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507B1 -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 Google Patents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507B1
KR101771507B1 KR1020150167450A KR20150167450A KR101771507B1 KR 101771507 B1 KR101771507 B1 KR 101771507B1 KR 1020150167450 A KR1020150167450 A KR 1020150167450A KR 20150167450 A KR20150167450 A KR 20150167450A KR 101771507 B1 KR101771507 B1 KR 101771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veyor
body frame
guide plat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597A (ko
Inventor
강영기
Original Assignee
화성궤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궤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성궤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5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05Making of concrete parts of the tra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트에서 불규칙한 양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베이어부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을 타고 공회전되는 양측 두 개의 공회전 레일바퀴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고, 주행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양측 두 개의 구동 레일바퀴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 빔의 사이에 구비되어 믹서트럭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하부로 타설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가지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믹서트럭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로 안내 공급하는 콘크리트 안내수단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는 조작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안내수단은, 상기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일측 빔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 수직부와, 상기 돌출 수직부의 상부에 연결 고정부로 연결되고 외측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면으로 투입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투입하는 경사 안내판(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Conveyor vehicle for placing concrete of railroad way}
본 발명은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프레임을 자체적인 구동력으로 이동되게 하여 본체 프레임과 믹서트럭의 연결을 필요 없게 함에 따라 초기에 콘크리트 타설의 준비 시간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철도의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슈트에서 불규칙한 양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베이어부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건설 공정은 토목공사, 궤도 공사, 건축, 신호통신, 전기설비 등 다양한 분야의 공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철도의 건설을 위해서는 지반을 다지는 토목공사를 한 후 여기에 궤도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궤도 부설 공사는 궤도 시공 측량, 레일 투입 및 용접(장척화), 침목 투입 및 배열, 궤광조립, 레일 용접(장대화), 궤도 정정, 거푸집 설치, 최종 궤도 정정, 침목덮게 설치, 콘크리트도상 타설, 선형 검측, 양생등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종래의 철도의 콘크리크도상을 타설하기 위한 타설장치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462호의 "터널 내부에 시공되는 철로 도상 콘크리트 타설장치 및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철로 도상 콘크리트 타설장치(이하, "종래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장치"라 한다.)는 터널 내부에 시공되는 철로 도상에 콘크리트를 타설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선로 상으로 주행이 가능한 대차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부 전단에 자체주행, 제동 및 믹서드럼의 배출회전 조작이 가능한 운전석이 구비되고 그 후단에 믹서드럼이 탑재되며 프레임의 양측으로 체결구를 설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양로기를 체결시켜 동시 주행이 가능케 구성되는 믹서차량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로기는 선로 상으로 주행가능한 대차가 구비된 프레임 상에 믹서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인입시키는 슈트가 구비되고 슈트의 선단에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프레임의 길이방향 선단에서 선로의 도상으로 콘크리트를 공급, 타설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먼저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하기 위하여 믹서트럭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마다, 양로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체결구를 통해 믹서트럭의 차체에 필수적으로 연결해야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준비 시간이 많이 걸려 도상에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도상을 타설시키는 과정에서 양로기를 믹서트럭의 엔진 구동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양로기의 컨베이어로 투입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하여 양로기가 사방으로 유동됨으로써, 양로기가 레일에서 탈선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462호의 "터널 내부에 시공되는 철로 도상 콘크리트 타설장치 및 방법"(2010.12.3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프레임을 자체적인 구동력으로 이동되게 하여 본체 프레임과 믹서트럭의 연결을 필요 없게 함으로써 초기에 콘크리트 타설의 준비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본체 프레임의 일측의 상부에 경사 안내판을 구비하여 믹서트럭의 슈트로부터 밸출되는 콘크리트가 정확하게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믹서트럭의 슈트의 높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사 안내판의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믹서트럭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좀 더 정확하게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슈트에서 불규칙한 양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베이어부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부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의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는,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빔과 양측의 빔을 연결하는 다수의 크로스맴버(12)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을 타고 공회전되는 양측 두 개의 공회전 레일바퀴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고, 주행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양측 두 개의 구동 