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268B1 -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268B1
KR101775268B1 KR1020160029478A KR20160029478A KR101775268B1 KR 101775268 B1 KR101775268 B1 KR 101775268B1 KR 1020160029478 A KR1020160029478 A KR 1020160029478A KR 20160029478 A KR20160029478 A KR 20160029478A KR 101775268 B1 KR101775268 B1 KR 10177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fingerprint
job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 filed Critical 김용
Priority to KR102016002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본 발명은 선천성검사와 후천성검사를 융합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진로탐색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으로, 지문과 장문(손바닥정보)을 채취하여 타고난 특성과 능력을 파악하고,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다중능력 후천성검사를 융합하여 진로적성 검사를 처리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과 방법이다.
상기 진로적성검사시스템은 지문과 장문 분석 모듈을 통해 타고난 특성을 파악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다중능력 후천성 검사를 수행하여, 이를 종합하여 성향별 인간관계요령과 추천직업 등을 연령별, 목적별로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THE SYSTEM AND METHOD FOR CAREER APTITUDE TEST USING FINGERPRINT AND PALMPRINT}
지문과 장문(손바닥정보) 및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다중능력검사를 융합한 진로적성검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간의 지문과 장문을 이용하여 선천적인 특성(타고난 성향과 능력)을 분석하여 개인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여기에 선택적으로 설문을 통해 후천적인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개인의 특성과 진로탐색 및 진로선택에 관련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지문을 분석하여 인간의 타고난 성향과 능력을 알아내려는 노력은 인류 역사 내내 계속되었다. 최근에는 10 손가락의 지문정보와 장문(손바닥정보) 분석에 의해서 인간의 적성과 다중능력검사를 수행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적성검사 및 다중능력(지능) 검사에서는 우월순위만 제공하여 왔을 뿐 이를 활용하여 정확한 진로를 파악할 수 있는 노력이 없었다. 따라서 진로를 정하는 데 있어서 검사를 해놓고도 활용할 수 없어서 적합한 진로탐색에 어려움을 느껴왔으며, 유전자지문 적성검사의 가치를 정확히 평가받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더불어, 개인의 성향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으나 부가적으로 성향별 대응요령에 대한 연구가 없어 효율적인 유전자지문 적성검사의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선천적인 특성이 후천적인 환경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현재상태가 파악되지 않아 선천적인 특성과 현재 상태와의 괴리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노력을 기울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첫 번째로 지문정보와 장문정보에서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200여 가지 직업의 요구되는 능력과 특성을 비교하여 적합한 진로와 적합한 직업 및 대학교 전공을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을 피검사자(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보다 합리적으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공하며, 두 번째로 성향별 대화요령을 대상에 따라 구분하여 1)남녀(부부)간 대화요령 2)부모와 자녀간 대화요령 3)친구나 동료 간 대화요령을 정보로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선천적인 특성에 의한 전공 및 추천직업과 더불어 온라인 설문에 의한 현재상태의 관심사와 노력의 결과를 토대로 한 후천성검사를 병행하여 선천적인 특성과 현재 상태의 괴리감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비교표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진로선택에 기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로 지문과 장문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성향분류, 학습민감도, 장문의 행동특성, 다중능력(지능) 우월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2단계로 200여 가지 세부직업별 요구되는 능력에 대해 연구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며, 3단계로 1단계에서 분석한 성향과 장문특성 및 10가지 다중능력 우월순위 정보와 2단계의 세부직업별 요구특성과 상관관계를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분석 저장하며, 4단계는 보고서 제공단계로 세부직업이 개인과 적합도가 높은 순으로 상위 30가지 직업 정보(직업명칭), 요구되는 능력과 타고난 능력의 우월순위, 관련전공과 관련 직업, 현재 직업전망과 10년 후 전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분한다.
5단계는 성향별 대화요령을 제공하는 단계로 남녀(부부)간, 부모와 자녀간, 동료와 친구 간 대화요령을 글과 이미지로 제공하며, 자신의 성향을 가운데에 표시하고, 자신과 동일한 성향을 맨 위에 제공하고 나머지 성향은 둘러서 표시한다.
