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925B1 -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925B1
KR101650925B1 KR1020140077197A KR20140077197A KR101650925B1 KR 101650925 B1 KR101650925 B1 KR 101650925B1 KR 1020140077197 A KR1020140077197 A KR 1020140077197A KR 20140077197 A KR20140077197 A KR 20140077197A KR 101650925 B1 KR101650925 B1 KR 101650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ductor
fixed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175A (ko
Inventor
정진교
박상훈
송기동
이우영
장현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9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으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통전을 위한 접점시 가동접점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보조접점을 이용하여 통전 전류량을 증대하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개방거리를 증가시켜 초고압 차단을 수행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접점과 마주 배치되어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진공을 형성한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부 도체; 상기 고정부 도체의 하부에 접촉한 형태로 선형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접촉시 가동접점에 밀려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의 하단부 외주면에 접촉한 형태로 상기 고정부 도체의 하부에 조립되고, 상기 고정접점을 밀면서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접점과 접촉하게 되는 보조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Vacuum interupter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압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고성능의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진공 인터럽터는 배전계통에서 부하전류 또는 사고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진공차단기의 핵심부품으로, 진공상태로 밀폐된 절연하우징 내에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설치하여 개폐시의 아크를 신속히 소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배전계통을 개폐하는 접점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진공 인터럽터는 진공차단기에 구비된 조작기에 의해 가동접점이 승강 이동하여 고정접점과 탈착하여서 통전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간격은 배전전압에 따라 조절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는 일측에 가동접점(2)을 구비한 가동부 도체(1), 일측에 고정접점(4)을 구비한 고정부 도체(3), 쉴드(5), 절연하우징(6), 및 벨로우즈(7)로 구성된다.
가동부 도체(1)는 전기적 도체로 형성되며, 미도시된 조작기의 절연로드에 의해 고정접점(4) 측으로 이동하거나 고정접점(4) 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부 도체(1)는 가동접점(2)으로 흐르는 전류 또는 가동접점(2)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가 통전하는 통전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배전계통의 회로중 전원측 또는 부하측의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고정부 도체(3) 역시 전기적 도체로 형성되며, 고정접점(4)으로 흐르는 전류 또는 고정접점(4)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가 통전하는 통전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배전계통의 회로중 전원측 또는 부하측 중 가동부 도체(1)가 접속된 측의 상대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고정부 도체(3)와 가동부 도체(1)는 절연하우징(6) 내부에 접촉가능하게 대향되어 설치된다.
쉴드(5)는 가동접점(2)과 고정접점(4) 간에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가 절연하우징(6)으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절연하우징(6)을 보호하는 것으로, 절연하우징(6)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쉴드(5)는 가동접점(2)과 고정접점(4)이 개방될 때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금속 증기를 흡착하여 신속히 소호시킴으로써 사고 전류로부터 회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절연하우징(6)은 진공 인터럽터의 외형부로서 전기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어퍼실컵(8)과 로우실컵(9)에 의해 밀폐되어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벨로우즈(7)는 주름통 모양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로우실컵(9)과 가동부 도체(1) 사이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가동부 도체(1)의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로우실컵(9)과 가동부 도체(1)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한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인터럽터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맞대기(BUTT) 접점구조를 적용하고 있어 통전전류에 한계가 있으며, 고진공으로 높은 절연내력을 가지기 때문에 초고압 차단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가동접점의 스트로크 또는 개방거리(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간격)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벨로우즈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가동접점의 개방거리(혹은 아크접점의 이격거리)가 일정 범위 내로 한정되어 있어 초고압 차단성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가동접점의 개방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벨로우즈의 길이를 길게 늘이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 측으로 이동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중심선이 일렬로 정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6745호(2013.10.24) 한국등록특허 제10-1060780호(2011.08.