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725B1 -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725B1
KR100677725B1 KR1020050119171A KR20050119171A KR100677725B1 KR 100677725 B1 KR100677725 B1 KR 100677725B1 KR 1020050119171 A KR1020050119171 A KR 1020050119171A KR 20050119171 A KR20050119171 A KR 20050119171A KR 100677725 B1 KR100677725 B1 KR 10067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olding machine
injection molding
heat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탁
Original Assignee
김성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탁 filed Critical 김성탁
Priority to KR102005011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의 밴드히터의 외측을 코일 형식으로 감싸서, 밴드히터의 외측으로 방열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관; 상기 흡열관을 통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급수를 위한 급수부; 상기 온수를 필요로 하는 온수수요장치; 및 상기 흡열관, 온수탱크, 순환펌프, 급수부 및 온수수요장치를 연결하는 파이프 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는 밴드히터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내부를 가열시, 상기 밴드 히터의 외측에서 방열되는 열을 흡입하는 흡열관을 이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재사용하게되어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밴드 히터, 사출 성형기, 흡열관, 온수 탱크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Apparatus of Recovery of Exhausting Heat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도 1은 종래 사출 성형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서 온수의 순환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폐열 회수 장치의 온수를 이용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성형 본체 110: 실린더
120: 호퍼 130: 밴드 히터
200: 흡열관 205: 파이프
210: 급수부 212: 급수 배관
216: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 220: 온수 탱크
232: 온도계 234: 온도 센서
236: 온수 밸브 238: 드레인밸브
240: 온수수요장치 242: 사출금형
244: 샤워기 248: 라디에이터
250: 순환 펌프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내부를 밴드히터로 가열시 외부로 방출되는 폐열을 흡수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10)의 내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스티렌(Polystyrene) 같은 플라스틱(Plastic) 소재를 투입한 후, 열을 가하여 용융상태로 만든 다음, 이것을 사출 금형 내부에 주입하여 고형화시키는 것으로,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실린더(110) 내부에 열을 가하는 방법은 실린더(110) 외경에 밴드 히터(130)를 설치하여 실린더(110) 내부를 가열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 히터(130)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실린더(110)의 외경과 접촉되는 밴드 히 터(130)의 일측으로 열을 방열시켜서 실린더(110) 내부를 가열시키게 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밴드 히터(130)에서 외측으로 방열 되는 열은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는 고가의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밴드 히터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내부를 가열시, 상기 밴드 히터의 외측에서 방열되는 열을 흡입하는 흡열관을 이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재사용하게 되어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의 밴드히터의 외측을 코일 형식으로 감싸서, 밴드히터의 외측으로 방열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관; 상기 흡열관을 통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급수를 위한 급수부; 상기 온수를 필요로 하는 온수수요장치; 및 상기 흡열관, 온수탱크, 순환펌프, 급수부 및 온수수요장치를 연결하는 파이프 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열관의 재질이 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수탱크가 수온을 측정하고 제어명령를 송신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온수탱크의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수수요장치가 사출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는 성형 본체(100), 밴드 히터(130), 흡열관(200),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 온수 탱크(220), 순환 펌프(250), 온수수요장치(240) 및 파이프 라인(20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 본체(100)는 사출 성형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실린더(110), 피스톤(미도시), 및 호퍼(120)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110)는 내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스티렌(Styrene) 같은 플라스틱(Plastic) 소재를 투입한 후, 열을 가하여 플라스틱 소재가 용융되는 장치로서, 이러한 용융을 위하여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아야 한다.
호퍼(120)는 실린더(110) 내부에 플라스틱 소재를 투입하는 투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로, 호퍼(120)에 플라스틱 소재를 구비시켰다가 성형 가공시 실린더(110) 내부로 플라스틱 소재를 투입하게 된다.
피스톤(미도시)은 실린더(110) 내부의 플라스틱 소재가 열로 인하여 용융상태가 되면, 실린더(110)의 외부로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밴드 히터(130)는 실린더(110) 내부를 가열시키는 장치로, 고열을 발산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밴드 히터(130)의 일측은 실린더(110)의 외경을 코일 형식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밴드 히터(130)는 필연적으로 외측으로 방출하는 폐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폐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도출되었다.