부가적인 단계로, 피검사자가 인터넷을 통해 개인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한 후 다중능력 후천성검사를 위해 100가지 질문을 제공하고 입력결과를 정보기술을 통해 영역별 강점순위를 분석하여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분석된 정보를 1단계에서 분석한 선천성 다중능력(지능) 우월순위 정보와 비교하여 그래프로 보고서를 보여주는 단계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는 지문과 장문(손바닥정보) 및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다중능력 후천성검사를 융합한 진로적성 검사를 처리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 지문 분석 모듈; 장문 분석 모듈; 다중능력계산모듈; 성향결정모듈; 후천성검사모듈; 추천직업계산모듈 및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지문분석모듈에 의해서, 지문정보를 손가락별 문형과 핵과 삼각점 사이의 좌우 융선 수 및 거리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다중능력계산모듈에 의해서, 동일한 융선인 경우 거리가 좁을수록 밀도가 높은 특성으로 다중능력 우월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장문정보를 좌/우 손바닥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ATD 각도를 해당 위치를 지시함에 의해서 자동으로 각도를 계산하면, 연령에 따라 채취 오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장문분석모듈에 의해서, 다수의 특성의 존재 여부를 왼손과 오른손을 각각 구분하여 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성향결정모듈에 의해서, 왼손과 오른손 엄지와 검지의 문형을 결정하면 자동으로 주 성향의 내면성향과 표면성향 및 잠재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천성검사모듈에 의해서 설문을 통한 현재 상태검사(후천성검사)를 위해 문제를 제시하고 답변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천직업계산모듈에 의해서, 상기 지문분석모듈 및 상기 장문분석모듈이 저장한 직업정보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에게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정보제공모듈에 의해서 처리된 결과를 연령별, 목적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지문과 장문(손바닥정보) 및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다중능력 후천성검사를 융합한 진로적성 검사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지문정보를 각 손가락의 문형과 핵과 삼각점 사이의 좌우 융선 수 및 거리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단계; 동일한 융선인 경우 거리가 좁을수록 밀도가 높은 특성으로 다중능력 우월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장문정보를 좌/우 손바닥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ATD 각도를 해당 위치를 지시함에 의해서 자동으로 각도를 계산하면, 연령에 따라 채취 오류를 보정하는 단계; 다수의 특성의 존재 여부를 왼손과 오른손을 각각 구분하여 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왼손과 오른손 엄지와 검지의 문형을 결정하면 자동으로 주 성향의 내면성향과 표면성향 및 잠재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문분석모듈 및 상기 장문분석모듈이 저장한 정보에 추천직업계산모듈을 통해 직업정보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에게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 단계; 선천성검사와 설문을 통한 현재 상태검사(후천성검사)를 위해 문제를 제시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후천성검사 결과에 따라 추천직업계산모듈에 따라 직업정보를 피검사자에게 추천하는 단계; 처리된 결과를 연령별, 목적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유전자 지문 적성검사를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자지문분석시스템(100)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모듈(170)에서 제공되는 요약보고서의 예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모듈(170)에 의해 제공되는 성향별 대인관계 제언으로 남녀관계, 자녀관계, 친구관계 정보를 도식화하여 표현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직업계산모듈(160)에 의한 결과를 정보제공모듈(170)을 통해 제공되는 추천학과 및 직업을 표현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성검사모듈(180)에서 피검사자단말(300)을 통해 질문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성검사모듈(180)에서 결과분석에 의한 결과로 제시하는 선천성검사와 후천성검사 다중능력 비교표의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성검사모듈(180)에서 결과분석에 의한 추천직업의 표현 예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 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 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성향과 재능 및 10가지 영역별 특성과 추천직업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100)과 상담자단말을 포함하여 검사와 진단정보 출력시스템(2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100)은 상담자단말(200)로부터 채취한 고객의 지문과 장문정보를 입력받아 보관된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분석하고 보고서 정보를 활용 및 가공하여 이 결과를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담자단말(200)에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담자단말(200)은 유, 무선 통신망의 형태에 따라 컴퓨터(노트북), 스마트폰, PDA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보취득을 위한 상담자단말(200)의 유형은 지문을 채취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와 관련한 시스템의 개발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 진다.
