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150B1 -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150B1
KR101804150B1 KR1020160025730A KR20160025730A KR101804150B1 KR 101804150 B1 KR101804150 B1 KR 101804150B1 KR 1020160025730 A KR1020160025730 A KR 1020160025730A KR 20160025730 A KR20160025730 A KR 20160025730A KR 101804150 B1 KR101804150 B1 KR 10180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core
competency
core competency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223A (ko
Inventor
김영학
이지수
김태형
김성영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1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성, 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및 자기관리 항목을 통해 산출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은, 학생이 이수한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를 결정하는 단계; 각 프로그램(k)과 각각의 핵심역량(i) 사이의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에 상기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부여하여 핵심역량점수(yi)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Diagnostic method of reliable student core competencies}
본 발명은 핵심역량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인성, 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및 자기관리 항목을 통해 산출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에서는 분산되어 있는 학생 역량을 종합관리 하기 위해, 대학 내에서 운영 중인 정규과정 및 비교과정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학생 역량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핵심역량 진단 방법의 구체성 부족으로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고, 학생 역량진단과 연계성이 결여되는 경우가 많아 활용도가 떨어진다.

역량군
(프로
그램
그룹)
구분
(프로그램)
가중치
항목1
(eg.인성)
항목2
(eg.소통능력)
항목3 항목4 항목5 항목6 총계7 부여점수(1건당)
개수 개수 개수 개수 개수 개수 개수
Group 1

역량1
(eg.인성)
8 10 1 0 1 7 11 30 0.27
역량2 12 0 0 2 2 0 2 6 2.00
역량3
(eg. 외국어)
8 0 6 2 2 2 6 18 0.45
역량4 12 2 5 2 3 2 9 23 0.52
Group 2 역량5 10 3 4 0 0 9 5 21 0.48
역량6 10 0 4 4 1 0 6 15 0.67
Group 3 역량7 10 0 2 5 3 0 11 21 0.48
역량8 10 0 1 13 9 0 8 31 0.33
Group 4
(eg.전공)
역량9 10 0 1 7 2 3 7 20 0.50
역량10 10 0 2 5 2 3 3 15 0.67
100 15 26 40 25 26 68 200
표 1은 종래의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핵심역량 진단지수를 나타낸 표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핵심역량 진단지수는 역량 군을 구분한 후 단순 건수를 중심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프로그램 별 지수를 적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 분류에 의한 이수 건수를 이용한 핵심역량 진단지수를 이용할 경우, 정량적인 수치만을 반영하게 되므로 정확성 및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은, 비교 집단의 기준이 상위권 학생, 평균적인 학생 등과 같이 모호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교 집단과의 비교결과를 확인하더라도, 자신의 객관적인 역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을 통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KR 10-2013-003544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학생이 이수한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에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부여하여 핵심역량점수(yi)를 산출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점수를 산출할 수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핵심역량점수(yi)를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와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0점에서 100점까지로 평가된 핵심역량 변환점수(Yi)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성, 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및 자기관리 항목을 통해 산출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에 있어서, 학생이 이수한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를 결정하는 단계; 각 프로그램(k)과 각각의 핵심역량(i) 사이의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에 상기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부여하여 핵심역량점수(yi)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각 프로그램의 점수(xk )는, 0점 내지 5점 중 어느 하나의 상수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결정하는 단계는, 각 프로그램(k)과 각각의 핵심역량(i) 사이의 관계(rik)의 상관도를 정의 - rik = 2 (관계가 강일 때), rik = 1 (관계가 약일 때), rik = 0 (관계가 없을 때) - 하는 단계; 및 상기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1
, (i= 1, 2, 3, 4, 5, 6 ; k= 1, 2, ......, K)를 통해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핵심역량점수(yi)를 산출하는 단계는,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2
(i= 1, 2, 3, 4, 5, 6),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3
) 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0점에서 5점까지로 평가된 상기 핵심역량점수(yi)를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와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0점에서 100점까지로 평가된 핵심역량 변환점수(Yi)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는,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4
, 여기서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5
, x가 정수이면,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6
로 정의되고, 상기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는,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7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로 변환하는 단계는, 베타 분포의 두 매개변수 α와 β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핵심역량점수(yi)를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8
를 이용하여 변환하는 단계; 및
Figure 112016020839058-pat00009
를 이용하여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절대점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절대점수로 표시하는 단계는, 동 학년 학생 중 핵심역량별 상위 25%의 평균점수를 우수 학생으로 정의하고, 동 학년 학생의 평균점수를 평균으로 정의하여 동시에 비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상대점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의 상대점수(YRi)는, YRi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0
, mi = i 핵심역량의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에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 - 정량적 점수에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 -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정량적 점수를 등급화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유형을 그룹화하며, 등급은, 상등급(학년 평균의 125% 초과), 중등급(학년 평균의 75 ~ 125% 사이) 및 하등급(학년 평균의 75% 미만)으로 구분하고, 그룹화 기준은 장점을 살리는 방식과,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역량 진단 방법은, 학생이 이수한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에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부여하여 핵심역량점수(yi)를 산출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핵심역량점수(yi)를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와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0점에서 100점까지로 평가된 핵심역량 변환점수(Yi)로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자신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대학교 시스템에서 정의된 6대 핵심역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α= β= 2 및 α= β= 3 일 때, 핵심역량 점수 yi값에 대한 그래프
도 3은 α=1, β= 2 일 때, α=1, β= 3 일 때, α=1, β= 4 일 때, 핵심역량 점수 yi값에 대한 그래프
도 4는 핵심역량점수(절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5는 표 9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6은 표 10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7은 핵심역량점수(상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8은 표 11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9은 표 12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10은 3Up별 절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11은 표 18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12는 3Up(상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13은 표 19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14는 표 20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15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을 통해 산출된 정보가 표시된 홈페이지의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각 유형의 계발 경로에 대한 모형.