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통전을 위한 접점시(통전 가능하게 접촉시) 가동접점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보조접점을 이용하여 통전 전류량을 증대하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개방거리를 증가시켜 초고압 차단을 수행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접점시 중심선을 일렬로 정렬되게 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접점과 마주 배치되어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진공을 형성한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부 도체; 상기 고정부 도체의 하부에 접촉한 형태로 선형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접촉시 가동접점에 밀려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의 하단부 외주면에 접촉한 형태로 상기 고정부 도체의 하부에 조립되고, 상기 고정접점을 밀면서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접점과 접촉하게 되는 보조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접점은 고정접점의 하단부 외주면을 둘러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접점을 밀면서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접점의 중심축을 고정접점의 중심축과 일렬로 정렬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접점은 그 외측에 스프링 밴드가 설치되고, 이 스프링 밴드는 보조접점을 고정접점의 하단부 외주면 측으로 탄력적으로 조여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 도체는 그 하부에 고정접점의 상단부가 선형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에는 가동접점에 밀려 이동되는 고정접점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접점은 고정부 도체의 중공부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접점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는,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 도체; 하단부가 상기 가동부 도체의 내부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가동접점;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동부 도체의 선형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접점을 일정 배수로 선형 이동시키는 링크부; 상기 가동부 도체와 절연하우징 사이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가동부 도체의 선형 이동에 따라 신축 변형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는, 절연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힌지핀; 가동접점의 하부에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2힌지핀; 일단부가 상기 제1힌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힌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바; 가동부 도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링크바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제3힌지핀;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동접점에는 제2힌지핀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2관통홀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핀은 가동접점이 하사점 또는 상사점에 위치할 때는 제2관통홀의 앞쪽에 위치하고 가동접점이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할 때는 제2관통홀의 뒤쪽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크바에는 제3힌지핀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3관통홀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힌지핀은 가동접점이 하사점 또는 상사점에 위치할 때는 제3관통홀의 앞쪽에 위치하고 가동접점이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할 때는 제3관통홀의 뒤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접촉시 보조접점도 가동접점과 접촉하게 되어 통전 전류량이 증대되고, 기존에 비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개방거리가 증가되어 초고압 차단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에 접점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중심선 정렬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가동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통전을 위한 가동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100)는 고정접점(122)을 갖는 고정부(120)와 가동접점(132)을 갖는 가동부(130) 및 이들의 접점 및 차단 동작이 수행되는 절연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하우징(110)은 전기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개구된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어퍼실컵(111)과 로우실컵(112)이 결합되어 밀폐되고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그 내측 중앙에 아크의 증기(전극물질)를 흡착하기 위한 쉴드(113)가 설치된다.
상기 쉴드(113)는 고정접점(122)과 가동접점(132)이 이격될 때 고정접점(122)과 가동접점(132) 간에 발생하는 아크의 증기를 흡착하여 소호시킴으로써 아크가 절연하우징(110)으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고정부(120)는 고정부 도체(고정전극)(121), 고정접점(122), 지지스프링(123), 통전밴드(124), 보조접점(125), 스프링 밴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 도체(121)는 고정접점(122)으로 흐르는 전류 또는 고정접점(122)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가 통전하는 통전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배전계통의 회로중 전원측 또는 부하측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어퍼실컵(111)에 결합되어 절연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 도체(121)는 고정부 도체(121)의 하단에 고정접점(122)의 상단부(연결부)가 선형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부(121a)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121a)에는 고정접점(122)과 가동접점(132) 간에 통전을 위한 접점시 가동접점(132)에 밀려 상승 이동되는 고정접점(122)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프링(123)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스프링(123)은 상승 이동된 가동접점(132)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일정하게 압축되고, 압축시 생성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접점(122)을 탄성 지지하여 고정접점(122)과 가동접점(132) 간에 밀착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고정접점(122)은 고정접점(122) 측으로 이동되는 가동접점(132)과 접촉되거나 또는 분리되어서 전기적 통전 및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아크접점으로, 절연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가동접점(132)과 대향되게 마주 배치되고 고정부 도체(121)의 하부에 고정부 도체(121)와 통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접점(122)은 미도시된 외부의 조작기(진공차단기의 조작기임)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부(130)의 가동접점(132)과 접점시(통전 가능하게 접촉시) 가동접점(132)에 밀려 선형으로 슬라이딩되어 상승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접점(122)의 상단부(연결부)는 고정부 도체(121)의 내측으로 더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접점(122)은 고정부 도체(121)의 중공부(121a)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122b)와, 이 연결부(122b)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동접점(132)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접점부(12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점부(122a)는 연결부(122b) 및 중공부(121a)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중공부(121a)로의 진입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 도체(121)에는 고정접점(122)의 선형 이동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고정접점(122)과 고정부 도체(121) 사이를 접촉시켜 통전을 가능하게 하는 통전밴드(124)가 설치된다.
