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244B1 -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 Google Patents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244B1
KR101774244B1 KR1020110077918A KR20110077918A KR101774244B1 KR 101774244 B1 KR101774244 B1 KR 101774244B1 KR 1020110077918 A KR1020110077918 A KR 1020110077918A KR 20110077918 A KR20110077918 A KR 20110077918A KR 101774244 B1 KR101774244 B1 KR 10177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ody
holes
housing member
camera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5742A (en
Inventor
김종헌
박영경
이중재
김현수
박준오
안드레아스 박
디르 산드라 셰이커
이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244B1/en
Publication of KR2013001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2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상하 각도가 조절되는 차량 전방 장착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광학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바디부(210)와; 상기 카메라 바디부를 전방에서 고정하되, 상기 광학 렌즈의 노출을 위한 절개면을 갖는 하우징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각 코너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부재에도 상기 각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바디부와 상기 하우징 부재에 각기 대응되도록 형성된 각 쌍의 홀에는 삽입되는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 파지부가 각기 형성될 수 있다. 띠라서, 상기 카메라 바디부는 상기 각 핀의 삽입 길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된 체로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camera device for vehicle front mounting in which the vertical angle is adjusted. The camera device includes a camera body 210 having an optical lens; And a housing member 220 fixing the camera body in front and having an incision surface for exposing the optical lens. Holes are formed in corners of the camera body part, and holes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memb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Each of the pair of 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amera body part and the hous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pin holding parts for fixing the pins to be inserted. Therefore, the camera body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leftward angles with the body fixed to the housing member by the insertion length of the pins.

Description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vertical angle,

본 명세서는 차량 탑재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vehicle-mounted camera apparatus.

최근 몇 년 승용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는 후방 카메라가 널리 장착되어, 운전자가 후진시 후방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보면서 보다 쉽게 후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recent years, vehicles such as passenger cars have been widely fitted with rear-view cameras, allowing the driver to easily move backwards while viewing the images taken through the rear camera when the driver is backing up.

그러나,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차량의 전방에도 카메라를 장착하고,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시야 사각지대를 극복하여 보다 안전한 주행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the camera is mount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installed the camera on the front to overcome the blind spot of the driver so that the vehicle can run more safely.

도 1은 차량의 전방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in front of a vehicle.

도 1(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30)의 전방에 카메라(10)가 장착되는데, 도 1(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행시 카메라는 전방을 촬영하고, 운전자는 상기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 (a), the camera 10 is mounted in front of the vehicle 30. As can be seen from Fig. 1 (b) , The driver can confirm the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inside the vehicle.

이와 같이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는 시야 사각지대를 극복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front mounted camera allows the driver to overcome the blind spot.

그러나, 차량은 노면의 상태 또는 주행에 의해 지속적인 진동을 겪게 되며, 그로 인하여 상기 전방에 고정 설치된 카메라는 시간에 따라 그 주시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However, the vehicle undergoes continuous vibration due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or running,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camera fixed to the front can be changed with time.

이와 같이 카메라가 주시하는 방향이 틀어지게 되면, 올바른 영상을 획득할 수 없으므로, 본래 의도한 효과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is looking at is turned off like this, a correct image can not be obtained, and thus the original intended effect can not be achiev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ore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in which a vertical angle of a camera installed in a vehicle is adjus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상하 각도가 조절되는 차량 전방 장착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광학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바디부(110)와; 상기 카메라 바디부를 전방에서 고정하되, 상기 광학 렌즈의 노출을 위한 절개면을 갖는 하우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각 코너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부재에도 상기 각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바디부와 상기 하우징 부재에 각기 대응되도록 형성된 각 쌍의 홀에는 삽입되는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 파지부가 각기 형성될 수 있다. 띠라서, 상기 카메라 바디부는 상기 각 핀의 삽입 길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된 체로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device for vehicle front mounting in which the vertical angle is adjusted. The camera device includes a camera body 110 having an optical lens; And a housing member 120 fixing the camera body in front and having an incision surface for exposing the optical lens. Holes are formed in corners of the camera body part, and holes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memb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Each of the pair of 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amera body part and the hous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pin holding parts for fixing the pins to be inserted. Therefore, the camera body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leftward angles with the body fixed to the housing member by the insertion length of the pins.

상기 파지부는 나사선이고, 상기 핀은 상기 나사선과 대응하는 나사선을 가질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be a thread, and the fin may have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상기 핀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는 요철일 수 있다.The pins may have irregularities, and the gripping portions may be irregularities.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각 모서리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Each corner of the camera body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상기 하우징 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전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body coupled to the housing member may be curved.

