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342B1 -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342B1
KR101772342B1 KR1020160141784A KR20160141784A KR101772342B1 KR 101772342 B1 KR101772342 B1 KR 101772342B1 KR 1020160141784 A KR1020160141784 A KR 1020160141784A KR 20160141784 A KR20160141784 A KR 20160141784A KR 101772342 B1 KR101772342 B1 KR 10177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ayment
terminal
reserv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16014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은,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공실 리스트 내 공실을 예약 선택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AND PAYING ACCOMMODATIONS}
본 발명은 숙박업소의 모바일 예약 및 결제 시 숙박업소 이용료에 대한 결제자를 복수로 지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숙박업소를 공용하는 2인 이상의 이용자들 간에 숙박업소 이용료의 손쉬운 분할 결제를 지원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텔과 같은 숙박업소를 숙박 또는 대실 이용하려는 이용자는 직접 숙박업소의 카운터를 방문하거나 전화로 공실 유무를 확인하고, 숙박업소 직원과의 대면을 통해 숙박업소 이용료를 결제한 후 열쇠를 받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로 인해 해당 숙박업소에 공실이 없으면 다른 숙박업소를 다시 알아봐야 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고, 숙박업소 이용 사실을 노출하고 싶지 않은 이용자에게는 숙박업소 직원 또는 해당 숙박업소의 타 이용자와 대면하게 되는 경우 거북함을 느낄 수도 있다.
또한, 전화를 이용해 예약 후 결제까지 마친 경우에도, 방 열쇠를 받기 위해서는 숙박업소의 카운터를 방문해야 하며, 사용 시간을 연장하려는 경우 이용자는 재차 카운터에서 추가 요금을 대면 결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숙박업소 이용을 위한 실시간 공실 검색과, 예약, 결제, 이용 연장 등의 일련의 절차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가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숙박업소의 예약과 결제는 동일 이용자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숙박업소를 예약한 예약자 이외에 해당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일행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숙박업소 이용료를 분할 결제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약자 이외에 다른 일행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숙박업소의 사용 시간 연장을 위한 추가 요금이나, 정원 초과에 따른 초과 요금과 같은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이용료를 결제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숙박업소의 예약 및 결제에 따른 안내 정보가 예약자에게만 전달되고 있으므로, 예약자가 먼저 숙박업소에 도착해서 입실한 경우에 일행들에게 별도로 숙박업소에 관한 호실, 위치 등의 정보를 알려 줘야 하는 불편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2인 이상의 이용자들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 시, 숙박업소를 예약한 이용자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일행으로 등록된 다른 이용자들도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 간에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분할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숙박업소를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일행으로 등록된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숙박업소 이용을 위한 키 정보로 유지 함으로써, 시간 차를 두고 숙박업소에 입실하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게 하고, 숙박업소의 호실, 위치 등의 안내 정보를 일행들에게 별도로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숙박업소를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에게 방장 권한을 부여 함으로써,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을 숙박업소의 일행으로 초대하거나, 탈퇴 명령을 통해 초대된 제2 이용자 단말을 퇴실 처리하여,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다수의 이용자 단말들의 자유로운 입실과 퇴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은,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공실 리스트 내 공실을 예약 선택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공부와, 상기 공실 리스트 내 공실을 예약 선택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인 이상의 이용자들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 시, 숙박업소를 예약한 이용자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일행으로 등록된 다른 이용자들도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 간에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분할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숙박업소의 모바일 예약 및 결제 시 숙박업소 이용료에 대한 결제자를 복수로 지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숙박업소의 기본적인 이용 요금 뿐만 아니라 숙박업소의 이용 중 발생될 수 있는 부가적인 요금에 대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나눠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숙박업소를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일행으로 등록된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숙박업소 이용을 위한 키 정보로 유지 함으로써, 시간 차를 두고 숙박업소에 입실하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게 하고, 숙박업소의 호실, 위치 등의 안내 정보를 일행들에게 별도로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숙박업소를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에게 방장 권한을 부여 함으로써,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을 숙박업소의 일행으로 초대하거나, 탈퇴 명령을 통해 초대된 제2 이용자 단말을 퇴실 처리하여,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다수의 이용자 단말들의 자유로운 입실과 퇴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과, 숙박업소 및 이용자 단말들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일행 등록 및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공실 별로 키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정원 초과에 따라 초과 요금을 