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762B1 -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762B1
KR101769762B1 KR1020170010414A KR20170010414A KR101769762B1 KR 101769762 B1 KR101769762 B1 KR 101769762B1 KR 1020170010414 A KR1020170010414 A KR 1020170010414A KR 20170010414 A KR20170010414 A KR 20170010414A KR 101769762 B1 KR101769762 B1 KR 10176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heat
waste vinyl
viny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철
Original Assignee
동민산업 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민산업 협동조합 filed Critical 동민산업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7001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29C47/8815
    • B29C47/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2013/002Extracting undesirable residual components, e.g. solvents, unreacted monomers, from material to be mou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4Solid state shear extrusion pulver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는 이송되어온 제각각 크기의 폐비닐을 일정한 크기로 1차 분쇄하는 제1 분쇄기(10); 상기 제1 분쇄기(1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21)로 투입되면 세척노즐(22)에 의해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기(20); 상기 제1 세척기(20)의 세척조(21)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1 회전 로터리(30); 상기 제1 회전 로터리(3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1 중간 이송유닛(40); 상기 제1 중간 이송유닛(4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51)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M)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52)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1 탈수기(50); 상기 제1 탈수기(5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2 중간 이송유닛(60); 상기 제2 중간 이송유닛(6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에 투입되면 세척노즐에 의해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기(70); 상기 제2 세척기(70)의 세척조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2 회전 로터리(80); 상기 제2 회전 로터리(8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3 중간 이송유닛(90); 상기 제3 중간 이송유닛(9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2 탈수기(100); 상기 제2 탈수기(10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4 중간 이송유닛(110); 상기 제4 중간 이송유닛(11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되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재차 탈수하는 제3 탈수기(120); 상기 제3 탈수기(120)로부터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현재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제2 분쇄기(130); 상기 제2 분쇄기(130)에서 분쇄된 폐비닐을 송풍덕트(141) 및 송풍기(142)에 의해 흡입하여 차기장치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유닛(140); 상기 송풍유닛(140)으로부터 송풍되어온 폐비닐을 포집탱크(151)에 포집되면, 포집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52b)에 의해 포집탱크 내의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압송하여 주는 압송유닛(150); 상기 압송유닛(150)에 의해 압송되어온 폐비닐이 호퍼(161)로 투입되면, 호퍼로부터 압출 실린더(162)의 내부로 배출되는 폐비닐을 가열하여 용융함과 동시에 용융된 폐비닐을 압출스크류에 의해 1차 압출하여 배출하는 제1 압출기(160); 상기 제1 압출기(160)로부터 배출되어온 용융상태의 폐비닐을 제1 압출기에 비해 작은 직경의 압출 실린더와 압출스크류에 의해 미세 압출하는 제2 압출기(170); 상기 제2 압출기(170)에 의해 2차 압출되어져 나온 용융 압출물을 냉각하는 냉각수조(180); 상기 냉각수조(180)에 의해 냉각된 고형 압출물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19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압출기(160)에서 방열되는 압출폐열을 회수하는 압출폐열 회수유닛(200); 및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에서 전도된 압출폐열에 의해 열교환되어, 상기 송풍유닛(140)으로 열을 발산함으로써 폐비닐의 송풍시 폐비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열 열교환기(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A waste vinyl recycling apparatus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unit}
본 발명은 농촌 등의 비닐하우스에서 다량 발생되는 폐비닐을 펠릿형태로 재생하기 위한 폐비닐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출기에서 발생되는 압출열을 전도받아서 분쇄비닐을 건조시키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비닐은 1회 이상 사용한 뒤에 폐기된 비닐 소재의 작물 재배용 단열재, 포장용 봉투 등을 포함하는데, 현대의 산업 및 생활 구조상 매년 발생하는 폐비닐의 양은 급격한 증가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비닐의 재활용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한편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따라 사용 후의 폐비닐을 수거하여 재활용 공장으로 보내면, 폐비닐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이 분쇄된 폐비닐로부터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장치를 통해 세척한 후 탈수작업을 거쳐 성형장치(압출기)에 투입하여 플라스틱 제품 등 각종 재활용품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폐비닐 재생 방식은 폐비닐을 분쇄하는 분쇄기에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분쇄기에 투입하기 전에 적당한 길이로 폐비닐을 절단한 후에 분쇄기에 투입시켜서 분쇄하므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많은 양의 폐비닐을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분쇄기에서 폐비닐과 같이 분쇄된 이물질 등을 분리시킬 때 한 번의 세척공정을 거쳐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세척실에서 오랜 시간 세척을 해야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만약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이동하여 재생원료가 완성되어 이 원료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제품 등 재생용품을 생산할 경우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재생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0551910호(폐비닐 재생장치) 특허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0697588호(폐비닐 재생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농촌 등의 비닐하우스에서 다량 발생되는 폐비닐을 펠릿형태로 재생하기 위한 폐비닐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출기에서 발생되는 압출열을 전도받아서 분쇄비닐을 건조시키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송되어온 제각각 크기의 폐비닐을 