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272B1 -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272B1
KR101615272B1 KR1020140110982A KR20140110982A KR101615272B1 KR 101615272 B1 KR101615272 B1 KR 101615272B1 KR 1020140110982 A KR1020140110982 A KR 1020140110982A KR 20140110982 A KR20140110982 A KR 20140110982A KR 101615272 B1 KR101615272 B1 KR 101615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mboo
chair
backre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320A (ko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to KR102014011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2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부(300) 상단에 결합되는 의자등받이부(200)의 구조로서, 상기 의자등받이부(200)는 등받이프레임(210)에 대나무원통등받이(220)가 프레임연결부(23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는 2개 이상의 대나무 마디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Description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Structure of back sheet using bamboo in chair}
본 발명은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의자 등받이의 구조를 통대나무로 형성하여 사람이 등을 기대었을 때, 안락감을 줄 수 있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면을 참조하면, 의자등받이 구조로서, 국내 공개특허 10-2012-0098617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고안에 의한 의자용 등받이(100)는 U자형구조의 몸체(111)를 갖되 그 하측부를 외측방향으로 휘어 절곡부(111a)를 형성시키며 상기 몸체(111)의 절곡부(111a) 상에 체결공(112a)을 갖는 고정브래킷(112)을 구비한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측부를 연결 지지하여 메인프레임(110)의 외측 벌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잡이로서 기능하게 되며 외측방향으로 휘어짐을 갖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다수가 횡으로 수평하게 연결된 탄성조립체(131)를 다열 배치하여 고정시킨 등판형성부(130)와, 상기 탄성조립체(131)의 외측으로 삽입 배치되는 제1커버부재(141) 및 제2커버부재(14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장스프링의 연결체인 탄성조립체를 다열 배치하여 탄성력과 인장력이 조화되는 등판을 구성하고 이에 완충기능 및 보온성이 더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미치는 힘에 비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매우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지압효과를 맛볼 수 있게 하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종래 도면 제2, 3도를 참조하면, 국내 특허 10-0700069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등받이(4)가 구비되는 의자(1)는 지면에 지지되는 실린더(2)의 상측에 구비되는 좌판(3) 그리고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등받이(4)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등받이(4)가 세 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가 가능하다. 하나로 하여 등받이(4)를 구비할 경우에는 등받이(4)의 상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며, 많은 수로 구비할 경우에는 상하길이를 짧게 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 개로 등받이(4)를 구비할 경우, 각각 대응되는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에 알맞게 등받이(4)의 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4)의 양측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지주(5)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지주(5)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각각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6)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4)는 상기 회전축(6)이 삽입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결합공(7)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6)은 상기 양측 지주(5)를 잇도록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 지주(5)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향하며 약간의 높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즉 양측 지주(5)를 잇도록 회전축(6)을 형성할 경우에는 양측 지주(5) 및 회전축(6)에 의해 등받이(4)의 강도를 높여 튼튼하게 구비하여 안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양측 지주(5)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회전축(6)을 형성할 경우에는 회전축(6)을 포함하는 지주(5) 및 등받이(4)의 구조를 간단하고 경량으로 제작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의자등받이는 원통형 부재를 새로이 제작하고, 이를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하여 복잡한 연결구조를 채택하여야 하였고, 원통형 부재 자체가 폴리에스텔 등의 천으로 제작되어 사람의 인체에 그다지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고, 이를 제조하기에도 사람의 손이 일일이 가야하므로, 제작하는 작업자에게도 손가락 피부 등에 물집이 생기는 등 문제가 있었고, 이를 프레임에 결합함에 있어서도 용접 등으로 별도의 기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용접이 떨어져 나갈 경우에는 이를 용접하려면 수요자가 직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그대로 폐기처분해야하는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의 의자등받이 구조를 대나무원통으로 형성하여 대나무 특유의 향을 인체에 발산하고, 그 감촉이 등으로부터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수월하게 결합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대나무원통 의자 등받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부(300) 상단에 결합되는 의자등받이부(200)의 구조로서, 상기 의자등받이부(200)는 등받이프레임(210)에 대나무원통등받이(220)가 프레임연결부(23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는 2개 이상의 대나무 마디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는 대나무마디에 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연결중심축(222)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프레임(210)은 상부프레임(211)과 하부프레임(215)으로 구분되어 양자는 