상담자단말(200)은 승인된 아이디와 암호에 의해 로그인한 후 사용 가능하며, 보고서의 출력을 위한 상담자단말(200)은 같은 상담자 아이디와 암호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단말로 제공되어 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100)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100)은 고객정보관리모듈(110), 지문분석모듈(120), 장문분석모듈(130), 성향결정모듈(140), 10가지 다중능력계산모듈(150), 추천직업계산모듈(160), 정보제공모듈(170), 후천성검사모듈(180), 제어 모듈(190), 고객정보저장모듈(115), 지문정보저장모듈(125), 지문분석정보저장모듈(126), 장문정보저장모듈(135), 장문분석정보저장모듈(136), 성향정보저장모듈(145), 학습습관저장모듈(146), 인간관계정보저장모듈(147), 학습민감도저장모듈(148), 다중능력저장모듈(155), 직업정보저장모듈(165), 추천직업정보저장모듈(166), 보고서정보저장모듈(175), 후천성검사정보저장모듈(185), 통계저장모듈(19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고객정보관리모듈(110)은 고객의 기본정보와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자주 사용하는 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타고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므로 어려서 힘을 쓰거나 섬세한 일을 위해 사용한 손을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구분하여 기록한다.
지문분석모듈(120)은 지문정보(125)를 읽어 들여 형태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알고리즘에 의해 10개 손가락별로 지문의 형태와 핵과 좌우 삼각점 사이의 융선 수와 거리를 계산하여 지문분석정보저장모듈(126)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장문분석모듈(130)은 장문정보(135)를 읽어 들여 장문에 나타나는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별 존재 여부와 좌우 장문에서 나타나는 여부를 장문분석정보(136)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성향결정모듈(140)은 지문분석정보모듈(126)을 토대로 성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그 정보를 고객정보저장모듈(115)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중능력계산모듈(150)은 고객정보(115)와 지문분석정보(126) 및 다중능력정보(155)를 읽어 들여 지문분석정보(126)를 토대로 알고리즘에 따라 각 능력별 점수를 계산하고, 우월순위를 1부터 10까지 정하여 지문분석정보(126)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천직업계산모듈(160)은 성향정보(145)와 지문분석정보(126), 장문분석정보(136), 직업정보(165)를 읽어 들여 지문정보와 장문정보 특성과 직업정보(165)에서 요구되는 능력의 정도에 따라 직업별 적합도를 계산하여 추천직업정보저장모듈(166)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제공모듈(170)은 고객정보(115)와 조직정보(116), 지문분석정보(126), 장문분석정보(136), 성향정보(145), 학습습관정보(146), 인간관계정보(147), 학습민감도 정보(148), 다중능력정보(155), 추천직업정보(166), 보고서정보(175), 통계정보(195) 등을 입력받아 연령별, 목적별 요구되는 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담자단말(200)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후천성검사모듈(180)은 피검사자(고객)가 부여된 관리번호를 사용자단말에 입력하여 사용자를 등록 한 후에 후천성검사정보(185)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의견을 단말에 표시하면, 그 응답정보를 다시 후천성검사정보(185)의 결과정보에 저장한 후 응답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후천성검사에 의한 다중능력 우월순위를 계산하여 다시 추가 정보를 후천성검사정보(185)에 저장한다. 그 결과를 지문분석정보(126)와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를 비교표 형태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고객정보저장모듈(115)은 상담자단말(200)로부터 전송을 받아 생성되며, 이름과 생년월일, 남녀구분, 주로 사용하는 손, 연락처, 주소 등 고객과 연락을 위한 정보와 부모와 관계, 처리상태, 성향분류코드 등을 코드형태 등으로 관리 보관한다.
본 발명의 조직정보저장모듈(116)은 상담자정보와 관리조직정보 등 관리를 위해서 보관하며, 상담자에 대한 승인정보와 로그인 정보 등을 함께 보관한다.
본 발명의 지문정보저장모듈(125)은 지문의 패턴에 따라 13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명칭, 지문의 그룹, 성향과 연결코드 등을 관리 보관한다.
본 발명의 지문분석정보저장모듈(126)은 피검사자별로 10개 손가락별 문형과 핵과 삼각점 간의 좌/우 융선 수와 거리, 10가지 다중능력 우월순위 등을 저장 보관한다.
본 발명의 장문정보저장모듈(135)은 14가지 장문 유형에 따라 명칭과 특징설명, 나오는 건수 분포를 함께 관리 보관한다.
본 발명의 장문분석정보저장모듈(136)은 개인별로 장문의 종류별 나타나는 여부를 보관한다.
본 발명의 성향정보저장모듈(145)은 12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성향별 특징과 장점, 단점, 스트레스원인, 학습습관, 노력할 점, 직업특성 등을 구분하여 관리 보관하고 별도로 성향 그룹 등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학습습관저장모듈(146)은 유형과 학습장소, 형태 등을 보관한다.
