하중볼(1440)이 중력에 따라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한 쌍의 제4 차단부(1410, 1430) 사이를 왕복하여 상기 제4 회동부재(1400) 및 제3 회동부재(1500)가 회동할 수 있는 회동력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도 4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배출유닛(1900)에서 상기 몸체부(100)가 도 4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제4 회동부재(1400)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하중볼(1440)이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회동하여,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1240)을 차단하게 된다. In the
이때,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1220)을 개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ird rotating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동심원 배치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한 음압이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대부분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홀(1220) 및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를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유입된 음료는 상기 버퍼공간(1300)을 채우고 음압에 의해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ucks the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도 5와 같이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하중볼(1440)이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회동하여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1240)을 개방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이때,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1220)을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ird rotating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튜브(510)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다.When the
이 경우,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투입되며,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투입된 음료는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this case, the beverage inside the
이때, 상기 제3 연결홀(1240)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4 연결홀(1110)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상기 제3 연결홀(1240)에서 바로 제4 연결홀(1110)로 투입되어 너무 많은 양의 음료가 한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9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7은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Meanwhile,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동부재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6 and 7,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S. 4 and 5 described above,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의 내측에 하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하중볼의 이동에 의해 회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회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회동부재의 내측에 내부경로를 제작하여 하중볼을 삽입하는 것은 제작하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제작공정 및 제작시간을 현저히 늘리게 된다.A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FIGS. 4 and 5, when a load ball is provided inside the rotation member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by moving the load ball, a relatively large rotational force may be provid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load ball by making an inner path inside the rotating member, and i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tim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제3 회동부재(2500) 및 제4 회동부재(2400)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플레이트(2600, 2700)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when the
예를 들어, 상기 제3 회동부재(25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2520)와, 상기 제3 연결부(25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중플레이트(2700)는 상기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 중에 한 쪽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부(25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rotating
한편, 상기 제4 회동부재(24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연결부(2420)와, 상기 제4 연결부(24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중플레이트(2600)는 상기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 중에 한 쪽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연결부(24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와 상기 제4 회동부재(2400)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의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 중에 하나와 상기 제4 회동부재(2400)의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 중에 하나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는 제3 회동부재(2500)의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 중에서 상기 제4 회동부재(2400)와 연결되지 않은 제3 차단부(25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중플레이트(2600)는 제4 회동부재(2400)의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 중에서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와 연결되지 않은 제4-1 차단부(24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pair of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 및 제2 하중플레이트(2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또는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또는 역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 및 제2 하중플레이트(2600)에 의해 상기 제3 회동부재(2500) 및 제4 회동부재(2400)에 회동력을 가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members (2500) and 4 (4) by the first load plate (2700) and the second load plate (2600) according to the normal or reverse position of the body part (100). 2400) can be rotated by applying a rotating force.
도 6과 도 7의 구성을 가지는 배출유닛(2900)에서 상기 몸체부(100)가 도 6과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한 음압이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 및 제2 하중플레이트(2600)에 개별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와 제4 회동부재(2400)가 동일한 방향, 예를 들어, 도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력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회동부재(2400)의 제4-2 차단부(2430)에 의해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보다 견고히 차단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작용한 음압은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대부분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홀(1220) 및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를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유입된 음료는 상기 버퍼공간(1300)을 채우고 음압에 의해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in this case, the negative pressure acting as the
한편, 전술한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와 제4 차단부(2410, 2430)의 형태는 대략 구(球, sphere)형의 형상으로 도시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차단부(2510)와 제4 차단부(2410, 2430)는 일부가 잘린 반구 형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와 제4 차단부(2410, 2430)가 납작한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술한 하중플레이트의 역할, 즉 음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pair of