일정한 크기로 1차 분쇄하는 제1 분쇄기;상기 제1 분쇄기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로 투입되면 세척노즐에 의해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기; 상기 제1 세척기의 세척조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1 회전 로터리; 상기 제1 회전 로터리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1 중간 이송유닛; 상기 제1 중간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1 탈수기; 상기 제1 탈수기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2 중간 이송유닛; 상기 제2 중간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에 투입되면 세척노즐에 의해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기; 상기 제2 세척기의 세척조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2 회전 로터리; 상기 제2 회전 로터리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3 중간 이송유닛; 상기 제3 중간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2 탈수기; 상기 제2 탈수기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4 중간 이송유닛; 상기 제4 중간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되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재차 탈수하는 제3 탈수기; 상기 제3 탈수기로부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현재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제2 분쇄기;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비닐을 송풍덕트 및 송풍기에 의해 흡입하여 차기장치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유닛; 상기 송풍유닛으로부터 송풍되어온 폐비닐을 포집탱크에 포집되면, 포집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에 의해 포집탱크 내의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압송하여 주는 압송유닛; 상기 압송유닛에 의해 압송되어온 폐비닐이 호퍼로 투입되면, 호퍼로부터 압출 실린더의 내부로 배출되는 폐비닐을 가열하여 용융함과 동시에 용융된 폐비닐을 압출스크류에 의해 1차 압출하여 배출하는 제1 압출기; 상기 제1 압출기로부터 배출되어온 용융상태의 폐비닐을 제1 압출기에 비해 작은 직경의 압출 실린더와 압출스크류에 의해 미세 압출하는 제2 압출기; 상기 제2 압출기에 의해 2차 압출되어져 나온 용융 압출물을 냉각하는 냉각수조; 상기 냉각수조에 의해 냉각된 고형 압출물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압출기에서 방열되는 압출폐열을 전도받는 압출폐열 회수유닛; 및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에서 전도된 압출폐열에 의해 열교환되어, 상기 송풍유닛으로 열을 발산함으로써 폐비닐의 송풍시 폐비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열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압출폐열 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은 상기 제1 압출기의 압출 실린더 외주면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측 폐열회수블록;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며, 그 내부로 열매체가 순환되는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 상기 제1 압출기의 압출 실린더 외주면 하부를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과 대칭된 상태로 플랜지 결합되는 하측 폐열회수블록;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며, 그 내부로 열매체가 순환되되, 상기 상,하측 폐열회수블록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와 연통되는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에는 상기 제1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입구단과 연통되는 열매 유입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출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배출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출구단과 제2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입구단은 제1 연결파이프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출구단과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입구단은 제2 연결파이프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은 상기 제1 압출기의 압출 실린더 외주면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측 폐열회수블록;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압출 실린더의 상측 외주면을 향하는 면은 압출 실린더의 상측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됨과 아울러 압축 실린더의 상측 외주면에 면 접촉되는 나선형의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 상기 제1 압출기의 압출 실린더 외주면 하부를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과 대칭된 상태로 플랜지 결합되는 하측 폐열회수블록;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압축 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을 향하는 면은 압출 실린더의 하측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됨과 아울러 압축 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에 면 접촉되는 나선형의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에는 상기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입구단과 연통되는 열매 유입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출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배출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와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내면에는 열매체의 흐름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돌기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과제해결수단에 명시된 본 발명은 압출기에서 발산되는 압출폐열을 전도받아서 분쇄비닐을 건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건조장치가 필요없어서 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고,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분쇄기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세척기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중간 이송유닛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탈수기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폐열 회수유닛의 폐열회수라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압축기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유닛의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폐열 회수유닛의 제1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폐열 회수유닛의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압출폐열 회수유닛에서 열매체 순환파이프의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는 제1 분쇄기(10), 제1 세척기(20), 제1 회전 로터리(30), 제1 중간 이송유닛(40), 제1 탈수기(50), 제2 중간 이송유닛(60), 제2 세척기(70), 제2 회전 로터리(80), 제3 중간 이송유닛(90), 제2 탈수기(100), 제4 중간 이송유닛(110), 제3 탈수기(120), 제2 분쇄기(130), 송풍유닛(140), 압송유닛(150), 제1 압출기(160), 제2 압출기(170), 냉각수조(180) 및 절단기(190)를 포함한다.