상기 핀은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를 위한 헤드와, 나사선 못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n may be a head for a cross or flat screwdriver, and a threaded nail.

상기 카메라 바디부에 형성된 각 홀의 내경은 상기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내경과, 상기 핀을 위한 제2 내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each hole formed in the camera body portion may comprise a first inner diameter for receiving the head and a second inner diameter for the pi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의 상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차량에 설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solved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vehicle so that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can be easily adjusted.

도 1은 차량의 전방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바디부(11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용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의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in front of a vehicle.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up / down / right / left angles i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mounting camer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amera body 110 shown i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mounting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Furthermore, suffixes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up / down / right / left angles i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camera device 100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can be mounted inside the vehicle.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장치(100)는 룸밀러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장치(100)는 차량 실내 룸밀러 후방, 즉 룸밀러 후방의 전면 유리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차량 실내에서 상기 카메라 장치(100)를 잘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차량 실내 미관을 헤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near a room mirror. Specifically, the camera apparatus 100 is installed on the front glass behind the vehicle interior room mirror, that is, behind the room mirror, so that the driver can not easily confirm the camera device 100 in the vehicle interior, I can not hit.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바디부(110)의 측면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mounting camer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amera body 110 shown in FIG.

도 3(a)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카메라 장치(100)는 카메라 바디부(110)와,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를 전면에서 보호하는 하우징 부재(120)와, 상기 하우징 부재(120)에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핀들(131, 132, 133, 134, 이하, 130이라고 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3 (a), the vehicle-mounted camer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body 110, a camera body 110, And a plurality of fins 131, 132, 133, 134 (hereinafter, referred to as 130) for fixing the camera body 110 to the housing member 120 .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는 도 4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학 렌즈부(111)과, 상기 광학 렌즈부(111)가 결합되는 카메라 몸체(112)로 이루어진다.4, the camera body 110 includes an optical lens unit 111 and a camera body 112 to which the optical lens unit 111 is coupled.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의 카메라 몸체(112)의 각 코너에는 다수의 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은 카메라 몸체(112)의 후면의 내경 보다 전면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몸체(112)의 후면에 형성된 홀의 내경은 상기 핀(130)의 헤드부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메라 몸체(112)의 전면에 형성된 홀의 내경은 상기 핀의 못 부분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holes 113 are formed at corners of the camera body 112 of the camera body 110. The hole is formed to be stepp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front surface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body 112.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body 112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e of the pin body 1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is larger.

상기 카메라 몸체(112)의 전면부에 형성된 홀은 삽입되는 핀을 파지하는 파지부(113a)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13a)는 나사선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파지부(113a)는 요철일 수 있다.A hole formed in a front portion of the camera body 112 is formed with a grip portion 113a for gripping a pin to be inserted. The grip portion 113a may be a screw thread. Alternatively, the grip portion 113a may be uneven.

한편, 상기 하우징 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를 전방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 부재(120)는 차량의 전방구조물, 예컨대 라디에이터 그릴, 또는 본네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우징 부재(120)는 차량 실내 룸밀러 뒷편의 전면 유리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member 120 is for fixing the camera body 110 in front as shown in FIG. The housing member 120 may be a front structure of the vehicle, such as a radiator grill, or a bonnet. Alternatively, the housing member 120 may be mounted on the windshield behind the passenger compartment mirror.

상기 하우징 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 렌즈(111)가 전면에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절개면을 가질 수 있다.The housing member 120 may have a cut surface for exposing the optical lens 111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상기 하우징 부재(120)에는 상기 카메라 몸체(112)의 각 코너에 형성된 다수의 홀(112)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의 내경은 상기 핀(130)의 못 부위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member 120 is formed with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112 formed at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camera body 112.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nail portion of the fin 130.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삽입되는 핀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선이거나, 요철부일 수 있다. And a gripping portion for gripping a pin to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The grip portion may be threaded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a concave / convex portion.

한편, 상기 하우징 부재(120)에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핀들(131, 132, 133, 134)이 상기 카메라 몸체(112)의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삽입 설치된다. The plurality of pins 131, 132, 133 and 134 are inserted into the camera body 112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rear direction of the camera body 112 to fix the camera body 110 to the housing member 120. [ Respectively.