상기 몸체부(100)의 위치에 따른 상기 회동부재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또한, 도 6 및 도 7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내부경로 및 상기 내부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하중볼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FIGS. 6 and 7, even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39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이며, 도 10은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8 to 10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3900)은 상기 뚜껑(3200)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3320)와, 상기 뚜껑(32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와 연결되는 제5 연결홀(614)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5 회동부재(3500)를 구비할 수 있다.8 to 10, the discharging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3900)의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제2 튜브를 구비하지 않고 추가격벽(3600)에 의해 버퍼공간(3600)을 제공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및 역위치에 따라 음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In the case of 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3200)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내부의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제1 튜브(610)가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뚜껑(3200)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3320)가 형성될 수 있다.8 to 10, the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음료용기(1000)를 정위치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여서 음료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10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음료를 흡입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이 경우, 상기 배출구(3320)는 상기 뚜껑(3200)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뚜껑(3200)의 하면에는 상기 제5 회동부재(35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3200)의 하면에서 하부를 향해 고정축(340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5 회동부재(3500)에는 상기 고정축(340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35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fth rotating
상기 제5 회동부재(3500)는 제5 연결부(3520)와 상기 제5 연결부(35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5 차단부(3510, 3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제5 차단부(3510, 3530)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3200)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3320)와, 상기 제1 튜브(610)와 연결되는 제5 연결홀(614)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The fifth rotating
이때, 전술한 레일(3522)은 상기 제5 연결부(35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연결부(35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래를 향해 볼록한 형태의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100)가 도 8 및 도 9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5 회동부재(3500)가 상기 고정축(340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5-1 차단부(3530)가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게 된다. In the case of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이 경우, 상기 제5-1 차단부(3530)가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5-1 차단부(3530)와 반대편에 있는 제5-2 차단부(3510)가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하중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5-
즉, 상기 제5-2 차단부(3510)가 상기 제5-1 차단부(35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하중을 가지게 되므로, 도 8과 같이 상기 제5-2 차단부(3510)가 하부를 향해 회동 및 하강하여 상기 제5 연결홀(614)은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1 차단부(3530)는 상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게 된다. That is, since the 5-
이때, 사용자는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상기 제5-1 차단부(3530)가 보이는 경우에 상기 배출구(3320)가 차단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1 차단부(3530)에 'CLOSED' 등과 같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보이는 경우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배출구(3320)가 차단된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도 8 및 도 9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가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에 상기 제5 연결홀(614)을 통해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음압이 작용하여, 상기 추가격벽(3600)의 관통홀(3640)을 통해 음료가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된다.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된 음료는 상기 버퍼공간(3630)을 채우고 상기 제5 연결홀(614)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도 10과 같이 뒤집혀서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5-2 차단부(3510)가 하부를 향해 회동하여 하강하여 상기 제5 연결홀(614)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5-1 차단부(3530)는 상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배출구(3320)를 개방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는 상기 추가격벽(3600)의 관통홀(3640)을 통해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되고,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된 음료는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the beverage inside the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49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상기 배출유닛(49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 13은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1 to 13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4900)은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전환하우징(40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제1 튜브(610)와 연결되는 연결공간(401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예를 들어, 상기 전환하우징(4000)은 상부커버(4005)와 하부몸체(4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4005)와 하부몸체(4300) 사이에 상기 연결공간(4010)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한편, 상기 연결공간(4010)의 하부에는 상하로 승하강 하는 제1 승하강부재(4200) 및 제2 승하강부재(410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몸체(4300)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가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는 제1 오목부(4340)와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가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는 제2 오목부(4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 및 제2 승하강부재(4100)는 상기 음료용기(1000)의 위치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a first elevating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는 제1 상부걸림부(4230)와, 상기 제1 상부걸림부(423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4220)와, 상기 제1 연장부(42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볼부재(42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는 제2 상부걸림부(4130)와, 상기 제2 상부걸림부(413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2 연장부(4120)와, 상기 제2 연장부(41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볼부재(4110)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elevating
또한,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2 유입홀(4342)과 상기 몸체부(100)의 역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3 유입홀(435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inlet hole 4432 and the
이 경우,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제2 유입홀(4342)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510)의 상단부에는 결합부(4400)가 형성되어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4400)는 직경이 확장된 확관 형태로 제공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a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우, 도 12와 같이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4342)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4352)이 차단된다.In the case of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2, when the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의 제1 상부걸림부(4230)는 상기 제1 오목부(434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돌출부(4344)에 의해 상기 제1 오목부(4340)의 내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제2 유입홀(4342)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음압은 상기 연결공간(4010) 및 상기 제2 유입홀(4342)을 통해 제2 튜브(510)로 작용하게 된다. 결국, 음료는 상기 제2 튜브(510)의 내부유로(511)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2 유입홀(4342), 상기 연결공간(4010)을 거쳐 상기 제1 튜브(610)로 공급된다.When the
한편,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의 제2 상부걸림부(4130)는 상기 제2 오목부(4350)의 내면에 밀착하여 상기 제3 유입홀(4352)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에도 상기 제3 유입홀(4352)을 통해서는 음압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반면에 도 13과 같이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4342)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4352)이 개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의 제1 상부걸림부(4230)는 상기 제2 유입홀(4342)에 밀착하여 상기 제2 유입홀(4342)을 차단하게 된다.When the
