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464B1 -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464B1
KR101771464B1 KR1020110061956A KR20110061956A KR101771464B1 KR 101771464 B1 KR101771464 B1 KR 101771464B1 KR 1020110061956 A KR1020110061956 A KR 1020110061956A KR 20110061956 A KR20110061956 A KR 20110061956A KR 101771464 B1 KR101771464 B1 KR 10177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ontact
movable
fixed conductor
movable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062A (ko
Inventor
정석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4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26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01H31/32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with rectilinearly-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1Use of solid insulating compounds resistant to the contacting fluid dielectric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e.g. to SF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이격 배치된 제1고정도체 및 제2고정도체를 구비한 고정접촉자; 상기 제1고정도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돌출 시 상기 제1고정도체 및 제2고정도체에 동시에 접촉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의 원주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고정도체와 상기 가동접촉자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둘레방향을 따른 접촉면적을 줄여 가동접촉자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ELECTRIC CONTACT APPARATUS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접촉자의 개,폐 이동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 또는 가스절연개폐기(GIS:Gas Insulated Swichgear)(이하, '가스절연개폐기'로 표기함)는, 옥내외 발전소 및 변전소용으로 사용되며 정상 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사고, 단락 등의 이상상태에 있어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계통을 적절히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스절연개폐기는 밀폐 용기(또는 탱크)의 내부에 차단기, 변류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등의 개폐설비와 모선이 내장되고, 밀폐용기의 공간 내에 절연 가스를 충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로기는 모선 개폐 성능을 구비하며, 상기 접지개폐기는 전로의 충전전류 또는 이상 시 유입되는 고장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통전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절연개폐기의 단로기의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동접촉자의 개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로기(또는 접지개폐기)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고정도체(11) 및 제2고정도체(21)를 구비한 고정접촉자(10)와, 상기 고정접촉자(10)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도체(11) 및 제2고정도체(21)가 전기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게 하는 가동접촉자(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1)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수용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1)의 일 단부에는 상기 가동접촉자(30)와 접촉되는 제1고정접점(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접점(15)의 둘레에는 스프링(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도체(21)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수용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도체(21)에는 상기 가동접촉자(30)와 접촉되는 제2고정접점(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접점(25)의 둘레에는 스프링(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30)는 원형의 봉 형상의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촉자(30)가 상기 제2고정접점(25)과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게 상기 가동접촉자(30)를 이동시키는 구동로드(3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도체(11) 및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가동접촉자(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링(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링(40)은 원형 고리 형상(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링(4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링(40)은 상기 가동접촉자(30)에 결합되는 제1링(41)과, 상기 제1고정도체(11)에 결합되는 제2링(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외면에 결합되고, 그 외면이 상기 제1고정도체(11)에 접촉되어 상기 가동접촉자(30)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링(41)이 수용결합될 수 있게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1링수용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링(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도체(11)의 내면에 결합되고, 그 내면이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는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1)의 내면에는 상기 제2링(42)이 수용결합될 수 있게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2링수용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링(40)(제1링(41) 및 제2링(42))은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외경 또는 상기 제1고정도체(11)의 내경의 전 둘레에 걸쳐 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통전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접촉면들이 열 팽창하여 상기 가동접촉자(30)의 부하(마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상기 가동접촉자(30)의 개로(또는 폐로) 동작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전 둘레에 결합되거나 접촉된 지지링(40)의 윤활을 위해 윤활제(예를 들면 그리스)를 도포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 기간이 경과할 경우, 상기 윤활제의 점도가 증가하여 상기 가동접촉자(30)의 동작 지연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둘레방향을 따른 접촉면적을 줄여 가동접촉자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접촉자의 동작 지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접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방향을 따른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고 가동접촉자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접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서로 이격 배치된 제1고정도체 및 제2고정도체를 구비한 고정접촉자; 상기 제1고정도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돌출 시 상기 제1고정도체 및 제2고정도체에 동시에 접촉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의 원주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고정도체와 상기 가동접촉자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이동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접촉자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도체의 내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및 안내부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일부 수용되는 슬라이더수용부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방향을 따라 상대 운동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더수용부의 양 측벽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폐 행정 완료 시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의 이동을 중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접촉자의 상대 이동 시 둘레방향을 따른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 가동접촉자의 개,폐 동작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촉자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가동접촉자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접촉자의 위치 이탈(과투입 및또는 오픈)에 기인한 통전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절연개폐기의 단로기의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가동접촉자의 개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가 적용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의 접점장치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접점장치의 