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44B1 - 전도 방지대 - Google Patents

전도 방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44B1
KR101773344B1 KR1020150164149A KR20150164149A KR101773344B1 KR 101773344 B1 KR101773344 B1 KR 101773344B1 KR 1020150164149 A KR1020150164149 A KR 1020150164149A KR 20150164149 A KR20150164149 A KR 20150164149A KR 101773344 B1 KR101773344 B1 KR 10177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engagement hole
ti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764A (ko
Inventor
이양선
Original Assignee
이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선 filed Critical 이양선
Priority to KR102015016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3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3Ladder stabilis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 방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도 방지 대상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1 결합홀이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상기 제1 결합홀과 통하도록 제2 결합홀이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1 결합홀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벽체면을 받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제2 결합홀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바닥면을 받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벽체면 또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또는 원주면 등을 가지는 전도 방지 대상물에 고정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벽체면 또는 바닥면 등에 버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전도 방지 대상물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부재의 분리가 가능하여 차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도 방지대 {FALL DOWN PREV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도 방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 방지 대상물에 장착되어 접지면을 향상시켜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 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 등과 같은 전도 방지 대상물은 안전성을 높여주기 위한 방법으로 지면 등에 받쳐 버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장착 가능한 받침대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받침대(지지대)를 구비한 전도방지 구조물과 관련된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2010-0024818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1526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10-0024818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1526호에 개시된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및 전도방지용 받침대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 제2010-0024818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전도방지 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는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하단을 고정하는 구성수단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파이프를 홀에 삽입 후 고정시키는 결합용 볼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클립(100)과; 일측에 고정클립이 결합된 지지체로서, 일측 측면 및 하부면이 오픈된 직육면체형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힌지핀(210)이 관통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원터치용 푸시핀(220)이 설치되는 고정 지지대(200)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고정 지지대(200)의 힌지핀(210)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고, 원터치용 푸시핀(220)을 가이드하며, 원터치용 푸시핀이 결합되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된 유동 지지대(300)와; 상기 유동 지지대(3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유동 지지부를 바닥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자유회전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는 유동 지지대(300)가 지면에 대해서만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벽체 등에 고정하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1526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전도방지용 받침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전도방지용 받침대는 건조대나 테이블의 다리(1)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부착수단(10)과, 일단이 상기 건조대나 테이블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다리(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착수단(10)에서 연장된 지지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전도방지용 받침대 역시 지지수단(20)이 지면에 대해서만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248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15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평면 또는 원주면 등을 가지는 전도 방지 대상물에 고정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벽체면 또는 바닥면 등에 버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전도 방지 대상물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부재의 분리가 가능하여 차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 전도 방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도 방지 대상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1 결합홀이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상기 제1 결합홀과 통하도록 제2 결합홀이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1 결합홀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벽체면을 받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제2 결합홀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바닥면을 받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벽체면 또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전도 방지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도 방지 대상물에 결속되도록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의 외측벽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대향된 외측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받침부재는 선단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선단이 출몰하며, 상기 전방 받침부재의 후단 내부에 버튼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 스프링의 버튼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후방 받침부재의 선단에 결합 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또는 원주면 등을 가지는 전도 방지 대상물에 고정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벽체면 또는 바닥면 등에 버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전도 방지 대상물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부재의 분리가 가능하여 차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전도방지 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전도방지용 받침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와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가 전도 방지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에서 밀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 중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와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가 전도 방지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에서 밀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대(100)는 본체(110), 받침부재(120) 및 밀착부재(130)를 포함하며, 사다리 등과 같은 전도 방지 대상물(O)에 장착되어 대상물의 전도를 방지하는 장치이다.
본체(110)는 전도 방지 대상물(O)에 고정되면서 후술할 받침부재(120)가 결합되며, 제1 결합홀(112), 제2 결합홀(114), 브래킷(116) 및 체결부재(11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사각 파이프 등이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제1 결합홀(112)은 본체(110)의 내부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받침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2 결합홀(114)은 본체(110)의 표면에 제1 결합홀(112)과 직교 방향으로 통하도록 종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받침부재(120)가 경사지게 결합된다.
