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082B1 -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82B1
KR101772082B1 KR1020110063162A KR20110063162A KR101772082B1 KR 101772082 B1 KR101772082 B1 KR 101772082B1 KR 1020110063162 A KR1020110063162 A KR 1020110063162A KR 20110063162 A KR20110063162 A KR 20110063162A KR 101772082 B1 KR101772082 B1 KR 10177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ylinder
movable
magnetic field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113A (ko
Inventor
김근주
이동수
박승철
장재혁
채교순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F16F13/3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fluid viscosity, e.g. of magnetic or electrorheological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고정자석; 상기 피스톤에 가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자석;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내면과 접촉가능한 마찰부재; 및 상기 피스톤에 구비되고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자기장상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면 측으로 가압 접촉되어 마찰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으로의 전류 인가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면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LEG ASSEMBLY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의 레그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세탁기와 지면과의 갭(gap)을 없애주고, 지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효율적으로 조절 가능한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의류 등을 세척하는 기구로,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한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의류 등의 세척물은 상기 드럼에 수용된 후 세척수 및 세제 등을 투입하여 드럼 및 드럼에 구비된 펄세이터의 회전력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다.
세탁기의 본체는 지면에 놓여지지만 지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본체 하부에 구비된 레그에 의해 지면과 접촉한다. 일반적으로 레그(leg)는 세탁기 본체 하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그는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세탁기 본체가 지면과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한다. 특히 드럼세탁기 같은 경우는 드럼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 자체의 하중에 의해 회전시 진동이 상당히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은 세탁기 본체와 레그를 통해 지면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기가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면, 즉 4개의 레그 중 하나가 지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지면에 전달되는 진동은 상당하게 되어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나아가 세탁기가 이동되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세탁기 레그의 경우 적어도 하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세탁기를 초기에 설치할 때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레그를 조절하여 4개의 레그가 지면과 모두 접촉되도록 하고, 4개의 레그에 하중이 고르게 분배되도록 한다.
기존의 레그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나사형태의 고정형 레그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고정형 레그는 설치시에 조절된 높이가 고정되어 추후 세탁기의 진동에 의해 세탁기의 위치가 변동될 경우 다시 레그를 조절해야 한다. 또한, 나사를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나아가, 고정형 레그의 경우 지면으로 전달되는 세탁기의 진동과 소음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오토레그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토레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오토레그는 세탁기 본체(7)의 바닥면(7a)에 결합되는 원통형 실린더(1),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3),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지면과 접촉하는 레그(2), 실린더 내부에서 레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레그캡(4) 또는 피스톤헤드, 레그캡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레그가 상하 운동할 때 진동을 흡수하는 마찰부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그(2)는 지면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하단부가 평평한 바닥면(2a)을 구비하고, 바닥면은 레그 베이스(6)로 둘러싸여 지면(8)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의 상부에는 내부의 기밀을 위한 실린더캡(9)이 결합된다.
이러한 오토레그는 세탁기의 자중이나 진동에 의하여 세탁기 본체가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레그는 지면과의 접촉이 자동적으로 유지되어 세탁기와 지면과의 수평이 유지된다. 또한 세탁기의 진동이 전달되면 세탁기 본체의 하강이나 상승에 의한 실린더(1)의 레그(2)에 대한 상대운동을 마찰부재(5)가 실린더의 내측면과의 마찰에 의해 방지하여 지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3)의 진동을 마찰부재(5)가 흡수한다.
