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218A -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2218A KR20140022218A KR1020120088532A KR20120088532A KR20140022218A KR 20140022218 A KR20140022218 A KR 20140022218A KR 1020120088532 A KR1020120088532 A KR 1020120088532A KR 20120088532 A KR20120088532 A KR 20120088532A KR 20140022218 A KR20140022218 A KR 201400222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lligence
- test
- information
- self
- recommend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각 개인별 자기계발에 대한 추천과 조언을 위해 구축된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특정 서비스 요청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발생시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온라인 상에서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을 토대로 한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표준화심리검사를 수행하는 제1단계; 환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수행된 표준화심리검사의 결과를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점수로 환산하는 제2단계; 유형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환산된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환산 점수를 토대로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하는 제3단계; 그리고,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단계에서 구분된 각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정보를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특정 서비스 요청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발생시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온라인 상에서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을 토대로 한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표준화심리검사를 수행하는 제1단계; 환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수행된 표준화심리검사의 결과를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점수로 환산하는 제2단계; 유형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환산된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환산 점수를 토대로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하는 제3단계; 그리고,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단계에서 구분된 각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정보를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을 통한 각 개인별 자기계발에 대한 추천과 조언을 위해 구축된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 분야에 대한 정보는 각 개인별 역량이나 관심과 흥미 등에 따라 달리 제공되어야 함에 따라 개개인에게 표준화되지 않은 지도자(멘토, 교사, 강사, 상담사)의 주관적 면담에만 의존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개인이 원하는 정보에 대한 취득이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개인 역량에 맞춘 표준화되면서도 과학적인 교육 및 관리가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최근에는 온라인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이 온라인 서칭(searching)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개인이 다양한 검색 방법을 통해 인터넷 정보를 검색한다 하더라도 주관적 취향에 따른 비전문적인 검색 방법으로 인해 개인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정확히 검색하기란 극히 어려움과 더불어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도 오래 걸릴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이렇듯 어렵게 취득한 정보도 각 개인에 맞춘 상태로 가공되어 제공되는 정보가 아님으로써 해당 개인은 상기한 취득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계발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또한, 최근에는 상급 학교로의 진학을 위한 초/중/고 학생 및 취업 준비생을 위한 다양한 온라인상의 상담 시스템이 구축되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온라인상의 상담 시스템은 주로 사용자가 입력한 취향이나 학습 능력 등의 정보를 토대로 운영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성향이나 적성 및 역량 등을 기초로 한 조언은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의 오류가 발생될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정보와는 전혀 상이한 정보가 제공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특히,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는 앞으로의 학습 방법이나 행동 등에 따라 성적이나 학습 정도가 확연히 틀려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 현재의 성적이나 학습 정도를 토대로 한 조언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상의 조언 서비스는 전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을 통한 표준화심리검사를 통해 각 학생의 지능, 적성 및 인성 등의 개인 역량을 도출함과 더불어 이렇게 도출된 개인 역량 결과를 유형화하고, 이 유형화된 개인 역량 결과를 토대로 창의적인 체험활동에 대한 추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을 토대로 표준화심리검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테스트 프로그램과,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된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검사 결과를 표준화된 점수로 환산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환산 프로그램과, 상기 환산 프로그램을 통해 환산된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환산 점수를 토대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유형화 프로그램과, 상기 유형화 프로그램을 통해 유형화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토대로 강점지능의 활용을 위한 추천 정보 및 약점지능의 계발을 위한 추천 정보를 각각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추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온라인으로 수행한 테스트를 통해 취득한 정보로 각 개인의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서버; 그리고,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유형화된 각 결과별 추천 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를 통해 취득한 각 개인별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가 가지는 테스트 프로그램에 기록된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은 가드너(H.