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공실 이용 시간 연장을 위한 추가 요금을 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과, 숙박업소 및 이용자 단말들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제1 이용자 단말(110) 및 제2 이용자 단말(120)을 포함한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이용자 단말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조건 입력을 통해 공실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은 예를 들어, 숙박 또는 대실 이용을 원하는 시간대, 요금, 이격 거리, 연장 가능 여부 등일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회원으로 가입된 각 숙박업소 서버에서 운영되는 방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숙박업소 별로 공실 이용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이용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조건에 부합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제1 이용자 단말(110)로 출력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공실 리스트에서 제1 이용자 단말(110)에 의해 임의의 공실이 예약 선택되면, 이용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공실의 이용 요금을 전액 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도 있고, 제1 이용자 단말(110)의 결제 방식 선택에 따라, 일부 금액 만을 선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공실의 최소 이용 시간(예를 들어, '30분')에 해당하는 일부 금액을 선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공하거나, 공실에 할당된 이용 시간(예를 들어, '3시간') 내에서 선택된 시간에 해당하는 일부 금액을 선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제1 이용자 단말(110)에 관한 단말 정보('01011123500')를,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하고, 제1 이용자 단말(110)에 방장 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공실의 일행으로서 제2 이용자 단말(120)을 지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 됨에 따라, 제1 이용자 단말(110)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120)에 관한 단말 정보('01011123511')를,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이용자 단말(110)은 방장 권한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회원가입 아이디 및 대화명(닉네임)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통해 제2 이용자 단말(120)을 자신이 예약한 공실의 일행으로 손쉽게 지정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제1 이용자 단말(110) 및 제2 이용자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잠금 장치에 근접 함에 따라,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잠금 장치로 전송되면, 잠금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제1 이용자 단말(110) 및 제2 이용자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숙박업소의 현관 주출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에 근접 함에 따라,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잠금 장치를 개방 가능한 열쇠를 지급하도록 키오스크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이용자 단말에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약자인 제1 이용자 단말(110)과 일행으로 등록된 제2 이용자 단말(120)은 공실에 동시에 입실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각자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잠금 장치의 해제를 위한 키로서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게 된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이용 요금의 잔여 금액을 후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110)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100)은 숙박업소 이용 요금의 일부 금액이 제1 이용자 단말(110)에 의해 선결제되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120)에게 잔여 금액의 후결제를 요청하여, 제2 이용자 단말(120)을, 공실의 일행으로 간편하게 초대할 수 있고, 잔여 금액의 후결제를 통해 제1 이용자 단말(110)의 초대에 응하는 제2 이용자 단말(120)을 상기 공실의 일행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들(110, 120)은 숙박업소 이용 요금을 편리하게 분할 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제공부(210), 결제 처리부(220), 제어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공부(21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출력한다.
제1 이용자 단말은 회원가입에 따라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에 의해 제공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조건 입력을 통해 공실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은 예를 들어, 이용 형태(숙박, 대실), 이용 가능 시간, 등급, 정원, 요금, 이격 거리 및 연장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공부(210)는 숙박업소 별로 실시간으로 수집한 공실 이용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조건에 부합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제1 이용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제공부(210)는 상기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에 의해 운영되는 방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각 숙박업소 별로, 공실 유무, 보유하고 있는 방의 상태, 사용 상태인 방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 및 이용 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상기 공실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제공부(210)는 제1 이용자 단말의 현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숙박업소를 맵 상에 표시하고, 선택되는 숙박업소에 대한 공실 리스트를, 상기 맵과 연관시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공부(210)는 제1 이용자 단말의 현 위치(301)와 같은 지역 범위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하는 숙박업소 A, B, C를 맵(302) 상에 표시하고, 선택되는 숙박업소 A에 대한 공실 리스트(303)를, 맵(302)과 연관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210)는 말풍선과 같은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맵(302) 상의 각 숙박업소에 대해, 예약과 결제 가능 여부를 알림할 수 있다.
