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715B1 -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 Google Patents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715B1
KR101770715B1 KR1020150179495A KR20150179495A KR101770715B1 KR 101770715 B1 KR101770715 B1 KR 101770715B1 KR 1020150179495 A KR1020150179495 A KR 1020150179495A KR 20150179495 A KR20150179495 A KR 20150179495A KR 101770715 B1 KR101770715 B1 KR 10177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
concrete
coupling uni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302A (ko
Inventor
심재홍
Original Assignee
심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홍 filed Critical 심재홍
Priority to KR102015017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7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결합에 의해서 구조체를 형성하는 블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블럭의 일면에 설치되어 철부를 구성하는 제1결합유닛과 블럭의 또 다른 일면에 설치되어 요부를 구성하는 제2결합유닛을 제작하는 단계와, (b) 일면에 구멍이 뚫려 있는 거푸집의 각각의 구멍에 상기 제1,2결합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의 일면 구멍에 상기 제1결합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또 다른 일면 구멍에 상기 제2결합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제1결합유닛이 상기 거푸집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되어 철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결합유닛이 상기 거푸집의 또 다른 일면에 고정되어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영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블럭의 조립시 하나의 블럭에 있는 제1결합유닛이 조립되는 다른 하나의 블럭에 있는 제2결합유닛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블럭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럭의 일면 각각에 서로 결합되어 손쉽게 조립될 수 있는 요철부가 생성되도록 블럭을 제작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은 다양한 구조체 시공시 블럭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즉, 요철부가 블럭 제작 전에 다양한 형상으로 미리 정밀하게 제작된 후 콘크리트 타설시 블럭 거푸집에 거치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이 용이한 블럭을 제작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은 다양한 구조체 시공시 블럭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 The production method of block and block that can assemble }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수개의 블럭이 조립되어 시공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블럭은 시공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옹벽 또는 해양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옹벽(擁壁)은 성토지나 절개지면의 흙이 토압(土壓)으로 인하여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체(壁體)를 일컫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 보다 가파른 경사도로 하였을 경우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옹벽은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에 콘크리트 블럭이 조립되는 방법으로 시공되고 있는데 조립되는 블럭이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블럭 간의 조립이나 결합이 용이하지 않아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해양구조물 역시 해양에 콘크리트 블럭이 조립되는 방법으로 시공되는 있는데 블럭 간의 조립이나 결합이 용이하지 않아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블럭에 요철부를 두어 블럭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하고 있으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블럭의 특징상 정밀하게 요철부를 성형하기가 쉽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09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의 일면 각각에 정밀한 요철부가 생성될 수 있도록 블럭 제작시 미리 정밀하게 성형된 요철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법으로 조립되어 조립될 수 있는 블럭을 간단히 제작하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결합에 의해서 구조체를 형성하는 블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블럭의 일면에 설치되어 철부를 구성하는 제1결합유닛과 블럭의 또 다른 일면에 설치되어 요부를 구성하는 제2결합유닛을 제작하는 단계와, (b) 일면에 구멍이 뚫려 있는 거푸집의 각각의 구멍에 상기 제1,2결합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의 일면 구멍에 상기 제1결합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또 다른 일면 구멍에 상기 제2결합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제1결합유닛이 상기 거푸집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되어 철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결합유닛이 상기 거푸집의 또 다른 일면에 고정되어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영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블럭의 조립시 하나의 블럭에 있는 제1결합유닛이 조립되는 다른 하나의 블럭에 있는 제2결합유닛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블럭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럭의 일면 각각에 서로 결합되어 손쉽게 조립될 수 있는 요철부가 생성되도록 블럭을 제작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은 다양한 구조체 시공시 블럭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즉, 요철부가 블럭 제작 전에 