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699B1 - 다방 전환 밸브 - Google Patents

다방 전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699B1
KR101772699B1 KR1020110015777A KR20110015777A KR101772699B1 KR 101772699 B1 KR101772699 B1 KR 101772699B1 KR 1020110015777 A KR1020110015777 A KR 1020110015777A KR 20110015777 A KR20110015777 A KR 20110015777A KR 101772699 B1 KR101772699 B1 KR 10177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valve seat
inle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164A (ko
Inventor
타케시 칸노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1012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09Sequentially progressive opening or closing of plural ports
    • Y10T137/86517With subsequent closing of first port
    • Y10T137/86533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63Rotary valv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과제]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입출 포트와 밸브실 사이의 유체의 유통을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는 전환 밸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회전축선(O)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크게 돌출하는 횡돌출부(54a)가 마련됨과 함께, 그 횡돌출부(54a)에 어어져서 그 횡돌출부(54a)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비어저 나오는 평면으로 보아 반원 내지 반타원형의 기단측 장출부(54b)가 마련되고, 횡돌출부(54a)에서의 밸브 시트부재(65)측의 면을 기준면(54c)으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54b)에서 상기 기준면(54c)부터 소정 두께(Tb)만큼 삭제되여, 그 삭제에 의해 단하된 노치부(8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방 전환 밸브{MULTI-DIRECTION CHANGE-OVER VALVE}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히트 펌프) 등에 사용되는 3방 전환 밸브나 4방 전환 밸브 등의 다방 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로의 전환을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로 밸브를 회동시킴에 의해 행하는 로터리식의 다방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다방 전환 밸브로서, 본원의 출원인은, 앞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다방 전환 밸브를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1, 2 등을 참조) . 이하, 도시한 다방 전환 밸브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시한 예의 다방 전환 밸브(10')는, 히트 펌프 장치에 사용되는 로터리식의 다방 전환 밸브(4방 전환 밸브)이고, 유체로서 냉매가 사용되는 것으로서, 캔(18)의 내주측에 배치(配在)된 로터(16)와 캔(18)의 외주에 외감(外嵌) 고정된 스테이터(17)로 이루어지는 유로 전환 용액추에이터로서의 스테핑 모터(15)와, 그 스테핑 모터(15)에 의해 회동시켜지는 밸브체(50)와, 이 밸브체(5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밸브 하우징(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15) 내에는, 유성치차식 감속 기구(40)가 부설되고, 모터(15)의 출력축(유성치차식 감속 기구(40)의 출력축(45))의 회전이 상기 밸브체(5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60)은, 밸브실에 연결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3개의 볼트(93)에 의해 기밀(氣密)적으로 체결된 상측 상자형상체(箱狀體)(상측 분할체)(60A)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상측 상자형상체에 기밀적으로 체결되는 하측 덮개형상체(蓋狀體)(하측 분할체)(60B)로 분할되어 이루어지고, 이들 상측 상자형상체(60A)와 하측 덮개형상체(60B)로 원통형상의 밸브실(61)이 구획되어 있다.
상측 상자형상체(60A)는, 개략 볼록형상의 상측 기체부(基體部)(60a)와 그 상측 기체부(60a)의 하면 외주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는 주로 밸브실(61)의 주벽부를 구획하는 원통형상 벽부(60b)로 이루어지고, 상측 기체부(60a)의 좌우에는, 가로구멍(橫穴)과 세로구멍(縱穴)으로 이루어지는 단면 역L형상의 제 1 입출 포트(12)와 제 2 입출 포트(13)가 마련되고, 또한, 원통형상 벽부(60b)의 상부의 앞면측에는, 상기 밸브실(61)에 이어지는 저압 냉매 도출 포트(1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하측 덮개형상체(60B)는, 상기 원통형상 벽부(60b)의 하단부가 외감되는 단이 있는(段付) 두꺼운 판형상이 되고, 그 중앙(회전축선(O)상)에는, 그것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실(61)에 개구하는 고압 냉매 도입 포트(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경량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60)(상측 상자형상체(60A)와 하측 덮개형상체(60B))의 재료로는 알루미늄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밸브실(61)의 천장부에는, 제 1 입출 포트(12)와 제 2 입출 포트(13)의 하단 개구부가 형성된 밸브 시트부재(65)가 배설(나사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50)는, 위로부터 차례로, 모터(15) 내의 유성치차식 감속 기구(40)의 출력축(45)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소경축부(51), 상측 상자형상체(60A)에 형성된 중앙 구멍(67) 및 밸브 시트부재(65)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69)에 삽통시켜진 중앙축부(52), 및 도입 포트(11) 내에 삽입된 대경 원통축부(53)를 갖는 스테인리스(sUs)제의 밸브축 부재(50Ab)와, 그 밸브축 부재(50A)의, 상기 밸브실(61) 내에 위치하는 중앙축부(52)의 하단부로부터 대경 원통축부(53)의 중앙 후육부(53a) 상단에 이르는 단이 있는 부분에 외감 고정된 축외(軸外) 부재(54)로 이루어지고, 밸브실(61) 내에 위치하는 부분(중앙축부(52)의 하부, 대경 원통축부(53) 및 축외 부재(54))가 역L형상 내지 크랭크형상의 전환 밸브체부(50B)가 되어 있다.