즉, 제공부(210)는 현 위치(301)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예컨대, 숙박업소 건물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거리)를 초과하여 예약만 가능한 숙박업소 A에 대해, '예약 가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210)는 현 위치(301)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서 예약과 결제가 모두 가능한 숙박업소 B에 대해, '예약 및 결제 가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210)는 예약과 결제가 동시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숙박업소의 경우, 이격 거리와 무관하게 '예약 및 결제 동시 수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210)는 제1 이용자 단말의 현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숙박업소 중, 공실이 없는 숙박업소를 제외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실적이 상대적으로 높은 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평가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순, 이용 요금이 상대적으로 낮은 순, 및 제1 이용자 단말의 현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근접한 순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에 따라 숙박업소 별 공실을 정렬하여, 공실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공부(210)는 숙박업소 별로 설정되는 대실 신청 마감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대실 신청 마감 시간이 도래하는 공실을, 대실불가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공실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20)는 상기 공실 리스트 내 공실을 예약 선택하는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결제 화면을 표시한다.
일례로, 결제 처리부(22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공실 리스트에서 공실('101호')에 대한 예약이 선택되면, 공실의 이용 요금('3만원')을 전액 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결제 처리부(220)는 제1 이용자 단말의 결제 방식 선택에 따라, 일부 금액 만을 선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결제 처리부(220)는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이용 요금 중 일부 금액이 선결제되는 경우, 상기 이용 요금에서 상기 일부 금액을 차감한 잔여 금액에 대한 결제 화면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부(220)는 결제 방식 선택 화면(430)을 통해 제1 이용자 단말에게 '전액 결제' 및 '일부 금액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방식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전액 결제'가 선택될 경우, 결제 처리부(22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요청된 현금카드, 체크카드, 신용카드, 계좌이체, 무통장입금, 포인트, 마일리지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통해 이용 요금을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일부 금액 선결제'가 선택될 경우, 결제 처리부(220)는 공실에 할당된 이용 시간('3시간') 내에서, 예컨대 30분 단위로 시간을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택된 시간('1시간')에 해당하는 일부 금액('1만원')을 선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후, 결제 처리부(22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선결제된 일부 금액을 제외한 잔여 금액('2만원')에 대한 후 결제를 요청하는 후결제 화면(430)을, 제2 이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이용자 단말은, 제1 이용자 단말의 초대에 응하려는 경우, 후결제 화면(440)에서 잔여 금액을 결제 함으로써 해당 공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후결제 화면(440)은 제2 이용자 단말에게 공실로의 입실을 초대하기 위한 일종의 초대 화면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결제 화면에서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한다.
즉, 제어부(23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상기 공실에 대한 방장 권한을 부여하여, 제2 이용자 단말을, 숙박업소의 일행으로 초대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제공부(210)를 통해, 제1 이용자 단말에,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회원가입 아이디 및 대화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공부(210)는 공실을 예약 선택한 제1 이용자 단말로 예약 완료 화면(410)을 통해 숙박업소의 예약 완료를 안내하고, 일행 등록(401)이 요청되면,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일행 등록 화면(4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된 전화번호('010-1112-3511')로 검색한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 '01011123511'의 끝 네자리 '3511'을, 상기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공실의 이용 요금이 전액 결제 또는 일부 금액이 선결제 됨에 따라, 제1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패스워드)로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제1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 '01011123500'의 끝 네자리 '3500'를, 잠금 장치의 개방을 위한 키 정보로 유지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20)는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이용 요금 중 일부 금액이 선결제되는 경우, 상기 이용 요금에서 상기 일부 금액을 차감한 잔여 금액에 대한 결제 화면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제공부(210)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잔여 금액이 결제되면,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부(22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선결제된 일부 금액을 제외한 잔여 금액('2만원')의 후 결제를 요청하는 후결제 화면(430)을 제2 이용자 단말에 표시하여 제2 이용자 단말을 초대할 수 있다. 