도 17은 가이드 페이지를 나타낸 예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역량'이란 본래 직업교육이나 훈련분야, 혹은 성인교육분야에서 논의되어 온 것으로 숙달하고자 하는 직무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내는 것과 관련된 개념이다.
최근 들어 이 용어는 학교교육과 관련한 논의에 핵심기술(core skill), 핵심역량(key competency), 일반기술(generic skill), 핵심자질(key qualification) 등으로 등장하고 있다.
OECD는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핵심역량'은 하나 혹은 몇몇의 맥락에 구체적인 특수역량(specific competency)과 달리, 삶의 맥락에 걸쳐 모든 사람이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generic) 성격의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기업경영에서 핵심역량(核心力量, core competency)이란, 조직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독자적 기술과 지식의 조합체로서 구체적으로는 경쟁사보다 몇 단계 뛰어난 수준에서 고객에게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에서는 핵심역량(Essential Skills)을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대학교 시스템에서 정의된 6대 핵심역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핵심역량 항목은 인성, 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및 자기관리, 총 6가지로 정의된다.
우선, 인성은, 정직과 신뢰, 봉사와 배려, 도전정신,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능력으로 정의된다.
또한, 의사소통은,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및 외국어 소통 능력으로 정의된다.
또한,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은, 주어진 자원을 관리하고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며, 다양한 공학적 기술을 선택하고 적용하기 위해 연산, 통계를 활용하고 매체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또한, 종합적 사고력은, 문제 상황을 명료화하여 인식하고 과제해결을 위해 추론하며, 준거에 비추어 아이디어를 판단하고 타당한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또한, 대인관계는, 다양한 인간관계와 사회적 상황 속에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고객서비스, 팀워크, 갈등관리,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 능력으로 정의된다.
또한, 자기관리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정서적으로 자신을 관리, 조절할 수 있으며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직업관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 핵심역량 진단 알고리즘
(1) 우선, 수식에 사용되는 기호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K =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수
k =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첨자 (k= 1, 2, ........,K)
xk = 학생이 취득한 k 프로그램의 점수
i = 핵심역량을 나타내는 첨자 (i= 1, 2, 3, 4, 5, 6) 이며, 이는 표 2에 핵심역량 항목으로 정의되어 있다.
i 핵심역량
1 인성
2 의사소통
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4 종합적 사고력
5 대인관계
6 자기관리
wik = k 프로그램의 i 역량 적용가중치 (i= 1, 2, 3, 4, 5, 6 ; k= 1, 2, ....., K)
(2) 학생이 이수하는 각 프로그램의 점수( x k ) 결정
각 프로그램의 이수결과 점수를 평가하는 척도구간 및 점수표현방법은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프로그램의 점수 xk (k= 1, 2, ......, K)는 0부터 5까지의 점수값(0, 1, 2, 3, 4, 5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 개설 프로그램 : 독서 인증제
1~5회 : 1점, 6~10회 : 2점, 11~15회 : 3점, 16~20회 : 4점, 21회 이상 : 5점
(3) k 프로그램의 i 역량 적용 가중치 w ik 결정
(Step 1) 각 프로그램과 6대 핵심역량간의 관계 rik (i= 1, 2, 3, 4, 5, 6 ; k= 1, 2, .....,K)를 평가하여 <표 3>과 같은 형태로 정의한다.
프로그램 인성 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자기관리 총계
k r1k r2k r3k r4k r5k r6k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1
합계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2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3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4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5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6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7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8
여기에서, rik = k 는, 프로그램과 i 역량과의 관계의 정도를 의미하며,
rik = 2 (관계가 강일 때, ○)
rik = 1 (관계가 약일 때, △)
rik = 0 (관계가 없을 때) 로 정의될 수 있다.