상기 밸브축 부재(50A)의 중앙축부(52)와 대경 원통축부(53)의 하단부는, 각각 슬리브형상의 축받이 부재(86, 87)에 의해 활주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대경 원통축부(53)에서의 중앙 후육부(53a)의 하부 원추면부와 도입 포트(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테플론(등록상표)제의 립 실(83)이 개장(介裝)되어 있다.
상기 전환 밸브체부(50B) 내에는, 그것과 유사한 역L형상 내지 크랭크형상의 밸브체내 통로(5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체내 통로(55)의 출구측 단부에는, 밸브 시트부재(65)에 기밀적으로 압접하도록, 실재로서의 O링(74)과 각형(角形) 링(75)이 장착되어 있다. O링(74)은, 밸브체내 통로(55)를 흐르는 고압 유체에 의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되어 단면이 원형으로부터 타원형상으로 변화하는데, 이 O링(74)의 형상 변화를 이용하여 각형 링(75)의 일단면을 밸브 시트부재(65)에 꽉눌러서 실 효과를 얻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 덮개형상체(60B)의 윗면 중앙부에 돌설된 원통형상 돌벽부(60d)의 외주에는, 상기 밸브체내 통로(55)의 출구측 단부(각형 링(75))를 밸브 시트부재(65)에 꽉누르기 위해, 상기 밸브체(50)를 밸브 시트(65)측에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92)이 수축 장착(縮裝)되어 있다. 또한, 유체의 소망하지 않는 누출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부재의 대(對) 접면(接面) 사이 등의 요소(要所), 예를 들면, 상측 상자형상체(60A)의 원통형상 벽부(60b)의 하부 내주면과 하측 덮개형상체(60B)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O링(95) 등의 실재가 장착되어 있다. _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방 전환 밸브(4방 전환 밸브)(10')에서는, 도 4(A)[밸브체(50)와 밸브 시트부(65)를 아래에서 본 개략 참고도]를 참조하면 잘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밸브체(50)가 모터(15)에 의해 회동시켜저서, 밸브체내 통로(55)의 출구측 단부(각형 링(75))가 밸브 시트부재(65)의 제 1 입출 포트(12)(의 하단 개구부)의 직하 위치에 달하면, 도입 보트(11)와 제 1 입출 포트(12)가 밸브체내 통로(55)를 통하여 연통하고, 고온 고압의 냉매는, 밸브체내 통로(55)를 통하여 제 1 입출 포트(12)에 흐르고, 한편, 제 2 입출 포트(13)로부터의 저온 저압의 냉매는, 밸브실(61)을 통하여 도출 포트(14)에 흐른다(이하, 이 상태를 제 1 유통 상태라고 칭한다).
상기와는 역으로, 밸브체내 통로(55)의 출구측 단부(각형 링(75))가 밸브 시트부재(65)의 제 2 입출 포트(13)(의 하단 개구부)의 직하 위치에 회동시켜지면, 도입 포트(11)와 제 2 입출 포트(13)가 밸브체내 통로(55)를 통하여 연통하고, 고온 고압의 냉매는, 밸브체내 통로(55)를 통하여 제 2 입출 포트(13)에 흐르고, 한편, 제 1 입출 포트(12)로부터의 저온 저압의 냉매는, 밸브실(61)을 통하여 도출 포트(14)에 흐른다(이하, 이 상태를 제 2 유통 상태라고 칭한다).