제공부(210)는 제1 이용자 단말의 초대에 응하려는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후결제 화면(440)에서 잔여 금액이 결제되면, 제2 이용자 단말로, 잠금 장치에 대해 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제한된 시간('30분') 이내에 제한된 횟수('1회')로 한해, 상기 키 정보를 잠금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이용자 단말의 공실로의 입실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30)는 제1 이용자 단말과 그 일행인 제2 이용자 단말이 동시에 입실하지 않더라도, 각자의 단말기를 일종의 열쇠나 출입키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자가 원하는 시간에 해당 공실에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이용자 단말은, 함께 공실을 이용하려는 제2 이용자 단말을, 공실로의 입실 전에 지정(초대)할 수도 있고, 입실한 이후에도,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실에 설정된 정원 내에서 별도의 요금 결제 없이 추가적으로 지정하거나, 또는 정원 초과 요금의 결제를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을 계속해서 지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30)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제2 이용자 단말이 추가로 지정되는 경우, 추가로 지정되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제공부(210)는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면, 숙박업소 위치, 공실 위치, 주차 위치 및 숙박업소 현관에서 공실까지의 내부 동선 중 적어도 하나의 안내 정보를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용자 단말은, 공실에 대한 호실이나 위치 등을 전화 또는 메시지로 제2 이용자 단말에 번거롭게 전달하지 않아도 되고, 제2 이용자 단말은 안내 정보를 통해, 초대된 숙박업소 공실로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숙박업소에 보유되는 공실 별로, 각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를, 방장 권한이 부여되는 제1 이용자 단말과,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제2 이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로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는, 해당 공실을 함께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의 수에 비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 정보로 유지되는 단말 정보의 수가, 상기 공실에 설정된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 결제 처리부(220)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초과 인원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결제 처리부(220)는 공실의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슈렉')에 의해 제2 이용자 단말('피오나')이 초대된 상태에서, 일행 추가 화면(610)을 통해 다른 제2 이용자 단말('장화신은고양이')이 정원(2명)을 초과하여 추가로 초대되는 경우, 정원 초과된 해당 제2 이용자 단말('장화신은고양이')에게 정원 초과에 따른 초과 요금 결제를 요청하고, 초과 요금 결제 시 해당 공실로의 입실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처리부(220)는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슈렉')에게 추가 요금 결제 화면(620)을 표시 함으로써, 방장에게 초과 요금 결제를 요청하거나, 방장이 지정한 다른 제2 이용자 단말('피오나')에게 초과 요금을 결제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상기 잠금 장치에 근접 함에 따라,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상기 잠금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잠금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과 그 일행인 제2 이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공실의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로 유지하고, 상기 키 정보를 해당 숙박업소에서 운영하는 숙박업소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숙박업소 서버는 숙박업소의 층마다 설치된 무선통신 안테나를 통해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예컨대, 도어락 장치)로, 상기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제1 이용자 단말 및 제2 이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정보가 상기 전송된 키 정보에 포함되면, 잠금 해제하여 이용자 단말의 입실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결제 완료 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키오스크 단말기에 근접 함에 따라,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잠금 장치를 개방 가능한 열쇠를 지급하도록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 단말기는 패스워드 수동 입력 또는 단말기 근접을 통해 무인으로 공실 열쇠를 지급하는 열쇠 지급기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은 제1 이용자 단말과 다른 시간에 공실에 입실 시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에 물어보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해당 공실에 입실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230)는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같은 공실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자의 단말기를 일종의 열쇠나 출입키로서 사용하여 각자가 원하는 시간에 해당 공실에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숙박업소 별로 설정된 카운팅 방식에 따라, 상기 공실에 할당된 이용 시간을 차감하여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을 카운팅 할 수 있다. 제공부(210)는 카운팅되는 상기 사용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운팅 방식은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결제 시점(전액 결제 시점 또는 선결제 시점), 제1 이용자 단말 또는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한 잠금 장치의 최초 개방 시점 및 숙박업소로부터 설정된 이격 거리 이내로의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의 진입 시점 중 적어도 하나로, 숙박업소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제공부(210)는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이 일정 시간 이내(예, '만료 시각으로부터 30분 전')이면, 제1 이용자 단말 또는 제2 이용자 단말에,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대실 만료 예정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210)는 상기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 대신에, 제1 이용자 단말 또는 제2 이용자 단말에서 진동 또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여, 대실 만료 예정을 안내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제1 이용자 단말 및 제2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의해, 공실에 대한 추가 요금이 결제되면, 결제된 추가 요금에 상응하는 시간 만큼, 상기 단말 정보를 더 유지하여,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을 연장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210)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공실에 대한 추가 요금 결제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이용자 단말로 결제 진행 메시지를 출력하여, 동시 결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제공부(210)는 공실에 입실한 제1 이용자 단말과 제2 이용자 단말에게, 이용 중인 공실의 사용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구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공실의 대실 만료 시각으로부터 '30분 전'이 되면,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710)를 각 이용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710)를 확인한 이용자 단말 중에서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1시간 연장'이 요청되어 추가 요금이 결제되면, 제어부(230)는 현재 공실의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 유지된 제1 및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연장된 시간 만큼 더 유지할 수 있다.