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근거로 한 표준화된 언어지능 검사 항목, 논리-수학지능 검사 항목, 공간지능 검사 항목, 신체-운동지능 검사 항목, 음악지능 검사 항목, 자기성찰지능 검사 항목, 인간친화지능 검사 항목, 자연친화지능 검사 항목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추천 정보에는 체험활동에 대한 정보와, 도서에 대한 정보와, 직업에 대한 정보 및 학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한 특정 서비스 요청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발생시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온라인 상에서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을 토대로 한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표준화심리검사를 수행하는 제1단계; 환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수행된 표준화심리검사의 결과를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점수로 환산하는 제2단계; 유형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환산된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환산 점수를 토대로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하는 제3단계; 그리고,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단계에서 구분된 각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정보를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의 표준화심리검사는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분류와,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분류로 각각 구분됨과 더불어 상기 구분된 각 분류별로 상기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를 각각 수행함으로써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분류는 능력에 대한 중분류와 흥미에 대한 중분류 및 성취에 대한 중분류로 재차 구분됨과 더불어 상기 각 중분류별로 상기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 대한 표준화심리검사가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의 표준화심리검사에 사용되는 다중지능 검사 항목은 가드너(H.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근거로 한 언어지능 검사, 논리-수학지능 검사, 공간지능 검사, 신체-운동지능 검사, 음악지능 검사, 자기성찰지능 검사, 인간친화지능 검사, 자연친화지능 검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한 구분은 T점수를 기초로 하여 각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가 55점 이상일 경우에는 강점지능으로 구분함과 더불어 45점 미만일 경우에는 약점지능으로 구분하며,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가 45점 이상 55점 미만일 경우에는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의 순위를 토대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의 추천 정보는 강점지능의 활용을 위한 추천 항목별 정보와, 약점지능의 계발을 위한 추천 항목별 정보가 동시에 포함되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천 항목별 정보에는 창의적인 체험 활동을 위한 체험 및 봉사, 도서, 직업 및 학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개인 역량과 성향에 맞춘 창의적인 체험활동을 추천하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서비스 요청자의 개인 역량과 개인 성향은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표준화된 표준화심리검사를 통해 파악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검사 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신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표준화심리검사를 위한 검사 문항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채점 및 점수 환산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결과의 유형화를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창의적 체험활동의 추천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결과 분석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표준화심리검사를 위한 검사 문항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채점 및 점수 환산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결과의 유형화를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창의적 체험활동의 추천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 결과 분석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은 크게 서비스 운영서버(100)와,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100)는 온라인을 통해 인터넷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운영되는 구성이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서비스 운영서버(100)가 온라인상에서 각 개인별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 수행된 테스트를 통해 취득한 정보로써 해당 사용자의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임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서버(100)는 온라인을 통한 서비스 요청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각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고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운영처리부(110)와, 상기 운영처리부(110)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갖는 프로그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부(120)가 갖는 복수의 프로그램에는 테스트 프로그램(121)과, 환산 프로그램(122)과, 유형화 프로그램(123) 및 추천 프로그램(124)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121)은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을 토대로 표준화심리검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다.
이때, 상기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이라 함은 가드너(H.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근거로 한 표준화된 언어지능 검사 항목, 논리수학지능 검사 항목, 공간지능 검사 항목, 신체운동지능 검사 항목, 음악지능 검사 항목, 자기성찰지능 검사 항목, 인간친화지능 검사 항목, 자연친화지능 검사 항목 등 8가지의 검사 항목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한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 대한 각 항목별 검사 문항들은 표준화된 상태로 현재 표준화심리검사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검사 문항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한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검사 문항들은 후술될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 중 테스트 관련 정보 데이터들의 보관을 위한 테스트 정보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되면서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을 통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표준화심리검사를 위한 각 검사 문항이 다중지능(MI;Multiple Inteligence) 역량과, 다중지능 성향 등 2개의 대분류로 구분됨과 더불어 상기 다중지능 역량은 다시금 능력과 흥미 및 성취 등 3개의 중분류로 각각 구분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각 개인별 역량과 성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환산 프로그램(122)은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121)을 통해 수행된 표준화심리검사의 결과를 채점하여 환산 점수로 환산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다. 이때, 상기 환산 점수라 함은 백분위 점수(CP 점수)와 T점수 및 학년/성별 점수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화 프로그램(123)은 상기 환산 프로그램(122)을 통해 환산된 표준화심리검사의 환산 점수를 토대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구분함과 더불어 이를 토대로 각 강점지능 항목 및 그 수와 약점지능 항목 및 그 수를 각각 유형화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다. 이때, 상기한 유형화 프로그램(123)에서는 강점지능 혹은, 약점지능에 해당되는 항목이 존재하지 않고 검사 항목들이 중간지능에만 해당됨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해당 개인의 각 항목별 점수들 중 상대적으로 상위에 속하는 항목과 상대적으로 하위에 속하는 항목을 추가적으로 구분하여 강점지능 항목 및 약점지능 항목으로 각각 분류하도록 프로그래밍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천 프로그램(124)은 상기 유형화 프로그램(123)을 통해 유형화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토대로 강점지능의 활용을 위한 추천 정보 및 약점지능의 계발을 위한 추천 정보를 각각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프로그램이다.