이와 같이 도시한 예의 다방 전환 밸브(10')는, 밸브체(50)를 회동시킴에 의해, 밸브체내 통로(55) 및 밸브실(61)을 통하여 제 1 입출 포트(12) 및 제 2 입출 포트(13)의 어느 하나와 도입 포트(11) 및 도출 포트(14)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에 의해, 유로의 전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_
[특허 문헌 l]
특허 문헌 1 : 일본 특원2010-010309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원2009-203926호
상기한 바와 같은 로터리식 4방 전환 밸브(10')에서는,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체(50)의 회전축선(O)과 도입 포트(11)의 중심선(C1)이 실질적으로 겹쳐서 있고, 이 중심선(C1)을 끼우고 좌우 대칭적으로 제 1 입출 포트(12)와 제 2 입출 포트(13)가 배치되어 있고, 도입 포트(11)의 중심선(C1)와 제 1 입출 포트(12)의 중심선(C2) 및 제 2 입출 보트(13)의 중심선(C3)라는 오프셋량(포트 중심 사이 거리)은 함께 La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4방 전환 밸브(10')의 밸브체(50)는, 역L형상 내지 크랭크형상의 밸브체내 통로(55)를 형성하기 위한, 회전축선(O)(도입 포트(11)의 중심선(C1))으로부터 반경 방향 가깥쪽(입출 포트(12, 13)의 중심선(C2, C3)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횡돌출부(54a)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밖에, 그 횡돌출부(54a)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비어져 나오는 평면으로 보아 반원 내지 반타원형의, 상기 횡돌출부(54a)와 같은 두께(Ta)(도 5참조)를 갖는 기단측(회전축선(O)측) 장출부(張出部)(54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기단측 장출부(54b)는, 밸브체(50)를 밸브 시트측(65)에 가세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92)의 스프링 받이 부분으로서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오프셋량이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La이면,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단측 장출부(54)가, 제 1 유통 상태에서는 입출 포트(13)의 일부를 막고(도면의 격자형상 해칭 부분), 또한, 제 2 유통 상태에서는 제 1 입출 포트(12)의 일부를 막게 되고, 그들 입단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냉매의 유통을 저해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도면에는 제 1 유통 상태가 나타나 있지만, 제 2 유통 상태에서도 마찬가지).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상기 오프셋량을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하면(Lb로 하면), 밸브 시트부재(65), 밸브 하우징(60), 나아가서는 당해 4방 전환 밸브(10')의 대형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밸브체(50)에 걸리는 모멘트가 증대하여, 유로 전환에 보다 큰 토오크가 필요하게 되어, 모터의 대형화 등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입출 포트와 밸브실 사이의 유체의 유통을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는 다방 전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다방 전환 밸브는, 기본적으로는, 복수개의 입출 포트가 형성된 밸브 시트부 및 밸브실을 갖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트부에 접촉하면서 회동시켜지는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회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에 도입 포트 및/또는 도출 포트가 개구시켜짐과 함께, 상기 밸브체 내에, 상기 도입 포트 또는 도출 포트와 상기 복수개의 입출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회동시켜서, 상기 도입 포트 또는 도출 보트와 상기 복수개의 입출 포트의 어느 하나를 상기 밸브체내 통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에 의해 유로의 전환을 행하도록 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측 상자 형상체와 하측 덮개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액추에이터, 상기 밸브 시트부 및 상기 도출 포트는 상기 상측 상자 형상체에 마련되며, 상기 도입 포트는 상기 하측 덮개 형상체에 마련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하측 덮개 형상체 사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부 측에 가세되도록 코일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밸브 체에,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그 회전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횡돌출부가 마련됨과 함께, 그 횡돌출부에 이어져서 그 횡돌출부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비어져 나오는 기단측 장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입출 포트와 상기 밸브실과의 사이의 유체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돌출부에서의 두께 및 폭을 각각 기준 두께, 기준 폭으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에, 그 두께 및/또는 폭을 상기 기준 두께, 기준 폭보다 좁히도록 노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양태에서는, 상기 횡돌출부에서의 상기 밸브 시트부측의 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에서 상기 기준면부처 소정 두께분이 삭제되고, 그 삭제에 의해 단하(段下)된 부분이 상기 노치부가 된다.
다른 구체적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노치부로서, 상기 기단측 장출부의 상기 밸브 시트부측에서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폭만큼 패여짐과 함께, 상기 밸브 시트부측의 면으로부터도 소정 두께만큼 패여진 오목부가 형성된다.
