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354B1 -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354B1
KR101775354B1 KR1020150186053A KR20150186053A KR101775354B1 KR 101775354 B1 KR101775354 B1 KR 101775354B1 KR 1020150186053 A KR1020150186053 A KR 1020150186053A KR 20150186053 A KR20150186053 A KR 20150186053A KR 101775354 B1 KR101775354 B1 KR 10177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us
bus stop
control syste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872A (ko
Inventor
오용희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06Q50/3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버스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Pedestrian signal control system in bus stop and pro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정류장 인근에 위치한 보행신호등을 위한 신호 시스템의 신호등 변경을 제어하되,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근접하거나 버스에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보행신호등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스에서 하차한 승객이 보행신호등을 이용하기 위해 오랜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동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버스 정류장이나 교차로 등에서는 보행자가 직접 보행신호등을 조작(예컨대, 버튼 누름 등)하여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의 조작수단(예컨대, 버튼 등)이 보행신호등이 설치된 기둥 한편에 배치되어 있는데, 보행자가 이를 한눈에 찾아서 보행신호등을 조작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별도의 조작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자동으로 보행신호가 변경되면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버스 중앙차로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장소에서는 버스에서 하차한 승객이 많은 경우 보행신호등이 바뀔 때까지 버스를 타기 위해 기다리는 승객과 하차한 승객이 뒤섞여 매우 혼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가 직접 보행신호등을 조작하는 경우, 한 명의 보행자가 보행신호등을 조작하여 횡단보도를 건넌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보행자가 또 다시 보행신호등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버스 정류장에서 더욱 불편함이 가중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는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과 버스에서 하차한 승객이 같은 장소에서 기다리게 되어 혼잡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이상으로 보행신호등이 자주 바뀌게 되는 경우 차량의 흐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신호가 변경될 때까지 막연히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교통의 흐름에 가급적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시스템이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있는 경우, 또는 버스 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으로 보행신호등을 제어하여 상기 승객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동인구나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버스 정류장에서는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일정 수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인 버스 정류장의 혼잡을 줄이면서, 보행신호등이 필요이상으로 자주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버스 정류장 및/또는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량을 판단하도록 하고,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량이 많아 혼잡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잦은 신호 교체로 인한 교통혼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버스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상기 버스가 접근함에 따라 수신될 수 있는 버스 접근신호, 또는 상기 버스 내부에 구비된 하차 단말기에 승객의 교통카드가 태깅되거나 상기 버스의 문이 개방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는 하차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신호가 일정 개수 이상 수신되거나, 정해진 시간 간격 이후에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은, 버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및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의 위치 및 상기 버스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도착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상기 버스 다음으로 도착하는 다음 버스의 도착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에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 또는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하기 위한 교통량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은,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버스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버스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에 상응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신호가 일정 개수 이상 수신되거나, 정해진 시간 간격 이후에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은,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버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은,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의 위치 및 상기 버스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도착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상기 버스 다음으로 도착하는 다음 버스의 도착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에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소정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수신된 상기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 또는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시스템이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있는 경우, 또는 버스가 버스 정류장으로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보행신호등을 제어하여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동인구나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버스 정류장에서는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일정 수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인 버스 정류장의 혼잡을 줄이면서도, 보행신호등이 필요이상으로 자주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급적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 및/또는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량이 많아 혼잡한 상황에서 잦은 신호 교체로 인한 교통혼잡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수신하는 무선신호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 시스템(200)과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이라 함은, 상기 버스 정류장과 인접한 위치의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보행신호등, 예컨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들이 주로 이용할 수 있는 보행신호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신호 시스템(200) 및/또는 보행신호등 인근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신호 시스템(200)과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버스 정류장 및/또는 상기 신호 시스템(200)과는 별도의 장소에 위치한 소정의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버스 및/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외부 시스템은 예컨대 상기 버스(10)의 운행 경로 및/또는 상기 버스(10)가 정차할 버스 정류장 부근의 교통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소정의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시스템은 도로변에 설치된 각종 카메라나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교통 관제 시스템 및/또는 cctv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카메라,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또는 cctv 시스템 등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에 자체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버스(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지만, 상기 버스(10)의 운행을 관리하는 소정의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미도시) 등과 같은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상의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일반적인 버스 정류장과 동일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10)가 상기 버스 정류장 즉,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으로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버스(1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무선신호라 함은, 버스 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는 소정의 무선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버스(10)가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는 버스 접근신호, 또는 상기 버스(10) 내부에 구비된 하차 단말기(11)에 승객의 교통카드가 태깅되거나 상기 버스(10)의 문(예컨대, 승객이 하차하는 버스 뒷문)이 개방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는 하차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무선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버스(10) 및/또는 소정의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버스(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버스 