(Step 2) 핵심역량 i 평가계산에 사용할 각 프로그램의 가중치 wik 를 아래 식에 의하여 계산하고 <표 4>와 같이 정리한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19
(i= 1, 2, 3, 4, 5, 6 ; k= 1, 2, ......, K)
프로그램 인성 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자기관리 총계 각 핵심역량 측면에서 프로그램
가중치
k w1k w2k w3k w4k w5k w6k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0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1
합계 1 1 1 1 1 1 6 1
각 핵심역량 측면에서의 프로그램 가중치는 각 프로그램이 핵심역량 제고에 관계하는 상대적 중요도를 의미하는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
(4) 6대 핵심역량 점수의 계산
각 핵심역량 i의 점수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며, 각 핵심역량에 대한 점수는 <표 5>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2
(i= 1, 2, 3, 4, 5, 6),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3
)
i 핵심역량 핵심역량점수 yi
1 인성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4
2 의사소통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5
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6
4 종합적 사고력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7
5 대인관계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8
6 자기관리
Figure 112016020839058-pat00029
- 핵심역량 결과의 표현
(1)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6대 핵심역량 변환점수
0점에서 5점까지로 평가된 핵심역량점수를 학생들이 체감하기 쉬운 0점에서 100점까지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누적분포함수가 일반적으로 0에서 1까지 단순 증가하는 함수라는 사실과, 특히 베타분포의 확률변수가 0부터 1까지 사이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활용하여, 0점에서 5점까지로 평가된 핵심역량점수를 0점에서 100점까지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는 다음 식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0
여기서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1
x가 정수이면,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2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 f(y)의 모양은 α와 β의 값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α = β < 1 : 컵 모양
α = β = 1 : U(0,1), 높이 1인 수평선
α = β > 1 : 종 모양 (α와 β가 커질수록 점점 더 y=0.5로 집중하는 종 모양)
1 < α < β : 오른쪽으로 꼬리가 긴 종 모양
1 < β < α : 왼쪽으로 꼬리가 긴 종 모양
α > β and β ≤ 1 : 단순증가, 볼록(convex)
α < β and α ≤ 1 : 단순감소, 볼록(convex)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는 아래의 식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3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 F(y)의 모양은 α와 β의 값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값은 0에서 1까지 단순 증가함
(예)α = β < 1 : S를 뒤집은 모양
α = β = 1 : 기울기 1인 직선
α = β > 1 : S 모양 (α와 β가 커질수록 점점 더 기울기 변화가 심한 S 모양)
1 < α < β : 왼쪽이 더 급히 증가하는 S 모양
1 < β < α : 오른쪽이 더 급히 증가하는 S 모양
α > β and β ≤ 1 : 단순증가, 볼록(convex)
α < β and α ≤ 1 : 단순증가, 오목(concave)
상술한 베타분포를 활용한 6대 핵심역량 변환점수의 계산은 하기의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Step 1) 각 핵심역량 점수 yi를 계산한다.
(Step 2)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핵심역량 변환점수 모양에 따라 α와 β값을 결정한다.
(Step 3)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4
에 따라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5
값을 계산한다.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6
) →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7
)
(Step 4) Step 3에서 계산한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8
과 Step 2에서 결정한 α와 β 값을 사용하여 아래의 식에 의해 각 핵심역량의 변환점수 Yi를 계산한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39
(예1) α = β = 2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0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1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2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3
(예2) α = β = 3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4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5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6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7
예 1 및 예 2에 대한 계산 결과는 <표 6> 에 표시되어 있으며, 도 2는 α= β= 2 및 α= β= 3 일 때, 핵심역량 점수 yi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핵심역량점수(y) y' 변환점수(α=β=2) 변환점수(α=β=3)
0 0 0 0
0.5 0.1 2.8 0.856
1 0.2 10.4 5.792
1.5 0.3 21.6 16.308
2 0.4 35.2 31.744
2.5 0.5 50 50
3 0.6 64.8 68.256
3.5 0.7 78.4 83.692
4 0.8 89.6 94.208
4.5 0.9 97.2 99.144
5 1 100 100
(예3) α = 1, β = 2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8
Figure 112016020839058-pat00049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0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1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2
(예4) α = 1, β = 3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3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4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5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6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7
(예5) α = 1, β = 4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8
Figure 112016020839058-pat00059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0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1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2
예 3 내지 예 5에 대한 계산 결과는 <표 7> 에 표시되어 있으며, 도 3은 α=1, β= 2 일 때, α=1, β= 3 일 때, α=1, β= 4 일 때, 핵심역량 점수 yi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핵심역량점수(y) y' 변환점수
(α=1, β=2)
변환점수
(α=1, β=3)
변환점수
(α=1, β=4)
0 0 0 0 0
0.5 0.1 19 27.1 34.39
1 0.2 36 48.8 59.04
1.5 0.3 51 65.7 75.99
2 0.4 64 78.4 87.04
2.5 0.5 75 87.5 93.75
3 0.6 84 93.6 97.44
3.5 0.7 91 97.3 99.19
4 0.8 96 99.2 99.84
4.5 0.9 99 99.9 99.99
5 1 100 100 100
대학에서 개설한 많은 프로그램 중 학생 개인이 이수할 프로그램은, 비교적 소수일 것이므로 각 학생의 핵심역량 원점수는 크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술한 예 1 내지 예 5에 대한 그래프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학생들의 핵심역량점수에 변별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단순증가 오목(concave) 형태 중 원점수가 0에 가까운 곳에서 급속히 증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α=1, β=3 혹은 4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진단결과 표현 방법
- 핵심역량별 절대점수
도 4는 핵심역량점수(절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프로그램의 이수결과 점수는 100점을 상한으로 가지도록 표시된다.