다른 구체적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기단측 장출부의 폭을 상기 기준 폭보다 좁히도록, 그 외주 양측부로부터 소정 폭만큼이 삭제되고, 그 삭제에 의해 오목한 부분이 상기 노치부가 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횡돌출부와 상기 기단측 장출부에서의 상기 밸브 시트부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평탄하게 되고, 그 평탄한 면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부측으로 가세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받이면이 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선과 상기 도입 포트 또는 도출 포트의 중심선이 실질적으로 겹처지도록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방 전환 밸브에서는, 밸브의 기단측 장출부에 특정한 상태로 노치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오프셋량을 작게한 상태에서도, 환언하면, 당해 다방 전환 밸브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입출 포트와 밸브실과의 사이의 냉매의 유통을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충분한 냉매 유통량을 확보할 수 있고, 당해 다방 전환 밸브가 사용되는 히트 펌프 장치 등의 열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방 전환 밸브의 제 1 실시예의 주요부(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도시하고, (A)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옆에서 본 개략도, (B)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아래에서 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다방 전환 밸브의 제 2 실시예의 주요부(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도시하고, (A)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옆에서 본 개략도, (B)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아래에서 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다방 전환 밸브의 제 3 실시예의 주요부(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도시하고, (A)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옆에서 본 개략도. (B)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아래에서 본 개략도.
도 4는 종래예의 다방 전환 밸브의 과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으로, (A), (B)는 함께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아래에서 본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다방 전환 밸브(4방 전환 밸브)의 한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다방 전환 밸브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관한 다방 전환 밸브로서의 4방 전환 밸브의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의 주요부(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도시하고, (A)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옆에서 본 개략도, (B)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부를 아래에서 본 개략도이다. 각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A, 10B, 10c)는, 전술한 도 5 및 도 4(A)에 도시되는 4방 전환 밸브(10')에서의 밸브체(50)의 형상이 다를 뿐이고, 기타 부분은 기본적으로는 같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위점인 밸브의 형상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제 1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A)에서의 밸브체(50)는, 통로(55)를 형성하기 위해 그 회전축선(O)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크게 돌출한 횡돌출부(54a)가 마련됨과 함께, 그 횡돌출부(54a)에 어어져서 그 횡돌출부(54a)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비어저 나오는 평면으로 보아 반원 내지 반타원형의 기단측 장출부(54b)가 마련되고, 입출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유체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돌출부(54a)에서의 두께를 기준 두께(Ta)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54b)에 , 그 두께를 상기 기준 두께(Ta)보다 좁히도록 노치부(81)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횡돌출부(54a)에서의 밸브 시트부재(65)측의 면을 기준면(54c)으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54b)에서 기준면(54c)부터 소정 두께(Tb)분(도 1(A)에서 모래땅(砂地)모양 패턴이 그어져 있는 부분)이 삭제되고, 그 삭제에 의해 단하(段下)된 부분이 상기 노치부(81)가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종래례의 것과 마찬가지로, 오프셋량은 La이고, 또한, 횡돌출부(54a)와 기단측 장출부(54b)에서의 밸브 시트부재(65)측과는 반대측의 면(54d)은 평탄하게 되고, 그 평탄한 면(54d)이, 밸브체(50)를 밸브 시트부재(65)측에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92)의 스프링 받이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A)에서는, 밸브체(50)의 기단측 장출부(54b)에 , 기준면(54c)으로부터 단하된 노치부(8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단측 장출부(54b)에서의 밸브 시트부재(65)측의 면(54c')(노치부(81))와 입출 포트(12, 13)(밸브 시트부재(65))와의 이격 거리가 종래례의 것보다 상당히 커지고,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유통 상태의 어느것에서도, 입출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냉매의 유통은 거의 저해되지 않게 된다.
도 2에 도시되는 제 2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B)에서의 밸브체(50)는, 입출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유체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돌출부(54a)에서의 두께 및 폭을 기준 두께(Ta), 기준 폭(Da)으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54b)에서의 밸브 시트부재(65)측의 좌우 양측 부분에, 그 두께 및 폭을 상기 기준 두께(Ta), 기준 폭(Da)보다 좁히도록 노치부(82, 82)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노치부(82, 82)로서, 기단측 장출부(54b)에서의 밸브 시트부재(65)측의 좌우 양측 부분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 폭(Db)만큼 패여짐과 함께, 밸브 시트부재(65)측의 면(기준면(54c))부터도 소정 두께(Tb)만큼 패여진 평면으로 보아 개략 ㄴ자형상의 벽면을 갖는 오목부가 좌우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제 2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B)에서는, 밸브체(50)의 기단측 장출부(54b)에, 평면으로 보아 개략 ㄴ자형상의 벽면을 갖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노치부(82, 8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유통 상태의 어느것에서도, 기단측 장출부(54b)에 의해 입출 포트(12, 13)가 막혀 버리는 일은 없어지고, 그 때문에, 입출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냉매의 유통은 거의 저해되지 않게 된다.