오토레그는 초기 설치시에 하중에 의해 레그가 압착되도록 가능한 작은 마찰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되는 것이 좋고, 설치 후에는 레그의 이동이 없도록 가능한 큰 마찰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종래의 오토레그는 마찰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이 변화되지 않고 일정한 마찰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그에 따라 초기 설치 시 설계치보다 높은 하중이 오토레그에 부과된다.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오토레그에 부과되는 하중을 보여준다. 도 2를 참고하면, 4개의 레그에 고르게 하중이 분산되면 오토레그에 부과되는 하중은 스프링이 변위(D0-D1)되었을 때 이론적으로 W1이 되어야 하지만, 마찰부재의 마찰력에 초기 설치시 부과되는 마찰력에 의해 실제 오토레그에 부과되는 하중은 W2가 된다. 따라서, 4개의 레그에 고르게 하중이 부과되어야 세탁기와 지면의 수평유지와 효율적으로 소음과 진동 흡수가 가능한데, 불균일한 하중 부과에 의해 원하는 효과가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토레그에 구비되는 마찰부재의 마찰력이 세탁기의 상태에 따라 변화 가능하여 레그에 하중이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소음 진동 흡수가 가능한 세탁기 레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고정자석; 상기 피스톤에 가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자석;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 접촉가능한 마찰부재; 및 상기 피스톤에 구비되고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자기장상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주면 측으로 가압 접촉되어 마찰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으로의 전류 인가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으로 전류의 인가시에만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전류의 인가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이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내경측에 구비되어,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고정자석; 상기 피스톤에 가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자석;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 접촉가능한 마찰부재; 상기 실린더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자기장상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주면 측으로 가압 접촉되어 마찰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의 장착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의 상기 실린더 외주면에 장착시에만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영구자석이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외경측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양단부가 돌출되고,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보다 큰 자성체이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의 외경측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을 상기 실린더에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은 상호 반대극성이 마주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어 상호 인력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측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단면이 쐐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경사부는 상기 고정자석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경사부는 상기 가동자석측에 구비되어 일체로 가동가능하며, 상기 고정경사부와 상기 가동경사부는 상호 경사면이 마주하되, 상기 실린더 내주면 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상기 실린더 내부에 탄성력을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세탁기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세탁기의 초기 설치시에는 자기장상쇄수단에 의해 마찰부재의 마찰력에 의한 레그에 부과되는 하중을 없도록 하고, 그에 따라 세탁기의 4개의 레그에 고르게 하중이 부과되도록 하여 세탁기가 지면과 수평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세탁기의 초기 설치 후에는 영구자석에 의한 인력에 의해 마찰부재가 가압되어 실린더 내벽과 마찰력을 발생하고, 마찰부재에 의해 레그의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하게 된다. 그에 따라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맞추어 레그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마찰부재가 발생하는 마찰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에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전류를 인가하거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자기장을 형성하여 마찰부재가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초기 설치 후 고정된 레그는 추가적인 전력소모가 없이도 요구되는 감쇠력을 형성할 수 있고, 추가적인 작업이 없이도 효율적으로 감쇠력을 형성할 수 있어서, 세탁기의 전력소모 및 비용을 줄이고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세탁기의 레그에 부과되는 하중 분포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자기장상쇄수단이 장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그 어셈블리가 사용되는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과, 상기 케비넷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의류 등의 세척물은 상기 드럼에 수용된 후 세척수 및 세제 등을 투입하여 드럼 및 드럼에 구비된 펄세이터의 회전력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탁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탁기의 케비넷은 지면에 놓여지지만, 지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본체 하부에 구비된 레그에 의해 지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세탁기의 레그(leg)는 세탁기 본체 하부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 중 적어도 하나의 레그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레그 어셈블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탁기 레그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는 실린더(10)와 피스톤(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0)는 레그 어셈블리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원통형 중공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실린더의 상측부에는 실린더의 개구를 덮는 실린더 캡(11)이 결합된다. 다만, 상기 실린더의 상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 캡(11)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실린더의 하부에는 지면을 향해 형성된 레그결합공(13)이 구비된다. 레그결합공(13)에는 후술할 레그(3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0)는 세탁기 케비넷의 하부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레그 어셈블리는 세탁기 본체인 케비넷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레그 어셈블리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오토레그는 일반적으로 네 모서리 중 1개에 장착된다. 하지만, 2개 이상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되듯이 코일스프링(80)과, 실린더 내부를 상하운동하는 피스톤(20) 및 레그(30) 등이 수용된다.
코일스프링(70)은 도 3에 도시되듯이, 실린더 캡(11)과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20)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실린더 캡(11)은 코일스프링이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실린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코일 스프링의 중심부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80)는 상기 레그와 지면과의 접촉을 유지시킨다. 즉,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레그에 전달하여 레그가 지면과 접촉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에 따라 후술할 피스톤에 장착될 자기장상쇄수단(70)에 의해 마찰부재(60)가 저항력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 레그(30)의 길이를 별도로 조절하지 않더라도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세탁기의 수평이 조절되어 유지된다.
