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269B1 -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269B1
KR101769269B1 KR1020170063191A KR20170063191A KR101769269B1 KR 101769269 B1 KR101769269 B1 KR 101769269B1 KR 1020170063191 A KR1020170063191 A KR 1020170063191A KR 20170063191 A KR20170063191 A KR 20170063191A KR 101769269 B1 KR101769269 B1 KR 101769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chair
projections
bar
acu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to KR102017006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을 등받이에 편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등에 자극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등 부위에 대한 지압 및 안마 효과를 통해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BACK OF CHAIR WITH HEALTH PROMOTION APPARATUS AND CHAIR}
본 발명은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을 등받이에 편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등에 자극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등 부위에 대한 지압 및 안마 효과를 통해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일정한 공간에서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인체의 앉은 자세가 최대한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의자는 신체의 하체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신체의 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다리부로 구성되며, 휴대가 가능한 단순한 의자에서부터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고급 의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가 인체가 기댈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인체의 건강은 특별히 고려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과중한 업무로 인한 피로나 스트레스를 풀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832호(2000.12.01.) '등받이에 지압판이 부설된 의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을 등받이에 편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등에 자극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등 부위에 대한 지압 및 안마 효과를 통해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판(1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의자(100)를 이루는 등받이(1)로써, 전,후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12)를 형성하는 프레임(11)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 및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내측에 구비되며, 지압 및 안마가 이루어지는 건강증진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증진장치(20)는, 양단부가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내측에 연결되는 지지바(21); 및 상기 지지바(21)에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2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21)는, 전면에 상기 돌기(22)가 수용되는 다수의 결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기(22)는, 각각 구 형태를 이루어 상기 결합홈(21a)으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21)는, 상기 다수의 돌기(22)를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홈(21a)의 후방부를 이루는 다수의 후방공간(21a-1)이 형성되는 후방지지바(21-1); 및 상기 다수의 돌기(22)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홈(21a)의 전방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방공간(21a-2)이 형성되면서 상기 돌기(2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후방지지바(21-1)의 전방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돌기(22)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지지바(2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강증진장치(20)는, 상기 결합홈(21a)으로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싱(23); 상기 부싱(23)의 전방에 위치되고 유출입구(24b)가 형성되는 결합판(24a)과, 상기 결합판(24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부싱(23)으로 나사결합되는 결합관(24c)을 포함하는 고정부재(24); 상기 부싱(23)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돌기(22)가 상기 유출입구(24b)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링(25); 및 상기 각 돌기(22)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수단(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을 등받이에 편하게 기댈 수 있는 것은 물론, 등에 자극이 전달될 수 있음으로써 등 부위에 대한 지압 및 안마 효과를 통해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에서 건강증진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에서 건강증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이하 " 등받이"라 한다)(1)는 좌판(1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의자(100)를 이루는 등받이(1)로써, 전,후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12)를 형성하는 프레임(11)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 및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내측에 구비되며 지압 및 안마가 이루어지는 건강증진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의자(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10)을 지지하는 다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1)는 상기 좌판(110)에 연결되거나, 상기 다리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좌판(110) 및 상기 다리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1)은 상,하부바(13,14) 및 상기 상,하부바(13,14)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바(15)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사각 링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하부바(13,14)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측면바(15)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의자(10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상부바(13)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바(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16)는 상기 상부바(13)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2)에 위치되면서 의자(10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준다.
상기 등받이(1)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의 전면에 구비되는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물로 이루어지면서 메쉬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바(16)는 상기 프레임(11)과 함께 상기 커버(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외력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1)는 전후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통풍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건강증진장치(20)는 양단부가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내측에 연결되는 지지바(21) 및 상기 지지바(21)에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11)의 양측 즉, 상기 한 쌍의 측면바(15)에 연결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의 상,하부 즉, 상기 상,하부바(13,1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1)는 양단부 사이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21)는 전면에 상기 돌기(22)가 수용되는 다수의 결합홈(21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22)는 각각 구 형태를 이루어 상기 결합홈(21a)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돌기(22)는 외력 즉, 의자(100)에 착석하는 사용자가 등 등을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등에 대한 지압 및 안마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돌기(22)를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홈(21a)의 후방부를 이루는 후방공간(21a-1)이 형성되는 후방지지바(21-1) 및 상기 후방지지바(21-1)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21a)의 전방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방공간(21a-2)이 형성되면서 상기 돌기(2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돌기(22)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지지바(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a)은 상기 지지바(21)가 상기 전,후방지지바(21-2,21-1)로 이루어짐에 따라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전,후방공간(21a-2,21a-1)으로 나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공간(21a-1)은 전방이 개방되는 홈의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전방공간(21a-2)은 전,후가 개방되는 구멍의 형태를 이룬다.
상기 후방지지바(2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지지바(21-2)는 상기 후방지지바(21-1)의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프레임(11)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후방지지바(2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지지바(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각각에 상기 돌기(22)가 구비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바(21-2)는 나사나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후방지지바(21-1) 또는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바(21-2)는 상기 전방공간(21a-2)의 내경이 상기 돌기(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돌기(2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강증진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21a)으로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싱(23), 상기 부싱(23)의 전방에 위치되고 유출입구(24b)가 형성되는 결합판(24a)과 상기 결합판(24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부싱(23)으로 나사결합되는 결합관(24c)을 포함하는 고정부재(24) 및 상기 부싱(23)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돌기(22)가 상기 유출입구(24b)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링(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23)은 상기 결합홈(21a)으로 인입 결합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홈(21a)을 이루는 둘레를 보호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24)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부싱(23)은 상기 지지바(21)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재(24)가 상기 지지바(21)에 나사결합됨에 따른 상기 지지바(21)의 파손과 함께 불완전한 결속상태를 방지한다.
상기 부싱(23)은 상기 지지바(2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21a)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증진장치(20)는 상기 각 돌기(22)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수단(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돌기(22)는 전,후방을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공(22a)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력조절수단(26)은 상기 돌기(22)와 상기 스프링(25) 사이에 위치되는 가압판(27) 및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27)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2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바(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바(28)는 전단부가 상기 돌기(22)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바(28)는 전단부에 공구를 사용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홈부(28a)가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가압판(27)이 상기 스프링(25)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력조절수단(26)은 상기 조절바(28)의 회전에 따라 의자(10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상기 돌기(22)의 돌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압 및 안마가 이루어지는 신체 부위에 대한 자극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등받이 10 : 프레임부
11 : 프레임 12 : 공간부
13 : 상부바 14 : 하부바
15 : 측면바 16 : 보조바
20 : 건강증진장치 21 : 지지바
21-1 : 후방지지바 21-2 : 전방지지바
21a : 결합홈 21a-1 : 후방공간
21a-2 : 전방공간 22 : 돌기
22a : 가이드공 23 : 부싱
24 : 고정부재 24a : 결합판
24b : 유출입구 24c : 결합관
25 : 스프링 26 : 탄성력조절수단
27 : 가압판 28 : 조절바
28a : 홈부 100 : 의자
110 : 좌판 120 : 다리부