도 3에 도시되는 제 3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C)에서의 밸브체(50)는, 기단측 장출부(54b)에 , 입출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냉매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노치부(83, 83)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단측 장출부(54b)의 폭을 상기 기준 폭(Da)보다 좁히도록, 그 외주 양측부로부터 소정 폭(Db)만큼이 삭제되고, 그 삭제에 의해 패여진 평면으로 보아 ㄴ자형상 부분(좌우 2개소)이 상기 노치부(83, 83)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제 3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C)에서는, 밸브체(50)의 기단측 장출부(54b)에, 평면으로 보아 ㄴ자형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노치부(83, 8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유통 상태의 어느 것에서도, 기단측 장출부(54b)에 의해 입출 포트(12, 13)가 막혀 버리는 일은 없어지고, 그 때문에, 입출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냉매의 유통은 거의 저해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4방 전환 밸브(10A, 10B, 10c)에서는, 기단측 장출부(54b)에 특정한 양태로 노치부(81, 82, 82, 83, 83)이 마련되기 때문에, 오프셋량을 작은 La로 하였어도, 환언하면, 당해 4방 전환 밸브의 대형화를 초래한 일 없고, 입출 포트(12, 13)와 밸브실(61) 사이의 냉매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분한 냉매 유통량을 확보할 수 있고, 당해 4방 전환 밸브가 사용된 히트 펌프 장치 등의 열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4방 전환 밸브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방 전환 밸브 또는 5방 이상의 전환 밸브에도 적용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 : 다방 전환 밸브(4방 전환 밸브)
11 : 도입 포트
12 : 제 1 입출 포트
13 : 제 2 입출 포트
14 : 도출 포트
15 : 모터(액추에이터)
50 : 밸브체
54a : 횡돌출부
54b : 기단측 장출부
55 : 밸브체내 통로
60 : 밸브 하우징
60A : 상부체
60B : 바닥덮개형상체
60c : 원통형상체
61 : 밸브실
65: 밸브 시트부재
81, 82, 83 : 노치부
92 : 코일 스프링

Claims (6)

  1. 복수개의 입출 포트가 형성된 밸브 시트부 및 밸브실을 갖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트부에 접촉하면서 회동시켜지는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회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에 도입 포트 및/또는 도출 포트가 개구시켜짐과 함께, 상기 밸브체 내에, 상기 도입 포트 또는 도출 포트와 상기 복수개의 입출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회동시켜서, 상기 도입 포트 또는 도출 포트와 상기 복수개의 입출 포트의 어느 하나를 상기 밸브체내 통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에 의해 유로의 전환을 행하도록 되는 다방 전환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밸브실에 연결되는 개구부를 갖는 상측 상자 형상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상측 상자체에 기밀적으로 체결되는 하측 덮개 형상체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액추에이터, 상기 밸브 시트부 및 상기 도출 포트는 상기 상측 상자 형상체에 마련되며, 상기 도입 포트는 상기 하측 덮개 형상체에 마련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하측 덮개 형상체 사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부 측에 가세되는 코일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밸브 체에,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횡돌출부가 마련됨과 함께, 그 횡돌출부에 이어져서 그 횡돌출부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비어져 나오는 기단측 장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입출 포트와 상기 밸브실과의 사이의 유체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돌출부에서의 두께 및 폭을 각각 기준 두께, 기준 폭으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에, 그 두께 및/또는 폭을 상기 기준 두께, 기준 폭보다 좁히도록 노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 전환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돌출부에서의 상기 밸브 시트부측의 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기단측 장출부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부터 소정 두께분이 삭제되고, 그 삭제에 의해 단하된 부분이 상기 노치부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 전환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로서, 상기 기단측 장출부의 상기 밸브 시트부에 대향하는 면에서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폭만큼 패여짐과 함께, 상기 밸브 시트부측의 면으로부터도 소정 두께만큼 패여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 전환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측 장출부의 폭을 상기 기준 폭보다 좁히도록, 상기 기단측 장출부의 외주 양측부로부터 소정 폭만큼이 삭제되고, 그 삭제에 의해 패여진 부분이 상기 노치부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 전환 밸브.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돌출부와 상기 기단측 장출부에서의 상기 하측 덮개 형상체에 대향하는 면이 평탄하게 되고, 그 평탄한 면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부측에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받이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 전환 밸브.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선과 상기 도입 포트 또는 도출 포트의 중심선이 겹쳐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 전환 밸브.