개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ⅩⅡ-Ⅹ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가 적용되는 가스절연개폐기는, 밀페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단기(CB)(110), 변류기(CT)(115), 단로기(DS)(130), 접지개폐기(ES)(120), 및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충전(充塡)되는 절연가스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가스는 육불화황(SF6)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110)의 상측에는 변류기(11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류기(115)의 상측에는 상기 단로기(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로기(130)와 상기 변류기(115) 사이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접지개폐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로기(130) 중 어느 하나(도면상 좌측 단로기)는 메인부스(105)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140)는, 상기 단로기(130) 및/또는 상기 접지개폐기(120)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거나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140)는 상기 단로기(130)에 적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단로기(130)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탱크(131)와, 상기 탱크(131)의 일 단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33)와, 상기 탱크(131)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도체(135)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도체(137)와, 상기 수평도체(135)와 수직도체(137) 경계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1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점장치(140)의 일 측에는 상기 접점장치(140)를 조작하는 조작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45)는, 구동축(146)과, 상기 구동축(146)에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동아암(147)과, 일 단은 상기 구동아암(147)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접점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46)의 구동력을 상기 접점장치에 전달하는 구동로드(14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로드(148)는 절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140)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고정도체(151) 및 제2고정도체(161)를 구비한 고정접촉자(150)와, 상기 제1고정도체(15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돌출 시 상기 제1고정도체(151) 및 제2고정도체(161)에 동시에 접촉되는 가동접촉자(180)와,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원주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고정도체(151)와 상기 가동접촉자(180)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더(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도체의 상측에는 상기 제1고정도체(151)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51)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51)는 내부에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수용공간(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51)의 일 단부에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와 접촉되는 제1고정접점(1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접점(155)의 외측에는 상기 제1고정접점(155)이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외면에 접촉되게 가압하는 스프링(1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접점(155) 및 스프링의 외측에는 쉴드(15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전계가 완화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51)의 일 측에는 상기 제2고정도체(161)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도체(161)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돌출 시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단부가 접속되게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도체(161)는 상기 단로기(130)의 스페이서(133)에 연결되어 상기 스페이서(13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도체(161)의 일 단부에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단부가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62)에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둘레에 접촉될 수 있게 제2고정접점(16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접점(165)의 외측에는 상기 제2고정접점(165)이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게 가압하는 스프링(16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접점(165) 및 스프링(166)의 외측에는 전계를 완화하기 위한 쉴드(1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원형의 봉 형상의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상기 제1고정도체(15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상기 제1고정도체(15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고정도체(161)에 접속되는 폐로(close)위치와, 상기 제2고정도체(16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고정도체(151)의 내부로 철회되는 개로(open)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일 단부에는 상기 구동로드(148)의 타 단부가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가 상기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 간을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축(146)이 회동되면 상기 구동축(146)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아암(147) 및 상기 구동로드(148)를 통해 상기 가동접촉자(180)에 전달되어 상기 가동접촉자(18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접촉자(180)와 상기 제1고정도체(151) 사이에는 슬라이더(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둘레(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원주에 비해 축소된 크기(폭)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제1고정도체(151) 또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도체(151) 및/또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일부 영역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통전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 팽창이 발생하여도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이동 부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슬라이딩 이동 시 동작 지연이 발생함이 없이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90)는, 예를 들면, 폭(w)에 비해 긴 길이(l)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w), 길이(l) 및두께(t)를 가지는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90)는 길이방향이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9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90)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180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더(190)가 2개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3개 또는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도체(151)에는 상기 슬라이더(190)가 수용될 수 있게 슬라이더수용부(18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이동 시 상기 가동접촉자(18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반경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는 상기 슬라이더(190)의 두께(t)에 비해 작은 깊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90)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외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높이(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는 상기 슬라이더(190)의 길이(l)에 비해 긴 길이(L1)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18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9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95)는 상기 제1고정도체(151)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슬라이더(190)의 일부가 상기 안내부(195)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95)는 상기 슬라이더(19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슬라이더(190)의 일 부가 수용되어 안내될 수 있다.