상기 복수의 핀들(131, 132, 133, 134)은 헤드 부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를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groove for a cross or flat driver may be form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ins 131, 132, 133, and 134.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의 광학 렌즈부(111)는 의도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는 상기 복수의 핀들(131, 132, 133, 134)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재(120)에 고정 설치된다.5 (a), the camera body 110 includes the plurality of pins 131, 132, and 132 so that the optical lens unit 111 of the camera body 110 faces the intended direction. 133, and 134, respectively.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노면의 상태 또는 주행에 의해 지속적인 진동을 겪게 되며, 그로 인하여 상기 고정 설치된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는 시간에 따라 그 주시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undergoes continuous vibration due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or running, so that the fixed camera body 110 can be ch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body 110 is viewed with respect to time.

이와 같이 주시하는 방향이 틀어지게 될 수 있으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핀들(130)이 상기 하우징 부재(13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하좌우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가 상기 하우징 부재(120)로부터 소정 이격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핀들(130)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2개의 핀들(131, 132)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의 상부가 상기 하우징 부재(120)로부터 소정 이격 거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가 보다 높은 곳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2개의 핀들(132, 134)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의 우측부가 상기 하우징 부재(120)로부터 소정 이격 거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가 보다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5 (b), the length of insertion of the plurality of pins 130 into the housing member 130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angle of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can do. That is, as shown in FIG. 5 (b),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13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camera body 11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using member 120. For example, when the two pins 131 and 132 shown in FIG. 3 are adjust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mera body 11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using member 120, The portion 110 can be directed to a higher position. When the right side of the camera body 11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using member 120 by adjusting the two pins 132 and 134 shown in FIG. 3, 110 to the left direction.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도 6(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의 카메라 몸체(112)의 각 모서리는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의 하향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6 (a), each corner of the camera body 112 of the camera body 110 may have a downward slope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또는, 대안적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바디부(110)의 카메라 몸체(112)의 전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can be seen from FIG. 6 (b), 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body 112 of the camera body 110 may be cur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FIG.

제2 실시예는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경사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카메라의 상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embodiment provides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용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는 카메라 바디부(210)와, 하우징 부재(220)와, 지지축(221)과, 상기 하우징 부재(220) 상부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 체결되는 제1 축(231a)과, 상기 하우징 부재(220)의 하부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 체결되는 제2 축(232b)과,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의 각 끝단에 각기 설치되는 2개의 제1 기어(232a, 232b)와, 상기 2개의 제1 기어와 각기 기어 물림되는 제2 기어(241a, 241b)와, 상기 2개의 제2 기어(241a, 242b)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camera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body 210, a housing member 220, a support shaft 221, A first shaft 231a screw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member 220, a second shaft 232b screwed in an inward direction in a lower direction of the housing member 220, Two first gears 232a and 232b provided at respective ends of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second gears 241a and 241b meshed with the first gears and the second gears, And a rotation driving part 250 provided at an end of any one of the gears 241a and 242b.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전방에는 광학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양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221)이 결합된다.An optical lens is mounted in front of the camera body 210, and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mera body, and the support shaft 221 is engaged.

상기 지지축(221)은 상기 하우징 부재(2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측면에 형성된 홀은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수평 방향 무게 중심선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210)은 상기 수평 방향 무게 중심선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축(210)이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수평 방향 무게 중심선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광학 렌즈는 외부 힘이 인가되기 전까지는 수평 방향을 주시할 수 있다.The support shaft 221 is inserted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mera body 210 to support the camera body 210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mera body 21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mera body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upport shaft 21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center line. Since the support shaft 21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mera body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ptical lens of the camera body 210 can be viewed horizontally until external force is applied. have.

한편, 상기 제1 축(231a)는 상기 하우징 부재(220) 상부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 체결되되, 상기 하우징 부재(220)를 관통하여,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후단 상부와 수직방향으로 접촉된다. 상기 제1축(231a)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 부재(230)의 상면에도 상기 제1 축(231a)이 관통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다.The first shaft 231a is screwed i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220 and passes through the housing member 220 and contacts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camera body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first shaft 231a and a thread for passing the first shaft 23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230. [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축(231b)는 상기 하우징 부재(220) 하부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 체결되되, 상기 하우징 부재(220)를 관통하여,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후단 하부면와 수직방향으로 접촉된다. 상기 제2축(231b)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 부재(230)의 배면에도 상기 제2 축(231b)이 관통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다.Similarly, the second shaft 231b is screwed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220, and passes through the housing member 220 and contacts the lower end lower surface of the camera body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second shaft 231b and a thread for passing the second shaft 231b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230. [

