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466B1 -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 Google Patents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466B1
KR101773466B1 KR1020150125351A KR20150125351A KR101773466B1 KR 101773466 B1 KR101773466 B1 KR 101773466B1 KR 1020150125351 A KR1020150125351 A KR 1020150125351A KR 20150125351 A KR20150125351 A KR 20150125351A KR 101773466 B1 KR101773466 B1 KR 10177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metallocene
breathable film
inorganic particles
olefi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569A (ko
Inventor
강원준
양송희
이성우
전석진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4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08K3/003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강성, 내수압성이 개선된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 및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을 포함하고, 평량 17g/㎡ 기준 필름의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초과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1 drop) 초과이다.

Description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BREATHABLE FILM AND BLENDING COMPOSITION FOR MANUFACTRU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기성 필름이란, 공기는 투과시키지만 액체는 투과시키지 않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기능성 필름으로서, 포장 대상의 저장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기저귀와 생리대와 같은 위생용품, 농산물 및 발효식품 등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능성 포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통기성 필름은, 이축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무기 충진제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컴파운딩한 후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고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신 공정을 거쳐 상기 열가소성 필름에 다공성 구조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열가소성 필름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저압공정에서 생산되는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과 고압공정에서 생산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의 블렌드 수지가 주로 사용되며, 상기 무기 충진제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통기성 필름에 요구되는 특성으로는, 가공 시 미분산 및 미세핀홀이 발생하지 않을 것, 필름 두께가 균일할 것, 내황변성이 우수할 것, 인장강도가 우수할 것, 내수압성이 우수할 것, 수축률이 우수할 것, 수분 투과도가 우수할 것 등이 있다.
한편, 상기 통기성 필름은 주로 기저귀나 여성용품 등 인체와 접촉하는 용도에 사용되기 때문에 기존에는 부드럽고 직물 같은 감촉을 갖는 부드러운 제품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상기 부드러운 제품은 사용 과정에서 기계적 강도 및 내수압성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 통기성 필름의 산업용 수요가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고강도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에 요구되는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 내수압성, 내황변성이 개선된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하기 (1) 내지 (3)의 물성을 만족하는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 저밀도 폴리에틸렌,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 하기 (4) 및 (5)의 물성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를 포함한다:
(1) 0.915 g/cm3 ≤ 밀도( 25 ℃) ≤ 0.940 g/cm3
(2) 2.0 g/10 min ≤ 용융지수(190 ℃, 2.16 kg) ≤ 5.0 g/10 min
(3) 100 ≤ 용융온도(℃) ≤ 130
(4) 0.86 g/cm3 ≤ 밀도( 25 ℃) ≤ 0.91 g/cm3
(5) 0.5 g/10 min ≤ 용융지수(190 ℃, 2.16 kg) ≤ 5.0 g/10 min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는 C2~10 폴리올레핀, C2~18 α 올레핀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블렌딩 조성물에서,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의 함량은 30 중량% 내지 50 중량%이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10 중량% 이고, 상기 무기 입자들의 함량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이며,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0.2 중량% 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의 함량은 0.5 중량% 내지 10 중량% 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기성 필름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 및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을 포함하고, 평량 17g/㎡ 기준 필름의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초과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 (1 drop) 초과이다.
상기 제1 통기성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의 함량은 30 중량% 내지 50 중량% 이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10 중량% 이고, 상기 무기 입자들의 함량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이며,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0.2 중량%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통기성 필름은 30 중량% 내지 50 중량%의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포함된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4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상기 무기 입자들,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C2~18 α 올레핀들의 공중합체 및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의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를 포함하고, 평량 17g/㎡ 기준 필름의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초과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 (1 drop) 초과이다.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PDI(Polydispersity Index)가 1 내지 3 이고 MFR(Melt Flow Rate)이 15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메탈로센 에틸렌-C3~10 α 올레핀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3~10 α 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들은, 규소(Si),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 알루미늄(Al), 아연(Zn), 티탄(Ti), 칼륨(K)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황산화물, 탄산화물, 수산화물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들은,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올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클레이(clay)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는 질소-질소 이중결합(-N=N-), 탄소-질소 단일결합(-C-N-), 포스파이트기(PO3 3 -), 시안기(C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는, 예를 들어, 트리아진계 화합물,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피페리딘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융점이 115 ℃ 내지 125 ℃ 일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융점이 100 ℃ 내지 110 ℃ 일 수 있다.