이때, 개설된 많은 프로그램 중 학생 개인이 이수할 프로그램은 비교적 소수라는 점을 감안하여 각 핵심역량별 변환점수를 사용한다.
또한, 동 학년 학생 중 핵심역량별 상위 25%의 평균점수를 우수 학생으로 보고 비교한다.
또한, 동 학년 학생의 평균점수를 평균으로 보고 비교한다.
원점수
핵심역량 학생점수 동학년 상위25% 평균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인성 2.2 3.2 2
의사소통 1.3 2.7 2.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2.2 2.8 2
종합적 사고력 2.5 2.9 2.1
대인관계 1.2 1.8 0.8
자기관리 3.7 2.5 1.1
변환점수(α=1, β=4)
핵심역량 학생점수 동학년 상위25% 평균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인성 90.17 98.32 87.04
의사소통 70.01 95.52 91.50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90.17 96.25 87.04
종합적 사고력 93.75 96.89 88.68
대인관계 66.64 83.22 50.21
자기관리 99.54 93.75 62.98
표 8은 핵심역량에 대한 원점수를 나타낸 표이고, 표 9는 원점수를 변환점수로 변환(α=1, β=4)하여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도 5는 표 9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변환점수(α=1, β=3)
핵심역량 학생점수 동학년 상위25% 평균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인성 82.44 95.33 78.40
의사소통 59.48 90.27 84.25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82.44 91.48 78.40
종합적 사고력 87.50 92.59 80.49
대인관계 56.10 73.79 40.73
자기관리 98.24 87.50 52.54
표 10은 원점수를 변환점수로 변환(α=1, β=3)하여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도 6은 표 10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핵심역량별 절대점수를 산출하고 차트 형태로 표현하는 예시를 설명였으나, 이하에서는 상대점수를 산출하고 차트 형태로 표현하는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 핵심역량별 상대점수
각 핵심역량별로 학생들의 점수편차가 심하게 존재할 경우, 각 핵심역량별로 동 학년 평균대비 학생의 상대점수를 계산하여 추가로 보여줄 수 있다.
각 핵심역량별로 동 학년 평균대비 학생의 상대점수는,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을 100으로 하여 비례식으로 계산한다.
이때, i 핵심역량의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을 100으로 할 때, 평균대비 학생의 i 핵심역량 상대점수는 아래 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Yi = i 핵심역량의 변환점수
mi = i 핵심역량의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
i 핵심역량의 동 학년 평균대비 학생의 상대점수(YRi)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3
도 7은 핵심역량점수(상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i 핵심역량의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을 100으로 한 눈금선과 더불어 평균의 125% 눈금선 및 평균의 75% 눈금선을 함께 보여 줌으로써 학생의 상대점수를 좀 더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변환점수(α=1, β=4)
핵심역량 학생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평균대비
학생상대점수
동학년 평균
(100)
동학년 평균의
125%
동학년 평균의
75
인성 90.17 87.04 103.59 100 125 75
의사소통 70.01 91.50 76.52 100 125 75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90.17 87.04 103.59 100 125 75
종합적 사고력 93.75 88.68 105.71 100 125 75
대인관계 66.64 50.21 132.71 100 125 75
자기관리 99.54 62.98 158.04 100 125 75
표 11은 변환점수(α=1, β=4)를 핵심역량 상대점수로 계산하여 나타낸 표이고, 도 8은 표 11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변환점수(α=1, β=3)
핵심역량 학생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평균대비
학생상대점수
동학년 평균
(100)
동학년 평균의
125%
동학년 평균의
75
인성 82.44 78.40 105.15 100 125 75
의사소통 59.48 84.25 70.59 100 125 75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82.44 78.40 105.15 100 125 75
종합적 사고력 87.50 80.49 108.71 100 125 75
대인관계 56.10 40.73 137.74 100 125 75
자기관리 98.24 52.54 186.97 100 125 75
표 12는 변환점수(α=1, β=3)를 핵심역량 상대점수로 계산하여 나타낸 표이고, 도 9은 표 12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 핵심역량 진단 알고리즘의 응용
상술한 핵심역량 진단 알고리즘은 설정된 목표에 따라 여러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6대 핵심역량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교의 3UP(학업, 취업, 창업) 목표에 응용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술한 핵심역량 진단방법의 알고리즘을 학업, 취업, 창업(이하 3UP이라 함) 등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1) 우선, 수식에 사용되는 기호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K =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수
k =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첨자 (k= 1, 2, ........,K)
xk = 학생이 취득한 k 프로그램의 점수
j = 3Up(학업, 취업, 창업)을 나타내는 첨자 (j= 1, 2, 3)이고, 이는 표 13에 정의되어 있다.
j 3UP
1 취업
2 창업
3 학업
ujk = k 프로그램의 j번째 Up에 적용하는 가중치 (j= 1, 2, 3 ; k= 1, 2, ........,K)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4
, for all j
(2) 가중치 u ik 결정
(Step 1) 각 프로그램과 각 Up간의 관계 sjk (j= 1, 2, 3 ; k= 1, 2, ......,K)를 평가하여, <표 14>와 같은 형태로 정의한다.