본 발명의 인간관계정보저장모듈(147)은 성향그룹별로 나와 상대방에 대해 각각 구분하여, 남녀관계, 자녀관계, 친구관계 등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또한 남녀관계는 남자(또는 남편) 기준과 여자(아내) 기준으로 구분하고, 자녀관계도 아버지와 어머니 기준으로 나누어서 관리 보관한다.
본 발명의 학습민감도저장모듈(148)은 민감도별 특성과 접근방법 등을 보관한다.
본 발명의 직업정보저장모듈(165)은 직업 명칭과 직업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10가지 능력 중에서 핵심능력과 보조능력으로 구분하여 각 능력별 요구 정도를 0에서 100까지 10단위로 구분하여 보관하고, 장문의 특성에서 요구되는 필수능력과 보조능력을 10단위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또한 성향별 적합도를 0~100까지 10단위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각 직업별 상세정보로 관련 직업, 관련학과, 준비하기 위한 정보, 평균임금, 현재전망과 10년 후 전망, 직업의 난이도를 3단계(상/중/하)로 나누어 관리한다. 이 정보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정보를 토대로 연구팀에서 자체 연구를 통해 상세정보를 생성 관리한다.
본 발명의 다중능력저장모듈(155)은 10가지로 분류한 능력의 명칭과 특징, 설명, 개발방법 등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추천직업정보저장모듈(166)은 개인별 지문분석정보(126)와 장문분석정보(136), 직업정보(165) 등을 입력받아 다중능력 우월순위(155)와 장문분석정보(136)의 개인별 특성과 직업정보(155)에서 요구하는 직업별 핵심요구능력과 보조요구능력을 비교 분석하여 알고리즘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한 정보가 관리 보관된다.
본 발명의 정보제공모듈(170)은 각 모듈에서 생성된 정보를 피검사자의 연령과 목적에 따라 상담자단말(200)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보고서정보저장모듈(175)은 각 보고서에 사용하는 용어와 설명 등을 다국어 서비스를 위해 준비된 언어별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본 발명의 후천성검사정보저장모듈(185)은 10가지 능력에 대한 현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능력과 질문, 답변을 3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받아들이고 개인별 답변 결과를 10가지 능력별 개수와 점수를 계산하여 보관한다.
본 발명의 통계정보계산모듈(190)은 각 정보에 대한 특성을 통계화하여 보관하며, 성향별, 지문유형별, 장문유형별, 전체와 단체별, 학년, 반 등으로 구분하여 목적에 따라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통계정보저장모듈(195)은 통계정보계산모듈(190)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되며 정보제공모듈(170)을 통해 사용되어 진다.
본 발명의 통신모듈(199)은 상담자단말(200)과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100) 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또한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100)과 피검사자단말(30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어모듈(101)은 상담자단말(200)과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100), 피검사자단말(300) 간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도 7의 추천직업은 직업정보(165)를 순차적으로 읽어 들여 다음 단계에 따라 수행한다.
먼저, 지문분석정보(126)에 저장된 다중능력 우월순위에 따라 1부터 10까지 순위와 직업정보(165)에서 개별 직업별로 요구되는 핵심능력과 보조능력의 가중치와 환산가중치를 곱하여 10가지 능력에 대한 계산 값을 합산한다.
둘째, 직업정보(165)에서 개별 직업별로 요구되는 장문특성 가중치와 개인별 보유한 특성의 정도를 가중치로 환산하여 14가지 특성의 환산치를 합산한다.
다중능력 합산값과 장문특성 합산값 및 개인관리코드 등을 임시저장테이블에 개별 직업별로 저장한다.
임시저장테이블에서 두 합산 값을 더한 값이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읽어 들여 상위 30개에 대해 추천직업으로 정한다.
도7의 관련능력(311)은 핵심능력과 보조능력으로 구분하며, 핵심능력은 굵은 글꼴로 밑줄을 그어 구분하고, 보조능력은 밑줄 없이 표시하고, 괄호 안에 다중능력계산모듈(150)에서 계산된 우월순위를 표시한다.
도 8은 다중능력 후천성검사모듈(18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피검사자의 답변을 세 가지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며, 문제를 해결하면 해결할 문제의 개수를 차감하고 해결한 문제에 더하여 전체 진행상황을 표시한다. 문제를 해결하면 색상을 변경하여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의 후천성검사에 의한 추천직업은 직업정보(165)를 순차적으로 읽어 들여 다음 단계로 수행한다.
먼저, 후천성검사 모듈(180)에 의해 계산된 다중능력 우월순위와 직업정보(165)에서 개별 직업별로 요구되는 핵심능력과 보조능력의 가중치와 환산가중치를 곱하여 10가지 능력에 대한 계산 값을 합산한다.