상기 C2~18 α 올레핀들의 공중합체는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중 하나의 공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C4~18 α 올레핀 삼원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는 함량이 1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에 요구되는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 내수압성 및 내황변성이 개선된 통기성 필름과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은 실험군의 내황변 실험 결과 이미지이다.
도 2 는 대조군의 내황변 실험 결과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필름으로 가공되지 않은 공정중 제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폴리머로 정의되고, 메탈로센 폴리올레핀, 메탈로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지글러-나타 올레핀 중합체"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폴리머로 정의되고, 지글러-나타 폴리올레핀, 지글러-나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저압 공정에서 생산되고 탄소 사슬에 결합된 곁가지(branch)의 길이가 규칙적인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고압 공정에서 생상되고 탄소 사슬에 결합된 곁가지(branch)의 길이가 불규칙적이고 결정성이 낮은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CA~B"는 탄소수가 A 이상이고 B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내지 B"는 A 이상이고 B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밀도(25 ℃)" 는 25 ℃ 에서 측정된 밀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용융지수(190 ℃, 2.16 kg)" 는 190 ℃ 에서 2.16 kg 의 하중으로 10 분간 압출한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평균입경(d50)"은 입도분포곡선에서 통과질량 백분율이 50%에 상당하는 입경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평균입경(d100)"은 입도분포곡선에서 통과질량 백분율이 100%에 상당하는 입경을 의미한다.
기존의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 중량% 내지 50 중량%, 평균입경(d50)이 1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5 ㎛ 미만인 무기 입자들 40 중량% 내지 6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5 중량% 내지 10 중량% 및 기타안료 1 중량% 내지 5 중량%가 사용되었다.
상기의 기존의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로 제조된 통기성 필름은 가공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평량 17g/㎡ 기준 필름에서 기계방향(MD) 인장강도와 내수압 측정값이 각각 1500 g/inch, 50 mbar (1 drop) 를 초과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평량 17g/㎡ 기준 필름에서 인장강도와 내수압 측정값이 각각 1500 g/inch, 50 mbar (1 drop) 를 초과하는 고강도 통기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 내수압성 개선제,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상기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해 강도가 우수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융점이 115 ℃ 내지 125 ℃ 일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메탈로센 에틸렌-C3~10 α 올레핀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3~10 α 올레핀은,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하기 (1) 내지 (3)의 물성을 만족한다:
(1) 0.915 g/cm3 ≤ 밀도( 25 ℃) ≤ 0.940 g/cm3
(2) 2.0 g/10 min ≤ 용융지수(190 ℃, 2.16 kg) ≤ 5.0 g/10 min
(3) 100 ≤ 용융온도(℃) ≤ 130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지글러-나타 올레핀 중합체에 비해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고, 균일한 공단량체 분포를 갖는다. 예를 들면, 지글러 나타 올레핀 중합체는 PDI(Polydispersity Index)가 2.5 내지 5.0 이고, MFR(Melt Flow Rate)이 20 내지 30 이지만,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PDI(Polydispersity Index)와 MFR(Melt Flow Rate)가 각각 2.5 미만, 20 미만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PDI(Polydispersity Index)가 1.5 이상 내지 2.5 미만일 수 있고, MFR(Melt Flow Rate)이 15 이상 내지 20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기존의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에 비해 통기성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기 표 1에는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z-LLDPE)과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의 물성이 비교되어 있다. 필름은 LLD/LD 겸용 2 mm 다이갭, 블로운 필름 가공기에서 가공온도 170 ℃ 내지 190 ℃, 팽창비 2 의 가공조건에서 두께 50 ㎛로 제조되었다.