레일바퀴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 빔의 사이에 구비되어 믹서트럭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하부로 타설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가지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믹서트럭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로 안내 공급하는 콘크리트 안내수단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주행 구동부와 컨베이어부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안내수단은, 상기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일측 빔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 수직부와, 상기 돌출 수직부의 상부에 연결 고정부로 연결되고 외측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면으로 투입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투입하는 경사 안내판(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의 상기 연결 고정부(53)는 경사 안내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일측 빔의 외측과 경사 안내판의 하부에는 양단이 힌지부로 연결되어 경사 안내판의 각도를 변경시키고 상기 조작 제어박스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틸팅 실린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의 상기 컨베이어 대차는 상기 경사 안내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슈트에서 배출되어 컨베이어부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공급량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의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은 상기 경사 안내판의 후방 단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방 수직판과; 상기 경사 안내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축과; 상기 경사 안내판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의 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관통 고정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방에는 상기 후방 수직판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도 변경판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공급량 조정판과; 상기 공급량 조정판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량 조정판을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조정되는 공급량 조정판을 세팅 고정하는 세팅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의 상기 세팅 고정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되는 원호형 장홀과, 상기 경사 안내판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원호형 장홀에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세팅 볼트축과, 상기 세팅 볼트축에 체결되어 공급량 조정판이 회전 조정된 상태에서 공급량 조정판을 고정하는 세팅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의 상기 컨베이어 대차는, 상기 경사 안내판의 전방에 높이 변경과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조정하고 조정된 타설량을 균일하게 배출시키게 하는 타설량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의 상기 타설량 조정수단은, 상기 경사 안내판의 전방에 구비되고, 일측의 양쪽에는 두 개의 높이 조정 볼트축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두 개의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이 관통되는 수직 장홀이 형성되며, 타측의 하부에는 각도 변경 힌지축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각도 변경 힌지축의 상부에는 각도 변경 볼트축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정대와; 각각의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에 체결되는 높이 조정 너트와; 상기 높이 조정대의 전방에 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일측의 하부는 상기 각도 변경 힌지축이 관통 고정되어 각도 변경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의 상부에는 상기 각도 변경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이 관통되는 원호형 장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상부를 수평되게 눌러주어 타설량을 조정하는 공회전 누름롤러가 구비되는 각도 변경대와;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823)에 쳬결되는 각도 변경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을 자체적인 구동력으로 이동되게 하여 본체 프레임과 믹서트럭의 연결을 필요 없게 함에 따라, 초기에 콘크리트 타설의 준비 시간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철도의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의 일측의 상부에 경사 안내판을 구비하여 믹서트럭의 슈트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가 정확하게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좀 더 안정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믹서트럭의 슈트의 높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사 안내판의 각도를 변경시켜, 믹서트럭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좀 더 정확하게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슈트의 높이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트에서 불규칙한 양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베이어부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부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조정함에 따라, 컨베이어부의 과적으로 인하여 컨베이어부에서 발생되는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적정한 타설량으로 콘크리트를 공급함으로써, 타설후 콘크리트를 펼쳐 수평을 맞추는 공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를 전방에서 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주행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7은 도 1의 C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7a는 확대도이고,
도 7b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주행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1의 B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C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7a는 확대도이고, 도 7b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을 타설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한 쌍의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믹서트럭의 슈트(20)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믹서트럭은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궤도 레일(10)의 측부의 지면을 따라 주행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궤도 레일(10)의 측부에 구비되는 다른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주행하면서, 본 발명에 컨베이어 대차에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는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빔(11)과 