제공부(210)는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710)를 확인한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서 공실의 시간 연장을 위한 추가 요금 결제가 진행되면, 연장 알림 화면(720)과 같이 결제 진행 메시지를 나머지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여, 다른 이용자 단말에서의 동시 결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부(220)는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제2 이용자 단말에게 추가 요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제2 이용자 단말에서 퇴실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이용자 단말의 탈퇴 명령에 따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잠금 장치를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의 퇴실을 감지하거나, 제2 이용자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퇴실 버튼이 선택되면, 제2 이용자 단말의 퇴실 요청을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에게 안내하고, 제1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탈퇴 명령의 수신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에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되는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01011123511')를 제거하여, 제2 이용자 단말의 재입실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제1 이용자 단말로부터 탈퇴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 이용자 단말에 대해 일시적인 퇴실로 판단하고, 공실의 사용 잔여 시간 동안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방장 권한이 부여된 제1 이용자 단말에서 퇴실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이용자 단말에 부여된 방장 권한을, 제2 이용자 단말로 이전시키고, 제2 이용자 단말의 탈퇴 명령에 따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되는 제1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인 이상의 이용자들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 시, 숙박업소를 예약한 이용자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일행으로 등록된 다른 이용자들도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 간에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분할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숙박업소의 모바일 예약 및 결제 시 숙박업소 이용료에 대한 결제자를 복수로 지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숙박업소의 기본적인 이용 요금 뿐만 아니라 숙박업소의 이용 중 발생될 수 있는 부가적인 요금에 대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나눠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숙박업소를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일행으로 등록된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숙박업소 이용을 위한 키 정보로 유지 함으로써, 시간 차를 두고 숙박업소에 입실하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게 하고, 숙박업소의 호실, 위치 등의 안내 정보를 일행들에게 별도로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숙박업소를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에게 방장 권한을 부여 함으로써,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을 숙박업소의 일행으로 초대하거나, 탈퇴 명령을 통해 초대된 제2 이용자 단말을 퇴실 처리하여,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다수의 이용자 단말들의 자유로운 입실과 퇴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공실 조회를 요청하는 제1 이용자 단말의 현 위치(301)와 같은 지역 범위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하는 숙박업소 A, B, C를 맵(302) 상에 표시하고,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숙박업소 A에 대한 공실 리스트(303)를, 맵(302)과 연관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말풍선과 같은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맵(302) 상의 각 숙박업소에 대해, 예약과 결제 가능 여부를 알림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현 위치(301)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예컨대, 숙박업소 건물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거리)를 초과하여 예약만 가능한 숙박업소 A에 대해, '예약 가능'으로 표시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현 위치(301)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서 예약과 결제가 모두 가능한 숙박업소 B에 대해, '예약 및 결제 가능'으로 표시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예약과 결제가 동시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숙박업소의 경우, 이격 거리와 무관하게 '예약 및 결제 동시 수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숙박업소 별로 예약만 가능한 곳, 예약과 결제 모두 가능한 곳, 예약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곳을 구분해서 제1 이용자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공실 리스트(303)에서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공실('101호')의 예약(304) 선택되면, 해당 공실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일행 등록 및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공실이 예약 선택되면 예약 완료 화면(410)을 통해 숙박업소의 예약 완료를 안내하고, 예약 완료 화면(410)에서 일행 등록(401)이 요청되면,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일행 등록 화면(420)을 제1 이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공실을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에게 상기 공실에 대한 방장 권한을 부여하고,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숙박업소의 일행으로 초대할 제2 이용자 단말을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일행 등록 화면(420) 내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010-1112-3511')로 제2 이용자 단말('닉네임: 피오나')을 검색하고,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 '01011123511'의 끝 네자리 '3511'을,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일행 등록 화면(420)에서 추가 등록(402)이 선택되면, 공실에 설정된 정원('2명')의 초과 및 1인당 초과 요금을 제1 이용자 단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예약 완료 화면(410)에서 결제 진행(402)이 선택되면, 결제 방식 선택 화면(430)을 통해 제1 이용자 단말에게 '전액 결제' 및 '일부 금액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방식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일부 금액 선결제'가 선택될 경우, 공실에 할당된 이용 시간('3시간') 내에서, 예컨대 30분 단위로 시간을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택된 시간('1시간')에 해당하는 일부 금액('1만원')을 선결제 처리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선결제된 일부 금액을 제외한 잔여 금액('2만원')에 대한 후 결제를 요청하는 후결제 화면(430)을 제2 이용자 단말에 표시하여 제2 이용자 단말을 공실에 초대할 수 있다. 