m-LLDPE z-LLDPE
밀도 0.925 g/cc 0.923 g/cc
용융지수(MI) 3.5 g/10min 3.2 g/10min
용융 흐름율(MFR, Melt Flow Rate)* 17 25
용융점 112 ℃, 120 ℃ 125 ℃
시트 상태에서 측정한 초기인장강도
(5% 인장 시 측정)
110 kg/㎠ 105 kg/㎠
필름 상태에서 측정한 초기인장강도
(5% 인장 시 측정)
65 kg/㎠ 61 kg/㎠
* MFR 은 용융흐름지수(MFI)을 용융지수(MI)로 나눈 값이다. 상기 용융흐름지수는 21.6 kg의 하중에서 10 분간의 압출량이고, 상기 용융지수는 2.16 kg의 하중에서 10 분간의 압출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를 30 중량% 내지 50 중량% 의 함량 범위 내에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입자들의 평균입경(d100)이 10 ㎛ 이상인 경우 박형의 통기성 필름 제조 시 미세 핀홀의 발생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미세 핀홀은 기계적 물성 및 내수압성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상기 무기 입자들은, 예를 들어, 규소(Si),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 알루미늄(Al), 아연(Zn), 티탄(Ti), 칼륨(K)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황산화물, 탄산화물, 수산화물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들의 구체예로는,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올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클레이(clay) 중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을 40 중량% 내지 60 중량%의 함량 범위 내에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미세 핀홀 감소를 통해 내수압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는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지므로, 연신 공정에서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무기 입자들과 메탈로센 선형 저분자 폴리에틸렌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투습도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미세 핀홀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서 내수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는 C2~10 폴리올레핀, C2~18 α 올레핀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C2~10 폴리올레핀은 엘라스토머 또는 플라스토머일 수 있다. 상기 C2~18 α 올레핀들의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중 하나의 공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C4~18 α 올레핀 삼원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는 함량이 1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는, 하기 (4) 및 (5)의 물성을 만족한다:
(4) 0.86 g/cm3 ≤ 밀도( 25 ℃) ≤ 0.91 g/cm3
(5) 0.5 g/10 min ≤ 용융지수(190 ℃, 2.16 kg) ≤ 5.0 g/10 m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를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 범위 내에서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내수압성 개선 효과가 거의 없으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통기성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는 통기성 필름의 내황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는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질소-질소 이중결합(-N=N-), 탄소-질소 단일결합(-C-N-), 포스파이트기(PO3 3 -), 시안기(C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진계 화합물,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피페리딘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를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의 함량 범위 내에서 포함한다. 상기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산화방지제로서의 성능이 미미하여 통기성 필름 제조 시 열노화를 발생시킬 수 있고, 0.2 중량% 초과인 경우 통기성 필름 제조 시 이행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높은 점도를 가짐으로 인해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의 용융강도(melt strength), 용융지수를 개선하여 통기성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융점이 100 ℃ 내지 11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 범위 내에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은, 1 중량% 내지 5 중량%의 함량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필름은 이축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을 컴파운딩한 후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필름으로 성형하고,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해 2.5:1 내지 3.5:1 의 연신비로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하기의 (A) 내지 (E)의 성분들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블렌딩한 후,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온도 250 ℃, 연신비 3.0:1의 가공 조건으로 평량 17 g/m2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트리아진계 산화방지제 500 ppm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40 중량%