상기 제1축(231a) 및 제2 축(231b)에는 각 축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스프링(233a, 233b)이 각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스프링(233a, 233b)은 상기 하우징부재(230)의 내벽 및 상기 카메라 바디(220)의 후단 상면 또는 배면에 의해 탄성력이 구속된다. 상기 스프링(233a, 233b)은 상기 제1축(231a) 및 제2 축(231b)이 회전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 탄성력에 의해 보다 빠르게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Springs 233a and 233b having diameter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spective shafts are provided on the first shaft 231a and the second shaft 231b and the respective springs 233a and 233b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member 230, The elastic force is restrained by the inner wall of the camera body 220 and the rear upper surface or back surface of the camera body 220. [ The springs 233a and 233b allow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31a and 231b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 rapidly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31a and 231b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상기 2개의 제1 기어(232a, 232b)는 각기 상기 제1 축(231a, 231b)의 외측 끝단에 설치된다. 즉, 상기 2개의 제1 기어(232a, 232b) 각각은 상기 하우징 부재(2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각기 관통하여 돌출된 제1 축 및 제2 축과 결합된다.The two first gears 232a and 232b are installed at the outer ends of the first shafts 231a and 231b, respectively. That is, each of the two first gears 232a and 232b is engaged with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protrud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220, respectively.

상기 2개의 제2 기어(241a, 242b)는 상기 2개의 제1 기어(232a, 232b)와 각기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하우징 부재(220)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 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1 기어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이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기어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기어 물림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의 수직 방향 이동가능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two second gears 241a and 242b are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member 2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wo first gears 232a and 232b.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gear is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gear. This is so that, as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ear engagement is maintained even if the first gea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gea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vertical movabl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상기 2개의 제2 기어(241a, 242b)와 상기 2개의 제1 기어(232a, 232b)는 일정한 기어 비율을 갖는다. 상기 기어 비율은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카메라 바디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절한 각속도에 의해서 정해진다.The two second gears 241a and 242b and the two first gears 232a and 232b have a constant gear ratio. The gear ratio is determined by an appropriate angular speed for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and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body.

한편, 상기 2개의 제2 기어(241a, 242b)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축이 상기 제1 축 또는 제2축과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 부재(24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An axis for connecting the two second gears 241a and 242b to each other is installed through the housing member 243 in parallel with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이와 같은 카메라 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회전 구동부(250)에 의해 상기 제2 기어(241a, 241b)가 회전시, 기어 물림되는 제1 기어(232a, 232b)가 회전되고, 상기 제1 기어(232a, 232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축(231a) 및 제2 축(231b)의 나사가 잠김 또는 풀림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220)에서의 축 길이가 서로 달라지면서,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후단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광학 렌즈(210)는 수평 방향의 무게 중심선에서 상기 지지축(221)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시소 운동을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카메라 바디부(21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다. The opera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gears 232a and 232b are rotated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250 when the second gears 241a and 241b rotate, The screws of the first shaft 231a and the second shaft 231b are locked or loosen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s 232a and 232b so that shaft lengths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2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ar end of the camera body 210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optical lens 210 is fixed by the support shaft 221 at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perform a seesaw motion, The vertical angle of the portion 210 is adjusted.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의 구성 블록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는 도 9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250)를 제어하는 구동 회로(2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circuit 26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250, as can be seen from FIG.

상기 구동 회로(260)는 제어부(261)과, 신호 수신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circuit 260 may include a control unit 261 and a signal receiving unit 262.

상기 신호 수신부(262)는 차량에 장착되는 센서에 의해 차량이 경사면을 주행중인 경우, 그 등판 각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신호 수신부(262)는 차량의 좌표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ignal receiving unit 262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angle of the backlash when the vehicle is running on a sloped surface by a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Or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signal receiving section 262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vehicle.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등판 각도에 대한 정보, 사용자 조작 신호, 또는 차량의 좌표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The signal receiving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angle of backing, the user operation signal, or the information about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261)는 상기 등판 각도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바디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지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261)는 상기 차량의 좌표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의 좌표계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 바디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61 may determine whether to adjust the up-and-down angle of the camera body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ngle of incidence or the user's operation signal.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61 may determine whether to adjust the up-and-down angle of the camera body in order to match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camera,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vehicle.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61)는 목표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 구동부(250)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바디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the control unit 261 calculates a target angle, and controls the rotation driving unit 25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ngle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laims.