즉, 후결제 화면(440)은 제2 이용자 단말에게 공실로의 입실을 초대하기 위한 일종의 초대 화면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제1 이용자 단말의 초대에 응하려는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후결제 화면(440)에서 잔여 금액이 결제되면, 제2 이용자 단말로,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를 제공하여, 제한된 시간('30분') 이내에 제한된 횟수('1회')에 한해, 상기 키 정보를 잠금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이용자 단말의 공실로의 입실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키 정보는 임시로 발급되는 일회용 키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인 이상의 이용자들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 시, 숙박업소를 예약한 이용자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일행으로 등록된 다른 이용자들도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 간에 숙박업소 이용료를 손쉽게 분할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공실 별로 키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숙박업소에 보유되는 공실 별로, 각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에 대한 키 정보(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유지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방장 권한이 부여되는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제2 이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전화번호) 또는 단말 정보 중 끝 네자리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 정보는, 해당 공실을 함께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의 수에 비례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유지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공실의 출입문에 설치된 잠금 장치를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의 퇴실을 감지하거나, 제2 이용자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퇴실 버튼이 선택되면,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에게 제2 이용자 단말의 퇴실 요청을 안내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제1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탈퇴 명령의 수신에 따라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01011123511')를 제거하여, 제2 이용자 단말의 재입실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제1 이용자 단말로부터 탈퇴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 이용자 단말에 대해 일시적인 퇴실로 판단하고, 공실의 사용 잔여 시간 동안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이용자 단말과 그 일행인 제2 이용자 단말은 동시에 입실하지 않더라도, 각자의 단말기를 일종의 열쇠나 출입키로서 사용하여, 각자가 원하는 시간에 해당 공실에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으며, 제1 이용자 단말에서 숙박업소의 호실, 위치 등의 안내 정보를 일행들에게 별도로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정원 초과에 따라 초과 요금을 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일행 추가 화면(610)에서 공실의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슈렉')에 의해, 제2 이용자 단말('장화신은고양이')의 추가 등록이 요청될 경우, 공실에 설정된 정원 초과 및 1인당 초과 요금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추가 요금 결제 화면(620)을 통해 정원 초과된 해당 제2 이용자 단말('장화신은고양이')에게 정원 초과에 따른 초과 요금 결제를 요청하여, 공실로의 입실을 초대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초과 요금이 결제되면, 제2 이용자 단말로 임시적인 키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키 정보로서 유지하여, 제2 이용자 단말이 해당 공실로 입실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추가 요금 결제 화면(620)을 통해 방장인 제1 이용자 단말에게 직접 초과 요금을 결제하도록 하거나, 초과 요금의 결제 대상('피오나')을 지정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공실 이용 시간 연장을 위한 추가 요금을 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제1 이용자 단말과 제2 이용자 단말에게, 이용 중인 공실의 사용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구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공실의 대실 만료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30분' 이전이 되면,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710)를 각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여, 만료 예정을 알림할 수 있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710)를 확인한 제1 및 제2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서 '1시간 연장'이 요청되어 추가 요금이 결제되면, 현재 유지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제1 및 제2 이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연장된 시간 만큼 더 유지할 수 있다.
즉,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각 이용자 단말로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710)를 전송하여, 공실을 예약한 제1 이용자 단말 뿐만 아니라, 제1 이용자 단말의 일행으로 초대된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서도 공실을 연장 신청과 추가 요금 결제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710)를 확인한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서 공실의 시간 연장을 위한 추가 요금 결제가 진행되면, 연장 알림 화면(720)과 같이 결제 진행 메시지를 나머지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여, 다른 이용자 단말에서의 동시 결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은 연장을 신청한 이용자 단말과 연장된 시간, 연장에 따른 대실 만료 시간을 재안내하고, 방장에게는 연장 취소를 신청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은 상술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출력한다.