- 0.915 g/㎤ ≤ 밀도 ≤ 0.940g/㎤
- 2 g/10min ≤ 용융지수(MI) ≤ 5 g/10min
Figure 112015086135474-pat00001
(화학식 1)
(B) 탄산 칼슘 45 중량%
- 3 ㎛ ≤ 평균 입경(d50) ≤ 내지 5 ㎛
- 평균 입경(d100) < 10 ㎛
(C)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
(D) 폴리올레핀 3 중량%
- 0.86 g/㎤ ≤ 밀도 ≤ 0.91 g/㎤
- 0.5 g/10min ≤ 용융지수(MI) ≤ 5 g/10min
(E) 안료 2 중량%
비교예 1
하기의 (A) 내지 (E)의 성분들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블렌딩한 후,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온도 250 ℃, 연신비 3.0:1의 가공 조건으로 평량 17 g/m2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A) BHT계 산화방지제 1000 ppm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43중량%
(B) 탄산 칼슘 45 중량%
- 1 ㎛ ≤ 평균 입경(d50) ≤ 내지 5 ㎛
- 평균 입경(d100) < 15 ㎛
(C)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
(D) 안료 2 중량%
비교예 2
하기의 (A) 내지 (E)의 성분들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블렌딩한 후,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온도 250 ℃, 연신비 3.0:1의 가공 조건으로 평량 17 g/m2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A)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트리아진계 산화방지제 500 ppm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40 중량%
- 0.915 g/㎤ ≤ 밀도 ≤ 0.940g/㎤
- 2 g/10min ≤ 용융지수(MI) ≤ 5 g/10min
(B) 탄산 칼슘 45 중량%
- 1 ㎛ ≤ 평균 입경(d50) ≤ 내지 5 ㎛
- 평균 입경(d100) < 15 ㎛
(C)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
(D) 폴리올레핀 3 중량%
- 0.86 g/㎤ ≤ 밀도 ≤ 0.91 g/㎤
- 0.5 g/10min ≤ 용융지수(MI) ≤ 5 g/10min
(E) 안료 2 중량%
비교예 3
하기의 (A) 내지 (E)의 성분들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블렌딩한 후,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온도 250 ℃, 연신비 3.0:1의 가공 조건으로 평량 17 g/m2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트리아진계 산화방지제 500 ppm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43 중량%
- 0.915 g/㎤ ≤ 밀도 ≤ 0.940g/㎤
- 2 g/10min ≤ 용융지수(MI) ≤ 5 g/10min
(B) 탄산 칼슘 45 중량%
- 3 ㎛ ≤ 평균 입경(d50) ≤ 내지 5 ㎛
- 평균 입경(d100) < 10 ㎛
(C)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
(D) 안료 2 중량%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들에 대해 미분산, 핀홀, 인장강도, 투습도, 내수압을 측정하였다. 표 2에는 측정 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비교예 1은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표 2를 참고하면,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미만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1 drop) 미만이었다.
한편, 발명자들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지글러-나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 연신비를 증가시켜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나, 내수압성이 저하되어,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초과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1 drop) 초과인 고강도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기 어려웠다.
비교예 2는 평균 입경(d100)이 15 ㎛ 미만인 탄산 칼슘을 사용한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비교예 3은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를 첨가하지 않은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표 2를 참고하면,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모두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미만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1drop) 미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주요결점 미분산
(개/9000m)
0~2 1~3 0~2 0~2
핀홀
(개/9000m)
3~5 3~5 3~5 5~10
인장강도(MD/CD)
(g/inch)
1663/223 1225/228 1359/228 1464/245
투습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g/㎡·day)
3550 3900 3810 3471
내수압
(mbar(1 drop))
51 38 42 45
- 미분산 측정: 필름이 권취되기 전에 감지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감지기에 기록된 미분산 형상의 개수이다.
- 핀홀 측정: 필름이 권취되기 전에 설치된 핀홀 자동 감지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자동 감지기에 기록된 9000m 당 핀홀의 숫자이다.