본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140)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18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85)는 상기 가동접촉자(180)를 최초 설정된 상기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가 상기 제1고정접점(155) 및 제2고정접점(165)과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되어 통전(전류공급)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가동접촉자(30)는 상기 제1고정접점(15) 및 제2고정접점(25)과 정확한 접촉위치에서 접촉되지 못하여 전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통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가동접촉자(30)가 과도하게 이동하여 제2고정접점(25)을 지나가서 정지하거나(과투입) 또는 가동접촉자(30)가 제2고정접점(25)과 접촉되는 접촉위치에 도달하지 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될 경우 전류 공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85)는,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더(190)의 이동방향을 따른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의 양 측벽(단부)(188a,188b) 및 상기 안내부(195)의 양 단부)(196a,196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85)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개,폐 행정 완료 시 상기 슬라이더(190)와 접촉되어 상기 가동접촉자(180)의 이동을 중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개로위치 및 폐로위치 사이를 이동거리(D)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거리(D)는 상기 안내부(195)의 양 측벽 사이의 길이(L1)에서 상기 슬라이더(190)의 길이(L2)를 뺀 길이(L1-L2)와,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의 양 측벽 사이의 길이(L3)에서 상기 슬라이더(190)의 길이(L2)를 뺀 값(L3-L2)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개로 및/또는 폐로 동작 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스토퍼(185)에 의해 정확하게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가동접촉자(180)가 상기 제1고정접점(155) 및 제2고정접점(165)과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정확하게 접촉됨으로써 전류 공급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146)이 폐로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아암(147) 및 상기 구동로드(148)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가 폐로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자(180)와 함께 상기 슬라이더(19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80)가 상기 제2고정도체(161)측으로 이동을 계속하면, 상기 슬라이더(190)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부(195)의 단부(196b)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190)는 정지된다.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이동을 계속하고, 이때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의 측벽부와 접촉되어 상대 슬라이딩된다.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상기 슬라이더(190)의 후단부와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의 후단부(188a)가 상호 접촉되면 더 이상 이동을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상기 제1고정접점(155) 및 제2고정접점(165)과 정확한 위치에 접촉됨으로써 전류공급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146)이 개로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146)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아암(147) 및 상기 구동로드(148)를 통해 상기 가동접촉자(18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상기 제2고정도체(161)로부터 분리 및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도체(151)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가동접촉자(180)와 함께 상기 제1고정도체(151)측으로 이동을 계속하고, 상기 슬라이더(190)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부(195)의 단부(196a)에 접촉되면 상기 슬라이더(190)의 이동이 중지된다.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이동을 계속하고, 상기 슬라이더(190)는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의 측벽부에 접촉되어 상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80)가 이동을 계속하면 상기 슬라이더수용부(187)의 후단부(188b)가 상기 슬라이더(190)의 후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80)는 미리 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차단기 115 : 변류기
120 : 접지개폐기 130 : 단로기
131 : 탱크 133 : 스페이서
135 : 수평도체 137 : 수직도체
140 : 접점장치 145 : 조작부
146 : 구동축 147 : 구동아암
148 : 구동로드 150 : 고정접촉자
151 : 제1고정도체 155 : 제1고정접점
156,166 : 스프링 157,167 : 쉴드
161 : 제2고정도체 165 : 제2고정접점
180 : 가동접촉자 185 : 스토퍼
187 : 슬라이더수용부
188a,188b : 슬라이더수용부의 양 단부
190 : 슬라이더 195 : 안내부
196a,196b : 안내부의 양 단부

Claims (8)

  1. 서로 이격 배치된 제1고정도체 및 제2고정도체를 구비한 고정접촉자;
    상기 제1고정도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돌출 시 상기 제1고정도체 및 제2고정도체에 동시에 접촉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의 원주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고정도체와 상기 가동접촉자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이동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접촉자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도체의 내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일부 수용되는 슬라이더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방향을 따라 상대 운동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더수용부의 양 측벽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폐 행정 완료 시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KR1020110061956A 2011-06-24 2011-06-24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KR10177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956A KR101771464B1 (ko) 2011-06-24 2011-06-24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956A KR101771464B1 (ko) 2011-06-24 2011-06-24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62A KR20130001062A (ko) 2013-01-03
KR101771464B1 true KR101771464B1 (ko) 2017-08-28

Family

ID=4783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956A KR101771464B1 (ko) 2011-06-24 2011-06-24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9301A (ja) * 2013-03-15 2014-09-25 Toshiba Corp 電力用ガス絶縁機器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650925B1 (ko) * 2014-06-24 2016-08-24 한국전기연구원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KR102281673B1 (ko) * 2019-12-06 2021-07-29 일진전기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102308825B1 (ko) * 2019-12-26 2021-10-0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3946A (ja) * 2007-12-28 2009-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接地開閉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3946A (ja) * 2007-12-28 2009-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接地開閉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62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081B2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therefor
KR101771464B1 (ko)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CN203966948U (zh) 一种三工位隔离接地开关
KR101605134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JP2016036196A (ja) 電力用開閉器
US8982538B2 (en) Pole unit guide
CN102904185B (zh) 气体绝缘开关装置
ES2681482T3 (es) Un dispositivo de conmutación del tipo extraíble
KR101678000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의 이중동작 구조
KR101490176B1 (ko)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CN104952640B (zh) 控制中压电气保护设备的移动触点弹起的装置及其设备
CN106469623A (zh) 电路断路器
KR101471847B1 (ko) 인입/인출형 고체절연 개폐장치
KR1016976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가스차단기
KR10183066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66114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KR101324731B1 (ko) 인출형 부하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패널 배전반
KR200478813Y1 (ko) 가스절연 개폐기
RU128778U1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заземления для изолированных газом устройств среднего и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JP5277182B2 (ja) 開閉器及び開閉器を収納するスイッチギヤ
KR20150001193U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KR101707966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JPH04190607A (ja) 閉鎖配電盤およびそのシャッタ装置
KR20130127818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접지 개폐기의 구조
KR20150010369A (ko) 충전전류 개폐시 개폐성능을 향상시킨 단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