양측의 빔(11)을 연결하는 다수의 크로스맴버(12)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1)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10)을 타고 공회전되는 양측 두 개의 공회전 레일바퀴(2)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어 주행 구동부(31)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레일(10)을 타고 이동되는 양측 두 개의 구동 레일바퀴(3)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양측 빔(11)의 사이에 구비되는 컨베이어부(4)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일측에 구비되는 콘크리트 안내수단(5)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부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주행 구동부(31)와 컨베이어부(4)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박스(6)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1)은 양측의 빔(11)과 다수의 크로스맴버(12)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회전 레일바퀴(2)는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10)을 타고 공회전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브래킷에 의해 공회전되게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레일바퀴(3)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행 구동부(31)는 본체 프레임(1)을 자체적인 구동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의 두 개의 상기 구동 레일바퀴(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회전축(311)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회전축(311)과 동력전달수단(313)으로 연결되는 주행모터(312)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주행 구동부(31)를 통해 본체 프레임(1)을 자체적으로 이동되게 함에 따라, 초기에 콘크리트 타설의 준비 시간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철도의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컨베이어부(4)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서트럭의 슈트(20)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하부로 타설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컨베이어부(4)는 별도의 모터를 통해 컨베이어벨트(45)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양측 빔(11) 사이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공회전 되게 구비되는 전방롤러(41)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양측 빔(11) 사이의 후방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롤러(42)와, 상기 전방롤러(41)와 구동롤러(42)의 사이인 양측 빔(11)의 상부에 전후 간격으로 두고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 공회전롤러부(43)와, 상기 전방롤러(41)와 구동롤러(42)의 사이인 양측 빔(11)의 사이에 전후 간격으로 두고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하부 공회전롤러부(44)와, 상기 구동롤러(42), 상부 공회전롤러부(43)들, 전방롤러(41) 및 하부 공회전롤러부(44)들을 무한궤도식으로 감싸며 구비되어 무한궤도식의 이동을 통해 상부로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전방의 하부로 배출시키는 컨베이어벨트(45)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롤러(42)의 회전축과 동력전달수단(461)으로 연결되는 컨베이어 구동모터(4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별도의 컨베이어 구동모터(46)를 통해, 컨베이어벨트(45)를 이동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에 투입되더라도, 콘크리트의 이송 배출을 원활하면서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 공회전롤러부(43)는 믹서트럭의 슈트(20)로부터 상부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양측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 빔(11)의 사이 상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수평대(431)와, 상기 수평대(431)의 중앙 양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두 개의 제1 수직대(432)와, 상기 수평대(431)의 양단에서 상기 제1 수직대(432)보다 높게 돌출되는 두 개의 제2 수직대(433)와, 두 개의 제1 수직대(432)의 상부에 회전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롤러(434)와, 상기 제1 수직대(432)의 상부와 제2 수직대(433)의 상부의 사이에 회전되게 경사져 장착되는 양측 대칭의 두 개의 경사롤러(435)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콘크리트 안내수단(5)은 도 1,2 및 도 4,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서트럭의 슈트(20)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부(4)의 상부로 안내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콘크리트 안내수단(5)은 믹서트럭의 슈트(20)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가 정확하게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일측 빔(11)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 수직부(51)와, 상기 돌출 수직부(51)의 상부에 연결 고정부(53)로 연결되고 외측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면으로 투입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로 투입하는 경사 안내판(5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 고정부(53)는 경사 안내판(52)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힌지부(531)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일측 빔(11)의 외측과 경사 안내판(52)의 하부에는 경사 안내판(52)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힌지부로 연결되어 경사 안내판(52)의 각도를 변경시키고 상기 조작 제어박스(6)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틸팅 실린더(53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믹서트럭의 슈트(20)의 높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1)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사 안내판(52)의 각도를 변경시켜, 믹서트럭의 슈트(20)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좀 더 정확하게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로 투입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조작 제어박스(6)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의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1)의 후방 일측이나 타측에 돌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후방의 타측에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1)의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는 조작 제어박스(6)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대차를 좀 더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는 도 1,2 및 도 4,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에 구비되어 슈트(20)에서 배출되어 컨베이어부(4)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공급량 