프로그램 취업 창업 학업 총계
k s1k s2k s3k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5
합계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6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7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8
Figure 112016020839058-pat00069
여기에서, sjk = k 프로그램과 j Up과의 관계의 정도를 의미하며,
sjk = 2 (관계가 강일 때, ○)
sjk = 1 (관계가 약일 때, △)
sjk = 0 (관계가 없을 때)로 정의될 수 있다.
(Step 2) j번째 Up 평가계산에 사용할 각 프로그램의 가중치 ujk를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고, <표 15>와 같이 정리한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0
(j= 1, 2, 3 ; k= 1, 2, ......, K)
프로그램 취업 창업 학업 총계 각UP측면에서
프로그램 가중치
k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1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2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3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4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5
합계 1 1 1 3 1
(3) 3Up 점수의 계산
j번째 Up의 점수를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하며, 각 Up의 점수는 <표 16>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6
,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7
)
j 3Up Up 점수 zj
1 취업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8
2 창업
Figure 112016020839058-pat00079
3 학업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0
(4) 베타분포를 활용한 3Up 변환점수의 계산
(Step 1) 각 Up 점수 zj를 계산한다.
(Step 2)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3Up 변환점수 모양에 따라 α와 β 값을 결정한다.
(Step 3)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1
에 따라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2
을 계산한다.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3
) →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4
)
(Step 4) Step 3에서 계산한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5
와 Step 2에서 결정한 α, β 값을 사용하여 아래의 식에 따라 각 Up 변환점수 Zj를 계산한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6
(5) 진단결과 표현 방법
- 3Up별 절대점수(변환점수)
도 10은 3Up별 절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 프로그램의 이수결과 점수는 100점을 상한으로 가지도록 표시된다.
이때, 개설된 많은 프로그램 중 학생 개인이 이수할 프로그램은 비교적 소수라는 점을 감안하여 각 3Up별 변환점수를 사용한다.
또한, 동 학년 학생 중 3Up별 상위 25%의 평균점수를 우수 학생으로 보고 비교한다.
또한, 동 학년 학생의 평균점수를 평균으로 보고 비교한다.
원점수
3Up 학생점수 동학년상위25%
평균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취업 1.3 2.7 2.3
창업 1.2 1.8 0.8
학업 3.7 2.5 1.1
변환점수(α=1, β=4)
3Up 학생점수 동학년상위25%
평균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취업 70.01 95.52 91.50
창업 66.64 83.22 50.21
학업 99.54 93.75 62.98
표 17은 핵심역량에 대한 원점수를 나타낸 표이고, 표 18은 원점수를 변환점수로 변환(α=1, β=4)하여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도 11은 표 18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 3Up별 상대점수(변환점수)
각 3Up별로 학생들의 점수편차가 심하게 존재할 경우, 각 3Up별로 동 학년 평균대비 학생의 상대점수를 계산하여 추가로 보여줄 수 있다.
각 3Up별로 동 학년 평균대비 학생의 상대점수는,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을 100으로 하여 비례식으로 계산한다. - 상술한 핵심역량점수(상대점수) 계산법과 동일 함 -
도 12는 3Up(상대점수)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3Up의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을 100으로 한 눈금선과 더불어 평균의 125% 눈금선 및 평균의 75% 눈금선을 함께 보여 줌으로써 학생의 상대점수를 좀 더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변환점수(α=1, β=4)
3Up 학생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평균대비
학생상대점수
동학년
평균 (100)
동학년
평균의 125%
동학년 평균의 75%
취업 70.01 91.50 76.52 100 125 75
창업 66.64 50.21 132.71 100 125 75
학업 99.54 62.98 158.04 100 125 75
표 19은 변환점수(α=1, β=4)를 3Up 상대점수로 계산하여 나타낸 표이고, 도 13은 표 19를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변환점수(α=1, β=3)
3Up 학생점수 동학년
평균점수
평균대비
학생상대점수
동학년
평균 (100)
동학년
평균의 125%
동학년 평균의 75%
취업 59.48 84.25 10.59 100 125 75
창업 56.10 40.73 137.74 100 125 75
학업 98.24 52.54 186.97 100 125 75
표 20은 변환점수(α=1, β=3)를 3Up 상대점수로 계산하여 나타낸 표이고, 도 14는 표 20을 차트 형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 핵심역량 결과의 해석 및 활용
(1) 6개 핵심역량 결과
각 학생들은 6개 핵심역량 분야에 대한 자신의 성취도를 핵심역량별 절대점수와 핵심역량별 상대점수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절대점수는 해당 역량의 모든 프로그램을 이수했을 때 만점(100점)이 되는 점수이고 상대점수는 해당 역량의 동학년 평균을 100점이라고 했을 때 학생의 상대적 점수를 의미한다.
