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483B1 -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483B1
KR101769483B1 KR1020170028454A KR20170028454A KR101769483B1 KR 101769483 B1 KR101769483 B1 KR 101769483B1 KR 1020170028454 A KR1020170028454 A KR 1020170028454A KR 20170028454 A KR20170028454 A KR 20170028454A KR 101769483 B1 KR101769483 B1 KR 10176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oupling
coupled
engag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옥순
Original Assignee
엄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옥순 filed Critical 엄옥순
Priority to KR102017002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결합부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고정부재에 의해 측판과 측면 칸막이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제1,2부재를 상호결합하여 측판과 측면칸막이를 고정시키므로 결합력이 한층 향상될 뿐만 아니라 측면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칸막이의 내측에 설치되어 고정부재로 고정되므로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마감부재로 마감처리하므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for partition of reading room desk}
본 발명은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결합부의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이용하여 측판과 측면 칸막이를 결합시키므로 결합력이 한층 향상될 뿐만 아니라 측면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칸막이의 내측에 설치되어 고정부재로 고정되므로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마감부재로 마감처리하므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은, 여러 명이 동시에 공부하는 자습실로서, 장시간 책으로 보거나 외부의 소음이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집중하여 공부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독서실은 다수의 이용자들이 출입하며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학습 중 미세한 소음이나 주위 사물에 의해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책상의 양측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 좌우의 학습자 간의 시선을 차단하여 학습자가 학습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건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독서실의 칸막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24199호로 독서실 책상 결합구조를 등록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 발명은, 좌,우측판의 전방으로 좌,우측칸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칸막이를 좌,우측판에 연결시키는 측면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측면 칸막이부와; 상기 좌,우측칸막이에 직교되게 전면 칸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칸막이를 좌,우측칸막이에 연결시키는 모서리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전면 칸막이부와; 상기 측면 칸막이부와 전면 칸막이부의 상부 결합되는 덮개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 등록 발명은 'H'자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면 결합부재가 좌,우측판과 좌,우측칸막이에 결합되어 연결되므로 칸막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지지편이 쉽게 변형되는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측면 결합부재는 칸막이의 단부를 일정 길이만큼 수용하기 위해 지지편이 길게 돌출형성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습니다.
또한, 모서리 결합부재는 칸막이의 단부를 일정 길이만큼 수용하는 지지편이 돌출형성되어 칸막이를 끼움식으로 결합시키므로 모서리 결합부재로부터 칸막이가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칸막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칸막이가 움직이면서 지지편이 변형 및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취약한 결합구조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199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부재를 측판과 측면 칸막이에 고정부재로 각각 고정시킨 후 제1,2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측판과 측면 칸막이를 고정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측면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칸막이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부재로 고정되므로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마감부재의 마감으로 고정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 제품의 완성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는, 책을 올려놓고 학습할 수 있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양측에 다리기능을 하는 측판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에 결합되어 학습자 간의 간섭을 차단하는 측면, 전방, 모서리 칸막이가 구비되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단부에 제1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부재로 고정되며 상기 측면 칸막이의 단부에 제2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부재로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의 결합돌기를 제1부재의 결합공간에 결합시킨 후 측면 칸막이를 회전시켜 지지돌기를 제1부재에 결합시키는 측면 결합부와;
상기 측면 칸막이의 전방 단부가 칸막이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전방 칸막이의 내측면이 전방 결합부재에 밀착되어 고정부재로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끼움홈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전방 결합부와;