흡열관(200)은 밴드 히터(130)의 외측으로 방열되는 열을 흡수하기 위해 밴드 히터(130)의 외측을 코일 형식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흡열관 (200)의 재질은 흡열관(200) 내부로 열전도가 잘 되도록 열 전도성이 좋은 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관(200)은 후술하는 온수 탱크(220)와 파이프 라인(205)으로 연결되어 있어, 가열된 액체를 후술하는 온수 탱크(220)로 배출한다.
즉, 보일러 내에서 온수가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도 온수가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흡열관(200), 온수탱크(220), 순환펌프(250), 급수부(210) 및 온수수요장치(240) 들이 파이프 라인(205)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온수 탱크(220)는 흡열관(200)을 거치면서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는 곳으로, 온수 탱크(220)에서 온수를 필요한 곳으로 공급하는 온수 밸브(236)와, 온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시에 온수를 외부로 방출하는 드레인(238)을 구비하고 있으며, 온도 센서(234)를 장착할 수도 있다. 온수 탱크(220)는 가열된 온수를 저장함과 동시에 온수가 필요로 하는 온수수요장치(240)로 온수를 이송하여 준다.
온수 탱크(220)에는 온수 탱크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온도계(2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온도 센서(234)를 구비하여, 온도센서(234)에서 측정한 온도치를 후술하는 급수부(210)의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온수 탱크(220)의 온도 센서(234)는 후술하는 급수부(210)의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와 연동되어, 온수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온도 센서(234)가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를 통해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에서 급수를 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온도계(234)에서 전송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를 오픈하여 흡열관(200)으로 냉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순환 펌프(250)는 온수 밸브(246)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온수수요장치(240)를 거쳐 흡열관(200)으로 다시 순환되도록 하여 준다.
온수수요장치(240)는 가열된 온수를 사용하는 장치 또는 기구이면 제한이 없으며, 하기 도 4a 내지 도 4c 에서는 몇 가지 온수수요장치(240)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급수부(210)는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는 급수 배관(212)에서 물을 공급받아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를 통해 흡열관(200) 관로에 물을 급수하는 장치로, 물이 급수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가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는 온수 탱크(220)에 구비된 온도 센서(234)로부터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물이 급수되는 것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는 하나의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 으므로, 온수수요장치가 라디에이터나 금형과 같이 온수를 소비하지 않는 장치라면, 평상시 급수의 필요성이 거의 없으나(드레인하는 경우 필요할 수 있음), 샤워기와 같이 온수를 소비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급수를 계속 해주어야 한다. 또한 온수를 소비하지 않는 온수수요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온수가 가열되는 경우 온수 온도의 조정을 위하여 급수를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온수의 순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출성형기의 가열시 순환펌프(250)가 작동되고, 온수탱크(220)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관로를 따라 흡열관(200)으로 공급되어 온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온수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과열되었거나, 순환되는 온수의 유량이 부족한 경우 급수부(210)의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216)가 오픈되어 냉수를 공급한다.
또한, 가열된 온수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순환 파이프 라인 중에 연결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순환펌프(250)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온수수요장치(240)에서 소비되거나, 온수수요장치(240)에서 열을 소비한 후 냉각, 순환되어 다시 흡열관(200)으로 이송된다.
기본적인 물의 흐름은 온수 탱크(220)에서 부터 시작하여 순환펌프(250), 온수수요장치(240), 흡열관(200) 다시 온수 탱크(220)으로 순환하며, 상기 순환라인 중 일측에 급수부(210)를 설치하여 필요한 보충수를 공급받는다.