프레임끼움부(21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연결부(230)에는 하부프레임(215)이 끼워 고정되는 프레임연결공(2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부에는 중심축고정부(240)가 끼워지는 장공(2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고정부(240)는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고정부(240)는 일측에 중심축접촉부(241)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에는 측부받침대(246)와 탄성을 주기 위한 스프링(243a)(243b)을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측부받침대(246)의 안내가이드(248)를 끼울 수 있는 안내가이드원통(2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접촉부(241)에는 상기 스프링(243a)(243b)을 끼울 수 있는 스프링끼움돌기(242a)(242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받침대(246)의 양측에는 상기 스프링(243a)(243b)과 결합되는 스프링끼움돌기(247a)(247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의자등받이 구조를 대나무원통으로 형성하여 대나무 특유의 향을 인체에 발산함으로써 주위의 분위가가 한결 좋아지고, 그 감촉이 등으로부터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등받이 프레임에 수월하게 결합하고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예의 의자등받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예의 의자등받이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종래 제2실시예의 의자등받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사시 실물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배면 사시 실물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측면 실물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의자결합 실물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이 의자등받이프레임에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 실물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연결부와 중심축고정부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실물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프레임연결부와 중심축고정부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 실물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프레임연결부와 중심축고정부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 실물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사시 실물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배면 사시 실물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측면 실물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 의자등받이 구조의 의자결합 실물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의자는 의자등받이부(200)와 좌판부(30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다리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등받이부(200)는 등받이프레임(210)과 대나무원통등받이(220)와, 프레임연결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프레임(210)은 상부프레임(211)과 하부프레임(215)으로 구분되어 양자는 프레임끼움부(21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는 2개 이상의 대나무 마디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대나무 마디의 간격에 따라 적절한 연결중심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는 대나무마디에 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연결중심축(222)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212는 해드레스트 결합공이고, 217은 의자좌판연결부이다.
다음은 프레임(210)과 대나무원통등받이(220)가 프레임연결부(230)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대나무원통이 의자등받이프레임에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 실물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연결부와 중심축고정부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실물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프레임연결부와 중심축고정부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 실물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프레임연결부와 중심축고정부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 실물사진이다.
상기 프레임연결부(230)에는 프레임(215)이 끼워 고정되는 프레임연결공(2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부에는 중심축고정부(240)가 끼워지는 장공(2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고정부(240)는 전후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되, 대나무원통등받이(220)의 연결중심축(222)이 장공(234)에 끼워지고, 그 장공(234)의 일측 빈공간에 상기 중심축고정부(240)가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로서는 일정한 탄력성을 갖는 탄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심축고정부(240)는 일측에 중심축접촉부(241)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에는 측부받침대(246)와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243a)(243b)을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243a)(243b)을 끼울 수 있는 스프링끼움돌기(242a)(242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측부받침대(246)의 안내가이드(248)를 끼울 수 있는 안내가이드원통(2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받침대(246)의 양측에는 상기 스프링(243a)(243b)과 결합되는 스프링끼움돌기(247a)(247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에 몸을 기댈 경우에는 그 자체가 회전도 됨은 물론 뒤로 상기 중심축고정부(240)의 전후 탄력성에 의하여 쿠션을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우선 대나무원통등받이(220)를 적절한 치수에 맞추어 절단한 후, 대나무 마디에 형성된 대나무마디의 중앙에 연결중심축(222)이 끼워져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중심축(222)을 프레임연결부(230)의 장공(234) 일측에 끼운 후, 그 빈공간에 중심축고정부(240)를 끼우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심축고정부(240)은 탄력을 갖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한된 장공(234) 내에서 탄성적으로 연결중심축(222)을 고정하여 대나무원통등받이(220)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진다.