상기 레그(30)는 일단이 지면(100)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하이동 가능하다는 것은, 실린더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레그는 지면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레그(30)는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상부는 실린더의 레그결합공(13)을 통해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단이 피스톤(20)에 결합되어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80)의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레그의 하부는 지면(100)과 접촉하며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데, 지면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접촉면적을 넓혀 주는 평탄부(31)와 평탄부를 감싸는 보호커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0)은 원기둥 또는 디스크 형태의 구성으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상하 운동을 하며, 레그(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레그(30)와 일체로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하운동을 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20)의 상하운동은 실린더(10)에 대한 상대운동을 말한다. 즉,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지면에 대해 피스톤(20)은 운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세탁기의 진동에 의해 세탁기 케비넷에 연결된 실린더가 운동을 하게 되면, 실린더에 대하여 피스톤은 상대운동을 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는 세탁기의 진동을 탄성 에너지로 축적할 코일스프링이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20)은 피스톤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고정자석(40)과, 피스톤에 가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자석(50) 및 자기장상쇄수단(70)을 포함하고 있다. 도 3과 도 4는 피스톤에 구비되는 고정자석과 가동자석을 보여준다.
상기 고정자석(40)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두 개의 극성(N극과 S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상기 피스톤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고정자석을 피스톤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에는 안착홈(23)이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고정자석(40)의 하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고정경사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경사부(21)는 피스톤에 대해서 고정적인 위치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경사부(21)의 경사면은 가동자석(50) 방향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내주면(12)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고정자석(40)은 상기 피스톤이 원기둥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고리(ring) 형태의 자석으로 구성되어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다. 또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기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할 가동자석(50)도 복수개가 구비되고 고정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격되게 장착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자석(40)은 도 4에 도시되듯이 상기 레그의 축방향을 따라 NS극이 배열되도록 장착된다. 다만, 상기 NS극의 상하위치 4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과 다르게 S극이 상부로 배치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가동자석(50)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두 개의 극성(N극과 S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피스톤에 가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동자석(50)이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활주면(24)이 형성된다. 상기 활주면(24)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단순한 곡면 또는 안내홈(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가동자석의 상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가동경사부(22)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경사부(22)는 상기 가동자석(50)과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상기 피스톤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동경사부(21)의 경사면은 상기 고정자석(40) 방향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내주면(12) 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경사부(21)와 가동경사부(22)는 도 4와 같이 상호 경사면이 마주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실린더 내주면 측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가동경사부(22)가 상기 고정경사부(21)측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가동경사부의 이동에 의해 점차 줄어들거나 증가될 것이다.
상기 가동자석(50)은 상기 피스톤이 원기둥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고리(ring) 형태의 자석으로 구성되어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기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고정자석(40)과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이격되어 장착되어야 한다.
상기 가동자석(50)은 도 4에 도시되듯이 상기 레그의 축방향을 따라 NS극이 배열되도록 장착된다. 다만,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자석(40)과 상기 가동자석(50)은 상호 반대극성이 마주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어 상호 인력을 형성하여야 한다. 도 4에서는 고정자석의 S극과 가동자석의 N극이 서로 마주하고 있어서 고정자석과 가동자석은 인력을 작용한다. 그에 따라 도 4와 같은 가동경사부(22)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20)과 상기 실린더 내주면(12) 사이에는 마찰부재(60)가 구비된다. 도 4는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서 구비되고 작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마찰부재(60)는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 접촉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자석측의 고정경사부(21)와 가동자석측의 가동경사부(22)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마찰부재(60)는 부직포 등의 팰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기 때문에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피스톤의 외주면(고정경사면과 가동경사면 사이)과 실린더의 내주면(12)에 압착되고 밀착되어 마찰력을 형성한다.
도 4는 (a)는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의 인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마찰부재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4의 (a)와 같은 상태는 후술할 자기장상쇄수단(70)에 의해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이 상쇄된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마찰부재는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에 의해 가압되지 않아서 실린더의 내주면(12)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4의 (b)는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의 인력에 의해 영향 받은 상태에서의 마찰부재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4의 (b)와 같은 상태는 후술할 자기장상쇄수단(70)이 작용하지 않아서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마찰부재(60)는 도 4의 (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에 의해 가압된다. 그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는 도 4의 (b)와 같이 실린더 내주면 측으로 이동 또는 가압되어 실린더 내주면(12)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60)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측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단면이 쐐기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의 경사면들과 대응하도록 마찰부재에 경사면들이 형성되어 쐐기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가 자석들 사이의 인력에 의해 이동되면, 경사면들끼리 상호 접촉되어 마찰부재가 실린더 내주면 측으로 밀려가게 된다.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0)은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피스톤(20)에 구비된다.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0)은 전류의 인가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내경 또는 레그의 외경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한다.