조정수단(7)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7)은 슈트(20)에서 불규칙한 양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베이어부(4)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후방 단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방 수직판(71)과,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축(72)과,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의 단부가 상기 힌지축(72)에 관통 고정되어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방에는 상기 후방 수직판(71)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도 변경판(731)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공급량 조정판(73)과, 상기 공급량 조정판(73)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량 조정판(73)을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조정되는 공급량 조정판(73)을 세팅 고정하는 세팅 고정부(74)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세팅 고정부(74)는 공급량 조정판(73)의 각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공급량 조정판(73)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되는 원호형 장홀(741)과,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원호형 장홀(741)에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세팅 볼트축(742)과, 상기 세팅 볼트축(742)에 체결되어 공급량 조정판(73)이 회전 조정된 상태에서 공급량 조정판(73)을 고정하는 세팅 너트(743)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공급량 조정판(73)의 각도를 조정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세팅 너트(743)를 풀은 후, 공급량 조정판(73)의 각도를 변경시켜 상기 후방 수직판(71)과 공급량 조정판(73) 사이의 배출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베이어부(4)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적정하게 조정한다. 다음, 상기 세팅 너트(743)를 조여 회전 조정된 상태의 공급량 조정판(73)을 경사 안내판(52)에 고정함으로써 컨베이어부(4)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의 조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7)을 통해, 슈트(20)에서 불규칙한 양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베이어부(4)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량 조정판(73)의 각도를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후방 수직판(71)과 공급량 조정판(73) 사이의 배출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베이어부(4)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컨베이어부(4)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적정하게 조정함으로써 컨베이어부(4)의 과적으로 인하여 컨베이어부(4)에서 발생되는 과적 부하로 인한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는 도 1,2 및 도 4,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전방에 높이 변경과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조정하고 조정된 타설량을 균일하게 배출시키게 하는 타설량 조정수단(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타설량 조정수단(8)은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전방에 구비되고, 일측의 양쪽에는 두 개의 높이 조정 볼트축(811)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대(81)와, 상기 고정대(81)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두 개의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811)이 관통되는 수직 장홀(821)이 형성되며 타측의 하부에는 각도 변경 힌지축(822)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각도 변경 힌지축(822)의 상부에는 각도 변경 볼트축(823)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정대(82)와, 각각의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811)에 체결되는 높이 조정 너트(83)와, 상기 높이 조정대(82)의 전방에 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4)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상부를 수평되게 눌러주어 타설량을 조정하는 공회전 누름롤러(842)가 구비되는 각도 변경대(84)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도 변경대(84)는 높이 조정대(82)의 전방에 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의 하부는 상기 각도 변경 힌지축(822)이 관통 고정되어 각도 변경 힌지축(82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의 상부에는 상기 각도 변경 힌지축(822)을 중심으로 원호상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823)이 관통되는 원호형 장홀(84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부(4)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상부를 수평되게 눌러주어 타설량을 조정하는 공회전 누름롤러(842)가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도 변경대(84)는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823)에 쳬결되어 각도가 변경된 각도 변경대(84)를 상기 높이 조정대(82)에 고정하는 각도 변경 너트(8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설량 조정수단(8)을 통해 상기 공회전 누름롤러(842)의 높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먼저, 각각의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811)에 체결된 높이 조정 너트(83)를 풀은 후, 높이 조정대(82)의 높이를 조정한 다음,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811)에 높이 조정 너트(83)를 체결하여 높이가 조정되는 높이 조정대(82)를 고정대(81)의 전방에 고정함으로써, 각도 변경대(84)의 공회전 누름롤러(842)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타설량 조정수단(8)을 통해 상기 공회전 누름롤러(842)의 각도를 조정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823)에 체결된 각도 변경 너트(85)를 풀은 후, 각도 변경대(84)의 각도를 조정한 다음,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823)에 각도 변경 너트(85)를 체결하여 각도가 조정된 각도 변경대(84)를 높이 조정대(82)의 전방에 고정함으로써, 각도 변경대(84)의 공회전 누름롤러(842)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상부를 수평되게 눌러주어 타설량을 조정하는 상기 공회전 누름롤러(842)의 높이와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타설량 조정수단(8)을 통해, 컨베이어부(4)에서 배출되어 상기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적정한 타설량으로 콘크리트를 공급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를 사용하여 궤도 레일에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대차를 사용하여 궤도 레일(10)에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한 쌍의 레일(10)의 상부에 본체 프레임(1)을 올려놓는다.
다음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한 쌍의 레일(10)의 측부인 지면에 믹서트럭을 주차시키고, 상기 믹서트럭을 구성하는 슈트(20)의 배출 방향을 상기 컨베이어 대차의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로 위치시킨다.