고정접점(122)의 선형 이동을 위해, 고정부 도체(121)의 중공부(121a) 벽면과 고정접점(122)의 연결부(122b) 외주면 간에 미세한 틈이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부 도체(121)의 내주면 즉, 중공부(121a)의 벽면에 통전밴드(124)를 설치함으로써 고정접점(122)의 이동시 고정접점(122)의 연결부(122b)와 고정부 도체(121) 사이를 접촉시켜 전류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통전밴드(124)는 중공부(121a)의 벽면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접점(122)의 연결부(122b) 외주면에 밀착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보이듯, 보조접점(125)은 고정부 도체(121)의 하부에 고정되게 연결 설치된 것으로, 고정부 도체(121)의 하부에서 고정접점(122)의 하단부(접점부)(122a) 외주면을 둘러싸서 접점부(122a)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도체로 형성되어 고정접점(122)과 동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접점(125)은 가동접점(132)과 고정접점(122) 간에 접점시 고정접점(122) 측으로 이동되는 가동접점(132)을 가이드하여 가동접점(132)의 중심축(중심선)을 고정접점(122)의 중심축(중심선)과 일렬로 일치되게(정렬되게) 한다.
즉, 가동접점(132)은 고정접점(122) 측으로 이동할 때, 고정접점(122)과 접촉시 또는 고정접점(122)과 접촉하기 직전에 보조접점(125)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어 고정접점(122)과 서로 중심축을 일렬로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가동접점(132)은 고정접점(122)과 접촉하는 동시에 보조접점(125)과도 밀착하게 되므로, 보조접점(125)은 고정접점(122)과 더불어 아크접점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접점(125)은 그 외측(외주면)에 예를 들면, 씨링(C링) 모양의 스프링 밴드(126)들이 설치되며, 이 스프링 밴드(126)는 보조접점(125)을 고정접점(122)의 하단부 외주면 측으로 탄력적으로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 밴드(126)는 탄성력에 의해 보조접점(125)을 조여주어 가동접점(132)의 진입시 보조접점(125)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동접점(132)과의 밀착성을 높여주고, 아울러 고정접점(122)을 지지하여서 고정접점(122)이 고정부 도체(1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보이듯, 상기 보조접점(125)은 그 외주면에 스프링 밴드(126)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홈 구조를 구비한다.
한편, 가동부(130)는 가동부 도체(혹은 가동전극)(131), 가동접점(132), 벨로우즈(133), 링크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부 도체(131)는 가동접점(132)으로 흐르는 전류 또는 가동접점(132)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가 통전하는 통전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배전계통의 회로중 전원측 또는 부하측 중 고정부 도체(121)가 접속된 측의 상대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절연하우징(110)의 내부에 상하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가동부 도체(131)는 벨로우즈(133)를 통해 절연하우징(110)의 로우실컵(112)에 연결되고, 절연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부 도체(121)와 마주 배치되어서 절연하우징(110) 외부의 조작기(미도시)에 의해 고정접점(122) 측으로 가깝게 이동되거나 또는 고정접점(122) 측에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도 2에 보이듯, 가동접점(132)은 그 하단부가 가동부 도체(131)의 내측(중공부)에 일부 삽입된 형태로 가동부 도체(131)의 상부에 조립되고, 링크부(134)를 통해 가동부 도체(131)의 승강 이동에 연동하여 일정 배수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된다.
즉, 가동부 도체(131)가 외부의 조작기에 의해 벨로우즈(133)를 연장시키며 상승 이동할 때, 가동접점(132)은 가동부 도체(131)로부터 일정 거리를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부 도체(131)에는 가동접점(132)의 선형 이동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접점(132)과 가동부 도체(131) 사이를 접촉시켜 통전을 가능하게 하는 통전밴드(139)가 설치된다.
가동접점(132)의 선형 이동을 위해, 가동부 도체(131)의 중공부(131a) 벽면과 가동접점(132)의 하단부 외주면 간에 미세한 틈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가동부 도체(131)의 내주면 즉, 중공부(131a)의 벽면에 통전밴드(139)를 설치함으로써 가동접점(132)의 선형 이동시 가동접점(132)의 하단부와 가동부 도체(131) 사이를 접촉시켜 전류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통전밴드(139)는 중공부(131a)의 벽면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가동접점(132)의 하단부 외주면에 밀착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133)는 로우실컵(112)과 가동부 도체(131) 사이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가동부 도체(131)의 선형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가동부 도체(131)의 선형 이동에 따라 신축 변형되어 로우실컵(112)과 가동부 도체(131)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하여 절연하우징(110)의 기밀을 유지한다.