6개 핵심역량에 대한 절대점수를 모두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6개 역량을 총괄하는 하나의 총괄 역량점수를 보여줄 경우 학생들이 기억하거나 관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한편, 6개 핵심 역량의 개념에 따라 우수한 특정 역량을 계발한다는 의미보다는 모든 역량이 고르게 계발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역량 총괄 절대점수는 각 역량 절대점수의 산술평균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산술평균과 표준편차를 고려한 값으로 정의되는 것이 필요하다.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7
: 핵심역량 i의 변환점수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8
: 영역별 절대점수 평균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89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0
: 영역별 절대점수 표준편차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1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2
: 역량 총괄 절대점수 =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3
역량 총괄 절대점수(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4
)는 기본적으로 영역별 절대점수 평균(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5
)에서 영역별 절대점수 표준편차의 반영 값(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6
)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차감 값은 표준편차(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7
)가 커질수록 더 많이 반영하도록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8
의 제곱에 비례하도록 하였고 차감계수 k와 상수 L에 의해 조정된다.
상수 L은
Figure 112016020839058-pat00099
가 최대값이 될 때 반영 분을 1로 정규화 하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L≡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0
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차감계수 k가 차감 값의 최대값을 결정한다.
6개 핵심역량의 각 변환점수(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1
)는 0에서 100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2
의 최대값(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3
)은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4
가 최소값이 3개, 최대값이 3개인 (0, 0, 0, 100, 100, 100)의 경우(순서 무관)이며, 이때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5
=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6
= 50이므로 L은 50으로 정한다.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7
가 최대값 50을 가질 때 평균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8
로부터 차감되는 값은 k에 의해 결정되는데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하여 시험해본 결과 k값은 대략 10이 적당해 보이며 이 경우 역량 총괄 절대점수(
Figure 112016020839058-pat00109
)는 다음과 같다.
-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0
: 역량 총괄 절대점수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1
아래 표 21은 몇 가지 샘플 데이터에 대해 역량 총괄 절대점수를 계산한 것이다. 샘플 1에서 역량 총괄 최대점수(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2
)는 산술평균(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3
)과 가장 큰 차이가 나며 차이 값은 10이다.
샘플 4 ~ 6은 모두 산술평균이 75로 동일한 경우로 이 때 표준편차(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4
)가 가장 큰(25.00) 샘플 4에서 차감 값은 2.50이 되며 가 가장 작은(5.00) 샘플 6에서는 차감 값이 0.10으로 일반적인 표준편차를 갖는 경우에는 차감 분이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샘플1 샘플2 샘플3 샘플4 샘플5 샘플6 샘플7 샘플8 샘플9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5
0 0 0 50 60 70 75 75 75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6
0 0 100 50 60 70 75 75 100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7
0 0 100 50 60 70 75 75 100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8
100 0 100 100 90 80 100 75 100
Figure 112016020839058-pat00119
100 0 100 100 90 80 100 75 100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0
100 100 100 100 90 80 100 100 100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1
50.00 16.67 83.33 75.00 75.00 75.00 87.50 79.17 95.83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2
50.00 37.27 37.27 25.00 15.00 5.00 12.50 9.32 9.32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3
10.00 5.56 5.56 2.50 0.90 0.10 0.63 0.35 0.35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4
40.00 11.11 77.78 72.50 74.10 74.90 86.88 78.82 95.49
도 15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을 통해 산출된 정보가 표시된 홈페이지의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술한 핵심역량 진단 방법을 통해 산출된 정보는,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표시되며, 로그인된 학생의 총괄 점수를 표시한다.
핵심역량이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달성해야할 역량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핵심역량 별 절대점수에 달성 목표 점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각 역량 별로 점수 산정에 활용되는 프로그램의 절반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잡을 경우 목표점수는 베타분포에 따른 변환점수 계산시 α = 1, β = 2 일 때 75점이 된다. 즉, 각 핵심역량 항목에서 75점 이상을 얻는 것을 목표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역량 총괄 절대점수에 대한 성취목표도 동일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학생들의 관심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현재 4개 영역의 인재인증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각 역량 별로 성취목표 점수에 도달하면 인증을 부여하고, 모든 영역에 대해 성취목표를 달성하거나 총괄 절대점수 성취목표에 도달하면 상장과 함께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다.
실제 프로그램 별로 학생들의 선호도와 참여 난이도 등에 따라 절대점수 75점을 획득하는 것이 쉬운 역량과 어려운 역량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참여에 따라 데이터가 축적되면 학생들의 역량 점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량 별 달성 난이도 조절을 하도록 구성될 경우, 성취목표 절대점수를 전제 역량에 대해 일괄적으로 조절하든지, 역량 점수 산정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가감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핵심역량별 상대점수는 동 학년 평균을 기준으로 절대점수를 보정하였기 때문에 동 학년 학생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하거나 부진한 역량과 그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역량 간 편차도 동 학년 평균을 기준으로 보정되므로 역량 간 상대적 달성도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역량 별 점수 및 역량 총괄 절대점수에 대해 학생들의 데이터가 수 년 간 축적되어 졸업생 취업 정보와 연결될 경우 각 역량 점수에 대해 졸업자 평균, 졸업자 중 취업자 평균 또는 대기업취업자 평균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취업자 혹은 대기업취업자에 대해 각 역량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취업 혹은 취업의 질에 어떤 역량 점수가 상관관계가 높은 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역량 점수의 학점 또는 전공학점과의 상관관계, 학점과 취업 또는 취업의 질과의 상관관계, 일반적인 상관관계를 벗어난 특정 학생에 대한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학점이 그다지 높지 않은데 대기업에 취업한 학생의 경우 역량 점수가 매우 높다”든지 “역량 점수가 높은 학생의 경우 학점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든지 하는 의미 있는 정보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핵심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2) 3up 결과
3up 점수는 학생들이 역량 평가를 통해 졸업 후 본인의 역량을 기준으로 취업, 창업, 학업(진학) 중 어느 방면으로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일지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로서의 정보이다.