다양한 형상으로 미리 정밀하게 제작된 후 콘크리트 타설시 블럭 거푸집에 거치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이 용이한 블럭을 제작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은 다양한 구조체 시공시 블럭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인 블럭의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2는 도1의 블럭 제작방법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 블럭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2 블럭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인 블럭의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2는 도1의 블럭 제작방법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 블럭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2 블럭의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은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결합에 의해서 구조체를 형성하는 블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블럭(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철부를 구성하는 제1결합유닛(100)과 블럭(10)의 또 다른 일면에 설치되어 요부를 구성하는 제2결합유닛(110)을 제작하는 단계와, (b) 일면에 구멍이 뚫려 있는 거푸집(200)의 각각의 구멍에 상기 제1,2결합유닛(100, 110)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 구멍에 상기 제1결합유닛(10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 구멍에 상기 제2결합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제1결합유닛(100)이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되어 철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결합유닛(110)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고정되어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거푸집(200)을 탈영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블럭(10)의 조립시 하나의 블럭(10)에 있는 제1결합유닛(100)이 조립되는 다른 하나의 블럭(10)에 있는 제2결합유닛(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블럭(10)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d)단계로 이루어진 조립할 수 있는 블럭(10)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요철부가 블럭(10) 제작 전에 다양한 형상으로 미리 정밀하게 제작된 후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200)에 거치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이 용이한 블럭을 제작하는 발명으로 다양한 구조체 시공시 블럭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이다.
콘크리트 블럭은 시공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옹벽 또는 해양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옹벽(擁壁)은 성토지나 절개지면의 흙이 토압(土壓)으로 인하여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체(壁體)를 일컫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 보다 가파른 경사도로 하였을 경우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옹벽은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에 콘크리트 블럭이 조립되는 방법으로 시공되고 있는데 조립되는 블럭이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블럭 간의 조립이나 결합이 용이하지 않아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해양구조물 역시 해양에 콘크리트 블럭이 조립되는 방법으로 시공되는 있는데 블럭 간의 조립이나 결합이 용이하지 않아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블럭에 요철부를 두어 블럭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하고 있으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블럭의 특징상 정밀하게 요철부를 성형하기가 쉽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의 일면 각각에 정밀한 요철부가 생성될 수 있도록 블럭 제작시 미리 정밀하게 성형된 요철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법으로 조립되어 조립될 수 있는 블럭을 간단히 제작하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블럭의 일면 각각에 서로 결합되어 손쉽게 조립될 수 있는 요철부가 생성되도록 블럭을 제작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은 다양한 구조체 시공시 블럭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즉, 요철부가 블럭 제작 전에 다양한 형상으로 미리 정밀하게 제작된 후 콘크리트 타설시 블럭 거푸집에 거치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이 용이한 블럭을 제작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된 블럭은 다양한 구조체 시공시 블럭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a)단계는 블럭(10)이 조립되어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요철부를 형성하는 제1,2결합유닛(100, 110)을 미리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a)단계는 블럭(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철부를 구성하는 제1결합유닛(100)과 블럭(10)의 또 다른 일면에 설치되어 요부를 구성하는 제2결합유닛(110)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즉, (a)단계는 제1,2결합유닛(100, 110)을 미리 제작한 후 블럭(10)을 제작하는 거푸집(200)에 거치하여 블럭(10)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조립되는 블럭(10)의 요철부를 정밀하게 가공하여 만들 수 있다. 제1,2결합유닛(100, 110)은 블럭(10)의 조립형태에 따라 블럭(10)의 일면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복합적으로 다수개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블럭(10)의 조립시 하나의 블럭(10)에 있는 제1결합유닛(100)에 조립되는 다른 하나의 블럭(10)에 있는 제2결합유닛(1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블럭(10)이 조립되는 구조이다.