제1 분쇄기(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이송수단(1)에 의해 이송되어온 제각각 크기의 폐비닐을 적정 크기로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포집하기 위한 호퍼(11)와, 상기 호퍼(11)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비닐을 적정크기로 분쇄하는 회전커터(12)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분쇄기(10)에 의해 분쇄된 폐비닐은 세척에 용이한 크기로 분쇄된다. 너무 작게 분쇄하면 세척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고려한 크기로 분쇄해야 한다.
제1 세척기(20)는 수거된 폐비닐에 묻어 있는 흙이나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분쇄기(10)에 의해 적정 크기로 분쇄된 폐비닐이 투입되는 세척조(21)와, 상기 세척조(21)의 하부에 다수 배치되어 세척조(21)로 투입된 폐비닐을 향해 고압을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22)로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척조(21) 내부에는 폐비닐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교반기는 폐비닐을 교반시킴에 따라 많은 분량의 폐비닐을 고르게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세척 후, 오염수는 그대로 버리지 않고 별도의 여과공정을 거친 후, 집수하여 상기 세척노즐(22)로 재공급하여 재활용 함으로써 물소비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회전 로터리(30)는 제1 세척기(20)에 의해 세척된 폐비닐을 건져 올리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세척기(20)의 세척조(2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되며, 십자형의 뜰채(31)가 복수개 구성되어 있어서 이 틀채(31)가 교번하면서 폐비닐을 연속적으로 건져 올리게 된다.
제1 중간 이송유닛(40)은 제1 회전 로터리(3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상기 제1 탈수기(50)로 이송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는 이송체인(41)과, 상기 이송체인(41)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이송대(42)로 구성되어, 이송대(42)와 이송대 사이에 폐비닐을 적치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중간 이송유닛(40)은 제1 회전 로터리(30)와 차기장치인 제1 탈수기(50)의 높이차를 감안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탈수기(50)는 상기 제1 중간 이송유닛(4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을 1차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젖은 폐비닐이 투입되는 탈수통(51)과, 상기 탈수통(51)에 모터(M)에 의해 고속 회전되게 설치되는 탈수날개(52)로 구성되어, 탈수통(51) 내의 젖은 폐비닐을 탈수날개(52)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탈수를 진행하게 된다. 탈수된 물은 탈수통(51)의 전반에 걸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 배수된다.
제2 중간 이송유닛(6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탈수기(50)로부터 공급되어온 1차 탈수된 폐비닐을 상기 제2 세척기(70)로 이송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된 제1 중간 이송유닛(40)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세척기(70)는 상기 제2 중간 이송유닛(6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재차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그 세부적인 구성은 제1 세척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폐비닐을 재차(2차) 세척하는 이유는 1차 세척만으로는 완전한 세척이 어렵고, 제1 세척기(20)로부터 제2 세척기(70)에 이를 때까지 재차 오염될 수 있음을 감안한 세척과정이다.
제2 회전 로터리(8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세척기(70)에서 세척이 완료된 폐비닐을 건져 올리기 위한 것으로, 그 세부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된 제1 회전 로터리(30)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중간 이송유닛(9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회전 로터리(8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인 제2 탈수기(10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세부적인 구성은 제1, 2 중간 이송유닛(40,60)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탈수기(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3 중간 이송유닛(9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2차 세척을 통해 젖은 상태의 폐비닐을 탈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세부적인 구성은 제1 탈수기(50)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러한, 2차 탈수공정은 2차 세척과정을 거치는 이상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다. 그렇지 않으면 폐비닐에 물기가 묻게 되므로 양질의 재생품을 얻을 수 없다.
제4 중간 이송유닛(11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탈수기(10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인 제3 탈수기(12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세부적인 구성은 제1~3 중간 이송유닛(40,60,90)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3 탈수기(12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4 중간 이송유닛(11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3차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세부적인 구성은 제1, 2 탈수기(50,100)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3차 탈수공정은 2차 탈수과정에서 완전하게 탈수되지 않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재차 탈수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 과정은 폐비닐에 일부 묻어 있는 물기를 거의 완전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제2 분쇄기(13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3 탈수기(120)로부터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현재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잘게 분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2차 분쇄는 이미 수세척과정이 완료되었으므로 잘게 분쇄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2차 분쇄과정은 압출을 앞두고 있으므로 원활한 압출을 위해 미세하게 분쇄되어야 하므로 회전커터의 크기가 앞선 제1 분쇄기(10)의 회전커터에 비해 작은 것을 적용하거나 분쇄날이 많은 회전커터를 적용해야 한다.