이와 같이, 사람이 착석했을 때에는 대나무원통등받이(220)가 회전이 되면서 부드럽게 사람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착석 이후에도 감촉이나 구조적으로 둥글게된 대나무원통의 회전에 의한 편안감이 나타나게 되고, 다소 탄력에 의하여 뒤로도 쿠션작용까지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0 : 의자등받이부
210 : 등받이프레임
211 : 상부프레임
215 : 상부프레임
220 : 대나무원통등받이
222 : 연결중심축
230 : 프레임연결부
232 : 프레임연결공
234 : 장공
240 : 중심축고정부
241 : 중심축 접촉부
246 : 중심축고정부

Claims (8)

  1. 의자의 좌판부(300) 상단에 결합되는 의자등받이부(200)의 구조로서, 상기 의자등받이부(200)는 등받이프레임(210)에 대나무원통등받이(220)가 프레임연결부(23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연결부(230)에는 하부프레임(215)이 끼워 고정되는 프레임연결공(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연결부(230) 측부에는 중심축고정부(240)가 끼워지는 장공(2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고정부(240)는 일측에 중심축접촉부(241)가 라운드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반대측에는 측부받침대(246)와 탄성을 주기 위한 스프링(243a)(243b)을 배치되어 있으며, 중심축고정부(240) 중앙에는 측부받침대(246)의 안내가이드(248)를 끼울 수 있는 안내가이드원통(2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는 2개 이상의 대나무 마디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원통등받이(220)는 대나무마디에 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연결중심축(222)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10)은 상부프레임(211)과 하부프레임(215)으로 구분되어 양자는 프레임끼움부(21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접촉부(241)에는 상기 스프링(243a)(243b)을 끼울 수 있는 스프링끼움돌기(242a)(242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받침대(246)의 양측에는 상기 스프링(243a)(243b)과 결합되는 스프링끼움돌기(247a)(247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KR1020140110982A 2014-08-25 2014-08-25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KR101615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82A KR101615272B1 (ko) 2014-08-25 2014-08-25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82A KR101615272B1 (ko) 2014-08-25 2014-08-25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320A KR20160024320A (ko) 2016-03-04
KR101615272B1 true KR101615272B1 (ko) 2016-04-25

Family

ID=5553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982A KR101615272B1 (ko) 2014-08-25 2014-08-25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73031A1 (it) * 2017-06-30 2018-12-30 Vigni Giulia Li Sedia-cilindr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24Y1 (ko) 2003-03-03 2003-06-02 한봉섭 지압용 대나무 침대
JP2006081565A (ja) 2004-09-14 2006-03-30 Toshimitsu Sasaki 加工竹の連結部構造及び加工竹を用いた荷重支持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24Y1 (ko) 2003-03-03 2003-06-02 한봉섭 지압용 대나무 침대
JP2006081565A (ja) 2004-09-14 2006-03-30 Toshimitsu Sasaki 加工竹の連結部構造及び加工竹を用いた荷重支持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320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20200029695A1 (en) Chair
US20140077575A1 (en) Constricting member of chair footrest ring
JP2014140739A (ja) 一体型背板セル付きの椅子
KR101754071B1 (ko) 요추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101615272B1 (ko) 대나무원통을 이용한 의자등받이 구조
CN104287500A (zh) 用于椅子的靠背的内部支撑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KR100981057B1 (ko)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JP5606767B2 (ja) 椅子
US8613484B2 (en) Detachable chair
JP2017221667A (ja) 着座面用の調節可能な後部支持体
KR200427731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072035B1 (ko) 허리받침 및 통풍기능을 수행하는 등판 프레임
KR20040155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JP2020058759A (ja) 椅子
KR101022761B1 (ko) 의자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JP6169835B2 (ja) 椅子
JP7078263B2 (ja) 椅子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101588711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