다음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박스(6)를 조작하여 본체 프레임(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컨베이어벨트(45)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별도의 운전자가 상기 믹서트럭을 운행시키면서, 이동되는 상기 컨베이어 대차의 컨베이어벨트(45)에 콘크리트를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컨베이어 대차의 전방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45)를 통해 콘크리트가 하부로 타설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콘크리트의 타설이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1)을 자체적인 구동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본체 프레임(1)과 믹서트럭의 연결을 전혀 필요 없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초기에 콘크리트 타설의 준비 시간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철도의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시 본체 프레임(1)을 자체적으로 이동시켜 본체 프레임(1)의 유동을 거의 줄임으로써, 믹서트럭의 슈트(20)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좀 더 안전하게 타설시켜 콘크리트의 타설 불량을 사전에 예방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도상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급량 조정수단(7)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조정함에 따라, 컨베이어부(4)의 과적으로 인하여 컨베이어부(4)에서 발생되는 과적 부하로 인한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도상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에 구비되는 타설량 조정수단(8)을 통해, 콘크리트도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콘크리트도상 타설 두께와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적정한 타설량으로 콘크리트를 공급함으로써, 타설후 콘크리트를 펼쳐 수평을 맞추는 공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 프레임
11 : 빔
12 : 크로스맴버
2 : 공회전 레일바퀴
3 : 구동 레일바퀴
31 : 주행 구동부
311 : 연결 회전축, 312 : 주행모터, 313 : 동력전달수단
4 : 컨베이어부
41 : 전방롤러
42 : 구동롤러
43 : 상부 공회전롤러부
431 : 수평대, 432 ; 제1 수직대, 433 : 제2 수직대,
434 : 수평롤러, 435 : 경사롤러
44 : 하부 공회전롤러부
45 : 컨베이어벨트
46 : 컨베이어 구동모터
461 : 동력전달수단
5 : 콘크리트 안내수단
51 : 돌출 수직부
52 : 경사 안내판
53 : 연결 고정부
531 : 힌지부, 532 : 틸팅 실린더
6 : 조작 제어박스
7 : 공급량 조정수단
71 : 후방 수직판
72 : 힌지축
73 : 공급량 조정판
731 : 각도 변경판
74 : 세팅 고정부
741 : 원호형 장홀, 742 : 세팅 볼트축, 743 : 세팅 너트
8 : 타설량 조정수단
81 : 고정대
811 : 높이 조정 볼트축
82 : 높이 조정대
821 : 수직 장홀, 822 : 각도 변경 힌지축, 823 : 각도 변경 볼트축
83 : 높이 조정 너트
84 : 각도 변경대
841 : 원호형 장홀, 842 : 공회전 누름롤러
85 : 각도 변경 너트
10 : 레일
20 : 슈트

Claims (7)

  1.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빔(11)과 양측의 빔(11)을 연결하는 다수의 크로스맴버(12)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1)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10)을 타고 공회전되는 양측 두 개의 공회전 레일바퀴(2)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고, 주행 구동부(31)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레일(10)을 타고 이동되는 양측 두 개의 구동 레일바퀴(3)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양측 빔(11)의 사이에 구비되어 믹서트럭의 슈트(20)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하부로 타설하는 컨베이어벨트(45)를 가지는 컨베이어부(4)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일측에 구비되어 믹서트럭의 슈트(20)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부(4)의 상부로 안내 공급하는 콘크리트 안내수단(5)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부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주행 구동부(31)와 컨베이어부(4)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박스(6);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안내수단(5)은, 상기 본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일측 빔(11)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 수직부(51)와, 상기 돌출 수직부(51)의 상부에 연결 고정부(53)로 연결되고 외측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면으로 투입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로 투입하는 경사 안내판(5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고정부(53)는 경사 안내판(52)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힌지부(531)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일측 빔(11)의 외측과 경사 안내판(52)의 하부에는 양단이 힌지부로 연결되어 경사 안내판(52)의 각도를 변경시키고 상기 조작 제어박스(6)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틸팅 실린더(532)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에 구비되어 슈트(20)에서 배출되어 컨베이어부(4)로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공급량 조정수단(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전방에 높이 변경과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조정하고 조정된 타설량을 균일하게 배출시키게 하는 타설량 조정수단(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7)은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후방 단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방 수직판(71)과;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축(72)과;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의 단부가 상기 힌지축(72)에 관통 고정되어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방에는 상기 후방 수직판(71)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도 변경판(731)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공급량 조정판(73)과;