상기 측면 칸막이와 모서리 칸막이의 내측에 모서리 결합부재가 직각으로 밀착되어 고정부재로 각각 고정되며 상기 모서리 결합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모서리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면 결합부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고정부재에 의해 측판과 측면 칸막이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제1,2부재를 상호결합하여 측판과 측면칸막이를 고정시키므로 결합력이 한층 향상될 뿐만 아니라 측면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칸막이의 내측에 설치되어 고정부재로 고정되므로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며 전방 결합부와 모서리 결합부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마감부재로 마감처리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 결합부를 확대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방 결합부를 확대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서리 결합부를 확대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독서실 책상이 연속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간 결합부를 확대한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책을 올려놓고 학습할 수 있는 상판(11)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1)의 양측에 다리기능을 하는 측판(12)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12)에 결합되어 학습자 간의 간섭을 차단하는 측면, 전방 및 모서리 칸막이(13)(14)(15)가 구비되는 독서실 책상(10)의 칸막이 결합구조(100)에 있어서, 상기 측판(12)의 단부에 제1부재(111)가 결합되어 고정부재(113)로 고정되며 상기 측면 칸막이(13)의 단부에 제2부재(112)가 결합되어 고정부재(113)로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112)의 결합돌기(112b)를 제1부재(111)의 결합공간(111b)에 결합시킨 후 측면 칸막이(13)를 회전시켜 지지돌기(112c)를 제1부재(111)에 결합시키는 측면 결합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측면 칸막이(13)의 전방 단부가 칸막이 결합부재(121)에 결합되고 전방 칸막이(14)의 내측면이 전방 결합부재(122)에 밀착되어 고정부재(123)로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끼움홈(124)에 마감부재(125)가 결합되는 전방 결합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측면 칸막이(13)와 모서리 칸막이(15)의 내측에 모서리 결합부재(131)가 직각으로 밀착되어 고정부재(133)로 각각 고정되며 상기 모서리 결합부재(131)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32)에 마감부재(134)가 결합되는 모서리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측면 결합부(110)는, 상기 측판(12)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턱(111a)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결합돌기(112b)가 결합되도록 결합공간(111b)이 형성되는 제1부재(111)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칸막이(13)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턱(112a)이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는 결합공간(111b)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12b)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12b)의 타측에는 제1부재(11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지지돌기(112c)가 형성되는 제2부재(1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2부재(111)(112)를 측판(12)과 측면 칸막이(13)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전방 결합부(120)는, 상기 측면 칸막이(13)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21a)이 형성되는 칸막이 결합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121)와 직교되게 형성되어 전방 칸막이(14)가 고정되는 전방 결합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121)와 전방 결합부재(122)를 측면 칸막이(13)와 전방 칸막이(14)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121)와 전방 결합부재(122)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124)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124)에 결합되어 고정부재(123)를 보호하는 마감부재(12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독서실 책상(10)이 연속 설치되어 밀착되는 측판(12)(12')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턱(141a)이 형성되는 측판 결합부재(141)가 구비되고 측판 결합부재(141)와 직교되게 형성되어 측면 칸막이(13)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42a)이 형성되는 칸막이 결합부재(142)가 구비되며 상기 측판 결합부재(141)와 칸막이 결합부재(142)를 측판(12)(12')과 측면 칸막이(13)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3)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142)의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측면 칸막이(13)가 측판 결합부재(141)에 밀착도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144)가 구비되며 상기 측판 결합부재(141)와 칸막이 결합부재(142)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145)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145)에 결합되어 고정부재(143)를 보호하는 마감부재(146)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중간 결합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독서실 책상(10)의 측판(12) 단부에 측면 결합부(110)의 제1부재(111)를 결합시키되, 상기 측판(12) 단부가 결합턱(111a)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턱(111a)은, 측판(12) 단부가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그 길이를 최소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측판(12)에 제1부재(11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부재(111)에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113)를 체결하여 측판(12)과 제1부재(111)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측면 칸막이(13)의 단부에 제2부재(112)를 결합시키되, 상기 측면 칸막이(13)의 단부가 