- 인장 강도 측정: 인장강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투습도 측정: JIS L1099 A-1법(염화칼슘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온도 40℃, 상대습도 90% RH의 항온·항습기에서 1 시간 보관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 내수압 측정: 측정 틀에 필름을 두고 수압을 걸었을 때 물이 새어나오는 시점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mbar(1 drop)은 물 1 방울이 새어 나왔을 때 측정한 압력이다.
실험예 2
하기의 실험군과 대조군을 이용하여 하기의 실험 방법으로 내황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
실험군으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트리아진계 산화방지제 500 ppm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되었다.
대조군
대조군으로는 산화방지제로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orxytoluene, BHT)계 산화방지제 1000ppm 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되었다.
실험 방법
(1) 일정크기의 필름 시료를 준비하였다.
(2) 약 70L 부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봉투에 필름 시료를 넣고 자동차 배기가스(총 NOx 양: 133ppm (NO: 121ppm, NO2: 12 ppm), CO2: 2.16 ppm)를 투입한 후 봉투의 입구를 밀봉하여 온도 70℃, 습도 10% 의 오븐에서 12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3) 12 시간이 경과된 후, 필름 시료를 오븐에서 꺼내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백색도(WI)와 황색도(YI)를 측정하였다.
도 1 은 실험군의 내황변 실험 결과 이미지이다. 도 2는 대조군의 내황변 실험 결과 이미지이다. 표 3 에는 내황변 실험 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표 3을 참고하면,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내황변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내황변 시험 실시예 1 비교예 4
오븐 투입
(70℃, 10%, 12h)
시험전 시험후 시험전 시험후
YI:-2, WI:81 YI:10, WI:47 YI:-4, WI:82 YI:16, WI:28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6)

  1. 메탈로센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 및
    하기 (4)의 물성을 만족하는 에틸렌-프로필렌-C4~18 α 올레핀 삼원 공중합체; 를 포함하고,
    상기 황변 방지제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0.2 중량% 이며,
    평량 17g/㎡ 기준 필름의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초과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1 drop) 초과인 통기성 필름:
    (4) 0.86 g/cm3 ≤ 밀도( 25 ℃) ≤ 0.91 g/cm3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PDI(Polydispersity Index)가 1 내지 3 이고 MFR(Melt Flow Rate)이 15 내지 20 인 통기성 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융점이 115 ℃ 내지 125 ℃ 인 통기성 필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메탈로센 에틸렌-C3~10 α 올레핀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C3~10 α 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 중 하나 이상인 통기성 필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들은, 규소(Si),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 티탄(Ti), 칼륨(K)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황산화물, 탄산화물, 수산화물 중 하나인 통기성 필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들은,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올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클레이(clay) 중 적어도 하나인 통기성 필름.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더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융점이 100 ℃ 내지 110 ℃ 인 통기성 필름.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의 함량은 30 중량% 내지 50 중량%이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10 중량% 이고,
    상기 무기 입자들의 함량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인 통기성 필름.