KR1020110015777A 2010-05-12 2011-02-23 다방 전환 밸브 KR101772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0285 2010-05-12
JP2010110285A JP5611658B2 (ja) 2010-05-12 2010-05-12 多方切換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164A KR20110125164A (ko) 2011-11-18
KR101772699B1 true KR101772699B1 (ko) 2017-08-29

Family

ID=4491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777A KR101772699B1 (ko) 2010-05-12 2011-02-23 다방 전환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77862A1 (ko)
JP (1) JP5611658B2 (ko)
KR (1) KR101772699B1 (ko)
CN (1) CN1022428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913A (zh) * 2014-11-11 2015-03-11 重庆颐洋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控制流量的比例阀
US10859172B2 (en) * 2015-11-20 2020-12-08 Smc Corporation Switching val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451A (ja) 2001-09-14 2003-03-28 Chiyoda Kucho Kiki Kk 切換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134A (en) * 1910-03-14 1913-12-02 Walter O Amsler Reversing-valve.
US1468502A (en) * 1919-10-31 1923-09-18 Albert T Keller Reversing valve
US1519205A (en) * 1921-06-13 1924-12-16 Kiefer Karl Valve for fluid-motive apparatus
US2344714A (en) * 1942-02-18 1944-03-21 William O Martin Inc Reversing valve
JPS6233175Y2 (ko) * 1981-06-02 1987-08-25
US5911242A (en) * 1994-09-16 1999-06-15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Reversing valve and method
JPH09144915A (ja) * 1995-11-17 1997-06-03 Kamiya Masami 冷凍サイクル用四方弁
KR100758366B1 (ko) * 2000-02-10 2007-09-14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사방 변환 밸브
JP3597155B2 (ja) * 2001-07-18 2004-12-02 あさひ化工機株式会社 酸素濃縮装置用ロータリー弁
US7631661B2 (en) * 2004-08-23 2009-12-15 Zhejiang Sanhua Co Ltd. Straight flow reversing valve
JP5611558B2 (ja) * 2008-11-04 2014-10-22 株式会社不二工機 多方切換弁
JP5557534B2 (ja) * 2010-01-20 2014-07-23 株式会社不二工機 多方切換弁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451A (ja) 2001-09-14 2003-03-28 Chiyoda Kucho Kiki Kk 切換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164A (ko) 2011-11-18
JP2011236997A (ja) 2011-11-24
CN102242818A (zh) 2011-11-16
CN102242818B (zh) 2015-01-21
US20110277862A1 (en) 2011-11-17
JP5611658B2 (ja)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698B1 (ko) 다방향 전환 밸브
KR101640253B1 (ko) 다방향 전환 밸브
KR101814206B1 (ko) 유로 전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히트 펌프 장치
JP2011047426A5 (ko)
CN1268862C (zh) 阀驱动设备
JP6656846B2 (ja) 流路切換弁及びシール部材
CN102900861A (zh) 用于基本上气密截断流动路径的阀门
JP5611695B2 (ja) 多方切換弁
KR101772699B1 (ko) 다방 전환 밸브
JP2013139833A (ja) ロータリ弁
JP2010261564A (ja) ロータリー弁及びその生産方法
JP3085699B2 (ja) 多機能複合水栓
CN106062365A (zh) 隔膜的固定构造、具备其的隔膜泵以及阀装置
JP5611662B2 (ja) 多方切換弁
JP2013044354A (ja) ボールバルブ
JP2013036483A (ja) 多方弁
JP6639975B2 (ja) 流路切換弁
JP2011140986A (ja) 多方切換弁及びその製造組立方法
JP5621126B2 (ja) 切替弁
JP2021055705A (ja) ロータリバルブのシール構造
JP2010133564A (ja) 多方切換弁
JP2005240909A (ja) 遊星歯車機構を用いた回転式電動弁
JPH01216172A (ja) 仕切り弁
JP5602477B2 (ja) 多方切換弁
GB2579183A (en) Disc valv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