3up 점수는 각 비교과 프로그램과 3up 분야와의 연관 지수를 통해 산술적으로 계산되는 값이나 핵심역량에 비해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부여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산된 3up 점수를 각 진출 분야에 대해 몇 % 달성과 같이 직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얻은 점수를 해석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3up 영역의 정량적 점수에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정량적 점수를 등급화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유형(등급 수가 N이라면 총 N3개의 서로 다른 유형이 얻어짐)을 정리하여 그룹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각 3up 영역의 점수는 학년 평균과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이 세 개의 등급으로 판정한다.
- 상등급: 학년 평균의 125% 초과
- 중등급: 학년 평균의 75 ~ 125% 사이
- 하등급: 학년 평균의 75% 미만
각 3up 영역 점수의 상중하 등급에 따라 발생하는 총 27(=33)가지 유형을 그룹화하여 <표 22>와 같이 9가지 유형으로 정의한다.
구분 취업 창업 학업 유형 가이드 방향
1 하 없고 상 2개 이상 우수인재형 우수 장점을 잘 활용하도록 가이드
2 중/하 중/하 취업선도형 취업 장점을 잘 살리도록 가이드
3 중/하 중/하 창업선도형 창업 장점을 잘 살리도록 가이드
4 중/하 중/하 학업선도형 학업 장점을 잘 살리도록 가이드
5 일반형 각 분야의 점수 분포에 따라 가이드
6 취업계발형 취업 부족 부분을 보완하도록 가이드
7 창업계발형 창업 부족 부분을 보완하도록 가이드
8 학업계발형 학업 부족 부분을 보완하도록 가이드
9 상 없고 하 2개 이상 도전형 분발과 도전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유형의 그룹화 기준은 크게, 장점을 살리는 방식과,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첫 번째는 특정 영역이 우수하거나 관심도가 높은 경우 도전적으로 해당 장점을 부각하는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해당 영역을 더 발전시키도록 지도하는 방식이다. 특별히 이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대한 학생의 관심도와 의지가 높은 경우에 잘 부합된다.
두 번째는 저학년이나 전공분야의 관심이 적은 경우 등 학생이 원하는 영역이 부각되지 않을 경우 부족한 영역을 보완해나가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참고적으로 상술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은, 핵심역량 변환점수(Yi)에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 - 정량적 점수에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 - 하는 방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각 유형의 계발 경로에 대한 모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청색 화살표의 흐름과 같이 아직 관심이 있는 특정 영역이 없거나 특정 영역에 두각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우선 부족한 부분에 대해 보완을 해 나가다가, 추후 관심이 생기면 해당 영역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계발하도록 지도하고, 만약 처음부터 학생의 관심이 높은 영역이 있을 경우에는 적색 화살표의 흐름과 같이 해당 영역에 집중적으로 도전하여 자질을 끌어올리도록 지도할 수 있다.
도 17은 가이드 페이지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우수한 점을 살리도록 하는 선도형에 대한 가이드와 부족한 점을 보완하도록 하는 계발형에 대한 가이드는 아래와 같이 해당 영역과 연관성이 높은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이를 이수하도록 지도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인성, 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종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및 자기관리 항목을 통해 산출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에 있어서,
    학생이 이수한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를 결정하는 단계;
    각 프로그램(k)과 각각의 핵심역량(i) 사이의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결정하는 단계;
    각 프로그램(k)의 점수(xk)에 상기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부여하여 핵심역량점수(yi)를 산출하는 단계; 및
    0점에서 5점까지로 평가된 상기 핵심역량점수(yi)를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와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0점에서 100점까지로 평가된 핵심역량 변환점수(Yi)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타분포의 확률밀도 함수는,
    Figure 112017062863669-pat00152
    , 여기서
    Figure 112017062863669-pat00153
    , x가 정수이면,
    Figure 112017062863669-pat00154
    로 정의되고,
    상기 베타분포의 누적분포 함수는,
    Figure 112017062863669-pat00155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k =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첨자 (k= 1, 2, ........,K)
    K =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수
    xk = 학생이 취득한 k 프로그램의 점수
    i = 핵심역량의 항목을 나타내는 첨자 (i= 1, 2, 3, 4, 5, 6)
  2. 제1항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의 점수(xk )는, 0점 내지 5점 중 어느 하나의 상수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결정하는 단계는,
    각 프로그램(k)과 각각의 핵심역량(i) 사이의 관계(rik)의 상관도를 정의 - rik = 2 (관계가 강일 때), rik = 1 (관계가 약일 때), rik = 0 (관계가 없을 때) - 하는 단계; 및
    상기 역량 적용 가중치(wik)를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5

    (i= 1, 2, 3, 4, 5, 6 ; k= 1, 2, ......, K)
    를 통해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역량점수(yi)를 산출하는 단계는,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6
    (i= 1, 2, 3, 4, 5, 6), (
    Figure 112016020839058-pat00127
    )
    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로 변환하는 단계는,
    베타 분포의 두 매개변수 α와 β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핵심역량점수(yi)를
    Figure 112017062863669-pat00132
    를 이용하여 변환하는 단계; 및
    Figure 112017062863669-pat00133
    를 이용하여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절대점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절대점수로 표시하는 단계는,
    동 학년 학생 중 핵심역량별 상위 25%의 평균점수를 우수 학생으로 정의하고, 동 학년 학생의 평균점수를 평균으로 정의하여 동시에 비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를 상대점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의 상대점수(YRi)는,
    YRi =
    Figure 112017062863669-pat00134

    mi = i 핵심역량의 동 학년 변환점수 평균