  16. 30 중량% 내지 50 중량%의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포함된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40 중량% 내지 60 중량%의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인 무기 입자들;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C2~18 α 올레핀들의 공중합체; 및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의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C2~18 α 올레핀들의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C4~18 α 올레핀 삼원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하기 (4)의 물성을 만족하고,
    평량 17g/㎡ 기준 필름의 기계방향(MD) 인장강도가 1500 g/inch 초과이며, 내수압 측정값이 50 mbar(1 drop) 초과인 통기성 필름:
    (4) 0.86 g/cm3 ≤ 밀도( 25 ℃) ≤ 0.91 g/cm3
  17.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포함하고 하기 (1) 내지 (3)의 물성을 만족하는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평균입경(d50)이 3 ㎛ 내지 5 ㎛ 이고 평균입경(d100)이 10 ㎛ 미만 무기 입자들;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황변 방지제; 및
    하기 (4) 및 (5)의 물성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
    를 포함하며,
    상기 황변 방지제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는 에틸렌-프로필렌-C4~18 α 올레핀 삼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
    (1) 0.915 g/cm3 ≤ 밀도( 25 ℃) ≤ 0.940 g/cm3
    (2) 2.0 g/10 min ≤ 용융지수(190 ℃, 2.16 kg) ≤ 5.0 g/10 min
    (3) 100 ≤ 용융온도(℃) ≤ 130
    (4) 0.86 g/cm3 ≤ 밀도( 25 ℃) ≤ 0.91 g/cm3
    (5) 0.5 g/10 min ≤ 용융지수(190 ℃, 2.16 kg) ≤ 5.0 g/10 min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는 메탈로센 에틸렌- C3~10 α 올레핀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C3~10 α 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 중 하나 이상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들은, 규소(Si),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 알루미늄(Al), 아연(Zn), 티탄(Ti), 칼륨(K)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황산화물, 탄산화물, 수산화물 중 하나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들은,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올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클레이(clay) 중 적어도 하나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올레핀 중합체의 함량은 30 중량% 내지 50 중량%이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10 중량% 이고,
    상기 무기 입자들의 함량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이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내수압성 개선제의 함량은 0.5 중량% 내지 10 중량% 인 통기성 필름 제조용 블렌딩 조성물.
KR1020150125351A 2015-09-04 2015-09-04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KR10177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51A KR101773466B1 (ko) 2015-09-04 2015-09-04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51A KR101773466B1 (ko) 2015-09-04 2015-09-04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69A KR20170028569A (ko) 2017-03-14
KR101773466B1 true KR101773466B1 (ko) 2017-08-31

Family

ID=5846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351A KR101773466B1 (ko) 2015-09-04 2015-09-04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20B1 (ko) * 2022-03-11 2022-11-25 삼호케미칼(주) 식품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556A (ja) * 1998-06-12 2000-01-07 Kao Corp 透湿フィルム及び吸収性物品
KR100867931B1 (ko) 2007-09-20 2008-11-10 주식회사 애트 내수압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통기성 필름
KR101316941B1 (ko) * 2013-05-03 2013-10-18 주식회사 애트 핫팩에 적용되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핫팩용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556A (ja) * 1998-06-12 2000-01-07 Kao Corp 透湿フィルム及び吸収性物品
KR100867931B1 (ko) 2007-09-20 2008-11-10 주식회사 애트 내수압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통기성 필름
KR101316941B1 (ko) * 2013-05-03 2013-10-18 주식회사 애트 핫팩에 적용되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핫팩용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69A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6961B1 (en) High performance sealable coextrud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EP1803772B1 (en)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balance of mechanical properties
EP2108679A1 (en) Low emission polymer composition
EP2424729B1 (en) Composition and film comprising a c4-c10 alpha olefin containing polyolefin
EP1546254B1 (en) Polymer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JP2014522441A (ja) 押出コーティング用の改良された樹脂組成物
KR100639559B1 (ko) 가공성 개선을 위한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의 블랜딩조성물
KR20170110629A (ko)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중합체 블렌드
KR101773466B1 (ko)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블렌딩 조성물
JP6471094B2 (ja) 農業用フィルム
KR100843610B1 (ko) 캘린더 가공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2812421B (zh) 一种改性聚烯烃复合物及其制备工艺与应用
KR100290080B1 (ko) 열봉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KR1019346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21055050A (ja) レトルト包装用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H10237239A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KR101669206B1 (ko) 인쇄성이 향상된 통기성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성이 향상된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EP2918409A1 (en) Stretch wrapping film
KR102093566B1 (ko)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
KR101309354B1 (ko) 직조 성형백에 적합한 미끄러짐성이 작은 압출 라미네이션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직조 성형백
KR20190064280A (ko) 열접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7427955B2 (ja) 延伸フィルム及び微多孔フィルム
KR102104866B1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KR100867931B1 (ko) 내수압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통기성 필름
CN111819239B (zh) 农业用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