송풍유닛(14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분쇄기(130)에서 분쇄된 폐비닐을 흡입한 후 압송유닛(150)으로 송풍하는 것으로, 폐비닐의 통로인 송풍덕트(141)와, 송풍덕트 내에 설치되어 송풍덕트 내부로 흡입된 폐비닐을 압송유닛(150)으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기(142)로 구성된다.
압송유닛(15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송풍유닛(140)으로부터 송풍되어온 폐비닐을 포집한 후, 포집된 폐비닐을 차기장치인 제1 압출기(160)로 압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폐비닐이 포집되는 포집탱크(151)와, 상기 포집탱크(151) 내의 폐비닐을 상기 제1 압출기(160)로 압송하여 주는 압송부재(152)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송부재(152)는 이송 실린더(152a)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5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압출기(16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압송유닛(150)으로부터 압송되어온 폐비닐을 1차적으로 압출하기 위한 것으로, 폐비닐이 투입되는 호퍼(161)와,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폐비닐이 투입되며 투입된 폐비닐을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압출 실린더(162) 및 압출 실린더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용융상태의 폐비닐을 강하게 압박하여 압출하는 압출스크류(163)로 구성된다. 이러한 1차 압출은 폐비닐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강한 압력으로 압출을 진행해야 하므로 히터열과 압출열이 합해져 약 300℃ 이상의 고온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를 압출열로 통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호퍼(161)에는 그 양측에 폐비닐을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유닛(164)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배출유닛(164)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64a)와, 상기 실린더(164a)의 승강작용에 의해 호퍼(161) 내의 폐비닐을 가압하여 눌러줌으로써 폐비닐을 강제배출시켜주는 가압푸셔(16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압출기(17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 압출기(160)로부터 배출되어온 용융상태의 폐비닐을 제1 압출기(160)에 비해 작은 직경의 압출 실린더와 압출스크류에 의해 미세하게 재차 압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냉각수조(18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압출기(170)를 통해 배출되는 압출물은 반용융상태이므로 이를 고형화하기 위한 냉각과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물을 수냉각시키는 과정이다.
절단기(190)는 도 1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압출되어져 나오는 길다란 압출물을 적정의 길이, 즉 펠릿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펠릿 형태의 고형 재생품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단의 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될 뿐만 아니라 세척과정에서 묻어 있던 물기도 완전하게 제거되며, 두차례에 걸쳐서 압출을 진행하므로 밀도 높은 양질의 재생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압출기(160)에서 방열되는 고온의 압출열을 전도받아서 폐비닐을 건조시키는데 활용하기 위한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을 가지며, 또한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에서 전도된 압출폐열을 상기 송풍유닛(140)으로 발산함으로써 폐비닐의 송풍시 폐비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열 열교환기(25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은 2가지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의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은 상측 폐열회수블록(210),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222,223), 하측 폐열회수블록(230),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로 구성된다.
금속재인 상측 폐열회수블록(210)은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에 결속 플랜지(211)가 구성된다.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는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3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며, 그 내부로는 열매체가 순환된다.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은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 하부를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10)과 대칭된 상태로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10)의 결속 플랜지(211)와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결속 플랜지(211)가 구성된다.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는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며, 그 내부로 열매체가 순환되되, 상기 상,하측 폐열회수블록(210,230)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와 연통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에는 상기 제1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 입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입포트(232)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3)의 출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배출포트(233)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3,243)는 열매체가 순환되어야 하므로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의 출구단과 제2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2)의 입구단은 제1 연결파이프(244)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2)의 출구단과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3)의 입구단은 제2 연결파이프(245)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열매체 유입포트(232)를 통해 유입된 열매체는 제1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의 입구를 통해 제1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를 경유한 후, 제1 연결파이프(244)를 통해 제2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2)의 입구로 유입되고, 이후 제2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를 경유하여 제2 연결파이프(245)를 통해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3)의 입구로 유입되고, 제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3)를 경유한 후 최종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3)의 출구 및 배출포트(233)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열매체의 순환과정을 통해 압출실린더(162)에서 방열되는 폐열이 열매체로 전도되어 열매체는 고온화 된다.
참고로, 상기 각 상·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 들은 (
Figure 112017007818231-pat00001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6에서와 같이, 일실시예의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에서 전도된 폐열은 파이프 라인(L)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방열 열교환기(250)로 송출되어 송풍유닛(140)을 향해 열을 발산함으로써 송풍시 폐비닐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압축폐열을 이용하여서 폐비닐을 건조하기 위한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은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에 설치되고, 열매체가 경유하며, 압출 실린더(162)로부터 전도된 압출폐열이 열매체에 전도되도록 한다.