다음으로,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는 각종 정보들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정보 저장매체로써,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한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는 각 사용자별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0)뿐만 아니라 체험활동에 대한 추천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체험정보 데이터베이스(220)와, 도서에 대한 추천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도서정보 데이터베이스(230)와, 직업에 대한 추천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직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0)와, 학과에 대한 추천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학과정보 데이터베이스(250)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 중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각 사용자별 관련 정보라 함은 해당 사용자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에 대한 정보와,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취득되는 정보 등이 함께 저장되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조회 가능하도록 구축된다.
특히, 상기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각종 추천 정보들은 각 강점지능 및 약점지능별로 구분된 상태로 저장됨으로써, 강점지능의 활용에 관련된 정보의 제공 혹은, 약점지능의 계발에 관련된 정보의 요구가 발생될 경우 정확하면서도 빠른 매칭 데이터로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각 순서별 과정을 토대로 첨부된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비스 운영서버(100)를 구성하는 운영 처리부(110)는 온라인상에 구축된 웹사이트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서비스를 요청받는다.
이의 과정에서 온라인을 통한 특정 사용자(이하, “서비스 요청자”라 함)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기 운영 처리부(110)는 테스트 프로그램(121)을 실행하여 온라인 상에서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표준화심리검사를 수행(S100)한다.
상기한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표준화심리검사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분류와,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분류로 각각 구분됨과 더불어 상기 구분된 각 분류별로 상기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를 각각 수행함으로써 진행되며, 특히 상기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분류는 능력에 대한 중분류와 흥미에 대한 중분류 및 성취에 대한 중분류로 재차적으로 구분하여 더욱 세분화된 표준화심리검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이라 함은 시스템의 설명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가드너(H.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근거로 한 언어지능 검사, 논리-수학지능 검사, 공간지능 검사, 신체-운동지능 검사, 음악지능 검사, 자기성찰지능 검사, 인간친화지능 검사, 자연친화지능 검사 등 8가지의 검사 항목이 될 수 있다.
즉,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세 분류 및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한 분류 등 총 네 분류에 대하여 각 분류별 8개씩의 총 32개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 따른 복수의 검사 문항들을 웹사이트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해당 서비스 요청자가 각 문항별로의 답안을 온라인 상으로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검사 문항들에 대한 개수는 학년별로 달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는 검사 문항을 76개로 설정하고,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는 검사 문항을 78개로 설정하며, 중학생의 경우는 검사 문항을 80개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의한 각 검사 문항별 답안의 입력이 완료되면 운영 처리부(110)는 환산 프로그램(122)을 실행하여 첨부된 도 4와 같이 각 검사 문항별로 채점을 수행함과 더불어 이렇게 수행된 채점 점수를 백분위 점수, T점수, 학년/성별 점수로 환산(S200)한 후 이 환산된 점수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의 해당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각각 저장한다.
이때, 상기 환산 프로그램(122)에 의해 환산되는 점수 정보는 각각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로 구분되어 데이터화된다. 즉, 언어지능의 환산 점수와, 논리-수학지능의 환산 점수와, 공간지능의 환산 점수와, 신체-운동지능의 환산 점수와, 음악지능의 환산 점수와, 자기성찰지능의 환산 점수와, 인간친화지능의 환산 점수 및 자연친화지능의 환산 점수로 각각 구분되어 데이터화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운영 처리부(110)는 유형화 프로그램(123)을 실행하여 상기 환산 프로그램(122)의 실행을 통해 첨부된 도 5와 같이 데이터화된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를 토대로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S300)한다.
이때, 상기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한 구분은 T점수를 기초로 하여 55점 이상일 경우에는 강점지능으로 구분함과 더불어 45점 미만일 경우에는 약점지능으로 구분한다. 만일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가 45점 이상 55점 미만일 경우에는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의 순위를 토대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한다.
이와 함께, 상기 유형화 프로그램(123)에서는 상기한 각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한 구분 이외에도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강점지능의 개수를 확인하여 이 강점지능의 개수에 따라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구분을 추가로 수행하고 이를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의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총 8개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서 강점지능으로 분류된 항목이 1개인지 2개인지, 3개 이상인지 혹은, 없는지를 각각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유형을 구분하여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한 구분이 완료되면 첨부된 도 6과 같이 운영 처리부(110)는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와 통신하면서 상기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의 각 데이터베이스(220,230,240,250)로부터 상기 구분된 각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취득하여 이 취득된 정보를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S400)한다.