이하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온수수요장치(240)의 예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도 4a 를 참조하면, 폐열 회수 장치의 온수를 이용하는 온수수요장치는 사출금형을 구비한다. 사출금형(242)은 사출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모양을 결정하는 장치로, 열경화성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 차가운 사출금형(242)에 용융된 플라스틱 소재를 바로 사출하게 되면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온수 밸브(246)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금형(242)을 승온시켜 용융된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하게 되면, 사출금형(242)을 승온시키기 위해 따로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사출금형(242)을 거친 온수는 다시 사용하기 위해 흡열관(200)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도 4b 를 참조하면, 폐열 회수 장치의 온수를 이용하는 온수수요장치는 샤워기(244) 및 샤워 밸브(246)를 구비한다. 샤워 밸브는(246)는 평상시에는 잠겨있어 온수 밸브(236)를 통해 공급받은 온수를 그대로 흡열관(200)으로 내보내지만, 사용자가 샤워를 할 시에는 샤워 밸브(246)가 오픈되어 샤워기(244)를 통해 온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샤워를 하기 위해 따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샤워기(24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급수부(210)에서 적절히 냉수를 더 흡열관(200) 쪽 파이프라인으로 공급해주어야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c 를 참조하면, 폐열 회수 장치의 온수를 이용하는 온수수요장치로 라디에이터(248)을 설치한 것이다. 라디에이터(248)로 흡열관(200)에서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248)를 거친 온수는 다시 가열하기 위해 흡열관(200)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는 밴드 히터의 외측에서 방열되는 열을 흡입하는 흡열관을 이용하여 온수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온수를 이용하여 온수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사출성형기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폐열을 재사용하게 되어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는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내부를 밴드히터를 이용하여 가열시, 상기 밴드 히터의 외측 에서 방열되는 열을 흡입하는 흡열관을 이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재사용하게되어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출 성형기의 밴드히터의 외측을 코일 형식으로 감싸서, 밴드히터의 외측으로 방열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관;
    상기 흡열관을 통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급수를 위한 급수부;
    상기 온수를 필요로 하는 온수수요장치; 및
    상기 흡열관, 온수탱크, 순환펌프, 급수부 및 온수수요장치를 연결하는 파이프 라인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관의 재질이 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가 수온을 측정하고 제어명령를 송신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가, 상기 온수 탱크의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온도센서연동전자밸브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수요장치가 사출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KR1020050119171A 2005-12-08 2005-12-08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KR10067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71A KR100677725B1 (ko) 2005-12-08 2005-12-08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71A KR100677725B1 (ko) 2005-12-08 2005-12-08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566U Division KR200410900Y1 (ko) 2005-12-08 2005-12-08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725B1 true KR100677725B1 (ko) 2007-02-02

Family

ID=3810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71A KR100677725B1 (ko) 2005-12-08 2005-12-08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7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62B1 (ko) 2017-01-23 2017-08-30 동민산업 협동조합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KR101970694B1 (ko) 2018-10-08 2019-08-13 (주)한국이엔이 사출성형기
KR102201666B1 (ko) 2020-02-27 2021-01-12 (주)한국이엔이 촉매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62B1 (ko) 2017-01-23 2017-08-30 동민산업 협동조합 폐열회수유닛을 갖는 폐비닐 재생장치
KR101970694B1 (ko) 2018-10-08 2019-08-13 (주)한국이엔이 사출성형기
KR102201666B1 (ko) 2020-02-27 2021-01-12 (주)한국이엔이 촉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57303A1 (ja) 給湯システム
KR100677725B1 (ko)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WO2008123188A1 (ja) 暖房給湯装置
KR100888985B1 (ko) 금형의 급속 가열방법
US7963760B2 (en) Heater cartridge and mol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410900Y1 (ko) 사출성형기의 폐열 회수 장치
CN101229677A (zh) 注塑机废热的回收装置
KR100409134B1 (ko) 연료전지 코제네레이션 시스템
KR101250880B1 (ko) 얼음 교환식 물매트용 냉온수 보일러
KR100418459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폐열을 보일러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JP2957139B2 (ja) 金型の温度調節装置
CN209524563U (zh) 一种快速加热内胆及应用该内胆的电热器
KR101105320B1 (ko) 온수기
US6799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ation of waste heat of semiconductor equipment and heat exchanger used for utilization of waste heat of semiconductor equipment
JP4872550B2 (ja) 給湯機
JP2002079559A (ja) 金型温度制御装置
KR100763388B1 (ko) 온수제공장치
KR101706176B1 (ko) 대형온수공급탱크를 구비한 난방용 보일러
KR101561927B1 (ko) 비데의 온수장치
KR20100066164A (ko) 배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조수 시스템
KR20040082360A (ko) 정수기의 다온도 가열장치.
CN216300535U (zh) 数码打印机的热能回收利用装置及数码打印机
KR200369458Y1 (ko) 스팀다리미
KR200398059Y1 (ko) 전기 온풍기
KR200313650Y1 (ko)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