방열 열교환기(250)는,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에 파이프 라인(L)을 통해 연결되고,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을 통과한 열매체가 경유하며, 열매체가 경유하는 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열을 발산시킨다.
송풍유닛(140)은, 방열 열교환기(250) 및 포집탱크(151)에 연결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방열된 압축폐열을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를 통과하는 용융된 폐비닐의 폐열이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되고,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된 폐열은 상측 폐열회수블록(210) 및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에 전도되며, 상측 폐열회수블록(210) 및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에 전도된 폐열은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222,223) 및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에 전도되고,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222,223) 및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에 전도된 폐열은 열매체가 열매체 유입포트(232)로 유입된 후 열매체 배출포트(233)로 배출되는 동안 열매체로 전도되며, 열매체에 전도된 폐열은 파이프 라인(L)을 통해 방열 열교환기(250)로 공급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열매체의 폐열이 방열되면 송풍유닛(140)의 송풍기(141)에 의해 송풍덕트(142)를 따라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킨다.
이실시예의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은 상기 제1 압출기의 압출 실린더 외주면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측 폐열회수블록(260)과;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6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압출 실린더(162)의 상측 외주면을 향하는 면은 압출 실린더의 상측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됨과 아울러 압축 실린더의 상측 외주면에 면 접촉되는 나선형의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와;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 하부를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60)과 대칭된 상태로 플랜지 결합되는 하측 폐열회수블록(280)과;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8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압출 실린더(162)의 하측 외주면을 향하는 면은 압출 실린더(162)의 하측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됨과 아울러 압축 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에 면 접촉되는 나선형의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80)에는 상기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의 입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입포트(28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의 출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배출포트(282)가 형성된다.
이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상,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을 향하는 면이 압출 실린더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폐열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과, 상기 압출 실린더와 접촉되는 면이 압출 실린더와 면접촉됨으로써 열전달면적을 확대할 수 있어서 이 역시 폐열회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일실시예에 비해 향상된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이실시예에서, 압축폐열을 이용하여서 폐비닐을 건조하기 위한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은,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에 설치되고, 열매체가 경유하며, 압출 실린더(162)로부터 전도된 압출폐열이 열매체에 전도되도록 한다.
방열 열교환기(250)는,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에 파이프 라인(L)을 통해 연결되고,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을 통과한 열매체가 경유하며, 열매체가 경유하는 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열을 발산시킨다.
송풍유닛(140)은, 방열 열교환기(250) 및 포집탱크(151)에 연결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방열된 압축폐열을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킨다.
이러한 이실시예의 본 발명은,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를 통과하는 용융된 폐비닐의 폐열이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되고,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된 폐열은 상측 폐열회수블록(260) 및 하측 폐열회수블록(280), 그리고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 및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에 전도되고,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 및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에 전도된 폐열은 열매체가 열매체 유입포트(281)로 유입된 후 열매체 배출포트(282)로 배출되는 동안 열매체로 전도되며, 열매체에 전도된 폐열은 파이프 라인(L)을 통해 방열 열교환기(250)로 공급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열매체의 폐열이 방열되면 송풍유닛(140)의 송풍기(141)에 의해 송풍덕트(142)를 따라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킨다.
아울러,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290)의 내부에 열매체의 흐름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돌기(300)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열매체가 압출 실린더(162)와의 접촉시간을 연장함으로써 폐열회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호퍼(161)의 외부면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헬리크라이섬 오일(Helichrysum oil) 50중량%, 패치올리 오일(Patchoul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헬리크라이섬 오일(helichrysum oil)은 주 화학요소로는 nerol, geraniol, linalol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항박테리아, 방부, 항알러지, 항염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패치올리 오일(Patchouli oil)오일은 주 화학성분으로는 patchoulene, eugenol, carvone 등을 들 수 있으며 살균, 방부, 항울, 피부 염증 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호퍼(161)의 외부면에 코팅되므로 작업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송체인(41)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금속재의 이송체인(41)에는 부식방지 및 내오염성 향상용 피복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피복 조성물은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에테르(Resorcinol diglycidyl ether) 80 중량% 및 프로판올아민 (Propanol amine)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용해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헥사메틸레이티드-헥사메틸롤 멜라민(Hexamethylated-hexamethylol melamine) 1~10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에테르의 우수한 내화학성, 치수 안정성 등의 특성과 프로판올아민의 내부식성 등의 특성 및 멜라민 유도체의 우수한 윤활특성 등을 활용하여 보다 친환경적인 이송체인(41)의 부식방지를 위한 피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식 방지용 피복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이송체인(41)의 표면에 건조 도막 두께가 10~30㎛가 되도록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도막 두께가 10㎛ 미만이면 수명이 짧아질 수 있고,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상 문제점은 없으나, 경제적 이점이 감소한다.