이때, 상기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취득한 정보는 해당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이메일 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되는 추천 정보에는 강점지능의 활용을 위한 추천 항목별 정보와, 약점지능의 계발을 위한 추천 항목별 정보가 동시에 포함되어 제공되며, 상기 추천 항목별 정보에는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와, 도서에 대한 정보와, 직업에 대한 정보 및 학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는 필수적인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와, 해당 학년별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 주/보조 지능에 대한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 지역별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 관련 교과별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 및 테마별 체험/봉사 활동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도서에 대한 정보는 필독도서에 대한 정보와, 해당 학년별 도서에 대한 정보, 관련 지능별 도서에 대한 정보, 관련 교과별 도서에 대한 정보 및 테마별 도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직업에 대한 정보는 주 지능별 직업에 대한 정보와, 보조지능별 직업에 대한 정보 및 테마별 직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학과에 대한 정보는 주 지능별 학과에 대한 정보와, 보조지능별 학과에 대한 정보 및 테마별 학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결국, 전술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요청자는 자신의 다중지능 역량과 다중지능 성향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역량과 성향에 맞춘 창의적인 체험활동에 대한 추천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추천받은 정보를 토대로 체험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강점지능에 대한 활용과 약점지능에 대한 계발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은 전술된 실시예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을 이루는 서비스 운영서버(100)의 프로그램부(120)에는 결과분석 프로그램(125)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한 결과분석 프로그램(125)은 첨부된 도 7과 같이 서비스 요청자의 각 지능별 레벨을 구분하여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개인 역량이나 성향에 대한 수준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상기 환산 프로그램(122)을 통해 환산 점수로 환산된 결과 정보를 토대로 각 검사 항목별 레벨을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과분석 프로그램(125)을 통해 결정된 각 검사 항목별 레벨은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레벨과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레벨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즉, 상기한 결과분석 프로그램(125)에 의해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에 의한 온라인 서비스 과정 중 운영 처리부(110)는 환산 프로그램(122)에 의해 환산된 점수 정보를 토대로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각 항목별 레벨을 결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각 항목별 레벨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렇게 결정된 다중지능 역량 및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각 항목별 레벨은 그래프로 구현되어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되거나 혹은, 해당 레벨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의 추가적 제공에 의해 해당 서비스 요청자는 자신의 각 항목별 지능의 수준과 관련 정보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다중지능 역량과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수행하고, 이를 전국 표준으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며, 이렇게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개인 역량과 성향에 맞춘 창의적인 체험활동에 대한 추천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서비스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100. 서비스 운영서버 110. 운영 처리부
120. 프로그램부 121. 테스트 프로그램
122. 환산 프로그램 123. 유형화 프로그램
124. 추천 프로그램 125. 결과 분석 프로그램
200.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 210.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체험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도서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직업정보 데이터베이스 250. 학과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프로그램부 121. 테스트 프로그램
122. 환산 프로그램 123. 유형화 프로그램
124. 추천 프로그램 125. 결과 분석 프로그램
200.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 210.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체험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도서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직업정보 데이터베이스 250. 학과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을 토대로 표준화심리검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테스트 프로그램과,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된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검사 결과를 표준화된 점수로 환산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환산 프로그램과, 상기 환산 프로그램을 통해 환산된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환산 점수를 토대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유형화 프로그램과, 상기 유형화 프로그램을 통해 유형화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토대로 강점지능의 활용을 위한 추천 정보 및 약점지능의 계발을 위한 추천 정보를 각각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추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온라인으로 수행한 테스트를 통해 취득한 정보로 각 개인의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서버; 그리고,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유형화된 각 결과별 추천 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를 통해 취득한 각 개인별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운영서버가 가지는 테스트 프로그램에 기록된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은
가드너(H.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근거로 한 표준화된 언어지능 검사 항목, 논리-수학지능 검사 항목, 공간지능 검사 항목, 신체-운동지능 검사 항목, 음악지능 검사 항목, 자기성찰지능 검사 항목, 인간친화지능 검사 항목, 자연친화지능 검사 항목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추천 정보에는
체험활동에 대한 정보와, 도서에 대한 정보와, 직업에 대한 정보 및 학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 온라인을 통한 특정 서비스 요청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발생시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온라인 상에서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을 토대로 한 해당 서비스 요청자의 표준화심리검사를 수행하는 제1단계;