브래킷(116)은 본체(110)의 배면에 상하로 각각 연장되어 고정면이 평면인 전도 방지 대상물(O)에 나사 등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연장된 상하에 홀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부재(118)는 본체(11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볼트로, 체결시 후술할 받침부재(120)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받침부재(120)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부재(120)는 본체(110)의 제1 결합홀(112)에 결합되어 전후 슬라이딩 과정에서 벽체면(W)을 받치면서 상기 벽체면(W)에 버팀력을 제공할 수 있거나, 제2 결합홀(114)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바닥면(F)을 받치면서 상기 바닥면(F)에 버팀력을 제공하거나, 전도 방지 대상물(O)의 여러 지점마다 설치되어 일측의 받침부재(120)는 경사지게 결합되어 바닥면(F)을 받치게 하고, 타측의 받침부재(120)는 횡 방향으로 결합되어 벽체면(W)을 받치게 할 수 있다.
이때, 받침부재(120)는 선단에 단차부(120a)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120a) 중 함몰된 중심부가 제2 결합홀(114) 선단에 걸리도록 경사지게 삽입되어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밀착부재(130)는 받침부재(1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벽체면(W) 또는 바닥면(F)에 밀착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밀착부재(130) 중 벽체면(W) 또는 바닥면(F)에 밀착되는 저면에는 고무 등의 미끄럼 방지부재로 마감된다.
한편, 상기 밀착부재(130)는 볼트부(132) 및 결합부(134)를 포함하며, 구동 방향의 한정 없이 자유 회동이 가능하므로 벽체면(W) 또는 바닥면(F)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도 밀착이 가능하다.
볼트부(132)는 밀착부재(130)의 저면에 형성된 나선홀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나사(132a)와, 상기 나사(132a)에 나선 체결되면서 상기 밀착부재(130)의 저면에 밀착시켜 상기 나사(132a)의 분리를 방지하는 너트(132b)와, 상기 나사(132a)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 돌기(132c)를 포함한다.
결합부(134)는 볼트부(132)의 구 돌기(132c)에 결합되어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 결합부(136)와 하부 결합부(138)를 포함한다.
상부 결합부(136)는 구 돌기(132c)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반구 형태의 상부 반구홈(136a)이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반구홈(136a)의 상단이 관통하면서 나사(132a)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하부 결합부(138)는 구 돌기(132c)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반구 형태의 하부 반구홈(138a)이 상면에 형성되고, 저면에서 나사 등을 통해 상부 결합부(136)에 체결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대(100)는 전도 방지 대상물(O)에 본체(110)의 브래킷(116)을 나사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받침부재(120)의 상단에 형성된 단차부(120a)를 제2 결합홀(114)에 경사지게 결합시켜 밀착부재(130)의 저면이 바닥면(F)에 밀착되게 하면서 체결부재(118)를 체결시켜 상기 본체(110)에 상기 밀착부재(130)를 고정시킨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도 방지대(100)를 벽체면(W)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받침부재(120)를 본체(110)의 제1 결합홀(112)에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시킨 후 밀착부재(130)의 저면을 벽체면(W)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118)를 체결시켜 상기 본체(110)에 상기 밀착부재(130)를 고정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 중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대(200)는 본체(210), 받침부재(220) 및 밀착부재(230)를 포함하되, 사다리 등과 같은 전도 방지 대상물(O)에 장착되어 대상물의 전도를 방지하는 장치로, 상기 받침부재(220) 및 밀착부재(23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210)는 전도 방지 대상물(O)에 고정되면서 후술할 받침부재(220)가 결합되되, 제1 결합홀(212), 제2 결합홀(214), 클램프(216) 및 체결부재(2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홀(212), 제2 결합홀(214) 및 체결부재(218)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본체(210)는 사각 파이프 등이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클램프(216)는 본체(110)의 배면에 구비되어 고정면이 파이프 등과 같은 원주면인 전도 방지 대상물(O)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216)는 파이프 형태의 전도 방지 대상물(O)이 삽입되도록 내주면에 상기 전도 방지 대상물(O)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216a)와, 상기 클램프 본체(216a)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216a)에 삽입된 상기 전도 방지 대상물(O)을 감싸도록 상기 전도 방지 대상물(O)에 대응된 곡률반경이 형성된 클램프 덮개(216b)와, 상기 클램프 본체(216a)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 덮개(216b)에 체결되어 삽입된 상기 전도 방지 대상물(O)을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216c)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대(200)는 전도 방지 대상물(O)에 본체(210)를 고정시킬 때 상기 본체(210)의 배면에 구비된 클램프(216)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받침부재(220) 및 밀착부재(230)에 의해 벽체면(W) 또는 바닥면(F) 등을 받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대(300)는 본체, 받침부재(220) 및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밀착부재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받침부재(220)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2단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받침부재(220)는 후방 받침부재(322)와 전방 받침부재(324)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 받침부재(324)가 출몰하되, 상기 후방 받침부재(322)의 단부에 밀착부재(2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 조절부(326)에 의해 상기 전방 받침부재(324)의 출몰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길이 조절부(326)는 회전부재(326a)와 나선부재(326b, 326c)를 포함한다.
회전부재(326a)는 후방 받침부재(322)와 전방 받침부재(324)의 이웃한 상면에 슬릿(slit) 형태의 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외주면 상단이 상기 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나선부재(326b, 326c)는 회전부재(326a)의 양단에 각각 나선 방향이 다르도록 동일선상에 구비되며, 후방 받침부재(322)와 전방 받침부재(324)의 내부에 구비된 이격 구비된 연결부재(322a, 324a)에 각각 나선 체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322a, 324a)의 내부에는 나선부재(326b, 326c)와 간섭을 받지 않도록 가이드(328)가 횡 방향으로 구비되어 전방 받침부재(324)의 진행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22a, 324a)는 나선부재(326b, 326c)가 체결되는 나선 홈도 양쪽이 상기 나선부재(326b, 326c)처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부재(326a)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방 받침부재(324)가 후방 받침부재(322)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전방 받침부재(324)와 상기 후방 받침부재(3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전방 받침부재(324)와 후방 받침부재(322)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받침부재(220) 중 상기 전방 받침부재(324)를 벽체면(W) 또는 바닥면(F) 등에 가접촉시킨 후 회전부재(326a)를 회전시켜 이에 연동되는 나선부재(326b, 326c)에 의해 상기 전방 받침부재(324)의 미세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330은 밀착부재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전도 방지대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전도 방지대(400)는 본체, 받침부재(420) 및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밀착부재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받침부재(420)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2단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420)는 전방 받침부재(424)가 후방 받침부재(422)의 내부를 따라 출몰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전방 받침부재(424)의 후단에 버튼 스프링(426)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 스프링(426)의 버튼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후방 받침부재(422)에 결합 홀(422a)이 다수 배치 형성된다.
그러므로 후방 받침부재(4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전방 받침부재(424)를 잡아당기면 상기 전방 받침부재(424)가 전진하면서 그 후단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구비된 버튼 스프링(426)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버튼 스프링(426)의 버튼이 상기 후방 받침부재(422)의 해당 위치에 형성된 결합 홀(422a)에 중첩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422a)의 외부로 튀어나온다.
이렇게, 전방 받침부재(424)의 내부에 위치된 버튼 스프링(426)의 버튼이 후방 받침부재(422)의 홀(422a)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전방 받침부재(424)와 상기 후방 받침부재(422)가 서로 결속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430은 밀착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도 방지대
110, 210: 본체
120, 220, 320, 420: 받침부재
130, 230, 330, 430: 밀착부재