제1,2결합유닛(100, 110)은 블럭(10)의 요철부를 만들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1결합유닛(100)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오픈된 속이 빈 기둥 형상의 제1유닛몸체(101) 및, 상기 제1유닛몸체(101)의 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부재(10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유닛몸체(101)는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다양한 모양의 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블럭(10) 간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면의 면적이 하면의 면적보다 작은 형상으로 된 기둥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걸림부재(102)는 제1유닛몸체(101)의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부재로 콘크리트 주입시 제1유닛몸체(101)가 거푸집(200)의 일면 구멍으로 용이하게 돌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1유닛몸체(101)가 돌출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주입된 콘크리트에 지지되도록 하는 판 부재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2결합유닛(110)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오픈된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2결합유닛(110)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오픈된 속이 빈 기둥 형상의 제2유닛몸체(111) 및, 상기 제2유닛몸체(111)의 상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부재(1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유닛몸체(111)는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다양한 모양의 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블럭(10) 간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면의 면적이 하면의 면적보다 작은 형상으로 된 기둥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걸림부재(112)는 제2유닛몸체(111)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부재로 콘크리트 주입시 제2유닛몸체(111)가 거푸집(200)의 일면 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주입된 콘크리트에 지지되도록 하는 판 부재이다.
제1,2결합유닛(100, 11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2결합유닛(100, 110)은 제작되는 블럭(10)의 형태에 따라 탄성이 있는 재료 또는 2가지 이상의 재료가 합성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b)단계는 (a)단계에서 제작된 제1,2결합유닛(100, 110)을 거푸집(200)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b)단계는 일면에 구멍이 뚫려 있는 거푸집(200)의 각각의 구멍에 상기 제1,2결합유닛(100, 110)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 구멍에 상기 제1결합유닛(10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 구멍에 상기 제2결합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거푸집(200)은 다양한 형태의 블럭(10)이 제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거푸집(200)은 육면체, 삼각기둥, 원기둥, 다각기둥 형태의 블럭(10)을 제작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의 각 일면에 생성되는 구멍은 설치되는 제1,2결합유닛(100, 110)의 숫자에 맞게 뚫려 있을 수 있다. 거푸집(200)은 내부의 일면 구멍에서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210)은 제2유닛몸체(111)의 하면이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 하면에 걸리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1,2결합유닛(100, 110)이 거푸집(200)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거푸집(200)이 1개 이상의 구성품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거푸집(200) 내부에 제1,2결합유닛(100, 110)이 설치된 후 거푸집(200)의 구성품들이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c)단계는 블럭(10)을 만들기 위하여 (b)단계 후 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c)단계는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제1결합유닛(100)이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되어 철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결합유닛(110)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고정되어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단계이다.
제1결합유닛(100)에 제1걸림부재(102)가 있는 경우 (c)단계는 콘크리트 주입시 상기 제1걸림부재(102)가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 구멍에 걸리면서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로 지지되고, 상기 제1유닛몸체(101)가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철부를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2결합유닛(110)이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오픈된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c)단계는 콘크리트 주입시 상기 제2결합유닛(110)의 하면이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 일면 구멍에 걸리면서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로 지지되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2결합유닛(110)이 제2유닛몸체(111)와 제2걸림부재(112)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c)단계는 콘크리트 주입시 상기 제2유닛몸체(111)의 하면이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 일면 구멍에 걸리면서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로 지지되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200) 내부의 하면 구멍에서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210)이 있는 경우, 상기 (c)단계는 콘크리트 주입시 상기 제2유닛몸체(111)의 하면이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 일면의 걸림턱(210)에 걸리면서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로 지지되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d)단계는 상기 (c)단계 후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거푸집(200)을 탈영하는 단계이다. (d)단계의 양생은 콘크리트 블럭(10)을 양생하는 통상적인 시방서의 기준에 따른다.