또한 부직 방지용 피복 조성물이 도포된 이송체인(41)은 10~30분 동안 공기 건조시킨 후 100~200℃, 바람직하게는 150~180℃에서 10~50분 동안 경화하여 비점착성이고 광택이 우수한 도막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분쇄기(130)의 외부케이스 내측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펠트로는 니들펀치 펠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니들펀치 펠트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있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5 ~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5㎜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6㎜를 초과하면 제2 분쇄기(130)의 내부 공간이 저감되어 제2 분쇄기(130)의 스페이스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단점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5 ~ 500g/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g/m2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500g/m2 을 넘으면 제2 분쇄기(130)의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2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고, 쿠션성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20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15데시텍스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흡음층이 제2 분쇄기(130)의 내측에 구비되므로 제2 분쇄기(130)의 구동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템부 실링 구조를 구비하는 불소계 수지 라이닝 볼 밸브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 : 제1 분쇄기 20 : 제1 세척기
30 : 제1 회전 로터리 40 : 제1 중간 이송유닛
50 : 제1 탈수기 60 : 제2 중간 이송유닛
70 : 제2 세척기 80 : 제2 회전 로터리
90 : 제3 중간 이송유닛 100 : 제2 탈수기
110 : 제4 중간 이송유닛 120 : 제3 탈수기
130 : 제2 분쇄기 140 : 송풍유닛
150 : 압송유닛 160 : 제1 압출기
170 : 제2 압출기 180 : 냉각수조
190 : 절단기 200 : 압출폐열 회수유닛
210 : 상측 폐열회수유닛
221, 222, 223 :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
230 : 하측 폐열회수블록
241, 242, 243 :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
250 : 방열 열교환기 260 : 상측 폐열회수블록
270 :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 280 : 하측 폐열회수블록
290 :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

Claims (4)

  1. 이송되어온 제각각 크기의 폐비닐을 일정한 크기로 1차 분쇄하는 제1 분쇄기(10); 상기 제1 분쇄기(1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21)로 투입되면 세척노즐(22)에 의해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기(20); 상기 제1 세척기(20)의 세척조(21)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1 회전 로터리(30); 상기 제1 회전 로터리(3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1 중간 이송유닛(40); 상기 제1 중간 이송유닛(4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51)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M)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52)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1 탈수기(50); 상기 제1 탈수기(5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2 중간 이송유닛(60); 상기 제2 중간 이송유닛(6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에 투입되면 세척노즐에 의해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기(70); 상기 제2 세척기(70)의 세척조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2 회전 로터리(80); 상기 제2 회전 로터리(8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3 중간 이송유닛(90); 상기 제3 중간 이송유닛(9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2 탈수기(100); 상기 제2 탈수기(10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4 중간 이송유닛(110); 상기 제4 중간 이송유닛(11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되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재차 탈수하는 제3 탈수기(120); 상기 제3 탈수기(120)로부터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현재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제2 분쇄기(130); 상기 제2 분쇄기(130)에서 분쇄된 폐비닐을 송풍덕트(141) 및 송풍기(142)에 의해 흡입하여 차기장치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유닛(140); 상기 송풍유닛(140)으로부터 송풍되어온 폐비닐을 포집탱크(151)에 포집되면, 포집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52b)에 의해 포집탱크 내의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압송하여 주는 압송유닛(150); 상기 압송유닛(150)에 의해 압송되어온 폐비닐이 호퍼(161)로 투입되면, 호퍼로부터 압출 실린더(162)의 내부로 배출되는 폐비닐을 가열하여 용융함과 동시에 용융된 폐비닐을 압출스크류에 의해 1차 압출하여 배출하는 제1 압출기(160); 상기 제1 압출기(160)로부터 배출되어온 용융상태의 폐비닐을 제1 압출기에 비해 작은 직경의 압출 실린더와 압출스크류에 의해 미세 압출하는 제2 압출기(170); 상기 제2 압출기(170)에 의해 2차 압출되어져 나온 용융 압출물을 냉각하는 냉각수조(180); 상기 냉각수조(180)에 의해 냉각된 고형 압출물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190);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에 설치되고, 열매체가 경유하며, 압출 실린더(162)로부터 전도된 압출폐열이 열매체에 전도되도록 하는 압출폐열 회수유닛(200);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에 파이프 라인(L)을 통해 연결되고,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을 통과한 열매체가 경유하며, 열매체가 경유하는 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 열교환기(250);