결합턱(112a)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112)에 고정부재(113)를 체결하여 측면 칸막이(13)와 제2부재(112)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제1부재(111)와 제2부재(112)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측면 칸막이(13)에 제2부재(11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측판(12)으로부터 측면 칸막이(13)를 비스듬히 틀어서 상기 제2부재(112)에 탄성을 가진 후크타입의 결합돌기(112b)를 제1부재(111)에 형성된 결합공간(111b)으로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측면 칸막이(13)를 측판(12)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112b)는 결합공간(111b) 내에서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됨과 동시에 결합돌기(112b) 단부가 결합공간(111b)이 형성된 제1부재(111) 내측 벽면에 밀착되면서 측면 칸막이(1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면 칸막이(13)가 회전하게 되면, 제2부재(112)에 형성된 지지돌기(112c)는 결합공간(111b) 타측의 제1부재(111) 단부에 위치하여 서로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접촉되는 지지돌기(112c)와 제1부재(111)의 선단부 모서리는 일정 직경으로 라운드처리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112c)가 제1부재(11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칸막이(13)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후크타입의 결합돌기(112b)가 탄성에 의해 미세하게 변형됨과 동시에 지지돌기(112c)는 제1부재(111)의 단부를 외측으로 탄력있게 밀어내어 제1부재(111)의 내측면에 결합되면서 측판(12)과 측면 칸막이(13)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2부재(111)(112)를 이용하여 측판(12)과 측면 칸막이(13)를 결합시키게 되므로 결합이 간편하면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11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2부재(111)(112)가 측판(12)과 측면 칸막이(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로 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 한층 향상된 제품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결합부(110)가 결합된 측면 칸막이(13) 중 일측의 측면 칸막이(13) 전방 단부를 전방 결합부(120)의 칸막이 결합부재(121)에 형성된 결합홈(121a)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121)와 직교되게 형성된 전방 결합부재(122)에 전방 칸막이(14)를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121)와 전방 결합부재(122)에 고정부재(123)를 고정시켜 측면 칸막이(13)와 전방 칸막이(14)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측면 칸막이(13)와 전방 칸막이(14)가 고정되면,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121)와 전방 결합부재(122)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24)으로 마감부재(125)를 결합하여 고정부재(12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방 결합부(120)에 측면 칸막이(13)와 전방 칸막이(14)를 결합시킨 후 고정부재(123)로 이들을 고정하므로 측면 칸막이(13)와 전방칸막이(14)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이며, 마감부재(125)의 마감으로 고정부재(12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 외관이 미려하면서 한층 향상된 제품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결합부(110)가 결합된 측면 칸막이(13) 중 타측의 측면 칸막이(13) 전방 단부에 모서리 칸막이(15)가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면 칸막이(13)와 모서리 칸막이(15)의 내측에 모서리 결합부재(131)를 밀착시킨 후, 모서리 결합부재(131) 내측에서 고정부재(133)를 고정시켜 측면 칸막이(13)와 모서리 칸막이(15)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측면 칸막이(13)와 모서리 칸막이(15)를 고정시킨 후, 모서리 결합부재(131)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홈(132)으로 마감부재(134)를 결합하여 고정부재(133)를 보호하면서 고정부재(1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모서리 결합부(130)는, 상기 측면 칸막이(13)와 모서리 칸막이(15)의 내측에 고정되므로 독서실 책상(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한층 향상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실 책상(10)을 연속으로 설치할 경우, 밀착형성되는 측판(12)과 측판(12') 단부에 중간 결합부(140)의 측판 결합부재(141)를 결합시키되, 상기 측판(12)과 측판(12') 단부가 결합턱(141a)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턱(141a)은, 측판(12)(12') 단부가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그 길이를 최소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측판(12)과 측판(12')을 견고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측판(12)(12')에 측판 결합부재(14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측판 결합부재(141)에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143)를 고정하여 측판(12)(12')과 측판 결합부재(141)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칸막이 결합부재(142)의 결합홈(142a)에 측면 칸막이(13)를 결합시키게 되면 측면 칸막이(13)의 단부가 스토퍼(144)에 제어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144)는, 측면 결합부재(141)와 측면 칸막이(1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측면 칸막이(13)의 단부가 고정부재(143)의 머리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측면 칸막이(13)가 칸막이 결합부재(14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칸막이 결합부재(142)에 고정부재(143)를 고정하여 측면 칸막이(13)와 칸막이 결합부재(142)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측판 결합부재(141)와 칸막이 결합부재(14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45)으로 마감부재(146)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칸막이 결합구조 110: 측면 결합부
111: 제1부재 112: 제2부재
113: 고정부재 120: 전방 결합부
121: 칸막이 결합부재 122: 전방 결합부재
123: 고정부재 124: 끼움홈