접근신호인 경우, 상기 무선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계속하여 출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10)가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무선신호가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하차신호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하차 단말기(11) 또는 상기 문과 연동되어 무선신호(즉, 하차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정의 무선신호 생성수단이 미리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상기 하차 단말기(11)에 자신의 교통카드를 태깅(tagging)하면 상기 하차신호가 생성되거나,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10)의 문(예컨대, 승객이 주로 하차하는 뒷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하차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10)에서 반드시 승객이 하차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무선신호는 승객이 해당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도록 상기 하차신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상기 버스(10)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버스에서 하차한 승객들이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술할 도 2와 같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버스(10)의 운행경로 및/또는 상기 버스(10)가 정차할 버스 정류장 인근의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통 정보에 따라 상기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도로 상의 교통 흐름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량이 많고 복잡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잦은 신호 교체로 인한 교통 체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신호에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버스(10)가 반드시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 근접하지 않더라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10)의 현재 위치 및/또는 특정 버스 정류장의 도착시점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면에는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버스(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승객들에게 버스의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소정의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10)와 다른 버스들이 특정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도착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버스(10)가 상기 특정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도착시점과 상기 버스(10) 다음으로 상기 특정 정류장에 도착하는 다음 버스의 도착시점을 파악하여, 상기 버스(10)의 도착시점과 상기 다음 버스의 도착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신호등이 불필요하게 자주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버스(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으로 인해, 상기 버스(10)의 운행에 따라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제어할 필요가 있는 보행신호등을 특정할 수 있다. 즉, 모든 버스 정류장에 위치한 보행 신호등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버스(10)가 도착할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보행신호등을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버스 정류장 및/또는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버스 정류장 및/또는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 및/또는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즉,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고 혼잡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량이 많아 혼잡한 상황에서 잦은 신호 교체로 교통 체증을 배가시킬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수신부(110), 전송부(120), 및/또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교통량 판단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버스(1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 접근신호 및/또는 하차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110)는 상기 버스(10)가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 진입하는 중, 또는 상기 버스(10)가 상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고 난 후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신호에는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수신부(110)는 상기 버스(10)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전송부(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어떠한 버스든지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너무 잦은 신호 교체로 인해 교통의 흐름이 방해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일정 개수 이상 수신되는 경우, 및/또는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정해진 시간 간격 이후에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하는 조건은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설치된 장소의 특성이나 기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설치된 버스 정류장이 유동인구가 적고, 교통량(또는 배차된 버스의 수) 또한 많지 않은 장소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횡단보도를 거널 사람이 없는데도 보행신호등이 작동하여 운행 중인 차량이 불필요하게 정차하게 되는 일을 방지하면서, 버스에서 하차한 승객이 오랫동안 대기하지 않고 바로 횡단보도를 건너갈 수 있다.
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이 설치된 버스 정류장이 유동인구와 교통량이 많은 혼잡한 장소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상기 무선신호가 일정 개수 이상 수신되거나, 정해진 시간 간격 이후에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수시로 여러 대의 버스(10)가 진입하고 있으므로, 모든 무선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일정 개수 이상의 무선신호 또는 정해진 시간 간격 이후 처음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상기 버스 정류장에 하차한 승객이 일정 수 이상 모인 경우 상기 보행신호등이 작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버스 중앙차로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과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버스 정류장에서 보행신호를 기다리느라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버스(10)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무선신호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버스(10)가 특정 버스 정류장에 도착할 도착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10) 다음으로 상기 특정 버스 정류장에 도착할 다음 버스의 도착 시점 역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처럼 파악된 상기 버스(10)의 도착시점 및 상기 다음 버스의 도착시점 사이의 시간간격이 일정 이상의 간격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특정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이 불필요하게 자주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버스(10)가 정차할 버스 정류장이나 상기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에 더 기초하여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교통량 판단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량 판단부(140)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버스(10)가 정차할 버스 정류장이나 상기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 인근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버스 정류장 및/또는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시스템(300)은 도로변에 설치된 각종 카메라나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교통 관제 시스템 및/또는 cctv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또는 cctv 시스템 등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에 자체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교통량 판단부(140)는 상기 교통 정보를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교통량 판단부(140)에 의해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량이 많고 복잡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잦은 신호 교체로 인한 교통 체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교통량의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도로 상에 정체 또는 지체가 발생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버스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버스(1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s100)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버스(10)가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에 의해 수신되는 버스 접근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버스(10) 내부에 구비된 하차 단말기(11)에 승객의 교통카드가 태깅되거나 상기 버스(10)의 문(예컨대, 버스 뒷문)이 개방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는 하차신호를 의미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처럼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s130)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우선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개수 이상의 무선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무선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후에 수신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일 수 있다.