    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역량 변환점수(Yi)에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 - 정량적 점수에서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 -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성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정량적 점수를 등급화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유형을 그룹화하며,
    등급은, 상등급(학년 평균의 125% 초과), 중등급(학년 평균의 75 ~ 125% 사이) 및 하등급(학년 평균의 75% 미만)으로 구분하고,
    그룹화 기준은 장점을 살리는 방식과,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KR1020160025730A 2016-03-03 2016-03-03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KR101804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30A KR101804150B1 (ko) 2016-03-03 2016-03-03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30A KR101804150B1 (ko) 2016-03-03 2016-03-03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223A KR20170103223A (ko) 2017-09-13
KR101804150B1 true KR101804150B1 (ko) 2017-12-04

Family

ID=5996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730A KR101804150B1 (ko) 2016-03-03 2016-03-03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00A1 (ko) * 2021-05-05 2022-11-10 (주)미래융합정보기술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 cqi를 위한 역량달성도 산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747B1 (ko) * 2019-02-07 2021-01-2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그램 효과의 정량화를 위한 절차 및 방법
KR102212586B1 (ko) * 2019-02-07 2021-02-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량지표의 변환을 위한 절차 및 방법
US20230274378A1 (en) * 2022-02-28 2023-08-31 Admit Analy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llege and graduate admissions profile competitiveness
KR102497379B1 (ko) * 2022-04-26 2023-02-08 주식회사 이니스트 추천 진로 및 맞춤형 커리어 트랙을 기반으로 취업 정보를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KR102610634B1 (ko) * 2022-04-26 2023-12-07 주식회사 이니스트 역량 평가를 기초로 개인 맞춤형 전공 트랙을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69B1 (ko) * 2013-07-23 2014-08-13 주식회사 디지털존 교육이력사항을 기반으로 한 직업 매칭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69B1 (ko) * 2013-07-23 2014-08-13 주식회사 디지털존 교육이력사항을 기반으로 한 직업 매칭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00A1 (ko) * 2021-05-05 2022-11-10 (주)미래융합정보기술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 cqi를 위한 역량달성도 산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223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150B1 (ko) 신뢰성 있는 핵심역량 진단 방법
Netzel et al. User performance and reading strategies for metro maps: An eye tracking study
CN104572989B (zh) 一种辅助高中生选择大学专业的信息推荐方法及系统
Coetzee Psychological career resources of working adults: A South African survey
Gillespie et al. Normative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in the US
Ko et al. Effective teaching: A review of research and evidence.
Museus et al. Raci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ampus racial climate on degree comple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Gutman et al. Uncertain aspirations for continuing in education: Antecedents and associated outcomes.
Wu et al.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PISA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based on cognitive diagnostic models
Montgomery et al. Graduation rates at historically black colleges and universities: An underperforming performance measure for determining institutional funding policies
Mannarini et al. Evaluating public participation: Instruments and implications for citizen involvement
Milsom et al. Examining person–environment fit and academic major satisfaction
Wang et al. Identifying highly effective urban schools: Comparing two measures of school success
CN106355530A (zh) 一种高考志愿填报自动化分析与决策方法
Mammadov et al. Use of latent profile analysis in studies of gifted students
Lauder et al. Pupil composition and accountability: An analysis in English primary schools
Abd Rahman Leadership styles and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Steinberger et al. What concerns school teachers today? Identity conflict centrality scale for measuring teacher identity: A validation study
Ulla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with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A Case of Banking Sector of KP, Pakistan
Levant et a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brief form of the Normative Male Alexithymia Scale (NMAS-BF).
Uslu et al.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profession preferences and teaching status
Jongbloed et al. Untangling the roles of low skill and education in predicting youth NEET statuses: negative signalling effects in comparative perspective
Morris et al. Analysis of pupil attendance data in Excellence in Cities (EiC) areas: An interim report
Málovics et al. Appearance of entrepreneurial values and strategic orientations in the basic values
Moldzio et al. Differentiated measurement of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in an occupational context–greater effort or greater benef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