Claims (7)

일면의 중앙에 광학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일면의 코너에서 타면을 향해 관통되어 4개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바디부;
상기 4개의 제1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 4개의 제2 홀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렌즈의 노출을 위한 절개면을 갖는 하우징 부재;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4개의 제1 홀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4개의 제2 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카메라 바디부를 상기 하우징 부재에 결합시키는 4개의 핀;
상기 4개의 제1 홀은, 각각 상기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내경과, 상기 핀을 고정시키도록 핀 파지부가 형성된 제2 내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면은, 상기 광학 렌즈가 끼워진 상태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내경이 상기 광학 렌즈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제2 홀은, 상기 핀의 삽입길이가 달라지도록 형성된 핀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카메라 바디부는,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4개의 핀 각각이 삽입된 길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하우징 부재와의 거리가 달라져 상기 하우징 부재에 결합된 체로 상기 광학 렌즈의 상하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A camera body part having an optical lens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thereof and including four first holes penetrating from one corner to the other surface;
A housing member having four second holes each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 first holes, the housing member having a cut surface for exposing the optical lens;
Four pins inserted into the four first holes and the four second holes corresponding to the four first holes and coupling the camera body portion to the housing member, respectively;
The four first holes each comprise a first inner diameter for accommodating the head and a second inner diameter having a pin holding portion for fixing the pin,
Wherein the incision surface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optical lens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a state where the optical lens is fitted,
Wherein the four second holes form a pin grip portion formed so that an insertion length of the pin varies,
The camera body unit includes:
Wherein the edge of the on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 of each one of the surfaces and the housing member vari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each of the four pins inserted, And the angle of the lens can be adjusted up, down, left and r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나사선이고,
상기 핀은 상기 나사선과 대응하는 나사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gripping portion is threaded,
Wherein the pin has a thread lin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는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n has irregularities,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protruding and recess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카메라 바디부의 전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The camer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ront surface of the camera body part
Wherein the optical devi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77918A 2011-08-04 2011-08-04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KR101774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918A KR101774244B1 (en) 2011-08-04 2011-08-04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918A KR101774244B1 (en) 2011-08-04 2011-08-04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42A KR20130015742A (en) 2013-02-14
KR101774244B1 true KR101774244B1 (en) 2017-09-04

Family

ID=4789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918A KR101774244B1 (en) 2011-08-04 2011-08-04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24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465Y1 (en) 1996-11-12 1999-07-15 배동만 Camera position fixing apparatus for door camera
KR100661051B1 (en) 2005-10-07 2006-12-26 피엠이케이(주) Angle controlling apparatus of the camera for a rear observation of vehicle
KR100908448B1 (en) * 2009-02-05 2009-07-20 (주)휴비텍 Tilting camera apparatus for automobile
CN102014246A (en) * 2010-11-29 2011-04-13 深圳市泛海三江电子有限公司 Building outdoor interphone capable of adjusting camera angle and came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465Y1 (en) 1996-11-12 1999-07-15 배동만 Camera position fixing apparatus for door camera
KR100661051B1 (en) 2005-10-07 2006-12-26 피엠이케이(주) Angle controlling apparatus of the camera for a rear observation of vehicle
KR100908448B1 (en) * 2009-02-05 2009-07-20 (주)휴비텍 Tilting camera apparatus for automobile
CN102014246A (en) * 2010-11-29 2011-04-13 深圳市泛海三江电子有限公司 Building outdoor interphone capable of adjusting camera angle an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42A (en)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461B1 (en)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JP5424216B2 (en) Camera device
TWI478828B (en) Vehicle imaging system and vehicle with same
CN104742807B (en) Intelligence outside rear-view mirror
US10363885B2 (en) Automobile rearview mirror with driving video recording function
JP2004082829A (en) On-vehicle camera
JP2006145895A (en) Camera universal head
KR20150092989A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16016834A (en) Room mirror with drive recorder
CN112896051A (en) Can eliminate panorama electron rear-view mirror of car vision blind area
WO2012160927A1 (en) Vehicle-mounted camera
JP2015024821A (en) Mounting device for on-vehicle camera
KR101774244B1 (en) Vertical angle-adjustable camera device
JP2010254078A (en) On-vehicle camera mounting device
JP2002504038A (en)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and actuator for the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KR200488798Y1 (en) Vehicle Mirror
JP2006276129A (en) Optical apparatus
KR102387602B1 (en)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for autonomous vehicles
CN210062872U (en) Adjustable camera
CN112238813A (en) Optical device for a motor vehicle
TWI543893B (en) Anti-corner warning auxiliary mirror device
KR102477820B1 (en) Front camera module for vehicle with adjustable angle
KR101405855B1 (en) Auxiliary mirror for view a dead angle zone of a automobile
KR102310561B1 (en) Rearview mirror having rotating structure
KR101416255B1 (en) A mirror installed on the front pillar for showing anterior and front pilla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