환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수행된 표준화심리검사의 결과를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점수로 환산하는 제2단계;
유형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환산된 각 다중지능 검사 항목별 환산 점수를 토대로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하는 제3단계; 그리고,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단계에서 구분된 각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정보를 해당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표준화심리검사는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분류와, 다중지능 성향에 대한 분류로 각각 구분됨과 더불어 상기 구분된 각 분류별로 상기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를 각각 수행함으로써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지능 역량에 대한 분류는 능력에 대한 중분류와 흥미에 대한 중분류 및 성취에 대한 중분류로 재차 구분됨과 더불어 상기 각 중분류별로 상기 복수의 다중지능 검사 항목에 대한 표준화심리검사가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표준화심리검사에 사용되는 다중지능 검사 항목은
가드너(H.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근거로 한 언어지능 검사, 논리-수학지능 검사, 공간지능 검사, 신체-운동지능 검사, 음악지능 검사, 자기성찰지능 검사, 인간친화지능 검사, 자연친화지능 검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한 구분은
T점수를 기초로 하여 각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가 55점 이상일 경우에는 강점지능으로 구분함과 더불어 45점 미만일 경우에는 약점지능으로 구분하며,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가 45점 이상 55점 미만일 경우에는 다중지능 항목별 환산 점수의 순위를 토대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각각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추천 정보는
강점지능의 활용을 위한 추천 항목별 정보와, 약점지능의 계발을 위한 추천 항목별 정보가 동시에 포함되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항목별 정보에는
창의적인 체험 활동을 위한 체험 및 봉사, 도서, 직업 및 학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532A KR20140022218A (ko) | 2012-08-13 | 2012-08-13 |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532A KR20140022218A (ko) | 2012-08-13 | 2012-08-13 |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2218A true KR20140022218A (ko) | 2014-02-24 |
Family
ID=5026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8532A KR20140022218A (ko) | 2012-08-13 | 2012-08-13 | 개인 역량별 자기계발 추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2221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1628A (ko) | 2020-11-24 | 2022-05-31 | 박에스더 | 옥타그노시스 온라인 진로적성 검사 방법 |
KR102702582B1 (ko) * | 2023-04-27 | 2024-09-12 | 김효창 | 표준화 심리검사를 이용한 프로이드 캠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2012
- 2012-08-13 KR KR1020120088532A patent/KR201400222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1628A (ko) | 2020-11-24 | 2022-05-31 | 박에스더 | 옥타그노시스 온라인 진로적성 검사 방법 |
KR102702582B1 (ko) * | 2023-04-27 | 2024-09-12 | 김효창 | 표준화 심리검사를 이용한 프로이드 캠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ill et al. |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tudent learning in mathematics: A comprehensive assessment | |
Chesnut et al. |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commi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A meta-analysis | |
Daniel et al. | Research methodology | |
Elyakim et al. | Perceptions of transactional distance in blended learning using location-based mobile devices | |
Chen et al. | Response style and cross-cultural comparisons of rating scales among East Asian and North American students | |
Adams et al. | The multidimensional random coefficients multinomial logit model | |
Hsu et al. | Distinguishing the influences of father’s and mother’s involvement on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Analyses of Taiwan Education Panel Survey data | |
Barberà et al. | A cross-national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success | |
KR101656830B1 (ko) | 네트워크 기반의 진로 탐색 방법 및 장치 | |
KR101170125B1 (ko) | 복수의 인성 검사의 조합에 의한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 |
van de Pol et al. | Mapping and drawing to improve students’ and teachers’ monitoring and regulation of students’ learning from text: Current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 |
Dillman | Evaluator skill acquisition: Linking educational experiences to competencies | |
CN111859116B (zh) | 基于大数据和生涯规划的个性化课程推荐方法与装置 | |
Witkin | An Analysis of Needs Assessment Techniques for Educational Planning at State, Intermediate, and District Levels. | |
Cook et al. | PRO-bookmarking to estimate clinical thresholds for patient-reported symptoms and function | |
Mavin et al. | Key contributing factors to learning through debriefings: commercial aviation pilots’ perspectives | |
van de Vijver et al. | Challenges in international large-scale educational surveys | |
KR20160109575A (ko) | 진로 멘토링 방법 및 장치 | |
Marsili et al. | The relation between nominations and traditional measures in the gifted identification process: A meta-analysis | |
Lee et al. | Equitable identification of underrepresented gifted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 teacher-rating scale | |
Jeon |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dergraduate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 |
Lawson et al. | Evalua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classroom performance: Rater reliability at the rubric item level | |
Sam et al. | Academic Adjustment of Freshmen in Cambod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
KR102269186B1 (ko) | 대학 입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
Sarı et al. | A Bibliometric Study of Issues in Educational Polic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