판단결과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보행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버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및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의 위치 및 상기 버스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도착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상기 버스 다음으로 도착하는 다음 버스의 도착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에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 또는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하기 위한 교통량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버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은,
    상기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의 위치 및 상기 버스가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도착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상기 버스 다음으로 도착하는 다음 버스의 도착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버스의 도착시점에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소정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수신된 상기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 또는 상기 보행신호등 인근의 교통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에 대응되는 보행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이 판단된 교통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제공방법.
  10.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86053A 2015-12-24 2015-12-24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75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53A KR101775354B1 (ko) 2015-12-24 2015-12-24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53A KR101775354B1 (ko) 2015-12-24 2015-12-24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872A KR20170076872A (ko) 2017-07-05
KR101775354B1 true KR101775354B1 (ko) 2017-09-07

Family

ID=5935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053A KR101775354B1 (ko) 2015-12-24 2015-12-24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7301A (zh) * 2018-11-28 2019-03-08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用于智能化公交的路侧信息服务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116244B (zh) * 2022-06-17 2023-10-27 广东振业优控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协调控制的交叉口周边公交站下车乘客过街时间优化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989A (ja) 2000-07-04 2002-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信号機制御システム、信号機制御装置、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交通情報提供装置および交通情報提供方法
KR100934620B1 (ko) 2009-05-11 2009-12-31 스텔라스톤(주) 버스도착 신호 연동형 정류장 조명시스템
JP2014229255A (ja) * 2013-05-27 2014-12-08 住友電工システ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交通信号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989A (ja) 2000-07-04 2002-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信号機制御システム、信号機制御装置、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交通情報提供装置および交通情報提供方法
KR100934620B1 (ko) 2009-05-11 2009-12-31 스텔라스톤(주) 버스도착 신호 연동형 정류장 조명시스템
JP2014229255A (ja) * 2013-05-27 2014-12-08 住友電工システ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交通信号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872A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280B2 (en) Emergency vehicle traffic signal preemption system
US111139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travelers at roadway intersections
US103117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travelers at roadway intersections
US20170364069A1 (en) Autonomous behavioral override utilizing an emergency corridor
US20110254699A1 (en) Vehicle-mounted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oadside-to-vehicle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285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efficiency and flow control
KR100825761B1 (ko) 무선 센서 노드를 이용하여 비신호 교차로에서 차량의 정지및 통과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비신호 교차로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264431A1 (en) Forwarding system for long-range preemption and corridor clearance for emergency response
JP2015199439A (ja) 走行制御装置、車載用表示装置、及び走行制御システム
JP2006516342A (ja) 移動事象に基づく交通信号プライオリティーシステム
CN110998687B (zh) 控制系统以及控制方法
KR20080016963A (ko) 헤드웨이 관리를 구비한 교통 선제 시스템
KR101707525B1 (ko) 버스 정류장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10245735A1 (en) Automatic parking assistance system, in-vehicle device and method
KR20180071458A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101775354B1 (ko) 버스 정류장에서의 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456869B1 (ko) 스마트 교통관제 시스템
JP2010079634A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AU2004275339A1 (en) Forwarding system for long-range preemption and corridor clearance for emergency response
KR102217424B1 (ko) 자율주행 대용량 간선 급행버스의 승객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류장 지원시스템
WO20191783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travelers at roadway intersections
KR20060092325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312662B2 (ja) 配車システム、配車システムの配車方法及びサーバ
JP70595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804377B1 (ko) 교통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