    방열 열교환기(250) 및 포집탱크(151)에 연결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방열된 압축폐열을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키는 송풍유닛(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은,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측 폐열회수블록(210);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1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며, 그 내부로 열매체가 순환되는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222,223);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 하부를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10)과 대칭된 상태로 플랜지 결합되는 하측 폐열회수블록(230);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며, 그 내부로 열매체가 순환되되, 상기 상,하측 폐열회수블록(210,230)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와 연통되는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에는 상기 제1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의 입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입포트(232)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3)의 출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배출포트(23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의 출구단과 제2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2)의 입구단은 제1 연결파이프(244)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2)의 출구단과 제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3)의 입구단은 제2 연결파이프(245)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를 통과하는 용융된 폐비닐의 폐열이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되고,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된 폐열은 상측 폐열회수블록(210) 및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에 전도되며, 상측 폐열회수블록(210) 및 하측 폐열회수블록(230)에 전도된 폐열은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222,223) 및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에 전도되고, 제1, 2, 3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21,222,223) 및 제1, 2, 3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41,242,243)에 전도된 폐열은 열매체가 열매체 유입포트(232)로 유입된 후 열매체 배출포트(233)로 배출되는 동안 열매체로 전도되며, 열매체에 전도된 폐열은 파이프 라인(L)을 통해 방열 열교환기(250)로 공급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열매체의 폐열이 방열되면 송풍유닛(140)의 송풍기(141)에 의해 송풍덕트(142)를 따라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폐열 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2. 삭제
  3. 이송되어온 제각각 크기의 폐비닐을 일정한 크기로 1차 분쇄하는 제1 분쇄기(10); 상기 제1 분쇄기(1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21)로 투입되면 세척노즐(22)에 의해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기(20); 상기 제1 세척기(20)의 세척조(21)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1 회전 로터리(30); 상기 제1 회전 로터리(3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1 중간 이송유닛(40); 상기 제1 중간 이송유닛(4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51)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M)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52)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1 탈수기(50); 상기 제1 탈수기(5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2 중간 이송유닛(60); 상기 제2 중간 이송유닛(6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세척조에 투입되면 세척노즐에 의해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기(70); 상기 제2 세척기(70)의 세척조 상부에 설치된 채, 회전되면서 세척된 폐비닐을 세척조로부터 건져 올리는 제2 회전 로터리(80); 상기 제2 회전 로터리(80)에 의해 건져 올려진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3 중간 이송유닛(90); 상기 제3 중간 이송유닛(9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젖은 상태의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탈수하는 제2 탈수기(100); 상기 제2 탈수기(100)로부터 공급되어온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이송하여 주는 제4 중간 이송유닛(110); 상기 제4 중간 이송유닛(11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비닐이 탈수통에 투입되면 상기 탈수통에서 모터에 의해 고속되전되는 탈수날개에 의해 폐비닐을 고속회전시켜서 재차 탈수하는 제3 탈수기(120); 상기 제3 탈수기(120)로부터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어온 폐비닐을 현재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제2 분쇄기(130); 상기 제2 분쇄기(130)에서 분쇄된 폐비닐을 송풍덕트(141) 및 송풍기(142)에 의해 흡입하여 차기장치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유닛(140); 상기 송풍유닛(140)으로부터 송풍되어온 폐비닐을 포집탱크(151)에 포집되면, 포집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52b)에 의해 포집탱크 내의 폐비닐을 차기장치로 압송하여 주는 압송유닛(150); 상기 압송유닛(150)에 의해 압송되어온 폐비닐이 호퍼(161)로 투입되면, 호퍼로부터 압출 실린더(162)의 내부로 배출되는 폐비닐을 가열하여 용융함과 동시에 용융된 폐비닐을 압출스크류에 의해 1차 압출하여 배출하는 제1 압출기(160); 상기 제1 압출기(160)로부터 배출되어온 용융상태의 폐비닐을 제1 압출기에 비해 작은 직경의 압출 실린더와 압출스크류에 의해 미세 압출하는 제2 압출기(170); 상기 제2 압출기(170)에 의해 2차 압출되어져 나온 용융 압출물을 냉각하는 냉각수조(180); 상기 냉각수조(180)에 의해 냉각된 고형 압출물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190);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에 설치되고, 열매체가 경유하며, 압출 실린더(162)로부터 전도된 압출폐열이 열매체에 전도되도록 하는 압출폐열 회수유닛(200);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에 파이프 라인(L)을 통해 연결되고,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을 통과한 열매체가 경유하며, 열매체가 경유하는 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 열교환기(250);