도 5는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이 상기 피스톤에 구비되는 위치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보여준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내경측에 구비된다.
도 5의 (a)는 자기장상쇄수단인 솔레노이드 코일이 상기 피스톤의 내경측에 중에서 고정자석측에 구비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고정자석(40)의 자기장을 상쇄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고정자석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부재를 가압하여서는 안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0)에 의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즉, 도 5의 (a)에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측은 N극이 가동자석측을 향하도록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5의 (b)는 자기장상쇄수단인 솔레노이드 코일이 상기 피스톤의 내경측에 중에서 가동자석측에 구비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가동자석(50)의 자기장을 상쇄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동자석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의 (b)에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에 의해 상기 가동자석측은 S극이 고정자석측을 향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여 척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도 5의 (c)는 자기장상쇄수단인 솔레노이드 코일이 상기 피스톤의 내경측에 중에서 고정자석측과 가동자석측 모두에 구비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고정자석(40)과 가동자석(50)의 자기장을 상쇄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0)에 전류가 인가되면 각각의 대응되는 자석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도 5에 예시된 실시예들은 자기장상쇄수단(70)에 의해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에 따라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으로의 전류 인가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이 상쇄되어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마찰력을 형성하지 않는다. 즉,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으로 전류의 인가시에만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도 4의 (a)와 같이 실린더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는 실린더(10)와 피스톤(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상기 실린더(10)와 피스톤(20)에 대하여 상기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자기장상쇄수단(71)은 상기 실린더 외주면(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6의 (a)는 이러한 자기장상쇄수단(71)이 실린더 외주면(13)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6의 (b)는 자기장상쇄수단(71)이 실린더 외주면(13)에서 탈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에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1)은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1)은 상기 실린더 외주면(13)에서 상기 가동자석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영구자석의 극성은 상기 가동자석과는 반대가 되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즉, 도 6의 (a)에서 가동자석은 N극이 위로 S극이 아래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의 영구자석은 N극이 아래로 S극이 위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자기장상쇄수단(71)과 가동자석(5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가동자석(50)은 보다 가까운 자기장상쇄수단(71)측에 영향을 받아 상기 마찰부재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의 (b)에서 자기장상쇄수단(71)은 실린더 외주면(13)에서 탈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자석(40)과 가동자석(5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서 마찰부재가 가압되고, 마찰부재와 실린더 내주면의 접촉에 의해 마찰력 또는 감쇠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1)인 영구자석은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외경측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1)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 볼트결합이나 후크결합에 의해 도 6의 (a)와 같이 실린더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을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실린더 외주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60)는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의 상기 실린더 외주면에 장착시에만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상기 실린더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도 6의 (b)와 같이 실린더 내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실린더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자기장상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2)은 몸체가 되는 중심부(72a)의 양단부(72b)가 돌출되고, 양단부(71b)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보다 큰 자성체로 구성된다. 이는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에 형성될 자기장의 경로를 별도로 형성하여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에 직접적인 인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자기장상쇄수단(72)인 자성체는 도 7과 같이 양단부(72b)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의 외경측에 부착된다. 그에 따라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직접적인 인력을 상쇄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세탁기의 초기 설치시에는 자기장상쇄수단에 의해 마찰부재의 마찰력에 의한 레그에 부과되는 하중을 없도록 하고, 그에 따라 세탁기의 4개의 레그에 고르게 하중이 부과되도록 하여 세탁기가 지면과 수평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세탁기의 초기 설치 후에는 영구자석에 의한 인력에 의해 마찰부재가 가압되어 실린더 내주면과 마찰력을 발생하고, 마찰부재에 의해 레그의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하게 된다. 그에 따라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맞추어 레그 어셈블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마찰부재가 발생하는 마찰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 어셈블리에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전류를 인가하거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자기장을 형성하여 마찰부재가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초기 설치 후 고정된 레그는 추가적인 전력소모가 없이도 요구되는 감쇠력을 형성할 수 있고, 추가적인 작업이 없이도 효율적으로 감쇠력을 형성할 수 있어서, 세탁기의 전력소모 및 비용을 줄이고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 실린더 20 : 피스톤
21 : 고정경사부 22 : 가동경사부
30 : 레그 40 : 고정자석
50 : 가동자석 60 : 마찰부재
70,71,72 : 자기장상쇄수단 80 : 코일스프링
100 : 지면

Claims (13)

  1. 실린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축방향을 따라 NS극이 배열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어 장착되는 고정자석;