도 2 내지 4를 보면, 상기 링크부(134)는 절연하우징(110)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1힌지핀(135)과, 가동접점(132)의 하부에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2힌지핀(136)과, 상기 제1힌지핀(135)과 제2힌지핀(136)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바(137), 및 이 링크바(137)의 중앙에 연결되는 제3힌지핀(138)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접점(132)에는 제2힌지핀(136)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2관통홀(132a)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2관통홀(132a)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바(137)는 일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제1힌지핀(13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제2힌지핀(13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바(137)에는 제3힌지핀(138)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3관통홀(137a)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3관통홀(137a)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3힌지핀(138)은 가동부 도체(131)의 상단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대략 ㄱ 모양으로 형성되고 링크바(137)에 끼워지는 부분은 원형 단면을 갖는 핀 모양으로 형성되어, 링크바(137)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가동접점(132)에는 외주면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홈(132b)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32b)은 가동부 도체(131)의 승강 이동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링크바(137)의 회전 이동을 안내한다.
도 5를 보면, 이러한 링크부(137)는 가동부 도체(131)가 고정접점(122) 측으로 상승 이동시 제3힌지핀(138)이 상승하면서 링크바(137)가 제1힌지핀(135)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제2힌지핀(136)이 상승 이동하여 가동접점(132)을 고정접점(122) 측으로 밀어올리게(상승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동접점(132)은 가동부 도체(131)가 상승한 거리의 일정 배수로 상승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가동부 도체(131)는 외부의 조작기에 의해 고정접점(122) 측으로 이동될 때 벨로우즈(133)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가동접점(132)은 링크부(134)에 의해 가동부 도체(131)의 이동거리에 일정 배수로 이동하게 되며, 예를 들면 가동접점(132)은 링크부(134)에 의해 가동부 도체(131)의 이동거리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를 상승(또는 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힌지핀(135)에서 제3힌지핀(138)까지의 거리와 제2힌지핀(136)에서 제3힌지핀(138)까지의 거리 간에 비율에 따라, 가동부 도체(131)의 상승 거리와 가동접점(132)의 상승 거리 간에 비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핀(136)과 제3힌지핀(138)은 각기 하사점에서 상사점까지 이동할 때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게 되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관통홀(132a)과 제3관통홀(137a)은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되되, 제2관통홀(132a)이 제3관통홀(137a)의 일정 배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제2관통홀(132a)이 제3관통홀(137a)의 2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힌지핀(136)과 제3힌지핀(138)은, 가동접점(132)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 각각 제2관통홀(132a)과 제3관통홀(137a)의 앞쪽에 위치하고, 가동접점(132)이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할 때는 각각 제2 및 제3관통홀(132a,137a)의 뒤쪽에 위치하고, 가동접점(132)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는 다시 제2 및 제3관통홀(132a,137a)의 앞쪽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사점에 위치한 가동접점(132)은 고정접점(122) 및 보조접점(125)과 접촉하여 통전 가능하게 되는데, 고정접점(122)과 접촉시 고정접점(122)을 밀어올리면서 보조접점(125)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보조접점(125)과도 접촉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진공 인터럽터 110 : 절연하우징
111 : 어퍼실컵 112 : 로우실컵
113 : 쉴드 120 : 고정부
121 : 고정부 도체 121a : 중공부
122 : 고정접점 122b : 연결부
122a : 접점부 123 : 지지스프링
124 : 통전밴드 125 : 보조접점
126 : 스프링 밴드 130 : 가동부
131 : 가동부 도체 132 : 가동접점
132a : 제2관통홀 132b : 가이드홈
133 : 벨로우즈 134 : 링크부
135 : 제1힌지핀 136 : 제2힌지핀
137 : 링크바 137a : 제3관통홀
138 : 제3힌지핀 139 : 통전밴드

Claims (13)

  1.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접점과 마주 배치되어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진공을 형성한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부 도체;
    상기 고정부 도체의 하부에 접촉한 형태로 선형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접촉시 가동접점에 밀려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의 하단부 외주면에 접촉한 형태로 상기 고정부 도체의 하부에 조립되고, 상기 고정접점을 밀면서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접점과 접촉하게 되는 보조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는,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 도체;
    하단부가 상기 가동부 도체의 내부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가동접점;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동부 도체의 선형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접점을 일정 배수로 선형 이동시키는 링크부;