둘째, 직업정보(165)에서 개별 직업별로 요구되는 장문특성 가중치와 개인별 보유한 특성의 정도를 가중치로 환산하여 14가지 특성의 환산치를 합산한다.
다중능력 합산 값과 장문특성 합산 값 및 개인관리코드 등을 임시저장테이블에 개별 직업별로 저장한다.
임시저장테이블에서 두 합산 값을 더한 값이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읽어 들여 상위 30개에 대해 추천직업으로 정한다.
도 9의 검사명(411)은 유전자지문적성검사를 "지문"”+ 검사일자로 병기하여 표시하고, 후천성검사는 검사일자(412)를 표시하여 구분한다.
강도(413)는 설문에 답변한 점수를 나타내고, 순위(414)는 가중치가 반영되어 계산된 순위를 나타낸다.
100 : 유전자지문적성분석시스템
101 : 제어 모듈
110 : 고객정보관리 모듈
115 : 고객정보저장 모듈
116 : 조직정보저장 모듈
120 : 지문분석 모듈
125 : 지문분석정보저장 모듈
130 : 장문분석 모듈
135 : 장문분석정보저장 모듈
140 : 성향결정 모듈
145 : 성향정보저장 모듈
146 : 학습습관정보저장 모듈
147 : 인간관계정보저장 모듈
148 : 학습민감도정보저장 모듈
150 : 다중능력 계산 모듈
155 : 다중능력정보저장 모듈
160 : 추천직업 계산모듈
165 : 직업정보저장 모듈
166 : 추천직업정보저장 모듈
170 : 정보제공 모듈
175 : 보고서정보 저장모듈
180 : 후천성검사 모듈
185 : 후천검사정보저장 모듈
190 : 통계정보계산 모듈
195 : 통계정보저장 모듈
199 : 통신 모듈
200 : 상담자 단말
300 : 피검사자 단말

Claims (2)

  1. 지문과 장문(손바닥정보) 및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다중능력 후천성검사를 융합한 성향과 진로선택을 위한 종합적인 진로적성 검사를 수행하는 수단들로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 지문 분석 모듈; 장문 분석 모듈; 다중능력계산모듈; 성향결정모듈; 후천성 검사모듈; 직업정보저장모듈; 추천직업계산모듈 및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들은:
    상기 지문분석모듈에 의해서, 지문정보를 손가락별 문형과 핵과 삼각점 사이의 좌우 융선 수와 더불어 동일문형과 동일 융선이 있는 지문이 존재하므로 핵과 삼각점 사이의 거리 즉 밀도를 함께 분석하여 저장하는 수단;
    상기 다중능력계산모듈에 의해서, 다중능력(다중지능)을 10가지로 세분하여 동일한 지문과 융선인 경우 거리가 좁을수록 다중능력 우월순위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정하는 수단;
    상기 직업정보저장모듈에 의해서 직업정보와 직업별 요구되는 핵심능력과 보조능력, 장문특성관계 및 성향별 직업 적합도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추천직업계산모듈에 의해서, 상기 지문분석모듈, 장문분석모듈 및 직업정보저장모듈의 정보를 종합하여 직업별 요구되는 능력과 특성을 피검사자의 개인 특성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진로와 적합한 직업 및 대학교 전공을 순위에 따라 추천하는 수단;
    상기 정보제공모듈에 의해서 인간관계 정보 즉 남녀관계대화요령, 부모와 자녀간 대화요령 및 친구관계대화요령 등을 피검사자의 연령과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하는 수단;
    상기 후천성검사모듈에 의해서 지문분석에 의한 다중능력(다중지능) 우월순위와 설문에 의한 후천성검사 결과를 비교 그래프로 제시하고 반복적인 점검을 통해 진척도를 제시하는 수단;
    후천성검사 결과와 장문분석모듈 및 직업정보저장모듈의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직업별 요구되는 능력과 특성을 피검사자의 개인 특성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진로와 적합한 직업 및 대학교 전공을 순위에 따라 추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갖는 시스템에서 지문과 장문(손바닥정보) 및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다중능력 후천성검사를 융합한 진로적성 검사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지문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각 손가락의 문형과 핵과 삼각점 사이의 좌우 융선 수 및 거리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단계;
    다중능력(다중지능) 우월순위의 가중치를 동일한 융선인 경우 거리(밀도)에 따라 높여주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결정하는 단계;
    지문분석모듈, 장문분석모듈 및 직업정보저장모듈의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직업별 요구되는 능력과 특성을 피검사자의 개인 특성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진로와 적합한 직업 및 대학교 전공을 순위에 따라 추천하는 단계;
    인간관계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피검사자의 연령과 목적에 따라 남녀관계대화요령, 부모와 자녀간 대화요령 및 친구관계대화요령 등으로 구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제공하는 단계;
    후천성검사를 위해 10가지 다중능력에 대한 질문을 제시하고, 답변을 10가지 다중능력별 개수와 점수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계산하여 보관하는 단계;
    후천성검사 결과와 지문분석에 의한 다중능력(다중지능) 우월순위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비교 그래프로 제시하고 반복적인 점검을 통해 진척도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시하는 단계;