    상기 고정자석과 반대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에 가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자석;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내면과 접촉가능한 마찰부재; 및
    상기 피스톤의 내경측에 구비되어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자기장상쇄수단;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일단은 실린더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그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세탁기의 동작 시,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면측으로 가압 접촉되어 마찰력을 형성하고,
    상기 세탁기의 설치 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세탁기의 수평이 조절되도록,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으로 전류 인가 시 상기 인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상기 실린더 내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전류의 인가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이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내경측에 구비되어,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4. 실린더, 피스톤을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축방향을 따라 NS극이 배열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어 장착되는 고정자석;
    상기 고정자석과 반대 극성이 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가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자석;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내면과 접촉가능한 마찰부재;
    상기 실린더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자기장상쇄수단;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일단은 실린더와 연결되고 타단은 레그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세탁기 동작 시,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면 측으로 가압 접촉되어 마찰력을 형성하고,
    상기 세탁기 설치 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세탁기의 수평이 조절되도록,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의 장착에 의해 상기 인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상기 실린더 내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영구자석이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고정자석 또는 상기 가동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외경측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양단부가 돌출되고,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상기 고정자석과 가동자석 사이의 간격보다 큰 자성체이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의 외경측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자기장상쇄수단을 상기 실린더에서 제거할 수 있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9. 삭제
  10.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내면 측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단면이 쐐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고정자석과 상기 가동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경사부와 가동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경사부는 상기 고정자석 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경사부는 상기 가동자석 측에 구비되어 일체로 가동가능하며,
    상기 고정경사부와 상기 가동경사부는 상호 경사면이 마주하되, 상기 실린더 내면 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12. 삭제
  13.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10063162A 2011-06-28 2011-06-28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KR101772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62A KR101772082B1 (ko) 2011-06-28 2011-06-28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62A KR101772082B1 (ko) 2011-06-28 2011-06-28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13A KR20130002113A (ko) 2013-01-07
KR101772082B1 true KR101772082B1 (ko) 2017-09-12

Family

ID=4783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162A KR101772082B1 (ko) 2011-06-28 2011-06-28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81Y1 (ko) * 2018-08-14 2019-11-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에어 컴프레서
WO2023158096A1 (ko) * 2022-02-17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9597A (zh) * 2017-12-15 2018-06-05 常州大学 一种可用于共振带隔振的智能减振器
CN111828534B (zh) * 2020-07-14 2021-12-03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机电设备减震架及其缓冲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09B1 (ko) * 2004-07-1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력을 이용한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09B1 (ko) * 2004-07-1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력을 이용한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81Y1 (ko) * 2018-08-14 2019-11-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에어 컴프레서
WO2023158096A1 (ko) * 2022-02-17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13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081B1 (ko)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US20080256986A1 (en) Friction Damper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US7472567B2 (en) Damper for washing machine
US7412852B2 (en) Washer damper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2082B1 (ko)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US20060010935A1 (en) Damp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damper
JP2005152659A5 (ko)
KR20130096515A (ko) 세탁기의 이중댐퍼
KR101439770B1 (ko) 세탁기용 댐퍼
KR20040084133A (ko) 드럼세탁기의 댐퍼 지지구조
KR101947642B1 (ko) 세탁기의 진동저감용 연속적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JP2003240050A (ja) 防振装置およびその防振装置を備えた洗濯機
KR101377150B1 (ko) 세탁기
KR101718034B1 (ko)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WO2017177917A1 (zh) 一种变阻尼电磁吊杆总成及洗衣机
KR20160029519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314479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770815B1 (ko) 세탁기 레그
KR20100065262A (ko) 마찰댐퍼
KR101398083B1 (ko) 플라스틱 재질 상부튜브가 결합된 마찰댐퍼
KR100517610B1 (ko) 드럼세탁기의 댐퍼 어셈블리
KR101008622B1 (ko) 가전제품용 레그 어셈블리
CN219670871U (zh) 洗衣机
CN207227764U (zh) 洗衣机的减震器和具有其的洗衣机
KR101033559B1 (ko) 가전제품용 레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