Claims (3)

  1. 좌판(1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의자(100)를 이루는 등받이(1)로써,
    전,후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12)를 형성하는 프레임(11)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내측에 구비되고, 지압 및 안마가 이루어지는 건강증진장치(20); 및
    다수의 구멍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11)의 전면에 구비되는 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프레임(11)의 내측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커버(30)를 지지하는 보조바(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강증진장치(20)는,
    양단부가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내측에 연결되는 지지바(21); 및
    상기 지지바(21)에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2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21)는,
    전면에 상기 돌기(22)가 수용되는 다수의 결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기(22)는,
    각각 구 형태를 이루어 상기 결합홈(21a)으로 결합되며, 전,후방을 관통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1)는,
    상기 다수의 돌기(22)를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홈(21a)의 후방부를 이루는 다수의 후방공간(21a-1)이 형성되는 후방지지바(21-1); 및
    상기 다수의 돌기(22)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홈(21a)의 전방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방공간(21a-2)이 형성되면서 상기 돌기(2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후방지지바(21-1)의 전방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돌기(22)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지지바(21-2)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강증진장치(20)는,
    상기 결합홈(21a)으로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싱(23);
    상기 부싱(23)의 전방에 위치되고 유출입구(24b)가 형성되는 결합판(24a)과, 상기 결합판(24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부싱(23)으로 나사결합되는 결합관(24c)을 포함하는 고정부재(24);
    상기 부싱(23)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돌기(22)가 상기 유출입구(24b)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링(25); 및
    상기 각 돌기(22)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수단(26)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조절수단(26)은,
    상기 돌기(22)와 상기 스프링(25) 사이에 위치되는 가압판(27); 및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27)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2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바(28)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바(28)는,
    전단부에 공구를 사용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홈부(28a)가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가압판(27)이 상기 스프링(25)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2. 삭제
  3. 제 1항의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0170063191A 2017-05-22 2017-05-22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76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91A KR101769269B1 (ko) 2017-05-22 2017-05-22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91A KR101769269B1 (ko) 2017-05-22 2017-05-22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269B1 true KR101769269B1 (ko) 2017-08-18

Family

ID=5975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91A KR101769269B1 (ko) 2017-05-22 2017-05-22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231A (zh) * 2019-08-21 2019-12-03 成都市建筑设计研究院 一种智能环空气净化坐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974B2 (ja) 1990-09-14 2000-03-21 旭電化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プラスチゾル組成物
KR200269728Y1 (ko) 2001-10-30 2002-03-25 강해식 다이어트용 의자구조
KR200344423Y1 (ko) 2003-12-23 2004-03-10 한일정공(주) 운동의자 구조
JP3761135B2 (ja) 1999-08-23 2006-03-29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KR200477977Y1 (ko) * 2014-05-27 2015-08-12 박해복 지압기능을 갖는 경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974B2 (ja) 1990-09-14 2000-03-21 旭電化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プラスチゾル組成物
JP3761135B2 (ja) 1999-08-23 2006-03-29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KR200269728Y1 (ko) 2001-10-30 2002-03-25 강해식 다이어트용 의자구조
KR200344423Y1 (ko) 2003-12-23 2004-03-10 한일정공(주) 운동의자 구조
KR200477977Y1 (ko) * 2014-05-27 2015-08-12 박해복 지압기능을 갖는 경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231A (zh) * 2019-08-21 2019-12-03 成都市建筑设计研究院 一种智能环空气净化坐凳
CN110522231B (zh) * 2019-08-21 2024-02-27 成都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环空气净化坐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US7494188B1 (en) Headrest for an office chair
KR101608737B1 (ko)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KR101769269B1 (ko)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TW201731422A (zh) 座椅背板定位裝置
KR101402465B1 (ko) 낚시의자 장착용 낚시대 지지장치
FR2947722A3 (fr) Siege de massage
KR100667726B1 (ko) 발판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의자
US8613484B2 (en) Detachable chair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20040155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200487566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101615272B1 (ko)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170036451A (ko) 종아리 안마구가 구비된 소파
KR20150101250A (ko) 높낮이 조절 의자
TWD191102S (zh) Chair back (9)
TWM528664U (zh) 坐墊背靠墊組
DE60108092D1 (de) Stuhl
CA2928450A1 (en) Seat back recliner
KR20190058163A (ko) 척추 보호방석
KR200329547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