이 경우,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의 제2 볼부재(4110)는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하면, 또는 상기 하부몸체(430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4354)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제3 유입홀(4352)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10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 내부의 음료는 상기 제3 유입홀(4352)을 통해 상기 연결공간(4010)으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공간(4010)에서 제1 튜브(610)로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Therefore, when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I will be able to do i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몸체부
200..뚜껑
510..제2 튜브
610..제1 튜브
900..배출유닛
1000...음료용기100..body
200..lid
510..second tube
610..first tube
900..discharge unit
1000...beverage container
Claims (4)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배출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하로 승하강 하는 제1 승하강부재 및 제2 승하강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정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2 유입홀과 상기 몸체부의 역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3 유입홀과, 상기 제1 승하강부재 및 제2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할 수 있는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가 형성된 전환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승하강부재 및 제2 승하강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 상부걸림부, 상기 제1 및 제2 상부걸림부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볼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의 제1 상부걸림부가 상기 제1 오목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유입홀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의 상기 제2 상부걸림부가 상기 제2 오목부에 밀착하여 상기 제3 유입홀이 차단되며,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승하강부재의 제2 볼부재가 상기 제3 유입홀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3 유입홀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승하강부재의 제1 볼부재가 상기 제2 유입홀에 밀착하여 상기 제2 유입홀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A body portion having an opening in the upper portion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beverages therein;
A lid sealing the opening;
A first tube connected to the lid to discharge the beverage from the storage space; And
A dis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selectively supplying beverages from the storage space to the first tube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reverse position; and
The discharge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tube, a first elevating member and a second elevating member that elevates and descends, a second inlet hole through which beverage is introduced when the body portion is positioned, and the body portion. A third inlet hole through which beverage is introduced at the reverse position, and a conversion housing having a first concave portion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can elevate,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include first and second upper engaging portions, first and second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engaging portions, and the first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ll membe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first upper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cave portion to open the second inlet hole, and the second upper engaging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The addi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ncave portion to block the third inlet hole,
When the body portion is located in the reverse position, the second ball member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inlet hole to open the third inlet hole, and the first ball member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is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let hole is block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let hole.
상기 전환하우징의 제2 유입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tube extending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hole of the conversion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382A KR102152140B1 (en) | 2019-10-21 | 2019-10-21 | Beverage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382A KR102152140B1 (en) | 2019-10-21 | 2019-10-21 | Beverage contain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0795A Division KR102152135B1 (en) | 2018-11-29 | 2018-11-29 | Beverage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4896A KR20200064896A (en) | 2020-06-08 |
KR102152140B1 true KR102152140B1 (en) | 2020-09-04 |
Family
ID=7108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0382A KR102152140B1 (en) | 2019-10-21 | 2019-10-21 | Beverage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214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1075B2 (en) * | 1990-07-24 | 2000-11-20 | メレルダウ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Anticoagulant peptide |
KR101084353B1 (en) | 2011-06-15 | 2011-11-16 |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패널 | Controlling container-cab |
KR101952487B1 (en) | 2014-01-19 | 2019-05-10 | 런웨이 블루, 엘엘씨 | Lid for a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821A (en) * | 1993-09-08 | 1995-04-15 | 김기수 | Valve body for milk bottle |
JP3111075U (en) * | 2005-04-06 | 2005-07-07 | パール金属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
-
2019
- 2019-10-21 KR KR1020190130382A patent/KR10215214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1075B2 (en) * | 1990-07-24 | 2000-11-20 | メレルダウ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Anticoagulant peptide |
KR101084353B1 (en) | 2011-06-15 | 2011-11-16 |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패널 | Controlling container-cab |
KR101952487B1 (en) | 2014-01-19 | 2019-05-10 | 런웨이 블루, 엘엘씨 | Lid for a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4896A (en) | 2020-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03168B2 (en) | Cup assembly | |
US10549898B2 (en) | Tumbler having additive storage space | |
JPH05509058A (en) | Device for dispensing fluid substances | |
CN107985785A (en) | Container for drink | |
KR102152140B1 (en) | Beverage container | |
KR102152135B1 (en) | Beverage container | |
JP2021176780A (en) | Beverage providing device | |
KR200488128Y1 (en) | A cup lid | |
CN209269271U (en) | A kind of controllable drinking device | |
JP2019011096A (en) | Container for liquid | |
CN208048529U (en) | A kind of refluence pot | |
KR200489447Y1 (en) | Disposable vessel | |
CN105015917A (en) | Dumping containe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closed when being horizontally placed | |
KR102337470B1 (en) | Self load opening and closing type sanitary bucket | |
KR101877903B1 (en) | Container with wall straw | |
KR102174778B1 (en) | Cosmetic container | |
US20200260904A1 (en) | Liquid frothing set, comprising a liquid frothing device including a liquid suction conduit, and a liquid container | |
KR200259327Y1 (en) | a dual structure of lead tube | |
KR20070054575A (en) | 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 |
CN204979650U (en) | Self -closing that keeps flat emptys container | |
CN217243655U (en) | Double-cup cover and cup | |
CN118661981A (en) | Double-drink container | |
KR200259302Y1 (en) | Container cap for ferment food | |
JP4625391B2 (en) | Meal utensils | |
CN209074055U (en) | A kind of cup steeping drink article convenient for st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