일례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회원으로 가입된 각 숙박업소 서버에서 운영되는 방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숙박업소 별로 공실 이용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이용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조건에 부합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제1 이용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상기 공실 리스트 내 공실을 예약 선택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결제 화면을 표시한다.
일례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공실의 이용 요금을 전액 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고, 제1 이용자 단말의 결제 방식 선택에 따라, 일부 금액 만을 선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1 이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공실에 할당된 이용 시간('3시간') 내에서 예컨대 '30분' 단위로 선택된 시간에 해당하는 일부 금액을 선결제하는 결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840)에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한다.
일례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 됨에 따라,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01011123511')를,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제1 이용자 단말은 방장 권한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회원가입 아이디 및 대화명(닉네임)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통해 제2 이용자 단말을 자신이 예약한 공실의 일행으로 손쉽게 지정(초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숙박업소 이용 요금의 일부 금액이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선결제되면, 제2 이용자 단말에게 잔여 금액의 후결제를 요청하여, 제2 이용자 단말을, 공실의 일행으로 간편하게 초대하도록 할 수 있고, 잔여 금액의 후결제를 통해 제1 이용자 단말의 초대에 응하는 제2 이용자 단말을 상기 공실의 일행으로 지정,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숙박업소를 함께 이용하는 제1 및 제2 이용자 단말들은 숙박업소 이용 요금을 편리하게 분할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제1 이용자 단말 및 제2 이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잠금 장치에 근접 함에 따라,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잠금 장치로 전송되면, 잠금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200)은 제1 이용자 단말 및 제2 이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숙박업소의 현관 주출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에 근접 함에 따라,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잠금 장치를 개방 가능한 열쇠를 지급하도록 키오스크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각 이용자 단말에서 NFC, 블루투스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약자인 제1 이용자 단말과 일행으로 등록된 제2 이용자 단말은 공실에 동시에 입실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각자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잠금 장치의 해제를 위한 키로서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실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210: 제공부
220: 결제 처리부
230: 제어부
240: 데이터베이스

Claims (20)

  1.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공실 리스트 내 공실을 예약 선택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이용 요금 중 일부 금액이 선결제되는 경우,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이용 요금에서 상기 일부 금액을 차감한 잔여 금액에 대한 결제 화면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잔여 금액이 결제되어,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완료 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상기 잠금 장치에 근접 함에 따라,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상기 잠금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잠금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완료 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키오스크 단말기에 근접 함에 따라,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잠금 장치를 개방 가능한 열쇠를 지급하도록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이 일정 시간 이내이면,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공실에 대한 추가 요금이 결제되면, 결제된 추가 요금에 상응하는 시간 만큼, 상기 단말 정보를 더 유지하여,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을 연장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공실에 대한 추가 요금 결제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로 결제 진행 메시지를 출력하여, 동시 결제를 방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로 유지되는 단말 정보의 수가, 상기 공실에 설정된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초과 인원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상기 공실에 대한 방장 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출입자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회원가입 아이디 및 대화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제2 이용자 단말이 추가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추가로 지정되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서 퇴실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의 탈퇴 명령에 따라,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되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서 퇴실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부여된 방장 권한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이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의 탈퇴 명령에 따라,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결제 시점과 상기 잠금 장치의 개방 시점 및 숙박업소로부터 설정된 이격 거리 이내로의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의 진입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숙박업소 별로 설정된 카운팅 방식에 따라, 상기 공실에 할당된 이용 시간을 차감하여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카운팅되는 상기 사용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숙박업소 위치, 공실 위치, 주차 위치 및 숙박업소 현관에서 공실까지의 내부 동선 중 적어도 하나의 안내 정보를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의 현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숙박업소를 맵 상에 표시하고, 선택되는 숙박업소에 대한 공실 리스트를, 상기 맵과 연관시켜 출력하는 단계로서,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숙박업소에 대해, '예약 및 결제 가능'으로 표시하고,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를 초과하는 숙박업소에 대해, '예약 가능'으로 표시하며, 설정된 숙박업소에 대해 이격 거리와 무관하게 '예약 및 결제 동시 수행'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15.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숙박업소 별 공실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공부;