    후천성검사 결과와 장문분석모듈 및 직업정보저장모듈의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직업별 요구되는 능력과 특성을 피검사자의 개인 특성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진로와 적합한 직업 및 대학교 전공을 순위에 따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029478A 2016-03-11 2016-03-11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 KR10177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78A KR101775268B1 (ko) 2016-03-11 2016-03-11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78A KR101775268B1 (ko) 2016-03-11 2016-03-11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268B1 true KR101775268B1 (ko) 2017-09-05

Family

ID=5992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478A KR101775268B1 (ko) 2016-03-11 2016-03-11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69A1 (ko) * 2019-09-02 2021-03-11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Dna 적성 검사와 인적성 검사의 융합을 통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20220022592A (ko) * 2020-08-19 2022-02-28 김용 유전자지문적성검사와 다중능력검사를 융합한 맞춤형 진로탐색시스템 및 방법
KR102419619B1 (ko) 2021-12-01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적성 유형 및 진로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69A1 (ko) * 2019-09-02 2021-03-11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Dna 적성 검사와 인적성 검사의 융합을 통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
EP4026481A4 (en) * 2019-09-02 2023-10-11 Clinomics Inc. SYSTEM PROVIDING SOLUTION BY INTEGRATION OF DNA APTITUDE TESTING AND PERSONALITY/APTITUDE TESTING
KR20220022592A (ko) * 2020-08-19 2022-02-28 김용 유전자지문적성검사와 다중능력검사를 융합한 맞춤형 진로탐색시스템 및 방법
KR102441008B1 (ko) * 2020-08-19 2022-09-05 김용 유전자지문적성검사와 다중능력검사를 융합한 맞춤형 진로탐색시스템 및 방법
KR102419619B1 (ko) 2021-12-01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적성 유형 및 진로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hnes University rankings: What do they really show?
Kerr et al. Doing statistics with SPSS
US20110276356A1 (en) Method of matching employers with job seekers
KR101170125B1 (ko) 복수의 인성 검사의 조합에 의한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JP6571219B2 (ja) レコメンドシステムおよびレコメンド方法
Carbonell et al. Choosing a physician on social media: Comments and ratings of user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qualification of a physician
JP2010170534A (ja) 健康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健康サポート方法
KR101775268B1 (ko) 지문과 장문을 이용한 진로적성검사시스템 및 방법
Slaughter et al. Comparing the efficacy of policy-capturing weights and direct estimates for predicting job choice
KR20170103223A (ko)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KR101429569B1 (ko) 교육이력사항을 기반으로 한 직업 매칭 시스템
KR102441008B1 (ko) 유전자지문적성검사와 다중능력검사를 융합한 맞춤형 진로탐색시스템 및 방법
JP2019192303A (ja) レコメンドシステムおよびレコメンド方法
Risco et al.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es of educational and vocational goals for Latina/o students
Webber et 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success profile for teachers
JP6043460B2 (ja) データ分析システム、データ分析方法、およびデータ分析プログラム
Brown Selecting students for graduate academic success and employability: A new research direction for sport management
Ariza-Montes et al. RETRACTED ARTICLE: Volunteering by elders: a question of values?
Ochirbat et al. Occupation recommendation with major programs for adolescents
Cohen Researching Informal Education. A Preliminary Mapping
Teklemicael et al. Toward Gamified Personality Acquisition in Travel Recommender Systems
Malazm et al. Identifying and explaining the factors affecting perfectionism in managers
KR102267363B1 (ko) 전공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공 추천 방법
Chumacero et al. When RateMyProfessors met Google Scholar: students’ evaluations and professors’ looks and research
JP7217372B1 (ja) 学習モデルの生成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