또한, 본원발명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는 블럭(10)의 제작방법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를 조립할 수 있는 블럭(1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블럭(10)이 제작되어 사용자가 현장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블럭
100 : 제1결합유닛
101 : 제1유닛몸체 102 : 제1걸림부재
110 : 제2결합유닛
111 : 제2유닛몸체 112 : 제2걸림부재
200 : 거푸집 210 : 걸림턱

Claims (6)

  1. 결합에 의해서 구조체를 형성하는 블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블럭(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철부를 구성하는 제1결합유닛(100)과 블럭(10)의 또 다른 일면에 설치되어 요부를 구성하는 제2결합유닛(110)을 제작하는 단계;
    (b) 일면에 구멍이 뚫려 있는 거푸집(200)의 각각의 구멍에 상기 제1,2결합유닛(100, 110)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 구멍에 상기 제1결합유닛(10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 구멍에 상기 제2결합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제1결합유닛(100)이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되어 철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결합유닛(110)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고정되어 요부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영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블럭(10)의 조립시 하나의 블럭(10)에 있는 제1결합유닛(100)이 조립되는 다른 하나의 블럭(10)에 있는 제2결합유닛(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블럭(10)이 조립되고,
    상기 제1결합유닛(100)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오픈된 속이 빈 기둥 형상의 제1유닛몸체(101); 및,
    상기 제1유닛몸체(101)의 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부재(102)로 구성되되,
    상기 (c)단계에서 콘크리트 주입시 상기 제1걸림부재(102)가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 구멍에 걸리면서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로 지지되고, 상기 제1유닛몸체(101)가 상기 거푸집(2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철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결합유닛(110)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오픈된 속이 빈 기둥 형상의 제2유닛몸체(111); 및,
    상기 제2유닛몸체(111)의 상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부재(112)로 구성되되,
    상기 (c)단계에서 콘크리트 주입시 상기 제2유닛몸체(111)의 하면이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 일면 구멍에 걸리면서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로 지지되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요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거푸집(200) 내부의 일면 구멍에서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c)단계에서 콘크리트 주입시 상기 제2유닛몸체(111)의 하면이 상기 거푸집(200)의 내부 일면의 걸림턱(210)에 걸리면서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로 지지되어 상기 거푸집(200)의 또 다른 일면에 요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할 수 있는 블럭.
KR1020150179495A 2015-12-15 2015-12-15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KR10177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95A KR101770715B1 (ko) 2015-12-15 2015-12-15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95A KR101770715B1 (ko) 2015-12-15 2015-12-15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302A KR20170071302A (ko) 2017-06-23
KR101770715B1 true KR101770715B1 (ko) 2017-08-23

Family

ID=5928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495A KR101770715B1 (ko) 2015-12-15 2015-12-15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7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302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6851C1 (ru) Игрушечный блок,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грушечного блока и элемент игрушечного бло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грушечного блока
WO2007133485A3 (en) Durable pallet and pallet block
US9988813B2 (en) Formwork plate for walls and arches
KR101770715B1 (ko) 조립할 수 있는 블럭의 제작방법 및 블럭
US10801201B2 (en) Concrete ceiling, kit for producing a concrete ceil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crete ceiling
KR20150031330A (ko) 완구 브릭, 완구 브릭 제조 방법 및 완구 브릭 제조용 몰딩 공구
JP6177824B2 (ja) 杭頭接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杭頭接合構造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KR101503047B1 (ko)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KR101735476B1 (ko) 전면부 보강블록이 구비된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16472A (ko) 장식판재가 장착되는 옹벽블록
US20160222655A1 (en) Brick having complementary ends
RU2014107624A (ru) Способ выдув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резервуара и резервуар, изготавливаем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CN205742692U (zh) 一种砌块及墙体
KR101363557B1 (ko) 식생 옹벽 축조물
KR101068857B1 (ko) 원추형 기초용기
JP4169781B1 (ja) 盛り塩成形器
KR101859146B1 (ko) 혼합말뚝 제작방법
JP2005113519A (ja) 水洗大便器の製造方法及び水洗大便器
KR101007011B1 (ko) 옹벽블록 제작방법과 옹벽블록 제작용 형틀
KR200306787Y1 (ko) 건축 내장용 벽체 패널
KR101177016B1 (ko) 방틀의 프레임 고정구조와 방틀
KR20080004546U (ko) 할로윈용 사탕바구니
KR200262414Y1 (ko)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JP3207792U (ja) 耐震性増設柱台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