125: 마감부재 130: 모서리 결합부
131: 모서리 결합부재 132: 끼움홈
133: 고정부재 134: 마감부재
140: 중간 결합부 141: 측판 결합부재
142: 칸막이 결합부재 143: 고정부재
144: 스토퍼 145: 끼움홈
146: 마감부재

Claims (4)

  1. 책을 올려놓고 학습할 수 있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양측에 다리기능을 하는 측판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에 결합되어 학습자 간의 간섭을 차단하는 측면, 전방, 모서리 칸막이가 구비되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단부에 제1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부재로 고정되며 상기 측면 칸막이의 단부에 제2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부재로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의 결합돌기를 제1부재의 결합공간에 결합시킨 후 측면 칸막이를 회전시켜 지지돌기를 제1부재에 결합시키는 측면 결합부와;
    상기 측면 칸막이의 전방 단부가 칸막이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고 전방 칸막이의 내측면이 칸막이 결합부재와 직교되게 형성된 전방 결합부재에 밀착되어 고정부재로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칸막이 결합부재와 전방 결합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전방 결합부와;
    상기 측면 칸막이와 모서리 칸막이의 내측에 모서리 결합부재가 직각으로 밀착되어 고정부재로 각각 고정되며 상기 모서리 결합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마감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부재를 보호하면서 고정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모서리 결합부; 및
    상기 독서실 책상이 연속 설치되어 밀착되는 측판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턱이 형성되는 측판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측판 결합부재와 직교되게 형성되어 측면 칸막이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칸막이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측판 결합부재와 칸막이 결합부재를 측판과 측면 칸막이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의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측면 칸막이가 측판 결합부재에 밀착도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측판 결합부재와 칸막이 결합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어 고정부재를 보호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중간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 결합부는,
    상기 측판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턱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제1부재와;
    상기 측면 칸막이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턱이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는 결합공간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타측에는 제1부재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2부재를 측판과 측면 칸막이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 결합부는,
    상기 측면 칸막이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칸막이 결합부재와;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와 직교되게 형성되어 전방 칸막이가 고정되는 전방 결합부재와;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와 전방 결합부재를 측면 칸막이와 전방 칸막이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칸막이 결합부재와 전방 결합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어 고정부재를 보호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칸막이 결합구조.
  4. 삭제
KR1020170028454A 2017-03-06 2017-03-06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KR10176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54A KR101769483B1 (ko) 2017-03-06 2017-03-06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54A KR101769483B1 (ko) 2017-03-06 2017-03-06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483B1 true KR101769483B1 (ko) 2017-08-18

Family

ID=5975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54A KR101769483B1 (ko) 2017-03-06 2017-03-06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4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99B1 (ko) * 2013-11-29 2014-07-28 엄옥순 독서실 책상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99B1 (ko) * 2013-11-29 2014-07-28 엄옥순 독서실 책상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7261B1 (ru) Меб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 сборе
JPH11315672A (ja) 巻込戸と取付機構と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
KR101769483B1 (ko) 독서실 책상의 칸막이 결합구조
KR20170044459A (ko) 포장용 종이상자
US5878984A (en) Foot for an article of furniture
KR101424199B1 (ko) 독서실 책상 결합구조
US5439308A (en) Connector
KR101562796B1 (ko) 조립식 파티션
JP2526486Y2 (ja) パーティションのパネル構造
KR20190130256A (ko) 조립식 가구
JPH11128000A (ja) 台輪のコーナー連結部材
KR200228995Y1 (ko) 가구용 몰딩부재
KR200482289Y1 (ko)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JP5257191B2 (ja) 間仕切装置における配線ダクト装置
JPH1181614A (ja) 板状体の仕舞用役物
JP4982904B2 (ja) パネル接続用連結具。
WO2023065440A1 (zh) 一种可折转的板材组合结构
JP2556984Y2 (ja) 引き出し
JP7117530B2 (ja) 開口枠
JPH0454326Y2 (ko)
JP2602305Y2 (ja) ホルダ
JPS5936605Y2 (ja) 壁埋込み型収納棚
JP2000355998A (ja) 間仕切パネルの連結構造
JPS6022837Y2 (ja) 天板の端縁被覆装置
KR20050018933A (ko) 벽체용패널과 벽체용패널의 고정부재와 결합부재 및 그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