    방열 열교환기(250) 및 포집탱크(151)에 연결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방열된 압축폐열을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키는 송풍유닛(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출폐열 회수유닛(200)은,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측 폐열회수블록(260);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6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압출 실린더(162)의 상측 외주면을 향하는 면은 압출 실린더의 상측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됨과 아울러 압출 실린더의 상측 외주면에 면 접촉되는 나선형의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
    상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 외주면 하부를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상측 폐열회수블록(260)과 대칭된 상태로 플랜지 결합되는 하측 폐열회수블록(280);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8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압출 실린더(162)의 하측 외주면을 향하는 면은 압출 실린더의 하측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됨과 아울러 압출 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에 면 접촉되는 나선형의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 폐열회수블록(280)에는 상기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의 입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입포트(28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의 출구단과 연통되는 열매체 배출포트(282)가 형성되며;
    제1 압출기(160)의 압출 실린더(162)를 통과하는 용융된 폐비닐의 폐열이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되고, 압출 실린더(162)에 전도된 폐열은 상측 폐열회수블록(260) 및 하측 폐열회수블록(280), 그리고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 및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에 전도되고,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 및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에 전도된 폐열은 열매체가 열매체 유입포트(281)로 유입된 후 열매체 배출포트(282)로 배출되는 동안 열매체로 전도되며, 열매체에 전도된 폐열은 파이프 라인(L)을 통해 방열 열교환기(250)로 공급되고, 방열 열교환기(250)에서 열매체의 폐열이 방열되면 송풍유닛(140)의 송풍기(141)에 의해 송풍덕트(142)를 따라 포집탱크(151)로 송풍시켜서 폐비닐을 건조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폐열 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70)와 하측 열매체 순환파이프(290)의 내면에는 열매체의 흐름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돌기(300)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폐열 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KR1020170010414A 2017-01-23 2017-01-23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KR10176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414A KR101769762B1 (ko) 2017-01-23 2017-01-23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414A KR101769762B1 (ko) 2017-01-23 2017-01-23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762B1 true KR101769762B1 (ko) 2017-08-30

Family

ID=5976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414A KR101769762B1 (ko) 2017-01-23 2017-01-23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3150A (zh) * 2022-08-04 2022-12-23 海安苏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再生塑料颗粒生产用高效生产机器人
KR102639752B1 (ko) * 2023-05-10 2024-02-22 그린가드 주식회사 종량제 봉투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725B1 (ko) 2005-12-08 2007-02-02 김성탁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KR100697588B1 (ko) 2006-05-30 2007-03-20 (주)썬프라자 폐비닐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725B1 (ko) 2005-12-08 2007-02-02 김성탁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KR100697588B1 (ko) 2006-05-30 2007-03-20 (주)썬프라자 폐비닐 재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3150A (zh) * 2022-08-04 2022-12-23 海安苏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再生塑料颗粒生产用高效生产机器人
CN115503150B (zh) * 2022-08-04 2023-09-01 长兴天晟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再生塑料颗粒生产用高效生产机器人
KR102639752B1 (ko) * 2023-05-10 2024-02-22 그린가드 주식회사 종량제 봉투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6012A (zh) 一种污泥加热干燥系统及其方法
CN207014613U (zh) 一种强制进料式废旧塑料处理输送装置
US5277758A (en) Method for recycling plastic coated paper product waste and polymeric film
CN205704848U (zh) 一种节能高效的挤出机
CN205767009U (zh) 一种废弃塑料回收装置
CN110065179A (zh) 一种再生pc塑料合金改性再生系统及方法
KR101769762B1 (ko)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CN109291315A (zh) 一种打印耗材废料回收利用装置
CA3043324C (en) Advanced manufacturing system to recycle carpet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0965697B1 (ko) 재생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205701818U (zh) 餐厨垃圾处理装置
CN111773857B (zh) 一种小麦深加工设备的高效灰尘处理装置
JP5480848B2 (ja) 市場回収発泡樹脂容器のリサイクル方法と装置
CN110682388A (zh) 一种木料加工用边角料回收装置
CN205517618U (zh) 一种新型生物制粒机
CN206046139U (zh) 一种餐厨垃圾用的粉碎烘干处理装置
CN104803578B (zh) 一种污泥干燥装置
KR2015006489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1571862A (zh) 一种生活垃圾中废塑料的干洗设备及方法
CN202412520U (zh) 造粒机的干燥装置
CN114905663A (zh) 一种用于废旧塑料回收再造粒的一体化设备
CN205718285U (zh) 一种家畜粪便烘干装置
CN211078615U (zh) 一种固体阻垢剂的造粒设备
CN212045503U (zh) 一种塑料粉碎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