    상기 가동부 도체와 절연하우징 사이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가동부 도체의 선형 이동에 따라 신축 변형되는 벨로우즈;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은 고정접점의 하단부 외주면을 둘러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접점을 밀면서 고정부 도체 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접점의 중심축을 고정접점의 중심축과 일렬로 정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은 그 외측에 스프링 밴드가 설치되고, 이 스프링 밴드는 보조접점을 고정접점의 하단부 외주면 측으로 탄력적으로 조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도체는 그 하부에 고정접점의 상단부가 선형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에는 가동접점에 밀려 이동되는 고정접점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은 고정부 도체의 중공부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접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도체는 그 중공부에, 고정접점의 상단부와 고정부 도체 간의 접촉에 의한 통전을 위한 통전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절연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힌지핀;
    가동접점의 하부에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2힌지핀;
    일단부가 상기 제1힌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힌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바;
    가동부 도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링크바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제3힌지핀;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에는 제2힌지핀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2관통홀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핀은 가동접점이 하사점 또는 상사점에 위치할 때는 제2관통홀의 앞쪽에 위치하고 가동접점이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할 때는 제2관통홀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에는 제3힌지핀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3관통홀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힌지핀은 가동접점이 하사점 또는 상사점에 위치할 때는 제3관통홀의 앞쪽에 위치하고 가동접점이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할 때는 제3관통홀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에는 제2힌지핀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2관통홀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의 링크바에는 제3힌지핀이 관통하여 조립되는 제3관통홀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은 제3관통홀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에는 가동부 도체의 선형 이동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링크바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도체는 그 중공부에, 가동접점의 하단부와 가동부 도체 간의 접촉에 의한 통전을 위한 통전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KR1020140077197A 2014-06-24 2014-06-24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KR101650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97A KR101650925B1 (ko) 2014-06-24 2014-06-24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97A KR101650925B1 (ko) 2014-06-24 2014-06-24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75A KR20160000175A (ko) 2016-01-04
KR101650925B1 true KR101650925B1 (ko) 2016-08-24

Family

ID=5516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197A KR101650925B1 (ko) 2014-06-24 2014-06-24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4548B2 (en) 2016-12-22 2018-11-20 Lsis Co., Ltd. Vacuum interrup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535A (ja) 2009-09-09 2011-03-24 Japan Ae Power Systems Corp 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80B1 (ko) 2010-07-02 2011-08-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인터럽터의 벨로우즈 압력완화구조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KR101771464B1 (ko) * 2011-06-24 2017-08-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점장치
KR101681124B1 (ko) 2012-04-16 2016-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회로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535A (ja) 2009-09-09 2011-03-24 Japan Ae Power Systems Corp 断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4548B2 (en) 2016-12-22 2018-11-20 Lsis Co., Ltd. Vacuum interru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75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9461B2 (ja) 電気的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のためのコンタクト・システム
US20110226740A1 (en) Vacuum switch having fixed rail terminals on both sides
US8916790B1 (en) Switchgear
US20230230789A1 (en) Relay
EP2561535B1 (en) Electric power switch
US20120091102A1 (en) Contact for vacuum interrupter
CN110896005B (zh) 一种真空断路器信号反馈机构
JP2009505334A (ja) 係止手段を有する支持枠を備えたスイッチ極
JP2024513030A (ja) リレー
KR101650925B1 (ko) 진공차단기의 고성능 진공 인터럽터
JP5175322B2 (ja) 並列の定格電流経路を備えたサーキット・ブレーカ
KR101771641B1 (ko) 밀봉형 릴레이
CN111952111B (zh) 一种双断口快速真空灭弧室
KR101771637B1 (ko) 밀봉형 릴레이
KR101715318B1 (ko) 이동식 전기 접점을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도체를 갖는 회로-차단기 극 부분
US10770255B2 (en) Self-resetting current limiter
CN107622908B (zh) 一种可动双回路触头结构及真空灭弧室
KR101895135B1 (ko) 힘 전달 장치
KR102385436B1 (ko) 진공 인터럽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CN220526778U (zh) 一种隔弧结构、接触单元和继电器
EP2682974A1 (en) Pushrod assembly for a medium voltage vacuum circuit breaker
KR101704989B1 (ko)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CN111466005A (zh) 用于驱动高压功率开关中的真空开关管的可移动触头的装置和方法
CN110718414A (zh) 真空断路器
CN102592876B (zh) 吹气灭弧负荷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