    상기 공실 리스트 내 공실을 예약 선택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대해, 결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결제 화면에서, 상기 공실에 대한 이용 요금 중 일부 금액이 선결제되는 경우, 상기 이용 요금에서 상기 일부 금액을 차감한 잔여 금액에 대한 결제 화면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이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잔여 금액이 결제되어, 상기 공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상기 공실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키 정보로서 유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키 정보를 제공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완료 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상기 잠금 장치에 근접 함에 따라,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이 갖는 단말 정보가 상기 잠금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잠금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이 일정 시간 이내이면,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에,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실 만료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공실에 대한 추가 요금이 결제되면, 결제된 추가 요금에 상응하는 시간 만큼, 상기 단말 정보를 더 유지하여, 상기 공실에 대한 사용 잔여 시간을 연장 조정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로 유지되는 단말 정보의 수가, 상기 공실에 설정된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초과 인원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서 퇴실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부여된 방장 권한을, 상기 제2 이용자 단말로 이전시키고,
    상기 제2 이용자 단말의 탈퇴 명령에 따라,
    상기 키 정보로서 유지되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관한 단말 정보를 제거하는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KR1020160141784A 2016-10-28 2016-10-28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KR10177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784A KR101772342B1 (ko) 2016-10-28 2016-10-28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784A KR101772342B1 (ko) 2016-10-28 2016-10-28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342B1 true KR101772342B1 (ko) 2017-08-29

Family

ID=5976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784A KR101772342B1 (ko) 2016-10-28 2016-10-28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3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13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다자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31155A (ko) 2020-04-23 2021-11-02 박성진 지역화폐 기반 숙박업소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736B1 (ko) * 2022-04-12 2023-06-23 주식회사 우아한 민족 출입 장치에 대한 임시 입장 코드 발급에 따른 공간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664347B1 (ko) * 2023-03-02 2024-05-30 주식회사 아이호미 임대/렌탈 시설의 스마트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3864A (ja) * 2014-09-04 2016-04-14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認証制御方法
KR101651377B1 (ko) * 2015-11-20 2016-08-25 김동수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3864A (ja) * 2014-09-04 2016-04-14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認証制御方法
KR101651377B1 (ko) * 2015-11-20 2016-08-25 김동수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13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다자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55923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다자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2276B1 (ko) * 2017-11-16 2019-10-21 주식회사 다자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31155A (ko) 2020-04-23 2021-11-02 박성진 지역화폐 기반 숙박업소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736B1 (ko) * 2022-04-12 2023-06-23 주식회사 우아한 민족 출입 장치에 대한 임시 입장 코드 발급에 따른 공간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664347B1 (ko) * 2023-03-02 2024-05-30 주식회사 아이호미 임대/렌탈 시설의 스마트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5531B1 (en) Facility and resource access system
US10943420B1 (en) Facility and resource access system
JP6319781B1 (ja) コインロッカーシステム
US20120130891A1 (en) Method of processing a transaction for a parking session
JP2021166068A (ja) 施設管理装置、施設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51377B1 (ko)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72342B1 (ko)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JP2019120982A (ja) 駐車場貸出し・管理システム
KR101513172B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사전예약 시스템
JP2002183565A (ja)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施設管理方法
KR20190141818A (ko) 합승자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253927A1 (en) Pay-by-the-hour facility
KR20170132105A (ko) 사전 예약에 의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150107073A (ko) 무인 객실용 시간제 요금 관리 시스템
CN114746877A (zh) 计时出租设备
US202102012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057742B2 (ja) ロッカー管理装置、及びロッカー管理方法
JP2021067073A (ja) 情報処理装置
JP7312361B2 (ja) 他社予約駐車場へ自社管理駐車場を開放するシステム
JP6839878B1 (ja) 時刻登録システム及び料金システム
WO2018169127A1 (ko) 고객 맞춤형 승차권 예매 관리 및 ts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371280B2 (ja) 入出場管理装置および入出場管理システム
KR20170115981A (ko) 주차장 공유를 위한 인센티브 사이버 머니 운영방법
KR102437938B1 (ko) 서비스 접근 권한에 따라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
KR20220045465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