Claims (5)

  1. 전도 방지 대상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1 결합홀이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상기 제1 결합홀과 통하도록 제2 결합홀이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1 결합홀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벽체면을 받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제2 결합홀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바닥면을 받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벽체면 또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전도 방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도 방지 대상물에 결속되도록 클램프를 포함하는 전도 방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벽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대향된 외측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전도 방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선단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전도 방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선단이 출몰하며, 상기 전방 받침부재의 후단 내부에 버튼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 스프링의 버튼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후방 받침부재의 선단에 결합 홀이 다수 형성되는 전도 방지대.




KR1020150164149A 2015-11-23 2015-11-23 전도 방지대 KR10177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49A KR101773344B1 (ko) 2015-11-23 2015-11-23 전도 방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49A KR101773344B1 (ko) 2015-11-23 2015-11-23 전도 방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764A KR20170059764A (ko) 2017-05-31
KR101773344B1 true KR101773344B1 (ko) 2017-08-31

Family

ID=5905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49A KR101773344B1 (ko) 2015-11-23 2015-11-23 전도 방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33B1 (ko) * 2020-11-24 2021-09-09 정옥순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764A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579B2 (en) Angle inclining structure for a desk
US20190263326A1 (en) Extension tube-type vehicle-mounted back support
KR101514200B1 (ko) 신축장치
US9844278B2 (en) Joint mechanism and child high chair thereof
KR101934289B1 (ko)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KR101773344B1 (ko) 전도 방지대
CN106388419B (zh) 一种桌边椅
KR101875202B1 (ko)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US20060051159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foldable structure
KR101788612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JP2020522333A (ja) 長手方向に調節可能なポールのための締め付け装置
JP2010024653A (ja) 伸縮体のロック機構
TWI616171B (zh) 靴子收納用具
CN106044415A (zh) 一种按压抽拉式卷线模组
CN203864508U (zh) 顶棚拉手
EP2975274A1 (en) Clamp arrangement
KR20170082814A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04308908A (ja) 高さ調整可能なスタンド脚
KR101726287B1 (ko) 도어 힌지장치
KR101731946B1 (ko) 틸팅 타입 책상
KR200482825Y1 (ko) 절첩다리용 회전 브래킷
JP4691076B2 (ja) 自転車の折畳み式フレームの安全ロック装置
CN212195296U (zh) 一种公交车行李固定装置
TWM484964U (zh) 具有可調式桌板的桌子
EP3205895B1 (en) Locking device for a component as well as arrangement of a component on a further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