    상기 공급량 조정판(73)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량 조정판(73)을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조정되는 공급량 조정판(73)을 세팅 고정하는 세팅 고정부(7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고정부(74)는,
    상기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되는 원호형 장홀(741)과,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원호형 장홀(741)에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세팅 볼트축(742)과,
    상기 세팅 볼트축(742)에 체결되어 공급량 조정판(73)이 회전 조정된 상태에서 공급량 조정판(73)을 고정하는 세팅 너트(7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량 조정수단(8)은,
    상기 경사 안내판(52)의 전방에 구비되고, 일측의 양쪽에는 두 개의 높이 조정 볼트축(811)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대(81)와;
    상기 고정대(81)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두 개의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811)이 관통되는 수직 장홀(821)이 형성되며, 타측의 하부에는 각도 변경 힌지축(822)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각도 변경 힌지축(822)의 상부에는 각도 변경 볼트축(823)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정대(82)와;
    각각의 상기 높이 조정 볼트축(811)에 체결되는 높이 조정 너트(83)와;
    상기 높이 조정대(82)의 전방에 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일측의 하부는 상기 각도 변경 힌지축(822)이 관통 고정되어 각도 변경 힌지축(82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의 상부에는 상기 각도 변경 힌지축(822)을 중심으로 원호상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823)이 관통되는 원호형 장홀(84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45)의 상부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상부를 수평되게 눌러주어 타설량을 조정하는 공회전 누름롤러(842)가 구비되는 각도 변경대(84)와;
    상기 각도 변경 볼트축(823)에 쳬결되는 각도 변경 너트(8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KR1020150167450A 2015-11-27 2015-11-2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KR101771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50A KR101771507B1 (ko) 2015-11-27 2015-11-2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50A KR101771507B1 (ko) 2015-11-27 2015-11-2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597A KR20170062597A (ko) 2017-06-08
KR101771507B1 true KR101771507B1 (ko) 2017-08-28

Family

ID=5922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450A KR101771507B1 (ko) 2015-11-27 2015-11-2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5539A (zh) * 2018-06-11 2018-11-02 芜湖德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件中转的机器人
CN110406926A (zh) * 2019-07-16 2019-11-05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狭窄空间提土式建筑基坑降土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863397A (zh) * 2019-10-23 2020-03-06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城市轨道交通道床混凝土免转运直灌注施工工法
CN114194758A (zh) * 2021-11-03 2022-03-18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强力皮带运输系统转载点卸载处加装缓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390B1 (ko) * 2011-09-28 2012-03-06 화성궤도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장치
KR101413885B1 (ko) * 2013-03-01 2014-06-30 한상국 고속철도 교량 및 터널용 콘크리트 타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390B1 (ko) * 2011-09-28 2012-03-06 화성궤도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장치
KR101413885B1 (ko) * 2013-03-01 2014-06-30 한상국 고속철도 교량 및 터널용 콘크리트 타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597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07B1 (ko)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컨베이어 대차
US4217065A (en) Slip-form curb and gutter machine
US6692185B2 (en) Adjusting arrangement for steerable transport assembly for self-propelled construction vehicle
JP3383908B2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等の道路舗設車両のスクリード装置
CN113585017B (zh) 道路水泥混凝土布料振捣摊铺一体化设备及其使用方法
US20110002736A1 (en) Slip form paver
CN101929122A (zh) 零间隙混合物料摊铺机
US2848930A (en) Pavement widening machine
CN201778262U (zh) 新型零间隙摊铺机
US2779258A (en) Road construction machine
JPS596964B2 (ja) 護岸舗装用装具
JPH07145603A (ja) 枕木間隙のコンクリート注入装置
US6655870B1 (en) Narrow gauge road paving apparatus
CN208965374U (zh) 一种聚氨酯混凝土摊铺机
JP2003176692A (ja) 長距離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H10114910A (ja) 自走式コンクリート仕上げ機械
US3177784A (en) Concrete spreading apparatus
CN111910642A (zh) 一种沟渠混凝土滑模摊铺机
DE10358363B4 (de) Gleitschalungsfertiger zum Fertigen von Oberflächenbelägen
JP5116648B2 (ja) コンクリート分配装置
CN212405152U (zh) 一种沟渠混凝土滑模摊铺机
CN211872509U (zh) 零间隙后置模具滑模摊铺机
JP3828985B2 (ja) 軌道位置修正のための機械
CN216765504U (zh) 一种双侧双向滑模铣刨装置
CN210886849U (zh) 一种筑路滑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